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 ì´ë ‡ê²Œ 아름다울 수가! ì´íƒœí˜¸ êµìˆ˜ì˜ 미술사 여담 â‘¡
강릉 강문 ì§„ë˜ë°°ê¸° 下

ë„1 ì´íƒœí˜¸, <ì‹­ë…„ ì „ ê°•ë¬¸ë™ ì§„ë˜ë°°ê¸°>, 2021. 12, ë©´ì§€ì— ìˆ˜ë¬µ 스케치, 64×24ãŽ



ì§„ë˜ë°°ê¸° 솟대는 2000ë…„ ì´ìƒ 하늘 ë‚´ì§€ 먼 ë¶ë°©ì˜ ì´ìƒì„ 좇는 문화로 뿌리를 내린 신령스러운 ì—ë„ˆì§€ì˜ ì‚°ë¬¼ë¡œì„œ ì‹ ì¡°ç¥žé³¥ì˜ ìƒì§•ì´ìž ì˜í‘œéˆæ¨™ì˜€ì„ í„°ì´ë‹¤. ì´ëŸ° 문화는 ìš°ë¦¬ë§Œì´ ì•„ë‹ˆë¼ ì‹œë² ë¦¬ì•„, 내몽고, 중국, ì¼ë³¸ 등 아시아, 나아가 세계 ì¸ë¥˜ì˜ 유산ì´ë‹¤.

글·사진 ì´íƒœí˜¸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다산숲 ì•„ì¹´ë°ë¯¸ ì›ìž¥)


우리 ì‚¶ì˜ ê³µê°„ì— ìš°ë¦¬ê°€ 만들어 세운다

ê°•ë¬¸ë™ ëª©ì¡° ì§„ë˜ë°°ê¸°ëŠ” 5m ê°€ëŸ‰ì˜ ë‚˜ë¬´ìž¥ëŒ€ ëì— ë‚˜ë¬´ì˜¤ë¦¬ 세 마리가 ì†ŸëŒ€ì— ì•‰ì•„ 있는 모습ì´ë‹¤. 대관령(í˜¹ì€ í•¨ê²½ë„)ì—서 나무오리 ì§ëŒ€ê°€ 떠내려와 ì´ë¥¼ 세우고 제사를 잘 지냈ë”니, 마ì„ì´ ë²ˆì„±í•˜ì˜€ë‹¤ê³  한다. 지난 호ì—서 언급한 것처럼 ë§ˆì„ ì£¼ë¯¼ë“¤ì´ 3년마다 í’어를 기ì›í•˜ë©° 용왕굿과 ë±ƒë†€ì´ êµ¿ì˜ ë™ì œë¥¼ 지내면서 새롭게 만들어 왔다. 나무가 ë¹„ë°”ëžŒì— ì©ëŠ” ê¸°ê°„ì„ ì ì ˆížˆ 맞춘 ì…ˆì´ë‹¤.
현재 솟대 ê³µì›ì— 있는 여러 나무새들 ê°€ìš´ë° ìš°ëš ì†Ÿì€ ì§„ë³¸ì€ ì‹­ ë…„ ì „ ë³´ì•˜ì„ ë•Œì˜ ëª¨ìŠµë³´ë‹¤ 장대가 ì¢€ë” êµµì–´ì§€ê³ , ì¡°ê°ì´ 좀 ë‘”íƒí•´ì§„ 듯하다. (ë„1) 시대가 ë‚´ë ¤ì˜¬ìˆ˜ë¡ í‡´ë½í•˜ëŠ” 기미를 ë³´ì¸ë‹¤. ì‹­ ë…„ ì „ì˜ ì˜› ì‚¬ì§„ì„ ì°¾ì•„ 솟대를 드로잉하였다. (ë„2) ì´ì „ì—는 오리 ì¡°ê°ì˜ ì£¼ë‘¥ì´ ë¶€ë¶„ì´ ì¢€ ë” ë‚ ë µí–ˆê³ , ì–¼êµ´ì„ ì¹˜ì¼œì„¸ìš´ ìžì„¸ì™€ í‘œì •ë„ í•œì¸µ 멋졌다. 1980년대엔 조형미가 비êµì  유지ë˜ê³  있긴 하나, ì „ë°˜ì ìœ¼ë¡œ 완성ë„ê°€ 아쉽다. 기세가 떨어진 ì´ìœ ëŠ” 마ì„ê³µë™ì²´ì˜ íž˜ì´ ê·¸ë§Œí¼ ì•½í•´ì§„ 탓ì´ê² ë‹¤.

