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 ì´ë ‡ê²Œ 아름다울 수가! ì´íƒœí˜¸ êµìˆ˜ì˜ 미술사 여담 â‘£ 강릉 굴산사지 ì„ì¡° 당간지주 中

ë„1 ì´íƒœí˜¸, <굴산사지 당간지주 위로 ë´„ 초승달 뜨고>, 2022. 03, ë©´ì§€ì— ìˆ˜ë¬µ, 51×36ãŽ



거대한 당간지주를 세우기 위해 사용한 ëŒë©ì–´ë¦¬ë“¤ì€ 어디서 옮겨 ì™”ì„까? 근처 학산 í•™ë°”ìœ„ì— ì˜¬ë¼ ìˆ˜ ë°±ë…„ëœ ë…¸ì†¡ê³¼ ì•”ì„ì„ ë³´ëŠ” 순간, ì´ê³³ì´ 바로 ê·¸ 채ì„장ì´ë¼ëŠ” ìƒê°ì´ 떠올ëžë‹¤. 당간지주가 서 있는 ê³³ì—서 학산 ì •ìƒê¹Œì§€ 1kmê°€ ë„˜ê¸°ì— í•™ì‚°ë§ˆì„ì— ì „ìŠ¹í•´ì˜¨ ë†ìš” ‘오ë…떼기’가 ì‹ ë¼ ë§ êµ´ì‚°ì‚¬ ë‹¹ê°„ì§€ì£¼ì˜ ê±°ì„ì„ ì˜®ê¸°ë˜ ë…¸ë™ìš”ì—서 유래하지 않았ì„까 추정해본다.

글·사진 ì´íƒœí˜¸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다산숲 ì•„ì¹´ë°ë¯¸ ì›ìž¥)


역시 무엇ì´ë“  ìžì£¼ 찾고, 오래 보아야 ìžì„¸ížˆ 잘 ë³´ì´ëŠ” 모양ì´ë‹¤. 작년 ë§ë¶€í„° 강릉 굴산사지를 5번쯤 찾았다. 지난 3ì›” ì´ˆ 오전부터 해넘ì´ê¹Œì§€ 굴산사지 당간지주와 함께 지냈다. í•´ê°€ 대관령 ëŠ¥ì„ ì„ ë„˜ê¸°ê¹Œì§€ ì˜¨ì¢…ì¼ ë¨¸ë¬´ë‹ˆ, 앞서 5ì›”í˜¸ì— ì†Œê°œí•œ 것처럼 ë‹¹ê°„ì§€ì£¼ì˜ ëª¨ì–‘ìƒˆë¥¼ 세세히 ì‚´í•„ 수 있었다. ëŒ í‘œë©´ì˜ ì • ìžêµ­ì´ ë¦¬ë“¬ê° ìžˆê²Œ 난 ê³³, 거칠게 ë©ì–´ë¦¬ë¥¼ 떼어낸 ê³³, 최초 ëŒì„ 분리할 때 ì—´ 지어낸 í”ì  ë“±ì„ ìœ ì‹¬ížˆ 들여다보며, 당간지주를 만든 ì¡°ê°ìŠ¹ì˜ ë†’ì€ êµ¬ë„æ±‚é“와 ì„ ë²•ç¦ªæ³•ì„ ë– ì˜¬ë ¸ë‹¤.
퇴ì§í•˜ë‹ˆ ë¾°ì¡±ì´ í•  ì¼ë„ 없고 한ë°, ì´ëŸ° ì‹œê°„ì´ ì£¼ì–´ì ¸ 좋다. 지난 3ì›” 5ì¼ ë‹µì‚¬í•  때는 당간지주 반경 2~3km를 뒤졌다. ë˜ ë‹¤ìŒ í›„íŽ¸ì„ ë³´ê°•í•˜ê¸° 위해 ë‘ ë‹¬ ë™ì•ˆ 굴산사지 당간지주와 ë¹„êµ ëŒ€ìƒì¸ ì‹ ë¼ ì‹œëŒ€ì˜ ê²½ì£¼ 사천왕사지와 ë§ë•사지 당간지주, 공주 갑사 철당간, ìµì‚° 미륵사지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그리고 ì¡°ì„  í›„ê¸°ì˜ ë‹¨ì–‘ ì„당간 ë“±ì„ ë‹¤ì‹œ 찾아 나섰다. 답사를 다니니 좋긴 하지만 ì›ê³ ë£Œë³´ë‹¤ 답사 ë¹„ìš©ì´ ëª‡ ë°° ë” ë“¤ì–´ 좀 그렇다.


