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 ì´ë ‡ê²Œ 아름다울 수가! ì´íƒœí˜¸ êµìˆ˜ì˜ 미술사 여담 ⑬ 17세기 ‘수ë½ì˜¹â€™ì˜ 소 그림

ë„1 수ë½ì˜¹, <수우ë„>, 17세기, ëª¨ì‹œì— ìˆ˜ë¬µë‹´ì±„, 21.1×18.1ãŽ, ê°œì¸ ì†Œìž¥

ì¡°ì„ ì´ ì‚¬ëž‘í•œ 소, 그림과 ì¡°ê°(上)

한국 소, 한우韓牛와 관련한 문화는 ìž„ì§„Â·ë³‘ìž ì–‘ëž€ì„ ê²ªê³ , 난 17ì„¸ê¸°ì— ìžë¦¬ë¥¼ ìž¡ì•˜ë˜ ê²ƒ 같다. 문헌 기ë¡ìœ¼ë¡œ ë°í˜€ì§„ 대로 ì†Œì˜ ì‚¬ìœ¡ë‘수가 í­ë°œì ìœ¼ë¡œ ì¦ê°€í–ˆê³  소고기 요리가 ë°œë‹¬í–ˆë˜ ì‹œê¸°ì´ë‹¤. ì´ë•Œ í•œêµ­ì˜ ì†Œ 그림과 ì¡°ê°ìƒì´ 가장 ë§Žì´ ë“±ìž¥í–ˆê³ , ëª…ìž‘ë“¤ì´ ì¶œí˜„í–ˆë‹¤. ì´ë“¤ì— 대해 회화와 ì¡°ê°, ë‘ ë²ˆìœ¼ë¡œ 나누어 소개하겠다.

글 ì´íƒœí˜¸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다산숲 ì•„ì¹´ë°ë¯¸ ì›ìž¥)


한국ì¸ì˜ ìží™”ìƒ, 소 ì´ë¯¸ì§€

ë†ê²½ì‚¬íšŒê°€ ì´ ë•…ì— ë¿Œë¦¬ë¥¼ 내리며, 우리 ë¯¼ì¡±ì€ ì†Œì™€ 함께 해왔다. ë†ì‚¬ë¥¼ ì§€ì„ ë•Œ 힘 ì¢‹ì€ ì¼ê¾¼ìœ¼ë¡œ, 온 ë¯¼ì¡±ì˜ ë³´ì–‘ì‹ìœ¼ë¡œ ë‹¨ë°±ì§ˆì„ ê³µê¸‰í•´ì˜¨ ì ìœ¼ë¡œ 그랬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ë³´ë©´, ìš´ì†¡ìˆ˜ë‹¨ì„ ë§ˆì°¨ë³´ë‹¤ ê±°ì˜ ì†Œìˆ˜ë ˆì— ì˜ì¡´í–ˆìŒì„ 알 수 있다. 나아가 소는 ì‹ ì—게 올리는 제수 ìŒì‹ì„ 대표했다. 조선시대 ì˜ë¡€ë¡œ ë³´ìžë©´ ì œìƒç¥­åºŠì— ì†Œì˜ ìƒê³ ê¸°ë¥¼ 올렸고, 술 담는 제기로 소 형ìƒì˜ í¬ì¤€çŠ§æ¨½ì„ ë°°ì¹˜í•˜ì˜€ë‹¤.
ë˜ ê¶Œìœ„ì˜ ìƒì§•으로 ë¬´ì†Œë¿”ì„ ê³ ê´€ì˜ í—ˆë¦¬ë  ìž¥ì‹ìœ¼ë¡œ ì¼ë‹¤. 무소뿔로 만든 서대犀帶는 ì˜ì˜ì •ê³¼ ë™ê¸‰ì˜ 1í’ˆì§ ë²¼ìŠ¬ì•„ì¹˜ì˜ ê´€ë³µì— ì°©ìš©í–ˆë‹¤. 외ì—ë„ ì†Œë¿”ì€ í™”ê°ìž¥ì´ë¼ëŠ” 고급 목칠공예로 ì´ìš©ë˜ì—ˆê³ , ê°€ì£½ì€ ìƒí™œìš©í’ˆìœ¼ë¡œ ë„리 쓰였다. ë¿ë§Œ ì•„ë‹ˆë¼ í•œë¯¼ì¡±ì€ ì†Œì˜ ì˜¨ 부위를 버리지 않는 요리를 발달시켰다. 세계 ìŒì‹ì‚¬ì— 내로ë¼í•  ë…ë³´ì´ë‹¤.

ì´ë¥¼ ì¦ëª…ì´ë¼ë„ í•˜ë“¯ì´ ìˆ˜ì²œ ë…„ ì „ ì‹ ì„기~ì²­ë™ê¸°ì‹œëŒ€ 울산 반구대 ì•”ê°í™”ì˜ ì†Œ 새김부터 1950년대 ì´ì¤‘ì„­ì˜ <í°ì†Œ>나 1980년대 ì´ì¢…êµ¬ì˜ <아버지와 소> ê°™ì€ ìž‘í’ˆì— ì´ë¥´ê¸°ê¹Œì§€, 낱낱 ì´ë¯¸ì§€ë“¤ì€ 우리 ë¯¼ì¡±ì˜ ìží™”ìƒ ê²©ì´ë‹¤. ì‹œëŒ€ì— ë”°ë¼ ì‹œëŒ€í˜•ì‹ì˜ 변화를 ë³´ì´ê³ , 작가마다 ì´ë£¬ ê°œì„±ì  í‘œí˜„ì€ ê·¸ 작가 ìžì‹ ì´ê¸°ë„ 하다.
ì´ëŸ¬í•œ 한국 소, 한우韓牛와 관련한 문화는 ìž„ì§„Â·ë³‘ìž ì–‘ëž€ì„ ê²©ê³  난 17ì„¸ê¸°ì— ìžë¦¬ë¥¼ ìž¡ì•˜ë˜ ê²ƒ 같다. 문헌 기ë¡ìœ¼ë¡œ ë°í˜€ì§„ 대로 ì†Œì˜ ì‚¬ìœ¡ë‘수가 í­ë°œì ìœ¼ë¡œ ì¦ê°€í–ˆê³  소고기 요리가 ë°œë‹¬í–ˆë˜ ì‹œê¸°ì´ë‹¤. ì´ë•Œ í•œêµ­ì˜ ì†Œ 그림과 ì¡°ê°ìƒì´ 가장 ë§Žì´ ë“±ìž¥í–ˆê³ , ëª…ìž‘ë“¤ì´ ì¶œí˜„í–ˆë‹¤. ì´ë“¤ì— 대해 회화와 ì¡°ê°, ë‘ ë²ˆìœ¼ë¡œ 나누어 소개하겠다.
지금까지 ì¡°ì„  ì¤‘ê¸°ì˜ ì†Œ ê·¸ë¦¼ì„ ì¤‘êµ­í™”í’ì˜ ë³µì œë¡œ 오ì¸í•´ì™”다. ì´ë²ˆ ê¸°íšŒì— 17세기 ì´ ë•…ì— ì‚´ì•˜ë˜ ì¡°ì„  ì†Œì˜ ë¦¬ì–¼ë¦¬í‹°ì™€ ê·¸ 변모를 재검토해보겠다. ë˜ ë™ì‹œëŒ€ 소를 ì‹¤ê° ë‚˜ê²Œ ì¡°ê°í•œ 사례로, 한 <ë°±ìž í¬ì¤€>ì— ë³´ì¸ë‹¤. 간송미술관 ì†Œìž¥ì˜ ì´ ëª…í’ˆì„ ì¤‘ì‹¬ìœ¼ë¡œ ì¡°ì„  ì†Œì˜ ì¡°ê°ìƒì— 대하여는 다ìŒë²ˆ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소개하는 대표 소 ê·¸ë¦¼ì€ â€˜ìˆ˜ë½ì˜¹éš¨æ¨‚ç¿â€™ì´ 그린 가작ì´ë‹¤.

