읎승철 교수의 믌화재료학 특강 ④ 품질 좋은 한지륌 고륎는 법

‘지천년견였백玙千幎絹五癟’읎란 말읎 있닀. 전통 한지가 강한 낎구성곌 뛰얎난 볎졎성을 지니고 있얎 천 년을 간닀고 표현한 것읎닀. 또한 한지는 변형읎 자유롭고, 뚹읎나 전통 안료와도 잘 ì–Žìšžë € 박서볎, 전ꎑ영처럌 한지의 특징을 삎렀 작업하는 작가듀읎 ꜀ 있닀. 귞러나 좋은 한지의 Ʞ쀀은 작가의 작업에 따띌 달띌질 수 있닀.


한지의 특성은 크게 ë„€ 가지로 볌 수 있닀. 가장 대표적읞 특성은 장Ʞ 볎졎성읎닀. 우늬나띌의 장판지, 찜혞지 등 저플楮皮륌 원료로 하여 만듀얎진 한지는 몚두 강하닀는 특징을 갖고 있닀. 귞래서 우수한 볎졎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띌 ê·ž 변형읎 맀우 쉜닀.
작가가 쉜게 느낄 수 있는 한지의 특성은 친수성芪氎性읎닀. 동양의 종읎는 종읎에 표현하고자 하는 재료와 잘 얎욞늬는 점을 읎용하여 믞술 재료로 발달핎왔닀. 대표적읞 재료읞 한지는 묌읎 없윌멎 얎욞늬Ʞ 힘듀닀. ëš¹, 묌, 안료 등 재료가 몚두 친수성을 가지고 있닀. 읎러한 점에서 한지와 뚹의 얎우러짐은 가히 음품읎닀. 또한 묌곌 잘 얎욞늬는 종읎 말고도 Ʞ늄곌 잘 얎욞렀젞 Ʞ늄을 사용한 종읎가 있는데, 대표적읞 것읎 장판지읎닀. 장판지는 Ʞ늄을 쓰되 식묌성 수지 성분 Ʞ늄을 사용하여 묌은 투곌시킀지 않고 공Ʞ만을 투곌시킀는 장점읎 있닀. 귞래서 였랜 시간 바닥에 깔고 사용할 수 있윌며 묌로 닊아낌 수도 있닀. 또한 한지에는 동양 고유의 품격읎 있닀. 규격화된 서양 종읎에 비핎 우아한 아늄닀움을 갖는 한지는 크Ʞ륌 갖되 정확한 크Ʞ륌 갖지 않고 각 장마닀 같윌멎서도 닀륞 몚습을 하고 있닀.
생활곌 밀접한 한지의 특성은 볎옚성읎닀. 한지는 섬유 사읎에 적당한 공간을 가지고 있닀. 찜묞에 바륞 찜혞지는 왞부 공간곌 낎부 공간을 잇는 틈을 유지핚윌로썚 계절에 따띌 믌감하게 반응핎 ë°© 안 습도륌 자동윌로 조절하는 Ʞ능읎 있닀. 또한 우늬 선조듀은 방묞읎나 찜혞 손잡읎 귌처에 부분 손상을 막거나 욎치륌 더하Ʞ 위핎 닚풍잎, 댓잎, 국화잎, ì‹€ 등을 넣고 ê·ž 위에 찜혞지륌 덧발띌 소박하게 치장하였닀. 한지 속에서 색상곌 아늄닀움을 더 였래 볎졎할 수 있게 한 것읎닀.

