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 „ì˜ ì˜ì • 초본展, 위ì¸ë“¤ì˜ 표준ì˜ì •ê³¼ ë°‘ê·¸ë¦¼ì„ ë§Œë‚˜ë‹¤

ì›”ì „ì˜ ì˜ì • 초본展

민화 ì—´í’ì´ ë¹„êµì  빠르게 í™•ì‚°ë  ìˆ˜ ìžˆì—ˆë˜ ì›ë™ë ¥ìœ¼ë¡œ ë°‘ê·¸ë¦¼ì¸ ì´ˆë³¸ì˜ íž˜ì„ ê¼½ëŠ” ì‚¬ëžŒë“¤ì´ ë§Žë‹¤. 최근ì—는 민화가 아닌 분야ì—ì„œë„ ì´ˆë³¸ì˜ ì‚¬ë£Œì  ê°€ì¹˜ê°€ 주목받고 있다.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관장 장학구)ì€ <ì›”ì „ì˜ ì˜ì •초본전>ì„ í†µí•´ 장우성 í™”ë°±ì´ ì§ì ‘ 그린 초본과 ì˜ì¸ë³¸ 31ì ì„ 공개했다. ë„ìžê¸° 축제가 한창ì´ë˜ 9ì›”, ê²½ê¸°ë„ ì´ì²œ 설봉공ì›ì— 위치한 ì´ì²œì‹œë¦½ì›”ì „ë¯¸ìˆ ê´€ì„ ì°¾ì•˜ë‹¤.

창작 과정 고스란히 알 수 있는 ì˜ì • 초본과 ì˜ì¸ë³¸ 등 31ì  ì „ì‹œ

ì›”ì „ë¯¸ìˆ ê´€ì€ í•œêµ­í™”ë‹¨ì˜ ê±°ëª© 월전 장우성 í™”ë°±ì„ ê¸°ë…하는 미술관으로 그가 ìƒì „ ì§ì ‘ 그린 작품들과 ì†Œìž¥í’ˆì„ ëŒ€ì¤‘ë“¤ì—게 ì„ ë³´ì´ê¸° 위해 ìƒì„¤ì „시와 특색 있는 기íšì „시를 꾸준히 기íší•˜ê³  ìš´ì˜í•´ì™”다. 7ì›” 2ì¼ë¶€í„° 9ì›” 21ì¼ê¹Œì§€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2층ì—서 ì „ì‹œëœ <ì›”ì „ì˜ ì˜ì • 초본전>ì—서는 장우성 í™”ë°±ì´ ì§ì ‘ 그린 초본과 ì˜ì¸ë³¸ 31ì ì„ 대중들ì—게 공개했다. ì˜ì • ì´ˆë³¸ì€ ì´ˆìƒí™”를 그리는 과정ì—서 ê·¸ ë°‘ê·¸ë¦¼ì´ ë˜ëŠ” ì¼ì¢…ì˜ ìŠ¤ì¼€ì¹˜ë¡œ ì›ë³¸ë³´ë‹¤ 완성ë„ê°€ 다소 떨어지는 ê²ƒì€ ë‹¹ì—°í•˜ë‹¤. ìž‘ê°€ë„ ì´ˆë³¸ì˜ ì°½ìž‘ì—°ë„는 따로 표기하지 ì•Šì„ ë§Œí¼ ì´ˆë³¸ì— ëŒ€í•´ì„œëŠ” í° ì˜ë¯¸ë¥¼ 부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ì´ˆë³¸ì˜ ì‚¬ë£Œì  ê°€ì¹˜ëŠ” ê²°ì½” ì™„ì„±ë³¸ì— ë¹„í•´ 부족하지 않다. ìž‘í’ˆì˜ ì œìž‘ ê³¼ì •ì„ ê³ ìŠ¤ëž€ížˆ 보여주기 때문ì´ë‹¤. 완성본과 ì´ˆë³¸ì˜ ë¹„êµë¥¼ 통해서 ì–´ë–¤ ë¶€ë¶„ì„ ì¶”ê°€í•˜ê±°ë‚˜ 삭제했고, 다시 그렸다는 ê²ƒì„ ì¶”ì¸¡í•  수 있다. ì›”ì „ì˜ ì´ˆìƒí™” ì´ˆë³¸ì´ ë‘ ìž¥ì˜ ì¢…ì´ë¥¼ ë§ëŒ€ì–´ 만들었다는 ì ì€ 주목할 만하다. ìƒëŒ€ì ìœ¼ë¡œ 잘못 그릴 여지가 ì ì€ 몸 ë¶€ë¶„ì€ í•œ ìž¥ì„ ê·¸ë¦¬ì§€ë§Œ, 얼굴 ë¶€ë¶„ì€ ê·¸ë¦¬ê¸° 어렵고 실수가 ìžˆì„ ê°€ëŠ¥ì„±ì´ ìžˆê¸°ì— ë”°ë¡œ 여러 ìž¥ì„ ê·¸ë¦° 후 ìµœì¢…ì•ˆì„ ì„ íƒí•˜ê¸° 때문ì´ë‹¤.