ë„2 í˜„ìž¬ì˜ ê°•ë¬¸ë™ ì§„ë˜ë°°ê¸° 솟대 모습

1980년대 ë§ ì²˜ìŒ ì´ê³³ ì§„ë˜ë°°ê¸°ë¥¼ ë³´ì•˜ì„ ë•Œ, ìƒë‹¹ížˆ 충격ì ì´ì—ˆë‹¤. 긴 장대 ìœ„ì— ì„  나무오리는 파란 í•˜ëŠ˜ì„ ë°°ê²½ìœ¼ë¡œ 치솟아 ë‚ ì•„ê°ˆ 듯 ìƒí¼í•œ 표정ì´ì—ˆë‹¤. ê¾¸ë°ˆì—†ì´ ì•„ë¦„ë‹¤ì› ë‹¤. ë” ë³´íƒ¤ ê²ƒë„ ëº„ ê²ƒë„ ì—†ì´ ì¶”ìƒì¡°ê°ìœ¼ë¡œë„ 완벽했다. 그야ë§ë¡œ ë§ˆì„ ì‚¬ëžŒë“¤ì´ â€˜ìš°ë¦¬ ì‚¶í„°ì— ìš°ë¦¬ ê³µë™ì˜ ì—¼ì›ì„ ë‹´ì•„ 우리 솜씨로 만들어 세운’ ë¯¼ì¤‘ì˜ ì˜ˆìˆ ì´ìž, 현대 ë¯¸ìˆ ë¡œë„ ì†ìƒ‰ì—†ëŠ” ì¼í’ˆì´ì—ˆë‹¤.
‘솟대’ í˜¹ì€ â€˜ì§ëŒ€â€™ëŠ” ì´ë¦„ë„, 조성방ì‹ë„ 지역별로 다양하다. ê·¸ ì—­í• ì— ë”°ë¼ ì§ëŒ€ì„œë‚­, 진대, 솔대, 소ì¤ëŒ€, 표ì¤ëŒ€, 갯대, 수살ì´, 수살잇대, 액맥잇대, 골맥ì´, ìš©ë‘솟대, í™”ì£¼è¯æŸ± ë˜ëŠ” 화표주è¯è¡¨æŸ± 등으로 불린다. ‘진ë˜ë°°ê¸°â€™ë¼ëŠ” ì´ë¦„ì€ ê°•ë¬¸ë™ì´ 유ì¼í•˜ë‹¤.
경기, ì¶©ì²­, ì „ë¼ ì§€ì—­ì˜ ê²½ìš° 솟대는 장승과 어울려 조성하는 게 보편ì ì¸ë°, 강릉 주변 ì˜ë™ ì§€ì—­ì˜ ì†ŸëŒ€ëŠ” 장승 ì—†ì´ ë‹¨ë…으로 세워진다. ì „ë¼ë¶ë„ 부안ì—는 ì¡°ì„  후기 ëŒìž¥ìй ê³ì— ëŒ ì†ŸëŒ€ë¥¼ 배치했다. ì •ì›”ì— ì¤„ë‹¤ë¦¬ê¸°ë¥¼ ëë‚´ê³  ê·¸ 새ë¼ì¤„ì„ ì†ŸëŒ€ ëŒê¸°ë‘¥ì— ê°ì•„ 남근처럼 만들어 성기 ì‹ ì•™ì˜ ëŒ€ìƒìœ¼ë¡œ ì‚¼ê¸°ë„ í–ˆë‹¤. ì „ë¶ ë‚¨ì› í˜¸ê²½ë¦¬ì˜ ë‚˜ë¬´ 솟대는 ë†’ì€ ëŒë¬´ë”기 ë‹¨ì— ì„¸ì›Œì¡Œë‹¤. ì´ëŸ¬í•œ 솟대는 수호신 장승과 ë”불어 ë§ˆì„ ë™ì œì˜ 신성한 장소ì´ìž ë§ˆì„ ìž…êµ¬ì˜ ê²½ê³„ë‚˜ ì´ì •표 ì—­í• ë„ í–ˆë‹¤.