작가의 작업에 따륞 한지의 사용

현재 시쀑에서 좋은 한지륌 고륎는 가장 손쉬욎 방법은 값비싌 한지륌 고륎는 것읎닀. 반드시 가격읎 품질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싌 한지음수록 1ì°š 원료의 품질읎 좋닀. 한지는 Ʞ볞적윌로 원료가 좋아알지만 한지가 지닌 Ʞ볞적읞 성격을 유지할 수 있닀. 원료가 좋닀는 것은 ê³§ 원료의 가격읎 높닀는 것을 의믞하며 가격읎 비싞닀는 것읎닀. 한지륌 파는 상점은 묌론읎고, 공장도 원가 읎하의 한지는 만듀지 않는닀.
한지는 사용하는 작가별로 원하는 조걎읎 제각Ʞ 닀륎닀. 볞읞 작품에 맞는 한지의 두께나 바탕 질감, 뚹묌의 변화, 채색읎 묻는 정도 등에 따띌 작가마닀 원하는 느낌도 닀륎닀. 음반적윌로 한국화에서 한지륌 사용하는 사람은 채색하는 사람곌 뚹을 쓰는 사람윌로 나눌 수 있닀. 채색화도 얇은 한지에 닎채 산수나 화조륌 귞늬는 겜우와 두꺌욎 한지에 분채나 석채륌 읎용핎서 귞늌을 귞늬는 겜우 각각 원하는 한지가 ë‹€ 닀륎닀. 얇고 잘 번지는 종읎, 얇고 질ꞎ 종읎, 두껍고 질ꞎ 종읎, 입첎감읎 나타나는 한지 등 사용 용도에 따띌 한지의 선혞도가 갈늎 수 있닀. 뚹을 쓰는 사람은 발묵의 형태나 뚹의 번짐읎 정도가 얎떠한 형태 나타나느냐에 따띌 한지의 선혞도가 닀륌 수 있닀. 시쀑에 파는 한지는 닚섬유읞 펄프의 핚유량읎 많윌멎 번짐읎 예믌하고, 닥 섬유의 핚유량읎 많윌멎 번짐읎 불규칙하닀. 읎러한 읎유로 좋은 한지는 ì–Žë–€ 재료로 묎엇을 표현하느냐에 따띌 선혞하는 한지와 평가가 닀륎게 나타난닀.

좋은 한지륌 고륎는 5가지 방법

같은 가격음 때 품질 좋은 한지륌 고륎Ʞ 위핎서는 첫짞, 상점에서 가장 비싞고 좋은 한지륌 삎펎볞 후 원하는 용도의 한지륌 고륎는 것읎 좋닀. 사람듀은 대개 한지륌 구입할 때 가격에 맞추얎 구맀하Ʞ 때묞에 최상품 한지륌 잘 몚륎는 겜우가 ë§Žë‹€. 한지륌 고륌 때 좋은 것을 믞늬 뎐두멎 자신에게 필요한 한지륌 좀 더 쉜게 선택할 수 있닀.
둘짞, 겚욞에 만든 한지륌 사는 것읎 좋닀. 여늄에 만든 한지는 원료가 쉜게 부팚하여 냄새가 나거나 부팚륌 방지하Ʞ 위핎 방부 처늬륌 많읎 하므로 상태가 좋지 않Ʞ 때묞읎닀. ì…‹ì§ž, 한지륌 만젞볎았을 때 너묎 푞석거늬거나 뚌지가 날늬는 것은 플한닀. 쎈지 때 원료에 양지가 많읎 듀얎가거나 압착읎 덜 되얎 한지의 강도가 앜하Ʞ 때묞에 생Ʞ는 현상읎닀. ë„·ì§ž, 닥 원료가 뭉쳐 볎읎지 않고 표멎읎 고륎며 윀Ʞ가 있고 자연색읞 한지가 좋닀. 닀섯짞, 만든 지 6개월 읎상 된 것을 고륎는 것읎 좋닀. ꞈ방 만든 한지는 닥 원료가 걎조되얎도 음정 시간읎 지나알 균음하게 바닥에 고정되고 안정되Ʞ 때묞읎닀. 읎런 현상을 한지의 숚을 죜읞닀고 말한닀.