ë„2 수ë½ì˜¹, <모ìžìš°ë„>, 17세기, ë¹„ë‹¨ì— ìˆ˜ë¬µ, 24×28ãŽ, ê°œì¸ì†Œìž¥, ê¹€ë™ì§„, ã€Šì¡°ì„ ì˜ ìƒíƒœí™˜ê²½ì‚¬ã€‹ì—서 ì¸ìš©

17세기 ‘수ë½ì˜¹â€™ì˜ 무소 그림

2022ë…„ ë´„ 뉴욕 í¬ë¦¬ìŠ¤í‹° ì˜¥ì…˜ì˜ ì„œìš¸ 프리뷰가 2ì›” ë§ ì‚¼ì²­ë™ ì„œìš¸ì§€ì‚¬ 갤러리ì—서 열렸다. 1531ë…„ ê²½ì˜ <ë…서 당계회ë„> 한 ì¼ ì—, 17세기 전형ì ì¸ 소 그림 í™”ë²•ì˜ ì†Œí’ˆì´ ê±¸ë ¤ 있었다. 장옥, í™ì„œì£¼, í—ˆìž, 임백령, 송ì¸ìˆ˜, 송순, 주세붕, 허항 등 12ëª…ì´ ì°¸ì—¬í•´ í•™ê³„ì— ë„리 ì•Œë ¤ì¡Œë˜ <ë…서당계회ë„>는 8ì–µì„ í›Œì© ë„˜ê²¨ 문화재청 국외소재 ë¬¸í™”ìž¬ìž¬ë‹¨ì´ êµ¬ìž…í–ˆê³ , 곧바로 보물로 지정ë˜ì—ˆë‹¤. ì´ì™€ ìƒëŒ€ì ìœ¼ë¡œ 소 ê·¸ë¦¼ì€ ì‹œìž‘ê°€ì— ê²¨ìš° ë‚™ì°°ë  ì •ë„로 관심 ë°–ì´ì—ˆë‹¤. ë‚´ 눈ì—는 ìš°ì„  ê·¸ë¦¼ì´ ì¢‹ì•„ 보였다. ë‹¤í–‰ížˆë„ ì˜¥ì…˜ ì „ë‚  뉴욕 첼시ì—서 미술품 컨서베ì´í„°ë¡œ í¬ê²Œ ëª…ì„±ì„ ì–»ì€ ê¹€ìˆ˜ì—° 대표ì—게 ì—°ë½ì´ 왔기ì—, ì´ ì†Œ ê·¸ë¦¼ì„ ì ê·¹ 추천했었다. 17세기 ëª…ìž‘ì„ ì‹œìž‘ê°€ì— êµ¬ë§¤í–ˆìœ¼ë‹ˆ 횡재한 ì…ˆì´ë‹¤.
í¬ë¦¬ìŠ¤í‹° ì˜¥ì…˜ì€ ì´ ìž‘í’ˆê³¼ 비슷한 화법으로 유명한 퇴촌 ê¹€ì‹(é€€æ‘ é‡‘åŸ´, 579 ~ 1662)ì˜ ì „ì¹­ìž‘ìœ¼ë¡œ 올렸다(ë„1). í™”í’으로 ë³¼ 때 타당한 설정ì´ë‹¤. 퇴촌 ê¹€ì‹ì˜ 할아버지 양송당 김지(養æ¾å ‚ 金禔, 1524~1593), 왕ì†ì¸ ì´ê²½ìœ¤ì´ë‚˜ ì´ì˜ìœ¤ 형제, ì´ê²½ìœ¤ì˜ ì„œìž ì´ì§• ë“±ì˜ ì†Œ ê·¸ë¦¼ê³¼ë„ ì—°ê³„ë˜ëŠ” 가운ë°, ê¹€ì‹ í™”í’ê³¼ 가장 근사치ì´ê¸°ì— 그렇다. ì œëª©ì€ â€˜Water buffaloâ€™ë¼ ë¶™ì˜€ë‹¤. í° ë©ì¹˜ì˜ 수우水牛, ê³§ 무소와 ë‹®ì€ ì™¸ëª¨ 때문ì´ë‹¤. 그림 ë°”íƒ•ì€ 21.1×18.1㎠사ì´ì¦ˆì˜ ì¡°ì„  모시로 보였고, ì„œëª…ì´ ìžˆëŠ” ì™¼íŽ¸ì„ ì†ë°”ëŠì§ˆë¡œ ì´ì—ˆë‹¤.
Xìž í‘œì‹œì˜ ì£¼ë‘¥ì´, 까만 눈ë™ìž 가장ìžë¦¬ì— í° ì„ ì„ ë‚¨ê¸´ ë‘ ëˆˆ, 좌우로 날카롭게 ë»—ì€ ì–‘ë¿”ê³¼ ë¨¹ì„ ì˜ ì™¼ìª½ 귀를 묘사한 ìš°ì§í•œ ë¬´í‘œì •ì´ ì •ê²¹ê²Œ 다가온다. ì—¬ê¸°ì— ì¤‘ê°„ë¨¹ 몰골법으로 단순하게 ìž…ì²´ê°ì„ 살린 머리, 기슴, ë°°ì˜ í‘œí˜„ì€ í° ë©ì¹˜ì˜ 물소 ì´ë¯¸ì§€ì— ì ì ˆížˆ 어울린다. ë”불어 목주름과 외곽 ì ì„ , 장화를 ì‹ ì€ ë“¯í•œ 관절 아래 다리 묘사와 움ì§ìž„ì´ ë‘”í•œ ìžì„¸ê°€ í•´í•™ì ì´ë‹¤. 소뿔과 ë°œêµ½ì€ ì§™ì€ ë¨¹ìœ¼ë¡œ 마무리하면서, 무소를 골계미가 í르게 표현했다. ì´ëŠ” 앞서 ì–¸ê¸‰í–ˆë“¯ì´ ì¡°ì„  ì¤‘ê¸°ì˜ ìƒˆ ì–‘ì‹ì´ìž, 16~17세기 소 그림과 ë”± 맞아떨어진다. 물가 ë²¼ëž‘ì— ì§™ì€ ë†ë¬µì˜ ë¶€ë²½ì¤€ë²•ì„ í™œìš©í•œ ì ˆíŒŒí’ ë°°ê²½ í‘œí˜„ë„ ë‹¹ëŒ€ 산수화 형ì‹ì´ 고스란하다.
ì´ ê·¸ë¦¼ì—는 “수ë½ì˜¹ì´ 그리다â€ë¼ëŠ” ‘수ë½ì˜¹ì‚¬éš¨æ¨‚ç¿å¯«â€™ 행서체 4ìžê°€ 화면 ì™¼íŽ¸ì— ë¶„ëª…í•˜ë‹¤. “ì¦ê±°ì›€ì„ 따르는 늙ì€ì´ê°€ 그렸다â€ë¼ëŠ” ì˜ë¯¸ì´ë‹¤. ê¹€ì‹ì˜ 아호로 ì§ìž‘하기ì—는 ì–‘ìžì˜ í•„ë²•ì— ì°¨ì´ê°€ 있고, ë°°ê²½ í‘œí˜„ì´ ë‹¤ë¥´ë‹¤. ë¬´ì†Œì˜ ì´ë¯¸ì§€ëŠ” 유사하지만, 수ë½ì˜¹ì´ ë†ë¬µì„ 대범하게 ì“´ ë°°ê²½ì— ë¹„í•´ ê¹€ì‹ì€ 부드럽게 표현하는 편ì´ë‹¤(ë„1ê³¼ ë„4 비êµ). ê¹€ì‹ì€ ìžë¥¼ 중후仲厚, 호를 죽서竹西 í˜¹ì€ í‡´ì´Œé€€æ‘, ì²­í¬æ·¸æµ¦, 죽창竹窓 등ì´ë¼ ì¼ë‹¤. ê¹€ì‹ê³¼ 유사한 소 ê·¸ë¦¼ì„ ê·¸ë¦° ‘수ë½ì˜¹â€™ì´ 과연 누구ì¼ê¹Œ ê¶ê¸ˆí•´ 찾아 나섰다.

