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숙 작가와 함께하는 êµ°í•™ë„ ê·¸ë¦¬ê¸°â…¢

고아한 í•™ë“¤ì´ ë…¸ì†¡ìœ¼ë¡œ 날아들고 ë“œë†’ì€ íŒŒë„ê°€ íŒŒëž‘æ³¢æµªì„ ë§Œë“¤ì–´ë‚´ëŠ” ëª¨ìŠµì´ ìž¥ê´€ì´ë‹¤.
ì´ë²ˆ í™”í­ì—서 주안ì ì„ ë‘어야 í•  ë¶€ë¶„ì€ ë°”ìœ„ì™€ 부딪혀 ë°œìƒí•˜ëŠ” 물보ë¼ì˜ ì—­ë™ì„±ì´ë‹¤. ë”불어 ê°€ê¹Œìš¸ìˆ˜ë¡ ì§™ì–´ì§€ê³  ë©€ì–´ì§ˆìˆ˜ë¡ ì•„ìŠ¤ë¼ì´ ì€ì€í•´ì§€ëŠ” ë¬¼ê²°ì„ ìžì—°ìŠ¤ë ˆ 표현해주는 ê²ƒì´ ìž‘í’ˆì— ì™„ì„±ë„를 높ì´ëŠ” 핵심í¬ì¸íŠ¸ë‹¤.

정리 ê¹€ì†¡í¬ ê¸°ìž ì‚¬ì§„ ìš°ì¸ìž¬ 기ìž



유재숙, <êµ°í•™ë„> 10í­ ë³‘í’ ì¤‘ 부분(4, 5í­), 2022, ìˆœì§€ì— ë¶„ì±„, 한국화 물ê°, ê° 137×74ãŽ


초본 그리기


1
가장 먼저 í•™ì„ ê·¸ë¦°ë‹¤. ì´ì–´ 소나무 가지와 ì†”ìžŽì„ ê·¸ë¦¬ê³  모란, 바위,
ë¬¼ê²°ì„ ìˆœì„œëŒ€ë¡œ 그린다. ë¬¼ê²°ì„ ê·¸ë¦´ 때는 가까운 ì„ ì€ êµµê²Œ,
멀리 있는 ì„ ì€ ë³´ë‹¤ 가늘게 그린다.


밑색 칠하기


2
분채 í˜¸ë¶„ì— í°ìƒ‰ 튜브 ë¬¼ê° 3ë¶„ì˜ 1ì„ ì„žì–´ 묽게 ë†ë„를 맞추고
í•™ì˜ ë°”íƒ•ì„ ì¹ í•œë‹¤. ì´ë•Œ 한 ë²ˆì— ì¹ í•˜ëŠ” ê²ƒì´ ì•„ë‹ˆë¼ ë‘ì–´ 차례
칠해주ë„ë¡ í•˜ê³  ë°‘ ì„ ì´ ë³´ì¼ ì •ë„로 얇게 ì¹ í•´ 주는 ê²ƒì´ ì¤‘ìš”í•˜ë‹¤.
ì´ì–´ 한국화 ë¬¼ê° ëŒ€ìžì— ë¨¹ì„ ì†ŒëŸ‰ 섞어 묽게 ë†ë„를 맞추고
í•™ì˜ í„±ê³¼ 목 부분, 꼬리 ë“±ì„ ì¹ í•œë‹¤.
ê°™ì€ ìƒ‰ì„ ì¡°ê¸ˆ ë” ì§„í•˜ê²Œ 해서 í•™ì˜ ë¶€ë¦¬ë¥¼ 칠하고, 분채 황주로
í•™ 눈ë™ìžì˜ ë¶‰ì€ ë¶€ë¶„ê³¼ 정수리를 칠한다. (ì´ì „ 호 참고)


3
분채 대ìžì— 분채 황주를 소량 ì„žì€ ìƒ‰ìœ¼ë¡œ ì†Œë‚˜ë¬´ì˜ ê°€ì§€ë¥¼ 묽게 칠한다.
한 번 칠하고 마른 í›„ì— ë˜ í•œ 번 칠해주어 ìžì—°ìŠ¤ëŸ¬ìš´ ë¶‰ì€ ë¹›ì„ ìžì•„낼
수 있ë„ë¡ í•œë‹¤.