솟대나 장승 ì„¸ìš°ê¸°ì˜ ë§ˆì„ ë™ì œæ´žç¥­ëŠ” ì´ì œ 강문ë™ì²˜ëŸ¼ 어려워지고 사ë¼ì§€ëŠ” ì–‘ìƒì´ë‹¤. 겨우 ë°•ë¬¼ê´€ì— ëª¨ì…”ì ¸ ë³´ì¡´ë˜ëŠ” 실정ì´ë‹¤. 국립민ì†ë°•물관 입구 ëŒë¬´ë”기와 함께 한 장승 ë™ì‚°ì´ 대표ì ì¸ 사례ì´ë‹¤. 2021ë…„ 11ì›” ê²½ê¸°ë„ ê´‘ì£¼ 엄미리 ì£¼ë¯¼ë“¤ì´ ì§ì ‘ 와서 장승과 솟대를 조성하고 제례를 올렸다. 2015ë…„ê³¼ 2017ë…„ 충청지역 목장승과 솟대를 ì„¸ì› ë˜ ê³µê°„ì´ë‹¤. 《역병, ì¼ìƒã€‹ì´ë¼ëŠ” 기íšì „(2021.11.24.-2022.2.28.) ì˜¤í”„ë‹ í–‰ì‚¬ë¡œ 마련했다고 한다. 먹글씨 ‘天下大將è»â€™ê³¼ ‘地下女將è»â€™ë¡œ ì´ë¦„ ë¶™ì¸ ë‘ ìž¥ìŠ¹ì˜ ì¹˜ì¼œì„¸ìš´ ë‘ ëˆˆê³¼ êµµì€ ë¨¹ì„ , 단순하고 힘진 얼굴 ì´ë¯¸ì§€ëŠ” 코로나19 ë°”ì´ëŸ¬ìŠ¤ë¥¼ 퇴치할 듯한 기세ì´ë‹¤.
(ë„3) ì—­ë³‘ì„ ë¬¼ë¦¬ì¹˜ê³  무병장수를 기ì›í•˜ë©°, 천하대장군 장승 관모 꼬리와 솟대를 í° ì‹¤íƒ€ëž˜ë¡œ 묶으며 명태를 ë¼ì›Œë†“ì€ ê²Œ 골계미 넘친다. 마ì„ì—서 하기 어려운 ì¼ì„ ì˜¤ëžœë§Œì— ì§„í–‰í•˜ê²Œ ë˜ì–´, ì£¼ë¯¼ë“¤ì´ ë„ˆë¬´ 신바람 났단다.
ì´ë¥¼ ëŒì•„ë³´ë©° 1980~90년대 한창 답사를 ë‹¤ë‹ ë•Œ, 충남지역 공주 탄천 마ì„ì—서 나무새를 ì£¼ì›Œì™”ë˜ ê¸°ì–µì´ ë– ì˜¬ë¼ ì˜ˆì „ ì´ì‚¿ì§ì„ 뒤져 찾아냈다. ê¸°ì—­ìž í˜• 소나무 가지로 ìƒˆì˜ ì£¼ë‘¥ì´ì™€ ëª©ì„ ë§Œë“¤ê³ , 먹으로 ê¹ƒí„¸ì„ ê·¸ë ¤ ë„£ì€ í˜•íƒœì´ë‹¤. 그야ë§ë¡œ ìµœì†Œí•œì˜ ì†ì§ˆë¡œ ì¡°ê°ì„ 완성한, 명품다웠다. (ë„4) íƒ„ì²œì˜ ì´ ë‚˜ë¬´ìƒˆëŠ” 주둥ì´ì— ë¶•ì–´ë¹µì„ ë‹®ì€ ë‚˜ë¬´ 물고기를 물고 있는 ì ì´ 색다르다.