ë„3 ì¡°ì„  소 9종, 《신편우ì˜ë°©ã€‹ì—서, 1580ë…„ 전주íŒë³¸, ê° ê·¸ë¦¼ 10.5×24ãŽ, 국립중앙ë„서관 소장

수ë½ì˜¹ì€ 연안김씨 ì§‘ì•ˆì˜ ê¹€ì§‘

í•œì°¸ì„ ì´ê²ƒì €ê²ƒ 여기저기를 뒤져보다, ë°˜ê°‘ê²Œë„ â€˜ìˆ˜ë½ì˜¹éš¨æ¨‚ç¿â€™ì„ 만났다. 위창 오세창葦昌 å³ä¸–昌 ì„ ìƒì´ 집필한 《근역서화징》(계명구ë½ë¶€, 1928)ì˜ <대고ë¡å¾…考錄>ì— ë“±ìž¥í•œë‹¤. 대고ë¡ì€ ‘확ì¸ë˜ì§€ ì•Šì€ í™”ê°€ë“¤ì„ ëŠ˜ì–´ë†“ì€ ë¶€ë¡â€™ì´ë‹¤. â€œéš¨æ¨‚ç¿ ç¿Žæ¯›â€ë¼ê³  명기해 놓았다. 위창 ì„ ìƒì´ ì´ ìˆ˜ë½ì˜¹ì˜ 무소 ê·¸ë¦¼ì„ ë³´ì•˜ê³ , 그래서 수ë½ì˜¹ì˜ 장기를 ì˜ëª¨í™”翎毛畵로 표기한 것 같다. 위창 ì„ ìƒì´ 수ë½ì˜¹ì˜ í™”í’ì„ ê¹€ì‹ì˜ 그것과 다르게 보았기ì—, <대고ë¡>ì— ì‹¤ì–´ í›„ì— ëˆ„êµ°ê°€ ë°í˜€ì£¼ê¸°ë¥¼ ê³ ëŒ€í–ˆì„ í„°ì´ë‹¤.
그리고 ‘수ë½ì˜¹â€™ì„ 소 그림 í™”í’ì„ ì¼ìœ¼í‚¨ ê¹€ì‹ì˜ 집안ì—서 뒤져보았다. 마침 나는 1984ë…„ 《연안김씨족보》ì—서 김지와 ê¹€ì‹ì„ 찾아 ìƒì¡¸ë…„ê³¼ ì¡°ì†ç¥–å­« 관계를 ë°ížŒ ì ì´ 있었다. ì´íƒœí˜¸, <ì¡°ì„  ì¤‘ê¸°ì˜ ì„ ë¹„í™”ê°€ 金禔, 金埴-ê·¸ë“¤ì˜ ê°€ì •ê³¼ 재세 년대>, 《é¸ç¾Žè¡“》 21, 선미술사, 1984
세종~성종 ë…„ê°„ 명문 세ë„ê°€ì˜€ë˜ ì´ë“¤ ì§‘ì•ˆì„ ì‚´í”¼ë‹ˆ, 아호로 â€˜æ¨‚â€™ì„ ì“´ ì´ê°€ 여럿 보였다. ê¹€ì§€ì˜ ì•„ë²„ì§€ë¡œ 김안로는 퇴재退齋나 ìš©ì²œé¾æ³‰ì´ë¼ëŠ” 아호 외ì—ë„, ‘í¬ë½ë‹¹å¸Œæ¨‚堂’ì´ë¼ëŠ” 당호를 ì¼ë‹¤. ê¹€ì§€ì˜ ì¦ì¡°í• ì•„버지ì´ìž ê¹€ì•ˆë¡œì˜ í• ì•„ë²„ì§€ 김우신金å‹è‡£ì€ ì„±ì¢…ì˜ ì„¸ìžì‹œì ˆ 사부였고, 김안로는 ì•„ë“¤ì„ ì„±ì¢…ì˜ ë¶€ë§ˆë¡œ 보낸 ë’¤ ê¶Œë ¥ì„ í–‰ì‚¬í–ˆë‹¤ ì‚¬ì•½ì„ ë°›ì€ ê³ ê´€ì´ì˜€ë‹¤. ë˜ ê¹€ì•ˆë¡œì˜ ë¶€ì¹œ ê¹€í”é‡‘è¨¢ì˜ ë‹¹í˜¸ê°€ ‘안ë½ë‹¹å®‰æ¨‚堂’ì´ì–´ì„œ 반가웠다. ê¹€í”ì€ í˜• 김심과 함께 김종ì§ì˜ 문ì¸ì´ìž ì„±ì¢…ì˜ ì´ì• ë¥¼ 받았다.
ì•„í˜¸ì— ì¦ê±°ìš¸ â€˜ë½æ¨‚â€™ì„ ì‚¬ìš©í•œ ì ìœ¼ë¡œ 미루어 ë³¼ 때, ‘수ë½ì˜¹â€™ì´ 연안김씨 ì§‘ì•ˆì¼ ê°€ëŠ¥ì„±ì„ ì ì³¤ë‹¤. ê¹€ì‹ì˜ ì•„í˜¸ì˜€ì„ ìˆ˜ë„ ìžˆê² ë‹¤. ê·¸ëŸ°ë° ê¹€ì‹ì´ ê¹€ì•ˆë¡œì˜ â€˜í‡´ìž¬â€™ë¥¼ ë”°ë¼ â€˜í‡´ì´Œâ€™ì´ë¼ 했으니, 오히려 ê¹€ì‹ì˜ í˜•ì¸ ê¹€ì§‘(金土集, 1576~1625)ì´ ê¹€ì•ˆë¡œë‚˜ ê¹€í”ì„ ì«“ì•„ ‘수ë½ì˜¹â€™ì´ë¼ 하지 않았ì„까? ê¹€ì§‘ì€ ì§„ì‚¬ì‹œì— ê¸‰ì œ(1613)하고 ê´€ì§ì— 나가지 않고 화가로 ì´ë¦„ì„ ë‚¨ê²¼ë‹¤. ê·¼ 삼백 ë…„ 잠시 ìžŠí˜”ë˜ í™”ê°€ë¥¼ 찾아낸 것ì´ë‹¤. 나는 40ë…„ ë§Œì— â€˜ê¹€ì§€ì™€ ê¹€ì‹â€™ 논문과 ìžë£Œë“¤ì„ 다시 펼치며, ìƒˆë¡œì´ â€˜ìˆ˜ë½ì˜¹ 김집’ì´ë¼ëŠ” 화가를 발굴했다는 기ì¨ì— ì´ ê¸€ì„ ì“´ë‹¤.
‘수ë½ì˜¹â€™ì„ 뒤지는 과정ì—서, ë˜ â€˜ìˆ˜ë½ì˜¹ì‚¬éš¨æ¨‚ç¿å¯«â€™ë¼ ë°ížŒ 다른 소 그림 <모ìžìš°ë„æ¯å­ç‰›åœ–>ê°€ ì†ì— 잡혀 무엇보다 반가웠다(ë„2). ì‚¬ì‹¤ì€ ì²« 검색ì—서 ê°™ì€ ì„œëª…ì˜ ì´ ê·¸ë¦¼ì„ ë§Œë‚¬ë‹¤. ê¹€ë™ì§„ ë°•ì‚¬ì˜ ëª…ì € ã€Šì¡°ì„ ì˜ ìƒíƒœí™˜ê²½ì‚¬ã€‹(푸른역사, 2017)ì— ì‹¤ë¦° ë„íŒì´ì—ˆë‹¤. 여기ì—ë„ ê¹€ì‹ì˜ 전칭작으로 표기했다. 수ë½ì˜¹ì˜ ë‘ ê·¸ë¦¼ì„ ì°¾ì€ ì…ˆì´ë‹¤. ê·¸ëŸ°ë° ë‘ ìž‘í’ˆì€ 16~17세기를 통틀어서 유ì¼í•˜ê²Œ ì„œëª…ì´ ë¶„ëª…í•œ 소 그림ì´ë‹¤. 당대 소 ê·¸ë¦¼ì€ ëŒ€ì²´ë¡œ ë„ìž¥ë„ ì°í˜€ì§€ì§€ 않았거나 그림보다 í›—ë‚ ì— ì°ì€ í›„ë‚™ê´€å¾Œè½æ¬¾ì´ì–´ì„œ ì „ì¹­ìž‘ì´ ëŒ€ë¶€ë¶„ì´ë‹¤. 어쩌면 수ë½ì˜¹ì˜ 무소 그림 <ìˆ˜ìš°ë„æ°´ç‰›åœ–>나 <모ìžìš°ë„æ¯å­ç‰›åœ–>는 ì¡°ì„  중기 소 그림 형ì‹ì˜ 대표로 ì‚¼ì•„ë„ ê´œì°®ì„ ë“¯ì‹¶ë‹¤.

ë„4 ê¹€ì‹, <모ìžìš°ë„>, 17세기, ë¹„ë‹¨ì— ìˆ˜ë¬µë‹´ì±„, 90×44.1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ì„  초기 수ì˜í•™ì„œì˜ 소그림