4
한국화 ë¬¼ê° ë…¹ì²­ì— êµ°ì²­, ë¨¹ì„ ì†ŒëŸ‰ ì„žì€ ìƒ‰ìœ¼ë¡œ ì†Œë‚˜ë¬´ì˜ ì†”ìžŽì„ ì¹ í•˜ì—¬
바림한다. 가장ìžë¦¬ì— 경계가 지지 않ë„ë¡ ë°”ë¦¼ 붓으로 잘 풀어주는 것ì´
좋다. ì´í›„ 바림 과정ì—서 소나무 ì†”ìžŽì„ í•˜ë‚˜í•˜ë‚˜ ì³ì£¼ì–´ í’성한 솔잎ì„
표현해주ë„ë¡ í•œë‹¤. (ì´ì „ 호 참고)


5
한국화 ë¬¼ê° ë…¹ì²­ì— ê°ìƒ‰,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ë¬¼ê²°ì„ ì „ì²´ì ìœ¼ë¡œ 칠한다.
ë¬¼ê²°ì„ ì¹ í•  때는 너무 ë„“ì€ ë©´ì ì„ 한 ë²ˆì— ì¹ í•˜ë ¤ 하기보다
한 칸, 한 칸 조금씩 차근히 칠해나가야 추후 ì–¼ë£©ì´ ìƒê¸°ì§€ 않는다.
바위 사ì´ì‚¬ì´ ìž‘ì€ í‹ˆë„ ìžŠì§€ 않고 꼼꼼하게 칠해주어 완성ë„를 높ì´ë„ë¡
한다.


6
⑤로 바위와 파ë„ê°€ 부딪혀 ìƒê¸°ëŠ” ë¬¼ë³´ë¼ ì‚¬ì´ì‚¬ì´ë¥¼ 섬세하게
바림해주어 파ë„와 물결 사ì´ì— ìž…ì²´ê°ê³¼ 깊ì´ê°ì„ ë”해주ë„ë¡ í•œë‹¤.


7
분채 í˜¸ë¶„ì— í°ìƒ‰ 튜브 ë¬¼ê° 3ë¶„ì˜ 1ì„ ì„žì€ ìƒ‰ì— í•œêµ­í™” ë¬¼ê° í™©í† 
ì†ŒëŸ‰ì„ ì„žì–´ 하늘 ìœ„ì˜ êµ¬ë¦„ì„ ì¼ì •하고 고르게 칠해준다.


8
â‘¦ì— í™©í† ë¥¼ 조금 ë” ì„žì–´ ë¬¼ê²°ì˜ ìœ—ë¶€ë¶„ì„ ì¹ í•´ 바림한다.
ë‹¬ë¹›ì„ ë°›ì•„ ë°˜ì§ì´ëŠ” ì˜ë¡±í•œ ëŠë‚Œì„ ìžì•„낼 수 있ë„ë¡ ë„ˆë¬´ í…í…하고
ë‘í…게 발리지 않ë„ë¡ ì£¼ì˜í•œë‹¤. ì´ ê³¼ì •ì—서 만약 ì–¼ë£©ì´ ìƒê²¼ë‹¤ë©´
충분히 다 마른 í›„ì— ì´ì „ ê³¼ì •ì„ ë‹¤ì‹œ 한 번 반복해주ë„ë¡ í•œë‹¤.


9
⑧로 파ë„ê°€ 앞으로 넘어오는 ë¶€ë¶„ì„ ì¹ í•´ 바림한다.


10
한국화 ë¬¼ê° ê°ìƒ‰ì— 녹청, ë¨¹ì„ ì†ŒëŸ‰ ì„žì€ í›„ì— í•œêµ­í™” ë¬¼ê° í™©í† ë¥¼
아주 소량 ì„žì€ ìƒ‰ìœ¼ë¡œ 파ë„ì˜ ê°€ìž¥ ê¹Šì€ ë¶€ë¶„ì„ ì¹ í•´ 바림한다.


11
분채 í˜¸ë¶„ì— í°ìƒ‰ 튜브 ë¬¼ê° 3ë¶„ì˜ 1ì„ ì„žì€ ìƒ‰ìœ¼ë¡œ 바위 주변ì˜
물보ë¼ë¥¼ 칠한다. ì´ë•Œ ì„  바깥으로 나가지 않고, ì´ë¯¸ ë°”ë¦¼ëœ ë¶€ë¶„ë“¤ê³¼
겹치지 않ë„ë¡ ì£¼ì˜í•œë‹¤. â‘¥ì—서 바림한 부분과 ê²¹ì³ì§€ëŠ” ê³³ì€
바림 붓으로 풀어가며 경계가 ìƒê¸°ì§€ 않ë„ë¡ ìžì—°ìŠ¤ë ˆ 표현해준다.


12
⑪로 파ë„ê°€ 넘어오는 ë¶€ë¶„ì˜ êµ¬ë¶ˆêµ¬ë¶ˆí•œ ê³³ì„ ì¹ í•´ 바림한다.
채색한 ê³³ì´ ì¶©ë¶„ížˆ 마른 í›„ì— í•œ 번 ë” ì¹ í•´ì£¼ì–´ 얼룩 ì—†ì´
ê¹”ë”하게 표현해주ë„ë¡ í•œë‹¤.