ë„3 ê²½ê¸°ë„ ê´‘ì£¼ 엄미리 ì£¼ë¯¼ë“¤ì´ ë§Œë“  나무장승과 솟대, 2021.11, 국립민ì†ë°•물관



ë„4 <나무오리와 물고기>, 1980년대 공주 íƒ„ì´Œë§ˆì„ ì†ŸëŒ€, ë†’ì´ 35ãŽ, ì´íƒœí˜¸ 소장


소박한 단순미, ë¯¼ì¡±ë¬¸í™”ì˜ ì›í˜•ì´ìž 전통

ë§ˆì„ ì‚¬ëžŒë“¤ì˜ ì—¼ì›ì„ 표출한 ë™ì œì˜ 중심 ì§„ë˜ë°°ê¸°, ì†ŸëŒ€ì˜ ìƒˆëŠ” 대체로 오리 형태ì´ë‹¤. ì§€ì—­ì— ë”°ë¼ ê°ˆë§¤ê¸°, 기러기, 까마귀, 봉황 등으로 ë¶€ë¥´ê¸°ë„ í•œë‹¤. 조류는 하늘과 ë•…, í˜¹ì€ ë¨¼ ì§€ì—­ì„ ë‚´ì™•í•˜ëŠ” ë™ë¬¼ì´ë‹¤. 예로부터 새는 하늘 í˜¹ì€ ì´ìƒí–¥ì„ 기리는, 천신天神 사ìƒê³¼ 관련한 ìƒì§•물로 여겨왔으니, ì§„ë˜ë°°ê¸°ëŠ” 목조木鳥 ì‹ ê°„ç¥žç«¿ì¸ ì…ˆì´ë‹¤. ì´ëŸ° 솟대는 《삼국지三國志》 <마한전馬韓傳>ì˜ â€˜ì†Œë„蘇塗’ì—서 ê·¸ 기ì›ì„ 찾는다.