ë„2 ì´íƒœí˜¸, <굴산사지 당간지주와 칠성산 ì „ê²½>, 2022. 03, ë©´ì§€ì— ìˆ˜ë¬µ 스케치, 24×64ãŽ


ìŒì–‘ ë§žì¶° ëŒ€ì§€ì— ê±°ì„ì„ ì„¸ìš°ê³ 

ë´„ë‚  í•´ê°€ 대관령 ëŠ¥ì„ ì„ ë„˜ì„ ë•Œ, ë™í•´ì—서 í¬ê²Œ 떠오른 ì´ˆìŠ¹ë‹¬ì´ ì¹ ì„±ì‚° ëŠ¥ì„ ì„ ë”°ë¼ ì†Œë¦¬ ì—†ì´ ë…¸ëž—ê²Œ 방실대고 있었다. ë¶ìª½ 그늘ì—서 본 ë‹¹ê°„ì§€ì£¼ì— ì´ˆìŠ¹ë‹¬ì´ ê±¸ë¦° ëª¨ìŠµì´ ìƒˆë¡œìš´ ê°ëª…으로 다가와 스케치했다(ë„1). 사계절ë¿ë§Œ ì•„ë‹ˆë¼ ëŒ€ìžì—°ì´ 변화하며 늘 새롭게 연출하는, ì¶”ìƒì  ì¡°í˜•ë¬¼ê³¼ë„ ê°™ì€ ë‹¹ê°„ì§€ì£¼ì˜ ë§¤ë ¥ì€ ë„˜ì¹˜ê³  ë˜ ë„˜ì¹œë‹¤.
대관령 í•´ë„˜ì´ ë™ì•ˆ, 남쪽 ì¹ ì„±ì‚°ì— ì‚° 그림ìžê°€ 짙게 드리워질 무렵ì´ë‹¤. 주봉 ì •ìƒì˜ 왼편으로 ì‚° 중턱 한 봉우리가 유난스레 ëˆˆì— ë“¤ì—ˆë‹¤. 여근곡 ì´ë¯¸ì§€ê°€ ìž…ì²´ì ìœ¼ë¡œ ì—°ì¶œë˜ê¸°ì—, ì•„ë¬´ë„ ì—†ëŠ” 들ì—서 í˜¼ìž â€˜ìš°ì™€!’ íƒ„ì„±ì„ ì§ˆë €ë‹¤. ê±°ì„ì˜ ë‹¹ê°„ì§€ì£¼ì™€ ë‹¹ê°„ì„ ì„¸ìš´ 위치ì—서 ìŒì–‘ì˜ ìƒì§•ì„±ì„ ê°„íŒŒí•  수 있었다. 곧바로 여근곡과 어우러진 남근 ì´ë¯¸ì§€ì˜ ë‘ ë‹¹ê°„ì§€ì£¼ë¥¼ 스케치했다(ë„2). ë‚¨ì„±ì„±ì˜ ë‹¹ê°„ì§€ì£¼ì™€ 마주해 있어, ë‹¹ê°„ì§€ì£¼ì˜ ìœ„ì¹˜ 잡기와 무관하지 ì•Šì•˜ì„ ë²•í•˜ë‹¤. í—Œë°ë‹¤ ì¹ ì„±ì‚°ì„ í–¥í•´ 당간지주 오른편으로 세운 남근 형ìƒì˜ ì„ ëŒë„ 예사롭지 않다. í•™ì‚°ë§ˆì„ ì‚¬ëžŒë“¤ì´ ë‹¹ê°„ì§€ì£¼ 서쪽 ë§ˆì„ ë¶ìª½ 입구 길목으로, 여근곡과 ì§ ë§žì¶”ì–´ 남근ì„ì„ í•˜ë‚˜ ë” ëª¨ì…¨ë˜ ê²ƒ 같다(ë„3). 조선시대 성신앙性信仰 민ì†ê³µë™ì²´ 문화로 ì •ì°©ëœ, 다산과 í’요를 기ì›í•˜ë˜ ìŒì–‘ì˜ ì¡°í•©ì¼ í„°ì´ë‹¤. (ì´íƒœí˜¸, 《미술로 본 í•œêµ­ì˜ ì—로티시즘》, 여성신문사, 1998.)