13
바위 ì£¼ë³€ì˜ ì—¬ëŸ¬ í’€ì„ ì¹ í•´ì¤€ë‹¤. ì´ë•Œ 존재ê°ì´ 묻히지 않ë„ë¡
중먹으로 í’€ë“¤ì˜ ê°€ìž¥ìžë¦¬ì— í…Œë‘리를 ì³ì¤€ë‹¤.
í’€ì˜ ì•ˆìª½ì€ ì œì™¸í•˜ê³  바깥만 ì„ ì„ ê·¸ë ¤ì£¼ë˜ ë„ˆë¬´ 진하지 않ë„ë¡
ê·¸ë¦¼ìž ì§„ ì •ë„로만 얇게 그린다.


14
분채 황백ë¡(분채 ë°±ë¡ì— 한국화 ë¬¼ê° í™©í† , í°ìƒ‰ ì†ŒëŸ‰ì„ ì„žì€ ìƒ‰)으로
ë™ê¸€ë™ê¸€í•œ í’€ì„ ì¹ í•˜ê³ , 분채 ë°±ë¡ì— 한국화 ë¬¼ê° ë…¹ì²­ì„
소량 ì„žì€ ìƒ‰ìœ¼ë¡œ ëŒë‹¨í’ì„ ì¹ í•œë‹¤.


15
한국화 ë¬¼ê° í™©í† ë¡œ 맨 ì•„ëž˜ì— ìœ„ì¹˜í•œ ë°”ìœ„ì˜ ë°”íƒ•ì„ ì¹ í•˜ê³ , ê·¸ 위ì—
분채 ë°±ë¡ì„ 칠한다. ì´ì–´ 분채 ê°ìƒ‰ì— ë¨¹ì„ ì†ŒëŸ‰ ì„žì€ ìƒ‰ìœ¼ë¡œ 바위ì˜
맨 위를 칠해준다. 단, ì´ë•Œ 마지막 ìƒ‰ì€ ë¬½ê²Œ ì¹ í•´ ë°‘ì— ì´ë¯¸ ì¹ í•´ì§„
ë°±ë¡ìƒ‰ì´ 비칠 수 있ë„ë¡ í•œë‹¤.


16
⑪로 ëª¨ëž€ì˜ ë°‘ìƒ‰ì„ ì¹ í•˜ê³ , 분채 연지로 모란 꽃잎 사ì´ì‚¬ì´ë¥¼ ì¹ í•´
바림한다. ì´ë•Œì˜ ëª¨ëž€ì€ ë‹¬ë¹›ì„ ë°›ì€ ëª¨ëž€ì´ê¸° ë•Œë¬¸ì— ë„ˆë¬´ 과하게
바림하지 ë§ê³  ì€ì€í•˜ê²Œ 표현해주는 ê²ƒì´ ì¢‹ë‹¤.


17
분채 ë°±ë¡ìœ¼ë¡œ ëª¨ëž€ì˜ ì—°í•œ ì´íŒŒë¦¬ë¥¼ 칠하고, 분채 녹청으로 ëª¨ëž€ì˜ ì§„í•œ
ì´íŒŒë¦¬ë¥¼ 칠한다. ì´ë•Œ ë˜ì§í•˜ê²Œ 칠하지 않고 옅고 연하게 ë‘ ì°¨ë¡€
칠해주ë„ë¡ í•œë‹¤. ê°™ì€ ìƒ‰ìœ¼ë¡œ ì˜ì§€ ì£¼ë³€ì— ìžˆëŠ” í’€ë„ ìžìœ ìžìž¬ë¡œ 칠해준다.


18
분채 ë…¹ì²­ì— ë¶„ì±„ ê°ìƒ‰ê³¼ ë¨¹ì„ ì†ŒëŸ‰ ì„žì€ ìƒ‰ìœ¼ë¡œ ëª¨ëž€ì˜ ì´íŒŒë¦¬ë¥¼
바림한다. ì´ë• 연한 ì´íŒŒë¦¬ì™€ 진한 ì´íŒŒë¦¬ 구분 ì—†ì´ ë°”ë¦¼í•´ì£¼ì–´ë„
괜찮다.


19
분채 황주로 ì˜ì§€ë¥¼ 칠한다.


2ì°¨ 바림 ë° ì„¸ë¶€ 묘사


20
분채 연지로 ì˜ì§€ì˜ 안쪽과 줄기 가장ìžë¦¬ ë“±ì„ ë°”ë¦¼í•œë‹¤.