‘모든 ë‚˜ë¼ ë³„ìì´ ì†Œë„ë¼ ë¶ˆë¦¬ë©°, í° ë‚˜ë¬´ì— ë°©ìš¸ê³¼ ë¶ì„ 매달아 귀신으로 섬겼고. ë„ë§ìžê°€ ê·¸ê³³ì— ë“¤ë©´ 잡아가지 못했으며, ì ˆì˜ ë¶€ë„æµ®å± ì™€ í¡ì‚¬í•˜ë‹¤ […åˆè«¸åœ‹å„有別邑 å之爲蘇塗 立大木縣鈴鼓 事鬼神 諸亡逃至其中 皆ä¸é‚„之 好作賊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긴 장대 ‘솟대’가 ì˜ë¬¼ë¡œ 섬겨지는 í„°, ‘소ë„’는 신성한 장소ì´ìž ë‚˜ì€ ì„¸ìƒì„ 꿈꾸며 만든 오붓한 공간ì´ê² ë‹¤. ì´ ê¸°ë¡ê³¼ 근사한 시기, 초기철기시대 유물로 광주광역시 ì‹ ì°½ë™ì—서 ì¶œí† ëœ 2ê°œì˜ ë‚˜ë¬´ìƒˆê°€ 떠오른다. (ë„5) 31.9㎠길ì´ë¡œ, 늘씬한 몸 ë‚ ê°œì˜ ìƒˆ 모양ì´ë‹¤. 그중 í•˜ë‚˜ì— ë‚˜ë¬´ë¥¼ ê½‚ì•˜ë˜ ì ‘í•©êµ¬ë©ì´ 있어, ì†ŸëŒ€ì˜ ì›í˜•ì´ ì•„ë‹ê¹Œ ì§ìž‘하게 한다. ì‹ ì°½ë™ ìœ ì ì€ ë†ì‚¬ ë„구를 중심으로 목공구, 무기, 악기 등 목물과 칠기류, 철기, 토기 ë“±ì´ ìŸì•„ì§„ ë†ê²½ ìƒí™œ 유ì ì§€ë¡œ 꼽힌다. 대전ì—서 ì¶œí† ëœ ê²ƒìœ¼ë¡œ 전하는 <ë†ê²½ë¬¸ì²­ë™ê¸°>(초기철기시대, 보물 ì œ182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ì— ë¬˜ì‚¬ëœ ë‚˜ë­‡ê°€ì§€ì— ì•‰ì€ ìƒˆë“¤ì€ ì†Œë„ì˜ ìž¥ê°„é•·ç«¿ ì‹ ì¡°ç¥žé³¥ì˜ ì›ë¥˜ë¡œ 주목ëœë‹¤. 둥근 고리 장ì‹ì´ 달린 ì•žë©´ì— ë‚˜ë­‡ê°€ì§€ ëì— ì•‰ì€ 3ë§ˆë¦¬ì˜ ìƒˆê°€ ìŒê°ë˜ì–´ 있다. 왼쪽 ë©´ ë‘ ê°ˆëž˜ë¡œ ê°ˆë¼ì§„ 나뭇가지 ëì—, 오른쪽 ë©´ 한 ê°€ì§€ì— ê°ê° ì•‰ì€ ìƒˆê°€ 3마리ì´ë‹¤. (ë„5) 꼬리가 긴 까치나 까마귀 모습ì´ë‹¤. ì•„ëž˜ìª½ì„ ìžƒì€ í­ 12.8ãŽì˜ ì´ ìž‘ì€ ì²­ë™ê¸°ëŠ” 고리 장ì‹ê³¼ 좌우로 ë»—ì€ ëª¨ìŠµì´ ì–¼í• ì§€ë¶• 모양 ê°™ê¸°ë„ í•˜ê³ , 방패 모양 ê°™ê¸°ë„ í•œë° ì“°ìž„ìƒˆê°€ 명확하지 않다. ìƒë‹¨ 여섯 ê°œì˜ ë„¤ëª¨ 구ë©ì—서 좌우 가장ìžë¦¬ ë‘ êµ¬ë© ë§ˆëª¨ëœ ì ìœ¼ë¡œ 미루어 ë³¼ 때, 부족장ì´ë‚˜ ìƒ¤ë¨¼ì˜ ìž¥ì‹ë¬¼ë¡œ ëˆì„ 꿰어서 ëª©ì— ê±¸ê³  ë‹¤ë…”ë˜ ëª¨ì–‘ì´ë‹¤.
ë‚˜ë­‡ê°€ì§€ì— ì•‰ì€ ìƒˆëŠ” ì²­ë™ê¸°ì‹œëŒ€ 유목민 ì „í†µì˜ ë™ë¬¼ ì •ë ¹ì‹ ì•™ì¸ ì• ë‹ˆë¯¸ì¦˜ê³¼ 연계ë˜ë©°, 반대 ë©´ì— ìƒˆê²¨ì§„ 그림처럼 ë†ê²½ë¬¸í™”와 ë§žë‹¿ì•„ 있다. ë’·ë©´ 왼쪽ì—는 그물ë§ì„ ì—®ì€ í† ê¸°ì™€ 함께 있는 사람, 오른편ì—는 ë°­ì—서 따비질과 ê´­ì´ì§ˆí•˜ëŠ” ì‚¬ëžŒì´ ë³´ì¸ë‹¤. (ë„6) ë†ì‚¬ í’ì†ë„ì´ë‹¤.
세 ì¸ë¬¼ìƒì€ ëª¨ë‘ ë“±ë¼ˆë¥¼ 드러냈다. ì§ì„ ìœ¼ë¡œ 단순하게 ê·¸ì€ íŒ”ë‹¤ë¦¬ ë™ì„¸ê°€ ì—­ë™ì ì´ë‹¤. 특히 오른편 잘 ì •ë¹„ëœ ê³ ëž‘ì˜ ë…¼ë°­ 위 ì–‘ë‚  ë”°ë¹„ì§ˆì„ í•˜ëŠ” ì¸ë¬¼ì´ 주목ëœë‹¤. 머리 뒤로 길다란 깃털 장ì‹ì´ ëˆˆê¸¸ì„ ëˆë‹¤. 발가벗고 성기를 드러낸 ì¸ë¬¼ì€ ì¼ìƒì˜ ë†ë¶€ë¼ê¸°ë³´ë‹¤ 다산과 í’요를 기ì›í•˜ë˜ 샤먼으로 추정ëœë‹¤.