ì›”ì „ì˜ ì˜ì • 초본展
ì›”ì „ì˜ ì˜ì • 초본展
 
ìš°ë¦¬ë‚˜ë¼ ìµœì´ˆì˜ í‘œì¤€ ì˜ì •, 충무공 후ì†ê³¼ 함께 ìƒí™œí•˜ê¸°ë„

ì´ë²ˆ 전시ì—서 가장 ì£¼ëª©ë°›ì€ ì´ˆë³¸ì€ ì¶©ë¬´ê³µ ì˜ì •ì´ë‹¤. 충무공 ì´ìˆœì‹ ì€ ìš°ë¦¬ë‚˜ë¼ ì‚¬ëžŒì´ë¼ë©´ 모를 리 없는 위ì¸ì´ì§€ë§Œ, 최근ì—는 특히 ì˜í™” <명량>ì˜ ì¸ê¸°ì— 힘입어 ê·¸ì˜ ì—…ì ê³¼ ìƒì•  ì „ë°˜ì— ëŒ€í•œ ê´€ì‹¬ì´ ë‹¤ì‹œ 한 번 ì¦í­ë˜ê³  있다. 충무공 ì˜ì •ì€ ì›”ì „ ìž¥ìš°ì„±ì˜ ì—¬ëŸ¬ ì˜ì • 중ì—ì„œë„ ê°€ìž¥ 대표ì ì¸ 작품으로 1953ë…„ì— ì œìž‘í•˜ê³  1974ë…„ 대한민국 최초로 표준ì˜ì •으로 지정ë다. 표준ì˜ì •ì€ ì„ í˜„ë“¤ì˜ ì˜ì • ë‚œë¦½ì„ ë§‰ê¸°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ìž¥ê´€ì´ ì§€ì •í•œ ì˜ì •ì„ ì¼ì»«ëŠ”ë‹¤. 2014ë…„ 현재까지 93ê°œì˜ í‘œì¤€ì˜ì •ì´ ì§€ì •ë˜ì—ˆê³  ê·¸ 중 여섯 ì ì„ 장우성 í™”ë°±ì´ ê·¸ë ¸ë‹¤.
ì¶©ë¬´ê³µì˜ ê²½ìš° 예로부터 전해지는 ì´ˆìƒì´ 한 ì ë„ 없다. 장우성 í™”ë°±ì€ ì¶©ë¬´ê³µ 전서나 ì´ìˆœì‹ ê³¼ ì ˆì¹œí–ˆë˜ ìœ ìŠ¹ë£¡ì˜ ê¸°ë¡ ë“±ì„ ì •ë…했다. ë¿ë§Œ ì•„ë‹ˆë¼ ì¶©ë¬´ê³µì˜ í›„ì†ê³¼ ì‚¬í˜ ë™ì•ˆ ê°™ì´ ìƒí™œí•˜ë©° ì¶©ë¬´ê³µì˜ ëª¨ìŠµì„ ìœ ì¶”í•´ëƒˆë‹¤. 아주 ìž‘ì€ ì¦ê±°ë„ 놓치지 않기 위해 ë³µì‹ì´ë‚˜ ê¸°ë¬¼ì„ ì§ì ‘ ê³ ì¦í•˜ê±°ë‚˜ 역사학ìžì™€ 미술사학ìžì™€ ìƒì˜í•˜ë©° ìž‘í’ˆì„ ì™„ì„±í–ˆë‹¤. ì´ë²ˆ 전시ì—서는 충무공 ì˜ì • 제작 과정ì—서 습작으로 그린 ê±°ë¶ì„ ì´ë‚˜ ê°ëŒ€ 스케치 ë“±ë„ í•¨ê»˜ ì„ ë³´ì—¬ ëˆˆê¸¸ì„ ëŒì—ˆë‹¤.