ë„3 굴산사지 당간지주 ì„œìª½ì— ë†“ì¸ ì„ ëŒ



ê·¸ëŸ°ë° ì´ í° ëŒë©ì–´ë¦¬ë“¤ì„ 어디서 옮겼ì„까? ë§‰ìƒ ë‹¹ê°„ì§€ì£¼ 주변 들ì—서는 ì ˆí„°ì˜ í”ì ì„ 찾기 어렵다. 굴산사 절터 발굴 ìž‘ì—…ì€ ë‹¹ê°„ì§€ì£¼ì—서 1km 남짓 떨어진 서쪽 개울 건너 옴íŒí•œ 산기슭 ë¶„ì§€ì—서 ì´ë£¨ì–´ì¡Œë‹¤. 절터 서쪽 ì–¸ë•ì—는 ë²”ì¼êµ­ì‚¬ì˜ 것으로 추정ë˜ëŠ” 승탑(보물 ì œ85호)ì´ ë‚¨ì•„ 있다. (엄기표, <굴산사지 ì„ì¡°ë¶€ë„ì˜ ì£¼ì¸ê³µê³¼ ë¯¸ìˆ ì‚¬ì  ì˜ì˜>, 《선사와 고대》 37, 한국고대학회, 2012. ; 최성ì€, <명주지역 나ë§ì—¬ì´ˆ 불êµì¡°ê°ê³¼ 굴산선문>, 《문화재》 56, 국립문화재연구ì›, 2012.)
잘 ë‹¤ë“¬ì€ íŒ”ê°ì›ë‹¹ì‹ 승탑으로, ì‹ ë¼ í›„ê¸°ì˜ ì „í˜•ì„ ë”°ë¥¸ ì–‘ì‹ì´ë‹¤.
절터ì—는 강릉 ë‹¨ì˜¤ì œì˜ ëŒ€ê´€ë ¹ 산신으로 모신 ë²”ì¼êµ­ì‚¬ 탄ìƒì„¤í™”와 ê´€ë ¨ëœ ëŒìƒ˜ ì„천石泉 우물과 학산 학바위, í•™ì‚°ë§ˆì„ ì†”ë°­ 성황단과 ëŒë¬´ë”기(ë„4), ‘강릉학산오ë…떼기(ê°•ì›ë„ 무형문화재 ì œ5호)’ ë“±ì˜ ìœ ì ë“¤ì´ ì‚´ì•„ 있다. 승탑과 절터 ìžë¦¬ì—는 마ì„ì´ ìžˆì—ˆëŠ”ë°, 발굴 ì´í›„ ì •ë¹„í•´ë†“ì€ ìƒíƒœì´ë‹¤. ì´ë“¤ì€ 당간지주ì—서 서쪽으로 반경 5~600m ê±°ë¦¬ì— ë¶„í¬ë˜ì–´ 있다(ë„5, ë„6). ì´ê³³ 절터는 2010~16ë…„ 7ì°¨ì— ê±¸ì³ ë°œêµ´ë˜ì—ˆë‹¤. 30ì—¬ ê°œì†Œì˜ ì‚¬ì› ê±´ë¬¼ì§€ë¥¼ 찾았다. ë²”ì¼êµ­ì‚¬ ìŠ¹íƒ‘ì˜ ë¹„ë¥¼ ì„¸ì› ì„ ëŒê±°ë¶, 소조 불ìƒ, ë™ì¢… 파편, 쇠와 í™ìœ¼ë¡œ 만든 ë§ ì¡°ê° ë“± ë¶ˆêµ ìœ ë¬¼ì´ ì¶œí† ë˜ì—ˆë‹¤. ‘天慶三年(천경삼년, 1113)’, ‘五臺山(오대산)’, ‘五臺山 金剛社(오대산 금강사)’, ‘屈山寺(굴산사)’ ë‚´ì§€ ‘崛山寺(굴산사)’ ë“±ì˜ ëª…ë¬¸ 기와류와 ê³ ë ¤ 시대 ì²­ìžì™€ ë°±ìž, ì¡°ì„  ì´ˆ 분청사기, 중국 ë„ìžê¸° 등 ìˆ˜ìŠµëœ ìƒí™œìœ ë¬¼ë¡œ ë³´ì•„, ì ˆì€ ì¡°ì„  초까지 유지ë˜ì—ˆì„ 법하다. (《강릉 굴산사지 발굴조사보고서Ⅰ》, 국립중ì›ë¬¸í™”재연구소, 2014) ì´ë“¤ê³¼ 시대 ì°¨ì´ë¥¼ 지닌 ‘天啓五年(천계오년, 1627)â€™ì˜ ê¸°ì™€ëŠ” í사 ë’¤ì— ë“¤ì–´ì„  율곡 ì´ì´(æ —è°·æŽç¥, 1536~1584)ì˜ ìœ„íŒ¨ë¥¼ 모신 ì„천묘石å·å»Ÿì˜ 것으로 여겨진다. 불êµì™€ 유êµê°€ êµì²´ëœ ì¦ê±°ì´ë‹¤. ì„천묘는 í›„ì— ê°•ë™ë©´ ì–¸ë³€ë¦¬ì— ìžë¦¬ë¥¼ ìž¡ì€ ì†¡ë‹´ì„œì›æ¾æ½­æ›¸é™¢ìœ¼ë¡œ 옮겼다.