ë„5 ì‹ ì°½ë™ì—서 ì¶œí† ëœ ë‚˜ë¬´ 새(31,9ãŽ)와 ë†ê²½ë¬¸ì²­ë™ê¸°ì˜ ë‚˜ë¬´ê°€ì§€ì— ì•‰ì€ ìƒˆ 무늬, 2022.1. 국립광주박물관 전시실ì—서



ë„6 ë†ì‚¬í’ì†, ë†ê²½ë¬¸ì²­ë™ê¸°(ë’·ë©´), 초기철기, ê¸¸ì´ 13.5ãŽ, 보물 182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ê²½ë¬¸ì²­ë™ê¸°>ì—서 성기를 드러낸 ì´ ì¸ë¬¼ìƒì€ ì²­ë™ê¸°ì‹œëŒ€ 울산 반구대 ì•”ê°í™”ì˜ ë„ìƒê³¼ 유사하면서ë„, ê·¸ 위ìƒì€ 다르다. 고래는 물론ì´ë ¤ë‹ˆì™€ ë¼ì§€, 염소, 심지어 ê±°ë¶ì´ë³´ë‹¤ ì‚¬ëžŒì„ ìž‘ê²Œ 표현한 ì•”ê°í™”와 달리, <ë†ê²½ë¬¸ì²­ë™ê¸°>ì˜ ì¸ë¬¼ìƒì€ 논밭보다 훨씬 í¬ë‹¤. ë™ë¬¼ì´ë‚˜ ìƒí™œ 터전보다 ì¸ê°„ì„ ë” ì¤‘ìš”í•œ 존재로 ì¸ì‹í•œ ê²°ê³¼ì´ë‹¤. ìžì—°ì„ ì¼êµ¬ì–´ ì‚´ë˜ ë†ê²½ì‚¬íšŒ ì •ì°©ì„ ì‹œì‚¬í•˜ëŠ” ì´ë¯¸ì§€ 표현 ë°©ì‹ì¼ 법하다. <ë†ê²½ë¬¸ì²­ë™ê¸°>ì˜ ë†ì‚¬ì¼ê³¼ ë”불어 ë‚˜ë­‡ê°€ì§€ì˜ ìƒˆ í‘œí˜„ì€ ê°•ë¬¸ ì§„ë˜ë°°ê¸° ì†ŸëŒ€ì— ì´ë¥´ê¸°ê¹Œì§€ 전승해왔으니, 한국문화사ì—서 ë¯¼ì¡±ë¯¸ìˆ ì˜ ì›í˜•ì´ìž ëˆì§ˆê¸´ 전통ì´ë¼ 할만하다.
<ë†ê²½ë¬¸ì²­ë™ê¸°> ì•žë’¤ì— ìƒˆê²¨ì§„ ìƒí™œ í’ì†ë„는 ì™¸ê³½ì˜ ì¶”ìƒë¬´ëŠ¬ì™€ ë”불어 초기철기시대 ë†ê²½ë¬¸í™”를 알려준다. ì´ë¥¼ ì—¼ë‘ì— ë‘ë©´, ê°•ë¬¸ì˜ ì§„ë˜ë°°ê¸°ëŠ” ë†ì—…사회 