21
⑳으로 아주 ì–‡ì€ ë¶“ì„ ì´ìš©í•˜ì—¬ 모란과 ì˜ì§€ì˜ ëì„ ì„ ì¹œë‹¤.


22
한국화 ë¬¼ê° ê°ìƒ‰ì— ë¨¹ì„ ì†ŒëŸ‰ ì„žì€ ìƒ‰ìœ¼ë¡œ 모란 ì´íŒŒë¦¬ì˜ ìžŽë§¥ì„ ì¹œë‹¤.
ì´ë•Œ ì™¸ê³½ì„ ì„ ë”°ë¼ ì„ ì„ ì–‡ê²Œ 그려준 후 가운ë°ì— ì„ ì„ ì¹˜ê³  양옆으로
ìžì—°ìŠ¤ë ˆ ë§¥ì„ ì³ì¤€ë‹¤. ì•ˆìª½ì€ êµµê²Œ, 바깥으로 ê°ˆìˆ˜ë¡ ê°€ëŠ˜ê²Œ 그려주어
ìžì—°ìŠ¤ë ˆ 표현한다. ê°™ì€ ìƒ‰ìœ¼ë¡œ ì˜ì§€ ì£¼ë³€ì˜ í’€ 외곽선과
바위 ì£¼ë³€ì˜ í’€ ì™¸ê³½ì„ ë„ í•¨ê»˜ 친다.


23
ì§„ë¨¹ì— ë¬¼ì„ ì•„ì£¼ 조금 섞어 í•™ì˜ ëª©, 꼬리 깃털, 부리 ë ë“±ì„ ë°”ë¦¼í•œë‹¤.
ì´ì–´ 분채 ì ìœ¼ë¡œ í•™ì˜ ì •ìˆ˜ë¦¬ë¥¼ 바림해 í¬ì¸íŠ¸ë¥¼ 살린다.
ì´ì–´ í° ê¹ƒí„¸ì„ ì§€ë‹Œ 학들과 푸른 ê¹ƒí„¸ì„ ì§€ë‹Œ í•™ì˜ ë‹¤ë¦¬ë¥¼ 달리 표현해준다.
ìžì„¸í•œ ë¬˜ì‚¬ë²•ì€ ì§€ë‚œ 호(10월호) 기사 ⑳번과 ã‰‘ë²ˆì„ ì°¸ê³ í•œë‹¤.


24
진먹으로 ë°”ìœ„ì— ë¨¹ì ì„ ì°ì–´ì¤€ë‹¤. ì´ë•Œ ì ì˜ í¬ê¸°ë¥¼ 너무 ì¼ì •하게
ì°ê¸°ë³´ë‹¤ëŠ” 러프하고 ê°ê°ì ìœ¼ë¡œ ì°ì–´ì£¼ëŠ” ê²ƒì´ ì¢‹ë‹¤.


25
분채 황백ë¡ìœ¼ë¡œ ë¨¹ì  ìœ„ì— íƒœì ì„ ì°ëŠ”ë‹¤. ì´ë•Œë„ í¬ê³  ìž‘ì€ í¬ê¸°ë¥¼
다양하게 ì°ì–´ì£¼ëŠ” ê²ƒì´ ë©‹ìŠ¤ëŸ½ë‹¤. ì´ë•Œ 먹ì ì„ 너무 가려버리면
재미가 없어지니 주ì˜í•˜ë„ë¡ í•˜ìž.


26
분채 ë°±ë¡ìœ¼ë¡œ 모란 ê°€ìš´ë° ì ì„ ì°ì–´ì£¼ê³ , 분채 í˜¸ë¶„ì— í°ìƒ‰ 튜브 물ê°
3ë¶„ì˜ 1ì„ ì„žì€ ìƒ‰ìœ¼ë¡œ ê½ƒìˆ ì„ ì ì ì´ ì°ì–´ 마무리해준다.
구름 바림과 하늘 바탕 칠하기, í•™ 외곽선 치기, ë¬¼ë³´ë¼ ë””í…Œì¼ ë¬˜ì‚¬í•˜ê¸°
ë“±ì€ ë‹¤ìŒ ì‹œê°„ì— ì¤‘ì ì ìœ¼ë¡œ ë‹¤ë£¨ì–´ë³´ê³ ìž í•œë‹¤.


유재숙 | 작가

42회 전승공예대전ì—서 êµ°í•™ë„로 문화재청장ìƒì„ 수ìƒí•˜ì˜€ë‹¤.
현재 백당ê¶ì¤‘.민화회 회장ì´ë©° ìš©ì¸ê³¼ 서울ì—서 유재숙전승민화연구회를 ìš´ì˜í•˜ê³  있다.

민화 수업 ë¬¸ì˜ 010-5321-6371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