나는 ê¹€ë™ì§„ ë°•ì‚¬ì˜ ì•ž ì±…ì—서 ‘조선시대 ìƒíƒœí™˜ê²½ì˜ 변화로 사슴과 ë§ì´ 사ë¼ì§€ê±°ë‚˜ 축소ë˜ë©°, 소를 ë” ì„ í˜¸í•˜ëŠ” í’ì¡°â€™ì— ëŒ€í•˜ì—¬ ëˆˆê¸¸ì´ ê°”ë‹¤. 명나ë¼ì˜ í쇄 정책으로 강남 ì†Œì˜ ìˆ˜ìž…ì´ ì¢Œì ˆë˜ìž, ê·¸ 대신 ë©ì¹˜ê°€ í¬ê³  힘센 오키나와 수우水牛를 ê°€ì ¸ì™”ë˜ ì ì„ í¥ë¯¸ë¡­ê²Œ ì½ì—ˆë‹¤. ì´ ë¬´ì†Œë¥¼ 조선소와 êµë°°í•´ 추위를 견디ë„ë¡ ìœ¡ì¢…í•˜ë˜ ì¼ì— 대한 기ë¡, 육우 ìˆ˜ëŸ‰ì˜ í­ë°œì  ì¦ê°€, ì†Œê³ ê¸°ì˜ ì—„ì²­ë‚œ 소비와 ìš”ë¦¬ì˜ ê°œë°œ ë“±ì´ ê·¸ëŸ¬í•˜ì˜€ë‹¤. 1906ë…„ì— ì‹œí–‰í•œ 《조선 토지 ë†ì‚° ì¡°ì‚¬ë³´ê³ ì„œã€‹ì— ë”°ë¥´ë©´ ì „êµ­ ì†Œì˜ ì‚¬ìœ¡ë‘수가 110ë§Œ 마리였으니, ì´ì™€ 버금가는 18~19세기를 충분히 ì§ìž‘하게 한다.
ë˜ ê¹€ë™ì§„ ë°•ì‚¬ì˜ ì±…ì—서 ì¡°ì„  초기 《조선우마ì˜ë°©æœé®®ç‰›é¦¬é†«æ–¹ã€‹ì— 등장한 여러 ì†Œì— ëŒ€í•œ ì´ë¯¸ì§€ë„ 확ì¸í–ˆë‹¤. 《조선우마ì˜ë°©ã€‹ì€ 건문建文 ì›ë…„(1399) ì¡°ì„ ì—서 ë°œê°„ëœ ì†Œì™€ ë§ì— 대한 수ì˜í•™ì„œì´ë‹¤. ì›ë³¸ì€ 전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ì±…ì€ ã€Šì‹ íŽ¸ìš°ì˜ë°©æ–°ç·¨ç‰›é†«æ–¹ã€‹ê³¼ 《신편집성마ì˜ë°©æ–°ç·¨é›†æˆé¦¬é†«æ–¹ã€‹ì„ 합본해 만력 8ë…„(1580) 전주ì—서 재발행한 íŒë³¸ì¸ 즉, ì¼ë³¸ì—서 ì¸ì‡„한 복간본ì´ë‹¤. ì´ë¥¼ ì¡°ì„ ì´ë…ë¶€ ë„ì„œê´€ì´ ìˆ˜ì§‘í•´ 놓았고, 현재 국립중앙ë„서관 고한ì ì‹¤ì— 전한다.
《신편우ì˜ë°©ã€‹ì€ 목íŒë³¸ì´ì§€ë§Œ, ‘형ìƒê³¼ 털색으로 소를 보는 ë²•â€™ì¸ <ìƒìš°í˜•ìƒê¸‰ëª¨ìƒ‰ë¡ ç›¸ç‰›å½¢ç‹€åŠæ¯›è‰²è«–> í•­ëª©ì— ì—¬ëŸ¬ 소가 묘사ë˜ì–´ 있다. í‘ë°± ì„ ë¬˜ì˜ í™©ì†Œ, í°ì†Œ, 사슴 ë°˜ì ì˜ 얼룩소, 검정소 í‘ìš°, ì²­ìš°é‘牛 등 ê°ê°ì˜ ì´ë¦„ê³¼ 간소한 í‰ê°€ë¥¼ ê³ë“¤ì—¬, 9ì¢…ì„ ëŠ˜ì–´ë†“ì•˜ë‹¤. ë¨¸ë¦¬ì— í° ë¬´ëŠ¬ê°€ 있는 ‘불효ë‘ä¸å­é ­â€™ì™€ í° ë¨¸ë¦¬ì˜ ê²€ì •ì†Œ ‘ìƒë¬¸å–ªé–€â€™ì€ 좋지 ì•Šì€ í‰ì¢…凶種으로, 머리가 노란 í° ì†Œë¥¼ 우왕牛王으로 여겨 대길종大å‰ç¨®ìœ¼ë¡œ ê¸°ìˆ í•˜ê¸°ë„ í–ˆë‹¤(ë„3). ì´ë“¤ì€ 수ë½ì˜¹ì˜ 물소형 그림 ì´ì „ 사례로, 어쩌면 4세기 안악3호분 ì™¸ì–‘ê°„ì˜ í™©ìš°, í‘ìš°, 백우 등 고구려 소를 계승한, 지금 우리가 ê·¸ 가치를 높게 ì¸ì •하는 í•œìš°ì˜ ì›ì¡° 격ì´ë‹¤.