ë„4 강릉 í•™ì‚°ë§ˆì„ ìž…êµ¬ 솔밭과 성황단, ëŒë¬´ë”기



ë„5 오른쪽 ë²”ì¼êµ­ì‚¬ 승탑과 굴산사지 ì „ê²½. 승탑 오른편ì—는 학산, 왼편ì—는 성황당과 ì†”ë°­ì´ ìžˆê³  멀리 칠성산 ëŠ¥ì„ ì´ í른다.



ë„6 ì´íƒœí˜¸, <강릉 굴산사지 ì§€ë„>, 2022. 05, ë©´ì§€ì— ìˆ˜ë¬µë‹´ì±„, 36×51ãŽ


학바위 ë†“ì¸ ê³³, ë‹¹ê°„ì§€ì£¼ì˜ ì±„ì„장으로 추정

ë²”ì¼(梵日, 810~889)ì€ ì‹ ë¼ ë§ í—Œë•왕 2ë…„(810) 명주ë„ë…ì„ ì§€ë‚¸ 아버지 김술ì›é‡‘述元과 어머니 ë¬¸ì”¨æ–‡æ° ì‚¬ì´ì—서 태어났다. 당나ë¼ì— 유학해 나ë¼ì˜ í° ì„±ì§ìžë¡œ ì„ ìŠ¹ç¦ªåƒ§ì´ ë˜ì—ˆë‹¤. 굴산사 외ì—ë„ ê°•ë¦‰ 신복사, ë™í•´ 삼화사, 삼척 ì˜ì€ì‚¬ 등 ì˜ë™ ì§€ì—­ì˜ ì‚¬ì› ê±´ë¦½ê³¼ ë¶ˆêµ ë°œì „ì„ ë‘루 주ë„했다. 1788ë…„ì—는 화승 ì‹ ê²¸ä¿¡è¬™ì´ ì¶”ëª¨í•´ ìƒìƒí™”로 그린, <ë²”ì¼êµ­ì‚¬ì§„ì˜>ì´ ì˜ì€ì‚¬ì—서 제작ë˜ì—ˆë‹¤. ì—¬ì˜å¦‚æ„ ë¨¸ë¦¬ì˜ ê¸´ ì£¼ìž¥ìžæ‹„æ–å­ë¥¼ ì–‘ì†ì— ì¥ê³  오른 íŒ”ëª©ì— ê¸´ 염주念ç ë¥¼ ê°ê³  ì˜ìžì— ì•‰ì€ ì „ì‹ ìƒìœ¼ë¡œ, 중후하면서 ì´êµ­ì ì¸ ì´ë¯¸ì§€ì´ë‹¤. ì´ ì˜ì •ì€ í˜„ìž¬ëŠ” 월정사 ì„±ë³´ë°•ë¬¼ê´€ì— ê±¸ë ¤ 있다.
ì´ì²˜ëŸ¼ 실존 ì¸ë¬¼ì´ì§€ë§Œ, ë²”ì¼ì— 관한 ì „ì„¤ì´ ì—¬ëŸ¿ì´ë‹¤. 《삼국유사》 ì—는 ë‚™ì‚°ì‚¬ì˜ ê´€ìŒë³´ì‚´ì˜ ì§„ì‹ ê³¼ 화신 ì¼í™”ì— ê¸ˆìƒ‰ë™ìž ‘정취보살正趣è©è–© 연기담緣起談’으로 실려 있다. (æ´›å±±äºŒå¤§è– è§€éŸ³ 正趣 調信) ë²”ì¼êµ­ì‚¬ì˜ ì´ì•¼ê¸°ëŠ” ì§€ì—­ì˜ ë¯¼ì¤‘ ë¬¸í™”ì— íŒŒê³ ë“¤ë©´ì„œ ë”ìš± ì‹ ë¹„í™”ëœ ë“¯í•˜ë‹¤. íƒœì–‘ì„ ê¿ˆê¾¸ê³  낳았다는 íƒœëª½ì„ ê°ìƒ‰í–ˆëŠ”ì§€, ‘처녀가 ë§ˆì„ ìš°ë¬¼ì—서 í‘œì£¼ë°•ì— í•´ê°€ 비친 ë¬¼ì„ ë§ˆì‹œê³  잉태했다’ë¼ëŠ” 설화가 대표ì ì´ë‹¤. ê·¸ê³³ì´ ìŠ¹íƒ‘ ì•„ëž˜ì˜ ì„천 우물ì´ë‹¤. 발굴 작업 후 ë³µì›í•´ë†“았다. â€˜ì²˜ë…€ì˜ ì•„ì´ê°€ ë§ˆì„ ì‚°ì— ë²„ë ¤ì§€ìž ë°±í•™ì´ ì°¾ì•„ì™€ 보호했다’ë¼ëŠ” ì„¤í™”ì˜ í˜„ìž¥ì€ ì ˆí„°ì˜ ë‚¨ìª½ ë‚®ì€ ì•¼ì‚°ì¸ í•™ì‚°é¶´å±±ì´ë‹¤. ì‚°ì˜ ì •ìƒì— 학바위가 있다. ì´ëŠ” 마치 전남 ì˜ì•” 월출산 아래 ì‹ ë¼ ë§ ë„ì„ ê³¼ 관련ëœ, â€˜ë¹¨ëž˜í•˜ë˜ ì²˜ë…€ê°€ ê°œìš¸ì— ë– ì˜¤ëŠ” 오ì´ë¥¼ 먹고 ë„선국사를 낳았다’ë¼ëŠ” 국사바위 설화와 유사해 í¥ë¯¸ë¡­ë‹¤.
학산 í•™ë°”ìœ„ì— ì˜¤ë¥´ë‹ˆ, ì´ê³³ì´ ë‹¹ê°„ì§€ì£¼ì˜ ì±„ì„현장ì´ë¼ëŠ” ìƒê°ì´ í¼ëœ© 들었다. 횡으로 ê°ˆë¼ì§„ 학바위와 주변 ì•”ë°˜ë“¤ì˜ ë©ì¹˜ê°€ 그러했다. 그리고 승탑 아래 4~5백살 ë¨¹ì€ ë…¸ì†¡ ì–¸ë•ì—ë„ ë‹¹ê°„ì§€ì£¼ì™€ 눈ì§ìž‘으로 비슷한 í¬ê¸°ì˜ ëŒë©ì–´ë¦¬ë“¤ì´ 쌓여있다(ë„7, ë„8). 당간지주를 중심으로 주변 2~3km를 훑었지만, 그처럼 커다란 ëŒì´ë‚˜ ì•”ë°˜ì„ ì°¾ì§€ 못했다.
ë•… 위로 ì†Ÿì€ êµ´ì‚°ì‚¬ ë‹¹ê°„ì§€ì£¼ì˜ ë†’ì´ê°€ 5.4mì´ë‹¤. ë•…ì— ë¬»í˜€ 숨겨진 ë¶€ë¶„ì„ ìƒê°í•˜ë©´ 7~8m는 족히 ë  í„°ì´ë‹¤. ì§€í•˜ì— ê°ì¶”ì–´ì§„ 밑뿌리는 경주 ë§ë•사지 당간지주(보물 ì œ69호)ì˜ í•˜ë‹¨ì— ë…¸ì¶œëœ ë¶€ë¶„ì„ í†µí•´ì„œ 유추해볼 수 있겠다. ì´ì²˜ëŸ¼ 당간지주 í•˜ë‹¨ì— í° ëŒë©ì–´ë¦¬ê°€ 붙어 있는 ê²ƒì„ ë³´ë©´, ê·¸ 무게는 ëˆˆì— ë³´ì´ëŠ” ë©ì¹˜ì˜ ë‘ ë°°ëŠ” 넘지 않ì„까 싶다.
안양 ì¤‘ì´ˆì‚¬ì§€ì˜ ë‹¹ê°„ì§€ì£¼(보물 ì œ4호)ì—는 “보력寶曆 2ë…„ 병오년(827) 8ì›” 6ì¼ ì‹ ì¶•ì¼ì— 중초사中åˆå¯º ë™ìª½ ìŠ¹ì•…åƒ§å²³ì˜ í•œ ëŒì„ 둘로 ê°ˆëžë‹¤. ê°™ì€ ë‹¬ 28ì¼ ë‘ ë¬´ë¦¬ê°€ 옮겨 9ì›” 1ì¼ ì´ê³³ì— ë„달했다. 정미년(828) 2ì›” 30ì¼ ì™„ì„±ë˜ì—ˆë‹¤. …(하략)â€ì´ë¼ê³  ì œìž‘ê³¼ì •ì´ ê¸°ìˆ ë˜ì–´ 있어 í¥ë¯¸ë¡­ë‹¤. 4mê°€ 조금 모ìžëž€ í¬ê¸°ì˜ ëŒê¸°ë‘¥ì„ 찾아 둘로 가르는 ë° 20ì—¬ ì¼, ë‘ íŒ€ì´ ì´ë™í•˜ëŠ” ë° 4ì¼ ê±¸ë ¸ë‹¤. ëŒì„ 사찰로 옮겨 6개월 ë§Œì— ì™„ì„±í•œ ì…ˆì´ë‹¤. ì´ ê¸€ 아래ì—는 참여 ìŠ¹ë ¤ë“¤ì˜ ëª…ë‹¨ì´ ê¸°ë¡ë˜ì–´ 있다.
굴산사지 ë‹¹ê°„ì§€ì£¼ì˜ ê²½ìš° ì¤‘ì´ˆì‚¬ì§€ì˜ ê²ƒë³´ë‹¤ ë‘ ë°°ëŠ” ë” í¬ê³  무거울 것 ê°™ì€ì¦‰, ë‚  ëŒì— 가까우니 옮기는 ë° ì—„ì²­ë‚˜ê²Œ íž˜ë“¤ì—ˆì„ ë²•í•˜ë‹¤. 현재 당간지주가 서 있는 ê³³ì—서 학산 ì •ìƒê¹Œì§€ ì§ì„ ê±°ë¦¬ë¡œ 600m쯤으로, 움ì§ì´ëŠ” 길거리로 1kmê°€ 넘는다. ë§Žì€ ì‚¬ëžŒì´ ë™ì›ë˜ì—ˆì„ 것ì´ê³ , 여러 ë‚  ê±¸ë ¸ì„ ê²ƒì´ë‹¤. 그래서 학산마ì„ì— ì „ìŠ¹í•´ì˜¨ ë†ìš” ‘오ë…떼기’가 ì‹ ë¼ ë§ êµ´ì‚°ì‚¬ ë‹¹ê°„ì§€ì£¼ì˜ ê±°ì„ì„ ì˜®ê¸°ë˜ ë…¸ë™ìš”ì—서 유래하지 않았ì„까 추정해본다.