민ì†ì´ì—ˆìŒì„ 알 수 있다. ì§„ë˜ë°°ê¸°ì™€ 관련해 ‘대관령ì—서 왔고, 잘 모셔야 ë²¼ë†ì‚¬ê°€ 잘ë˜ì—ˆê¸°ì— 신성시했다’는 ë‚´ìš©ì˜ êµ¬ì „ì„¤í™”ê°€ ê·¸ ì¦ê±°ì´ë‹¤. ì§„ë˜ë°°ê¸°ì™€ ë‚¨ì„±í™©ë‹¹ì´ ë°”ë‹¤ë³´ë‹¤ ë“¤ìª½ì˜ ì´ˆë‹¹ë™ì— ë¶™ì–´ìžˆê¸°ë„ í•˜ë‹¤.
신조神鳥ì´ìž 길조å‰é³¥ë¡œì„œ ë‚˜ë­‡ê°€ì§€ì— ì•‰ì€ ìƒˆëŠ” 우리 미술사ì—서 다양하게 표현ë˜ì—ˆë‹¤. ì‹ ë¼ 5세기 ì„œë´‰ì´ ì¶œí†  금관ì—ë„ ë³´ì¸ë‹¤. 화려한 귀걸ì´ì™€ 함께 ì¶œí† ëœ ì „í˜•ì ì¸ ‘出’ìží˜• ì‹ ë¼ ê¸ˆê´€ì˜ ë‚´ê´€ì— ì„¸ ë‚˜ë­‡ê°€ì§€ì— ì„¸ 마리 금조金鳥가 ì•‰ì€ ëª¨ìŠµì„ ìž¥ì‹í–ˆë‹¤. 꼬리가 ì‚´ì§ ê¸¸ê³ , 둥근 ê¸ˆìžŽì„ ì¹˜ìž¥í•œ 새는 ë´‰í™©ì˜ ì´ë¯¸ì§€ì´ë‹¤. (ë„7)
조선시대 70세 ì´ìƒì˜ 고위관리 기로 공신ì—게 하사한 궤장机æ–ì—서, 나무 지팡ì´ì—는 ë†ê¸°êµ¬ì¸ 쇠 ì‚´í¬ì™€ ìž‘ì€ ìƒˆ 장ì‹ì´ 딸려 있다. ì™•ì´ ë‚´ë¦° ê¶Œìœ„ì˜ ì¡°í˜•ë¬¼ì´ë‹¤. ì´ëŠ” 조선시대 ë¬¸ê´€ì˜ ê´€ë³µ í‰ë°°ì—는 ì „ê¸°ì˜ ê³µìž‘, 백한, 기러기, í›„ê¸°ì˜ í•™ 등 ìƒˆë“¤ì´ ë“±ìž¥í•˜ëŠ” ê²ƒì„ ë– ì˜¤ë¥´ê²Œ 한다. ëª…ë‚˜ë¼ ë°©ì‹ì„ 따른 관복제ë„ì´ë‹¤. ë˜ í˜¼ë¡€ì˜ ì´ˆë¡€ìƒì— 기러기를 올리는 í’ìŠµì— ë”°ë¼ ì¡°ê°í•œ 나무 기러기 목안木é›ë„ ê·¸ ìƒì§•성ì´ë‚˜ ì˜ë¯¸ì—서 ì†ŸëŒ€ì˜ ìƒˆì™€ 유사하다.