í¬ì€ 정몽주 ì˜ì • 초본과 ì˜ì¸ë³¸ ì›ë³¸ ì´ˆìƒí™”를 바탕으로 í˜„ëŒ€ì  ê¸°ë²• 가미

ì¼ë°˜ì ìœ¼ë¡œ ìœ„ì¸ ì˜ì •ì€ ì „í•´ì§€ëŠ” ì´ˆìƒì´ ì—†ê¸°ì— ë¬¸í—Œìƒì˜ ê¸°ë¡ ë“±ì„ ì—°êµ¬í•˜ì—¬ 유추해서 그린다. 하지만 근현대 ì¸ë¬¼ì€ ì‚¬ì§„ì´ ë‚¨ì•„ìžˆê¸°ë„ í•˜ê³ , 조선시대 ì¸ë¬¼ 중ì—ë„ ì‚´ì•„ìžˆì„ ë•Œ 그린 ì´ˆìƒí™”ê°€ 전해오는 ê²½ìš°ë„ ìžˆë‹¤. ì´ë²ˆ ì´ˆë³¸ì „ì— ì „ì‹œëœ ìž‘í’ˆ 중 사진ì´ë‚˜ ì´ˆìƒí™”ê°€ 남아있어서 ê·¸ê²ƒì„ ê¸°ë°˜ìœ¼ë¡œ 그린 ìž‘í’ˆì€ ë‹¨ ë‘ ì ë¿ì´ë‹¤. 윤봉길 ì˜ì‚¬ ì˜ì •ì€ ì‹¤ì œ ì‚¬ì§„ì´ ë‚¨ì•„ìžˆì„ ë¿ë”러 작업 ë‹¹ì‹œì— ë™ìƒì¸ ìœ¤ë‚¨ì˜ ì”¨ê°€ 살아있었기 ë•Œë¬¸ì— ìƒìƒí•œ ì´ì•¼ê¸°ë„ ë“¤ì„ ìˆ˜ 있었다.
í¬ì€ 정몽주 ì„ ìƒì˜ 경우 ì¡°ì„ ì‹œëŒ€ì˜ ì´ˆìƒí™”ê°€ ë‚¨ì•„ìžˆì—ˆê¸°ì— ì‹¤ì œ ëª¨ìŠµì— ë§¤ìš° 근접하게 그려진 ê²½ìš°ì— í•´ë‹¹í•œë‹¤. 정몽주 ì˜ì •ì˜ ê²½ìš° 19세기 ì´í•œì²  í™”ì›ì´ 그린 ì´ˆìƒí™”ì— ëª…ì•”ë²•ê³¼ ê°™ì€ í˜„ëŒ€ì  ê¸°ë²•ì„ ê°€ë¯¸í•˜ì—¬ 재탄ìƒí–ˆë‹¤. 특ì´í•œ ì‚¬í•­ì€ ì¡°ì„ ì‹œëŒ€ì— ê·¸ë ¤ì¡Œë˜ ì •ëª½ì£¼ ì´ˆìƒí™”ì—는 턱 아래 ì ì´ 있다는 것ì´ë‹¤. ì´ ì ì€ ì›”ì „ì´ ê·¸ë¦° 초본ì—ì„œë„ í™•ì¸í•  수 있는ë°, 완성본ì—서는 ê·¸ ì ì„ 그리지 않았다. 채색 과정ì—서 ì˜ë„ì ìœ¼ë¡œ 뺀 것으로 추측ë˜ë©°, ì‚¬ì‹¤ì— ê¸°ë°˜ì„ ë‘ë©´ì„œë„ ë³´ë‹¤ 보기 좋게 완성하기 위한 ìž‘ê°€ì˜ ê³ ë¯¼ì´ ë¬»ì–´ë‚˜ëŠ” 부분ì´ë‹¤.