ë„5 ì´ê²½ìœ¤, <기우취ì >, 17세기, 종ì´ì— 수묵 33.7×51.4ãŽ, 간송미술관 소장 ⓒ간송미술문화재단

17세기 ì¡°ì„ ì„ ì‚´ë˜ ë¬´ì†Œì˜ ë¦¬ì–¼ë¦¬í‹°

수ë½ì˜¹ê³¼ 17세기 í™”ê°€ë“¤ì˜ ë¬´ì†Œ ê·¸ë¦¼ë“¤ì´ ìƒë‹¹ížˆ ë§Žì´ ì „í•œë‹¤. ì ì–´ë„ 고구려 때부터 ì´ì–´ì˜¨ 한반ë„형 ì†Œë“¤ì„ ì œì¹˜ê³  남방ì—서 새로 들여와 육종한, 힘지고 ë©ì¹˜ í° ìˆ˜ìš°æ°´ç‰›ì¸ ë¬´ì†Œê°€ ì¡°ì„  ì†Œì˜ ì¤‘ì‹¬ì„ ì°¨ì§€í•˜ì˜€ìœ¼ë¦¬ë¼ ì—¬ê²¨ì§„ë‹¤.
ê¹€ë™ì§„ ì„ ìƒì€ ã€Šì¡°ì„ ì˜ ìƒíƒœí™˜ê²½ì‚¬ã€‹ 다ìŒìœ¼ë¡œ 《조선, 소고기 ë§›ì— ë¹ ì§€ë‹¤ã€‹(위스ë¤í•˜ìš°ìФ, 2018)를 펴냈다. ë†ì‚¬ì¼ë¡œ 부려먹고, 잡아먹으며 ì–‘ì§ˆì˜ ë¨¹ê±°ë¦¬ë¥¼ ì œê³µí–ˆë˜ ì†Œì˜ í™œìš©ê³¼ 변화를 ì¡°ì„ ì˜ ì—­ì‚¬ë¥¼ ì½ìœ¼ë ¤ 시ë„한 ì—­ìž‘ì´ë‹¤. 여기ì—서 소를 함부로 잡아먹지 못하게 하는 금지령ì—ë„ ë¶ˆêµ¬í•˜ê³ , 17세기부터는 하루 천 마리 ì´ìƒ ë„살했으리ë¼ëŠ” 추정치를 제시한 ì ë„ ëˆˆì— ë„었다. ì±…ì˜ ì œëª©ì²˜ëŸ¼ 소는 그야ë§ë¡œ â€˜ì¡°ì„ ì„ ì›€ì§ì¸ ë™ë ¥ì´ì—ˆë‹¤â€™ ì´ë¥¼ 만하다. 최근 강명관 êµìˆ˜ëŠ” ‘성균관과 ë°˜ì´Œì˜ ì¡°ì„ ì‚¬â€™ë¼ëŠ” 부재를 붙여 《노비와 쇠고기》(푸른역사, 2023)ë¼ëŠ” ì±…ì„ ë‚´ë©°, ì¡°ì„  후기 소고기 육ì‹ì˜ ë°œë‹¬ì„ ë°í˜”다.
ë‚˜ë„ ê·¸ëž¬ì§€ë§Œ, ê·¸ë™ì•ˆ ëŒ€ë¶€ë¶„ì˜ ë¯¸ìˆ ì‚¬ê°€ëŠ” 김지, ê¹€ì‹, ì´ê²½ìœ¤, ì´ì§• 등 ì¡°ì„  중기 소 그림 표현방ì‹ì„ 중국 무소나 í™”ë³´ì— ì˜ì¡´í•œ 스타ì¼ë¡œ 치부했다. ê´€ë…ì  íšŒí™”ë¡œ 넘겼다. ê·¸ëŸ°ë° ì¡°ì„ ì‹œëŒ€ ì†Œì— ëŒ€í•œ 새 정보는 ‘수ë½ì˜¹â€™ì„ 대표해 16~17세기 유명 í™”ê°€ë“¤ì´ ê·¸ë¦° 소 ê·¸ë¦¼ì— ëŒ€í•œ 오해를 불ì‹ì‹œí‚¤ë„ë¡ ì£¼ë¬¸í•˜ëŠ” 것 같다. 당대 무소 ê·¸ë¦¼ì€ ìž„ì§„Â·ë³‘ìž ì–‘ë‚œ ì´í›„ í­ë°œì ìœ¼ë¡œ ì¦ê°€í–ˆê³ , 소와 관련한 문화가 뿌리를 ë‚´ë ¸ë˜ ê²°ê³¼ë¡œ ë³´ì´ê¸° 때문ì´ë‹¤. ì†Œì— ëŒ€í•œ ì‚¬íšŒì  ê´€ì‹¬ì´ ì¦ëŒ€í•¨ì— ë”°ë¼ ì—¬ëŸ¬ 소 ê·¸ë¦¼ì´ ì¸ê¸°ë¥¼ 얻었고, 스타ì¼ì„ 정착시켰다고 여겨진다. 실제 ë™ì‹œê¸° ì¤‘êµ­ì˜ ì†Œ ê·¸ë¦¼ë“¤ì„ ë’¤ì ¸ë´ë„, 수ë½ì˜¹ì´ 그린 ë¬´ì†Œì˜ ì–‘ì‹ì€ 여간 잘 ë³´ì´ì§€ 않는다. 수ë½ì˜¹ë¥˜ì˜ 소 ê·¸ë¦¼ì€ ì¡°ì„  전기 ìœ¡ì¢…ì— ì„±ê³µí•œ 무소를 그린, 17세기 íšŒí™”ì˜ ì‚¬ì‹¤ì  ì „í˜•ì´ë¼ í•  수 있겠다.
ì´ëŸ¬í•œ 무소 그림 외ì—ë„ ì¡°ì„  중기ì—는 소 ë“±ì— íƒ„ ì•„ë™ì´ë‚˜ 피리를 부는 ë™ìžê°€ 그려진, 불êµì  ë„ìƒë„ ì ì§€ 않게 남아 있다. 목ë™ì´ ìžƒì€ ì†Œ 찾기와 기르기, 그리고 떠나는 ê³¼ì •ì„ ì„œìˆ í•œ, ì‹­ìš°ë„å牛圖 심우ë„尋牛圖 목우ë„牧牛圖처럼 불êµì—서 ê¹¨ë‹¬ìŒ ì°¾ê¸°ì™€ ê´€ë ¨ëœ í™”ì œì´ë‹¤. 소를 타고 대금 부는 ì†Œë…„ì„ ì„¤ì •í•œ ê¹€ì‹ì˜ <기우취ì é¨Žç‰›å¹ç¬›>(간송미술관)ì´ë‚˜ <모ìžìš°ë„>(국립중앙박물관, ë„4), ì´ê²½ìœ¤ 작품으로 추정ë˜ëŠ” <기우취ì >(간송미술관) ë“±ì´ ê·¸ëŸ¬í•œ 사례ì´ë‹¤(ë„5).

ë„6 ì¡°ì˜ì„, <송아지와 어미소>, 《사제첩》, 18세기, 종ì´ì— 수묵, 20×24.5ãŽ, ê°œì¸ ì†Œìž¥
ë„7 ì–´ë¯¸ì†Œì˜ ì –ì„ ë¨¹ëŠ” 송아지