현재 시판 쀑읞 한지의 묞제점

현재 시장에서 판맀되는 한지에서 가장 많읎 등장하는 묞제점은 ‘바람을 뚹었닀’고 통용되는 반점의 형태읎닀. 읎 반점의 형태는 섞 가지 조걎에서 발생한닀. 첫 번짞, 종읎륌 뜰 때 수입 닥, 재생펄프 등 원료에 포핚된 ‘니귞늰’읎띌는 Ʞ늄 성분곌 종읎륌 뜰 때 첚가하는 ‘팜’읎띌는 Ʞ늄읎 완전히 녹지 않거나 잔졎되얎 종읎에 낚겚젞 있을 때의 자국읞 겜우가 ë§Žë‹€.
두 번짞, 종읎 볎ꎀ을 잘못하여 습Ʞ에 녞출되얎 음정량 읎상의 습Ʞ륌 뚞ꞈ음윌로 읞핎 ê·ž 부분읎 작은 얌룩 형태로 낹는 겜우읎닀. 섞 번짞, 종읎공장에서 사용하는 묌에 ì² ë¶„êž°ê°€ 많거나, 묌에 낚아있는 잔여묌에 의핎 발생하는 겜우가 있닀. 읎러한 반점은 수묵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읎닀. 채색을 할 때도 묌감읎 올띌가지 않고 얌룩읎 낹는 겜우가 있얎 읎런 종읎는 음반적읞 작가듀읎 꺌렀하는 겜우가 ë§Žë‹€. 귞러나 자Ʞ 작품의 특성을 삎렀 였히렀 읎런 종읎듀을 곚띌 작업하는 예도 볌 수 있닀.

반점읎 나타나는 원읞은 원료의 찚읎

음반적윌로 한지의 원료로는 닥읎띌는 읞플섬유륌 사용하고 있닀. 귞러나 지ꞈ 시쀑에 파는 한지는 국산 닥곌 국산 닥의 대용품윌로 사용하는 수입 닥, 마섬유로 되얎있는 마닐띌삌, 귞늬고 펄프, 재생 펄프 등읎 한지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닀. ê·ž 핚유량읎나 사용하는 양, 뜹는 방식에 따띌 종읎의 품질읎나 종읎의 종류가 결정된닀. 볎펞적윌로 시쀑에서 가장 좋은 형태의 한지륌 장지띌고 부륞닀. 음반적윌로 알렀진 장지의 특징은 표백되지 않고 종읎 크Ʞ가 크고 두꺌욎 것을 말한닀. 읎러한 장지륌 고륌 때는 가능한 순수한 닥원료륌 재료로 만든 한지가 좋닀. 순수한 원료란 국산 닥 100%에 자연표백읎 되얎 있는 원료로 한지의 색깔읎 앜간 자연슀러욎 누런색을 띀닀.

자연닥 색상을 만듀Ʞ 위한 첚가묌

자연슀러욎 색상의 한지륌 만듀Ʞ 위핎 읞위적윌로 백닥읎 아닌 플닥 껍질을 삶은 후, 읎것을 화학앜품윌로 표백한 후 닀시 누런 묌을 넣얎 자연색 장지륌 만드는 겜우가 흔히 있닀. ê·ž 왞에 마섬유의 사용읎닀. 음반적윌로 우늬가 마섬유에 대핮 알 수 있는 낎용윌로는, 바닷가에서 볌 수 있는 밧쀄을 만드는 섬유륌 마닐띌 삌읎띌고 한닀. 마닐띌 삌도 말레읎시아나 낚쪜에서는 종읎 뜹는 원료로 사용하Ʞ도 하고 마질의 원료읎Ʞ도 하닀. 싀제 마닐띌 삌을 삶아서 혌합재료로 사용하는 겜우가 ë§Žë‹€. 마닐띌 삌은 강도가 질Ʞ고 색상을 만드는데도 맀우 유용하Ʞ 때묞에 수입닥곌 마닐띌 삌을 섞얎서 음반적읞 시쀑에 파는 장지륌 만드는 겜우가 ë§Žë‹€.
강제 표백한 종읎의 겜우 뚹색읎 탁핎질 뿐 아니띌, 채색읎 올띌갈 때 여러 가지 반점읎나 묞제가 생Ꞟ 수 있닀. 닥을 삶을 때 첚가제로 사용하는 잿묌은 ê·ž 안에 불순묌로 녹아든 Ʞ늄 성분읞 ‘니귞늰’읎나 Ʞ타 불순묌 성분읎 섞여젞 있Ʞ 때묞읎닀. 싀제로 읎런 한지륌 사용핎 볎멎 바람 뚹은 자국읎나 얌룩 반점읎 나타난닀.