 
한글 ì°½ì œì˜ ì‚°ì‹¤, ì§‘í˜„ì „ì„ ê·¸ë¦¬ë‹¤ 집현전 í•™ì‚¬ë„ ì˜ì¸ë³¸, 초본, 스케치

집현전 학사ë„는 ì—¬ì£¼ì— ìœ„ì¹˜í•œ 세종대왕 기ë…ê´€ì—서 ì œìž‘ì„ ì˜ë¢°í•˜ì—¬ 그려진 작품ì´ë‹¤. 훈민정ìŒì„ 연구하고 ë§Œë“¤ì—ˆë˜ ì§‘í˜„ì „ì—서 í•™ìžë“¤ì´ 연구하는 ëª¨ìŠµì„ ê·¸ë¦° 그림으로 ì›ë³¸ì€ 세종대왕유ì ê´€ë¦¬ì†Œì— 소장ë˜ì–´ 있다. ì›”ì „ë¿ ì•„ë‹ˆë¼ ë‹¹ì‹œ í™œì•½í•˜ë˜ ë™ì–‘화가 10명 ì •ë„ê°€ ì„¸ì¢…ëŒ€ì™•ì— ê´€ë ¨ëœ ì´ì•¼ê¸°ë¥¼ 시리즈로 그렸는ë°, 집현전 학사ë„ë„ ê·¸ 중 한 작품ì´ë‹¤. 집현전 학사ë„는 실제 사ì´ì¦ˆì˜ 초본과 함께 구ë„를 구ìƒí•˜ê¸° 위한 ìž‘ì€ í¬ê¸°ì˜ ìŠ¤ì¼€ì¹˜ë„ í•¨ê»˜ 전시ë˜ì—ˆë‹¤. 관람ê°ë“¤ì€ 스케치와 초본, 그리고 ì˜ì¸ë³¸ì˜ ì°¨ì´ì ì„ 찾아보며 꼼꼼히 관람했다.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ê´€ëžŒì‹œê°„ì€ ì˜¤ì „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고 관람 종료 30ë¶„ 전까지 ìž…ìž¥ì´ ê°€ëŠ¥í•˜ë‹¤. 매주 월요ì¼, 1ì›” 1ì¼ê³¼ 설, ì¶”ì„ì—ë§Œ 휴관한다. 관람료는 25세 ì´ìƒ 64세 ì´í•˜ëŠ” 2천 ì›ì´ê³ , 13세 ì´ìƒ 24세 ì´í•˜ëŠ” 1천 ì›ì´ë©° ì´ì²œì‹œë¯¼ì€ 50% ê°ë©´ëœë‹¤. 20ì¸ ì´ìƒ ë‹¨ì²´ì˜ ê²½ìš° í• ì¸ í˜œíƒì´ ì ìš©ë˜ë©°, 유치ì›ê³¼ ì´ˆÂ·ì¤‘Â·ê³ ë“±í•™êµ ë‹¨ì²´ëŠ” 사전 ì˜ˆì•½ì´ í•„ìš”í•˜ë‹¤.
┃문ì˜: 031-637-0033 / www.iwoljeon.org

 

글 : ë°•ì¸í˜ 기ìž
사진 : ë°•ì„±ì¼ ê¸°ìž
ë„움 : 강준구 학예연구실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