ë„7 굴산사터 학산 학바위와 바위 êµ°ë½. 채ì„장으로 추정ëœë‹¤.



ë„8 굴산사지 근처 5~6백년 ëœ ë…¸ì†¡ê³¼ 바위ë©ì–´ë¦¬ë“¤


오ë…떼기는 ‘ëŒì„ 떼서 옮기ë˜â€™ 소리ì—서 유래한 듯

굴산사가 íì‚¬ëœ ì´í›„ 절터를 중심으로 강릉 학산마ì„ì´ í˜•ì„±ë다. 발굴 ì´ì „ë§Œ í•´ë„ ìŠ¹íƒ‘ 근처까지 ê°€ì˜¥ì´ ë“¤ì–´ì„°ì„ ì •ë„였다. ë§ˆì„ ìž…êµ¬ì— ìƒë‹¹ížˆ 너른 ì†”ìˆ²ì´ ìžˆê³ , ì—¬ê¸°ì— ì‚¼ì‹ ì„ ëª¨ì‹  ì›í˜• ëŒë‹´ê³¼ 세 ëŒë¬´ë”기가 위치해 350ì—¬ 가구가 살았다는 마ì„ì˜ ìœ„ìƒì„ ë§í•´ì¤€ë‹¤. ì´ í•™ì‚°ë§ˆì„ì— â€˜ê°•ë¦‰í•™ì‚°ì˜¤ë…떼기’(ê°•ì›ë„ 무형문화재 ì œ5호)ë¼ëŠ” ë†ìš”農謠가 전승ë¼ì™”다. 1971ë…„ 전국민ì†ì˜ˆìˆ ê²½ì—°ëŒ€íšŒë¶€í„° ‘강릉 오ë…떼기’로 알려져 유명하다. ì§€ê¸ˆë„ ê°•ë¦‰ ë‹¨ì˜¤ì œì˜ ì‹œìž‘ì´ìž ì¤‘ì‹¬ì„ ì´ë£¨ê³ , ê°•ì›ë„ 무형문화재로 지정ë˜ì–´ ì „ìˆ˜íšŒê´€ì´ ë“¤ì–´ì„œ 있다. 바로 굴산사와 ê·¸ 창건주 ë²”ì¼êµ­ì‚¬ì˜ í„°ì „ì— ìœ ì§€í•´ì˜¨ 전통민ì†ì´ë¼ í•  수 있겠다.
‘강릉학산오ë…떼기’는 물 푸는 소리, 논갈ì´, 모찌기, 모심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 ë“±ì§ ì†Œë¦¬, ì˜ì‚°í™ 등으로 êµ¬ì„±ëœ ë†ìš”ì´ë‹¤. 오ë…떼기는 김매기 ì†Œë¦¬ì— ë“¤ì–´ 있는 소품ì´ë‹¤. ì‹ ë¼ í™”ëž‘ì˜ í’류ë„ì—서 연유했다는 ì²œë…„ì˜ ì†Œë¦¬, ‘오ë…떼기’는 5방五方 í˜¹ì€ ë‹¤ì„¯ 곡[五曲], 다섯 번 꺾어 부르기 등으로 í•´ì„ëœë‹¤. ê·¸ëŸ°ë° â€˜ì˜¤ë…떼기’ë¼ëŠ” ë§ ìžì²´ê°€ ‘다섯 ëŒ ë–¼ê¸°â€™ ë‚´ì§€ â€˜ê²€ì€ ëŒ ë–¼ê¸°â€™, í˜¹ì€ â€˜í° ëŒ ë–¼ê¸°â€™ë¡œ ì½ì–´ë„ ë˜ì§€ 않ì„까. ì´ë¦¬ ë³´ë©´, 오ë…떼기는 당간지주를 비롯해 굴산사 사ì›ê³µì‚¬ë¥¼ 위해 ‘ëŒë“¤ì„ ë–¼ ë‚´ì–´ 옮기는’ 과정ì—서 ë¶€ë¥´ë˜ ë…¸ë™ìš”ì˜€ì„ ë²•í•˜ë‹¤. 특히 선승으로 국사가 ëœ ë²”ì¼ì´ 언젠가부터 대관령 ì‚°ì‹ ì´ìž 강릉 ë‹¨ì˜¤ì œì˜ ì£¼ì‹ ìœ¼ë¡œ 모셔졌ìŒì„ ê°ì•ˆí•˜ë©´, ë”ìš± 강릉 단오제 í–‰ì‚¬ì˜ ì¶œë°œì§€ì¸ í•™ì‚°ë§ˆì„ì˜ â€˜ì˜¤ë…ë–¼ê¸°â€™ë„ ë²”ì¼ì´ë‚˜ 굴산사와 무관하지 ì•Šì„ ê²ƒì´ë‹¤.