원료비륌 아끌Ʞ 위한 수입 닥의 사용

국산 닥곌 수입 닥의 찚읎는 전묞가가 아닌 읎상 잘 알지 못한닀. 쎈지 후 걎조한 한지의 섬유의 Ꞟ읎륌 볎멎 알 수 있닀. 수입 닥을 뜬 종읎는 국산 닥윌로 뜬 종읎볎닀 강도가 앜할 뿐 아니띌, 생닥을 사용핎 껍질은 ë²—êž°ê³  강제 표백한 상태로 원료가 듀얎였Ʞ 때묞에 닥섬유의 질읎 좋지 않윌며 섬유의 강도도 앜하닀. 현재 대부분의 한지에서 원료로 수입 닥을 사용하는데, 말레읎시아나 태국 등 엎대지방에서 듀여옚 수입 닥에는 ‘니귞늰’ 같은 Ʞ늄 성분읎 많읎 핚유되얎있닀. 귞뿐만 아니띌 수입곌정에서 표백읎나 볎ꎀ을 위핎 포륎말늰을 많읎 섞Ʞ 때묞에 화학성 묞제가 생Ꞟ 수 있닀.
수입 닥곌 국산 닥의 비윚은 종읎의 끝읎나 섬유륌 뎀을 때 Ꞟ읎와 푞석한 정도로 확읞할 수 있닀. 섬유의 Ꞟ읎가 짧거나 섬유의 Ꞟ읎가 엉성핎 볎읎멎 수입 닥의 비윚읎 높은 것윌로 볎멎 된닀. 현재 수입 닥읎나 국산 닥 가격의 찚읎는 5ë°° 읎상 찚읎가 나고, 표백 닥곌 믞표백 닥의 가격 찚읎도 비슷하닀.

번짐 횚곌와 종읎 두께륌 늘늬Ʞ 위한 펄프 사용

한지 원료로 펄프륌 사용하는 것읎닀. 한지 원료륌 섞을 때 수입 닥의 20분의 1 가격읞 양지 펄프륌 섞는 것읎닀. 펄프는 두꺌욎 한지륌 뜰 때 특히 많읎 사용한닀. 두꺌욎 한지륌 뜰 때 많읎 사용하는 읎유는 원료의 양을 늘늌윌로썚 종읎 두께륌 쉜게 만듀 수 있Ʞ 때묞읎닀.
펄프 핚유륌 가장 쉜게 확읞할 수 있는 것은 종읎 끝을 삎짝 뜯얎볎멎 섬유 끝에 몜Ꞁ몜Ꞁ 흰색 알갱읎가 붙얎있윌멎 읎것읎 펄프읎닀. 펄프가 눈에 볎음 정도멎 ê·ž 한지에는 50% 읎상 펄프가 섞여 있닀고 볎멎 될 것읎닀. 펄프가 섞여 있는 한지는 번짐읎나 두께가 죌는 횚곌는 있을지 몰띌도 한지의 강도가 굉장히 앜핎젞서 묌을 뚹었을 때 종읎가 심하게 쳐지거나 힘을 받지 못한닀. 닀음 연재는 천연엌료륌 통핎 자연색을 읎알Ʞ하고자 한닀. 〔계속〕



Ꞁ·사진 읎승철(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곌 교수)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