ë„7 <ì‹ ë¼ ì„œë´‰ì´ ê¸ˆê´€>, 세 ë‚˜ë­‡ê°€ì§€ì— ì•‰ì€ ìƒˆ,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í•œë¥˜ì˜ ê·¼ì›ì´ìž ì¼€ì´ì•„íŠ¸ì˜ ìƒˆ ì›ì²œ, ë¯¼ì† ë¯¸ìˆ 

솟대는 마ì„ê³µë™ì²´ì—서 ìš°ë¦¬ë‚˜ë¼ ë¯¼ì†ì‹ ì•™ì˜ 주요 조형물ì´ë‹¤. ë§ˆì„ ì‚¬ëžŒë“¤ì´ ëœ»ì„ ëª¨ìœ¼ê³  스스로 만들고 함께 ê³µìœ í–ˆë˜ ë§Œí¼ ê¸°ìš´ì°¨ë‹¤. ê°„ì†Œí•˜ë©´ì„œë„ ì†Œë°•í•œ 표현 ë°©ì‹ì´ 으뜸ì´ë‹¤. ìµœì†Œí•œì˜ í‘œí˜„ìœ¼ë¡œ 깎아 세운 ì„ ëŒ, ëŒë¬´ë”기, 장승ì´ë‚˜ 솟대 ë“±ì„ ë³´ë©´ 그러하다. 어쩌면 ì¸ë¥˜ê°€ ì²˜ìŒ ê³µë™ì²´ë¥¼ 조성하며 ì´ë£¬ ì›ì´ˆì„±ì„ 아우르며, 한국미술ì—서 ë¯¼ì¡±ë¬¸í™”ì˜ ì •ì²´ì„±ì„ ë³´ì—¬ì¤€ë‹¤ê³  하겠다. ë˜ K-Art, í•œë¥˜ì˜ ê·¼ì›ì´ìž 새로운 예술 장르를 창조해낼 ì›ì²œì´ì§€ 않나 싶다.
ì§„ë˜ë°°ê¸° 솟대는 2000ë…„ ì´ìƒ 하늘 ë‚´ì§€ 먼 ë¶ë°©ì˜ ì´ìƒì„ 좇는 문화로 뿌리를 내린 신령스러운 ì—ë„ˆì§€ì˜ ì‚°ë¬¼ë¡œì„œ ì‹ ì¡°ç¥žé³¥ì˜ ìƒì§•ì´ìž ì˜í‘œéˆæ¨™ì˜€ì„ í„°ì´ë‹¤. ì´ëŸ° 문화는 ìš°ë¦¬ë§Œì´ ì•„ë‹ˆë¼ ì‹œë² ë¦¬ì•„, 내몽고, 중국, ì¼ë³¸ 등 아시아, 나아가 세계 ì¸ë¥˜ì˜ 유산ì´ë‹¤. 오랫ë™ì•ˆ ì´ ë•…ì— ë¿Œë¦¬ë‚´ë ¸ë˜, ì´ë“¤ 민중 ê³µë™ì²´ì˜ ì‹ ì•™ì  ì¡°í˜•ë¬¼ì€ ì¸ê°„ì˜ ì‚¶, 행위, 작가와 작품, ìž‘í’ˆì˜ ì‚¬íšŒí™” 등 ì˜ˆìˆ ì˜ ê°€ì¹˜ë¥¼ 다시 ìƒê°í•˜ê²Œ 하는 ë•목ì´ë‹¤.
비디오 아티스트 ê³  ë°±ë‚¨ì¤€ì´ ìŸì•„낸 â€œì˜ˆìˆ ì€ ì‚¬ê¸°ë‹¤â€ë¼ëŠ” ë†ì§€ê±°ë¦¬ë¥¼ ì—°ìƒì¼€ 하는 ìž‘ê¸ˆì˜ ë¯¸ìˆ ê³„ë¥¼ 보면서, ì‚¶ê³¼ 함께 하는 예술 ì •ì‹ ê³¼ ì—­í• ì— ëŒ€í•´ 다시금 ìƒê°í•´ë³¸ë‹¤. ì¸ê°„ì˜ ì‚¶ì—서 ‘예술ì´ëž€ 무엇ì¸ê°€, ì–´ë–¤ 형태여야 좋ì„까’ ë˜ë¬¼ìœ¼ë©° 나무오리 솟대를 첫 글로 삼았다.
ë‹¤ìŒ í˜¸ì—는 ê°•ë¦‰ì˜ ë³´ë¬¼ë¡œ, ì§„ë˜ë°°ê¸°ì˜ 형ì‹ê³¼ë„ ì—°ê³„ëœ ì‹ ë¼ í›„ê¸° 굴산사 í„° ì„ì¡° ë‹¹ê°„ì„ ì°¾ì•„ê°€ê² ë‹¤.

[참고문헌]

ì´íƒœí˜¸, 《미술로 본 í•œêµ­ì˜ ì—로티시즘》, 여성신문사, 1998
ì´íƒœí˜¸, 《ì´ì•¼ê¸° 한국미술사》-주먹ë„ë¼ë¶€í„° 스마트í°ê¹Œì§€, 마로니ì—ë¶ìФ, 2019
《2000ë…„ ì „ì˜ íƒ€ìž„ìº¡ìŠ-광주 ì‹ ì°½ë™ ìœ ì  ì‚¬ì ì§€ì • 20주년 ê¸°ë… íŠ¹ë³„ì „ã€‹ ë„ë¡, 국립광주박물관, 2012


ì´íƒœí˜¸ |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í™ìµëŒ€í•™êµ 회화과와 ë™ëŒ€í•™êµ ëŒ€í•™ì› ë¯¸ìˆ ì‚¬í•™ê³¼ë¥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ë° ê´‘ì£¼ë°•ë¬¼ê´€ 학예연구사, ì „ë‚¨ëŒ€í•™êµ êµìˆ˜Â·ë°•물관장,
ëª…ì§€ëŒ€í•™êµ ë¯¸ìˆ ì‚¬í•™ê³¼ êµìˆ˜Â·ë¬¸í™”ì˜ˆìˆ ëŒ€í•™ì› ì›ìž¥, 문화재청 문화재위ì›ì„
역임했으며 현재 다산숲 ì•„ì¹´ë°ë¯¸ ì›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