18세기 한우다운 외모로 변모한 사ìƒí™”들

ì¡°ì„  후기 ì˜ì¡°ì™€ ì •ì¡° 시기 소 ê·¸ë¦¼ì˜ ì‚¬ìƒí™” ì „í†µì´ ì„œë©°, 우리 ëˆˆì— ìµì€ í•œìš°ì˜ í˜•íƒœê°€ 뚜렷해졌다. 18세기 ì „ë°˜ ì˜ì¡° 시절 그러한 소 ê·¸ë¦¼ì˜ ì´ë¯¸ì§€ëŠ” í’ì†í™”ì˜ ì„ êµ¬ì¸ ë¬¸ì¸í™”ê°€ 공재 윤ë‘서나 관아재 ì¡°ì˜ì„, í™”ì› ë‚¨ë¦¬ ê¹€ë‘량, ì§„ê²½ì‚°ìˆ˜í™”ì˜ ì™„ì„±ìžì¸ 겸재 ì •ì„  ë“±ì˜ ìž‘í’ˆì— ë“±ìž¥í•œë‹¤. 18세기 후반 ì •ì¡° 시절 ë‹¨ì› ê¹€í™ë„나 ê¸ìž¬ ê¹€ë“ì‹  ë“±ì˜ í’ì†í™”ì—ë„ ì‹¤ê° ë‚˜ê²Œ ìƒí™œê³µê°„ì˜ ì†Œê°€ 그려져 있다. ìŸê¸°ì§ˆì„ 비롯해서 ì†Œë“±ì— íƒ„ 가족ì´ë‚˜, 나뭇ì§ì„ 지고 소를 앞세우거나 올ë¼íƒ„ ëª©ë™ ë“±ì´ ê·¸ 예ì´ë‹¤.
ì´ë“¤ ê°€ìš´ë° ê´€ì•„ìž¬ ì¡°ì˜ì„(觀我齋 趙榮ç¥, 1686~1761)ì˜ ã€Šì‚¬ì œì²©éºè‡å¸–ã€‹ì— í¬í•¨ëœ, ì –ì„ ì§œëŠ” 어미 소와 송아지를 그린 <채유ë„>나 ì –ì„ ë¹ ëŠ” <송아지와 어미소>ê°€ ì¡°ì„  í™©ì†Œì˜ ì‚¬ìƒí™”로 대표작ì´ë‹¤. ì˜ì¡° 시절 겸재 ì •ì„ ê³¼ ë„타운 ì¹œë¶„ì˜ ì¡°ì˜ì„ì€ â€˜ì‚°ì²œì´ˆëª©, ì¸ë¬¼ì´ë‚˜ 옛날과 ì§€ê¸ˆì˜ ì˜ê´€ê³¼ ìƒí™œ 용기와 사회 법ë„ì—ë„ ë°ê³  능통해야 ì¢‹ì€ ê·¸ë¦¼ì´ ë˜ê³  유용한 ê¸°ì˜ˆì˜ ì—­í• ì„ ì œëŒ€ë¡œ 한다.’ë¼ë©° íšŒí™”ì˜ ì‚¬íšŒì  íš¨ìš©ì„±ì„ ê°„íŒŒí–ˆë‹¤. ë”°ë¼ì„œ ‘대ìƒì„ ì§ì ‘ ìƒëŒ€í•˜ì—¬ 그려야만 ì‚´ì•„ 있는 ê·¸ë¦¼ì´ ëœë‹¤.’ë¼ëŠ” ‘즉물사진å½ç‰©å¯«çœžâ€™ì˜ 사실주ì˜ì  태ë„를 ê²¬ì§€í–ˆë˜ ë¬¸ì¸í™”ê°€ì´ë‹¤. æŽæ³°æµ©Â·å…ªå¼˜æ¿¬, <관아재 ì¡°ì˜ì„ì˜ íšŒí™”>, <관아재고>, 한국정신문화연구ì›, 1984 ; 유í™ì¤€Â·ì´íƒœí˜¸ ê³µë™ê¸°íš, 《관아재 ì¡°ì˜ì„》, ë™ì‚°ë°©, 1984. ; ì´íƒœí˜¸, 《í’ì†í™”(하나)》, 대ì›ì‚¬, 1995.