굴산사 ë‹¹ê°„ì€ ì–´ë–¤ 모습ì´ì—ˆì„까

현존하는 대부분 당간지주는 ê¸°ë‹¨ì„ ê°–ì¶˜ 편ì¸ì¦‰, 굴산사지 당간지주는 ê¸°ë‹¨ì´ ì—†ì´ ì•„ëž«ë¶€ë¶„ì´ ë¬»í˜€ 있는 ìƒíƒœì´ë‹¤. 그래서 ë‘ ëŒê¸°ë‘¥ ì‚¬ì´ ë†’ë‹¤ëž€ ë‹¹ê°„ì„ ì„¸ì›Œë†“ì•˜ë˜ ë°›ì¹¨ëŒì˜ 구조는 불분명하다. ë‹¹ê°„ì´ ëŒì´ì—ˆëŠ”ì§€, 쇠였는지 확ì¸ë˜ì§€ 않는다. ì´ êµ´ì‚°ì‚¬ ë‹¹ê°„ì˜ ì›í˜•ì€ ì–´ë– í–ˆì„까? 여러 ë‹¹ê°„ì˜ ì‚¬ë¡€ì™€ 비êµí•˜ë©°, ì´ë“¤ì„ 빗대어 ê·¸ ë³µì›ë„를 그려보았다. ì´ëŠ” ë‹¤ìŒ í˜¸ì— ì†Œê°œí•˜ê² ë‹¤.

ì´íƒœí˜¸ |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í™ìµëŒ€í•™êµ 회화과와 ë™ëŒ€í•™êµ ëŒ€í•™ì› ë¯¸ìˆ ì‚¬í•™ê³¼ë¥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ë° ê´‘ì£¼ë°•ë¬¼ê´€ 학예연구사, ì „ë‚¨ëŒ€í•™êµ êµìˆ˜Â·ë°•물관장,
ëª…ì§€ëŒ€í•™êµ ë¯¸ìˆ ì‚¬í•™ê³¼ êµìˆ˜Â·ë¬¸í™”ì˜ˆìˆ ëŒ€í•™ì› ì›ìž¥, 문화재청 문화재위ì›ì„
역임했으며 현재 다산숲 ì•„ì¹´ë°ë¯¸ ì›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