ì§€ê¸ˆì˜ ìŠ¤ì¼€ì¹˜ë¶ìœ¼ë¡œ ìƒí™œí’ì†ì„ 사ìƒí•œ, ã€Šì‚¬ì œì²©ã€‹ì˜ ì†Œ, ê°œ, ë‹­ 그림 등 ë™ë¬¼ 소묘ì—는 현장 ë¬˜ì‚¬ì˜ ë§›ì´ ë¬¼ì”¬ 난다. 특히 <송아지와 어미 소>는 ì–´ë¯¸ì˜ ì –ì„ ë¹ ëŠ” 송아지를 보면서 ì§ì ‘ 스케치한 듯 현실ê°ì´ 물씬하다(ë„6, ë„7). ê·¸ëŸ°ë° í™©ì†Œì˜ ì™¸ëª¨ê°€ 17세기 무소 형태와 ìƒë‹¹ížˆ 달ë¼ì¡Œë‹¤. ë‘ ë¿”ì´ ìž‘ì•„ì§€ê³  ì•žì„ í–¥í•´ 있으며, 머리가 í° íŽ¸ì´ì–´ì„œ ìƒëŒ€ì ìœ¼ë¡œ ë©ì¹˜ê°€ 작아 ë³´ì¸ë‹¤.

ë„8 ê¹€í™ë„, <경작ë„>, 《병진년화첩》, 1796ë…„, 종ì´ì— 수묵담채, 26.6×31.4ãŽ,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ì •ì¡° 시절 ê¹€í™ë„ì˜ ì†Œ 그림으로는 ìŸê¸°ì§ˆ í’ì†ë„ê°€ 떠오른다. í’ì†í™”첩 ê°€ìš´ë° ë‘ ë§ˆë¦¬ì˜ ê²¨ë¦¬ì†Œ <ìŸê¸°ì§ˆ>ê³¼ 1796ë…„ì— ê·¸ë¦° 《병진년화첩》(삼성미술관 리움) 중 í˜¸ë¦¬ì†Œì˜ <경작ë„>ê°€ 대표작ì´ë‹¤. ì´ë“¤ 황소는 ì¡°ì˜ì„ì´ ì‚¬ìƒí•œ 것과 유사하다. <경작ë„>는 ê¹€í™ë„ì˜ í•„ë ¥ì´ ê°€ìž¥ 무르ìµì€ ì‹œê¸°ì˜ <소림명월ë„> <옥순봉ë„> 등 ê±¸ìž‘ì´ í¬í•¨ëœ ã€Šë³‘ì§„ë…„í™”ì²©ã€‹ì— í¬í•¨ëœ í’ì†ë„ì´ë‹¤(ë„8). 개울가 ìž¡ì„ ì–¸ë•ì— ë´„ë¬¼ 오른 ëŠí‹°ë‚˜ë¬´ì— 까치 한 마리가 ì§‘ì„ ì§“ëŠ” 듯하고, ê·¸ 아래 ë‘ ì–‘ë°˜ë„¤ê°€ 담소하는 ëª¨ìŠµì´ ë³´ì¸ë‹¤. ê·¸ ë„ˆë¨¸ì— í˜¸ë¦¬ì†Œì˜ ìŸê¸°ì§ˆ ìž¥ë©´ì´ ì „ê°œëœë‹¤. ì–¸ë•ì—는 ë’·ëª¨ìŠµì˜ ì‚½ì‚´ê°œê°€ ìŸê¸°ì§ˆì„ 구경하고, ê·¸ 오른편으로 새참 ë³´í‰ì´ ë‘ ê°œê°€ 놓여 있다. ìž‘ì€ í™”ë©´ì— ë†ì´Œì˜ ë´„ë§žì´ ì •ê²½ì„ ê°€ë“ ë‹´ì€ í’ì†ë„ì´ë‹¤.
ìŸê¸°ì§ˆí•˜ëŠ” 황소는 ë©ì—ì— ëˆŒë¦° 목, 가벼운 ë°œë™ìž‘ì˜ ì¼í•˜ëŠ” ìžì„¸, 그리고 ì–‘ ë¿”ì˜ ì¢Œìš°ê°€ ì‚´ì§ ë‹¤ë¥´ê²Œ ìžëž€ ì–‘ê° ë“±ì´ ëª…ì¾Œí•˜ë‹¤. 디테ì¼ì„ 정확하게 잡아내는 ê¹€í™ë„ì˜ íƒì›”한 묘사 ê¸°ëŸ‰ì„ í•œê» ë½ëƒˆë‹¤. ì¼í•˜ëŠ” í™©ì†Œì˜ ë²™ê¸‹í•œ 미소년다운 표정, 그리고 ìŸê¸°ì§ˆí•˜ëŠ” ë…¸ì¸ ë†ë¶€ì˜ 무ë…ë¬´ìƒ ë„ì¸ë‹¤ìš´ 표정과 ìžì„¸ëŠ” í’ì†í™”ì˜ ê±°ìž¥ ê¹€í™ë„ì˜ ì˜ˆìˆ ì  ë§¤ë ¥ì„ ì–´ì§€ê°„ížˆ 발산한다.

ë„9 작가미ìƒ, <황소>, 19세기 ì „ë°˜, 종ì´ì— 수묵담채, 20.9×15.9ãŽ, ê°œì¸ ì†Œìž¥

ì¡°ì„  후기 í™©ì†Œì˜ ë³€ëª¨ì™€ ì •ì°©ì„ ë³´ì—¬ì£¼ëŠ” ë˜í•œ 소품으로, 19세기 ì „ë°˜ê²½ì˜ ë¯¸ê³µê°œìž‘ <황소> ê·¸ë¦¼ì„ ìµœê·¼ 반갑게 만난 ì ì´ 있다. í™©ì†Œì˜ ë¿”, 등 주름, 장화 ì‹ ì€ ë“¯í•œ 앞 다리 ë“±ì„ ë³´ë©´ 17세기 ë¬´ì†Œì˜ ìœ ì „ìžê°€ ì—¿ë³´ì—¬ ëˆˆê¸¸ì„ ëˆë‹¤. 작가 미ìƒìœ¼ë¡œ 그림 ìƒë‹¨ì— ‘세ì†ì˜ ë°–ì—서 노닌다’는 ì˜ë¯¸ì˜ â€˜ìœ ë°©ì§€ì™¸éŠæ–¹ä¹‹å¤–’ë¼ëŠ” ì–‘ê° ë„장 한 ë°©ì´ ë‹¬ëž‘ ì°ížŒ 수묵담채화ì´ë‹¤(ë„9). ë°°ê²½ì— ë‹´ì±„ì™€ ì˜…ì€ ë¨¹ì˜ ê°ˆí•„ 처리는 지우재 정수ì˜(之åˆé½‹ 鄭邿¦®, 1743~1841)ì˜ í™”í’ì„ ì—°ìƒì¼€ 한다. 지난 ‘미술사 여담’ 12회ì—서 ì‚´íŽ´ë´¤ë“¯ì´ â€˜ìœ ë°©ì§€ì™¸â€™ë„ ì—¬í–‰ 스케치를 ì¦ê¸´ 정수ì˜ì˜ ì¸ìƒì„ 떠오르게 한다. 코뚜레를 하지 ì•Šì€ ì ìœ¼ë¡œ 미루어 ë³¼ 때, ì¼ì†ŒëŠ” 아닌 듯하다. 어눌한 ë¬˜ì‚¬ì— ë©í•œ ì†Œì˜ í‘œì •ì´ ì–´ë””ì—ë„ ì–½ë§¤ì´ì§€ ì•Šì€ ë°©ì™¸ì¸æ–¹å¤–äººì˜ ì´ˆìƒì„ ì—°ìƒí•˜ê²Œ 한다. í™”ê°€ë„ ì´ í™©ì†Œë¥¼ ë‹®ì•˜ì„ ë²•í•˜ë‹¤.

ë„10 <ë°±ìž í¬ì¤€>, 17세기, ë†’ì´ 18.3ãŽ, ê¸¸ì´ 27ãŽ, 간송 미술관 소장 ⓒ간송미술문화재단

17세기 무소는 어떻게 ëœ ê²ƒì¼ê¹Œ

ì´ì²˜ëŸ¼ 담채 형ì‹ì—서 ì„ ë¬˜ì˜ ë¬˜ì‚¬ ë°©ì‹ìœ¼ë¡œ 바뀌며, 18세 기 ì´í›„ ì†Œì˜ ëª¨ìŠµë„ ë³€í•œ 듯하다. ì–‘ê°ì´ë‚˜ ëª¸ì§‘ì€ ë‚¨ë°©ì—서 온 ë¬´ì†Œì˜ ì„±ì§•æ€§å¾µì´ ê±°ì˜ ì‚¬ë¼ì§„ 듯하며, 지금 우리 눈ì—ë„ ìµì€ 누ë ì´ í•œìš°ì— ê°€ê¹ë‹¤. 17세기까지 ì¡°ì„  ë•…ì˜ ì£¼ì¢…ì´ë˜ 무소가 사ë¼ì¡Œì„까? 아니면 우성으로 유지ë˜ë˜ 열대지방 ë¬´ì†Œì˜ ìœ ì „ìžê°€ ì¡°ì„  ë•…ì—서 100ë…„ì„ ë” ê²¬ë””ë©° ë°”ë€ ê²°ê³¼ì¼ê¹Œ? ì´ë ‡ê²Œ 변모해 정착한 18ì„¸ê¸°ì˜ í™©ì†Œ ì´ë¯¸ì§€ëŠ” ì´í›„ 19~20세기로 ì´ì–´ì¡Œë‹¤. ê·¸ 결과는 1950ë…„ëŒ€ì˜ ë°•ìˆ˜ê·¼ì´ë‚˜ ì´ì¤‘ì„­ì˜ ì†Œ 그림부터 ì´ì¢…êµ¬ì˜ ê·¸ê²ƒê¹Œì§€ í•œìš°ì˜ ì™¸ì–‘ì— ìž˜ 드러나 있다.
ë‹¤ìŒ í˜¸ì—는 17세기 <ë°±ìž í¬ì¤€>ì„ ì¤‘ì‹¬ìœ¼ë¡œ, ê·¸ ì´ì „ 초기 ì–‘ìƒê³¼ 18세기 ì´í›„ ê¶ì¤‘ì—서 ì“´ ì²­ë™ í¬ì¤€ì˜ ì¡°ê°ë¯¸ë¥¼ 함께 살펴보겠다(ë„10).


ì´íƒœí˜¸ | ëª…ì§€ëŒ€í•™êµ ì„좌êµìˆ˜

í™ìµëŒ€í•™êµ 회화과와 ë™ëŒ€í•™êµ ëŒ€í•™ì› ë¯¸ìˆ ì‚¬í•™ê³¼ë¥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ë° ê´‘ì£¼ë°•ë¬¼ê´€ 학예연구사, ì „ë‚¨ëŒ€í•™êµ êµìˆ˜Â·ë°•물관장,
ëª…ì§€ëŒ€í•™êµ ë¯¸ìˆ ì‚¬í•™ê³¼ êµìˆ˜Â·ë¬¸í™”ì˜ˆìˆ ëŒ€í•™ì› ì›ìž¥, 문화재청 문화재위ì›ì„
역임했으며 현재 다산숲 ì•„ì¹´ë°ë¯¸ ì›ìž¥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