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그림 세계를 홀리다 – 세계미술사 ì†ì— 펼ì³ì§„ 책거리

우리 그림 세계를 홀리다
세계미술사 ì†ì— 펼ì³ì§„ 책거리

지난해 여름 서울 ì˜ˆìˆ ì˜ ì „ë‹¹ì—서는 ì„œì˜ˆë°•ë¬¼ê´€ì˜ ìž¬ê°œê´€ì„ ê¸°ë…하는 ë‘ ë²ˆì§¸ 전시로 <ì¡°ì„  ê¶ì¤‘화·민화 걸작- 문ìžë„文字圖·책거리冊巨里>ê°€ ì—´ë ¤ ì¡°ì„  í›„ê¸°ì˜ ì±„ìƒ‰í™” 전시로서 í° ì£¼ëª©ì„ ë°›ì•˜ë‹¤. ì—¬ê¸°ì— ì „ì‹œë˜ì—ˆë˜ 작품 ì¤‘ì— ë‹¤ìˆ˜ì˜ ì±…ê±°ë¦¬ 병í’ë“¤ì´ â€˜The Power and Pleasure of Possessions in Korean Painted Screens(한국 채색 병í’ì— ë‚˜íƒ€ë‚œ ì†Œìœ ì˜ íž˜ê³¼ ì¦ê±°ì›€)’ì´ë¼ëŠ” ì œëª©ì˜ ìˆœíšŒ 전시를 통해 현재 미국ì—서 ì„ ë³´ì´ê³  있다.

한국국제êµë¥˜ìž¬ë‹¨ê³¼ í˜„ëŒ€í™”ëž‘ì˜ í›„ì›ìœ¼ë¡œ ê²½ì£¼ëŒ€í•™êµ ì •ë³‘ëª¨ êµìˆ˜ì™€ 다트머스 대학 김성림 êµìˆ˜ê°€ 기íší•œ 미국 ìˆœíšŒì „ì˜ ì²« 번째 전시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찰스왕센터(Charles B. Wang Center)ì—서 열렸다. ì°°ìŠ¤ì™•ì„¼í„°ì˜ ì „ì‹œëŠ” ê¶ì¤‘ 책거리 ë° ë¯¼í™” 책거리와 함께, 특별히 책거리를 모티브로 다양한 í•´ì„ì„ ë³´ì—¬ì£¼ëŠ” 여러 현대 ìž‘ê°€ë“¤ì˜ ìž‘í’ˆ 등 ì´ 35ì ì˜ 책거리가 어우러져 18세기ì—서부터 21ì„¸ê¸°ì˜ í•œêµ­ 책거리 문화를 통시ì ìœ¼ë¡œ ë³¼ 수 있는 화려한 전시였다.
미국 ë‚´ ë‘ ë²ˆì§¸ 전시는 4ì›” 15ì¼ë¶€í„° 6ì›” 11ì¼ê¹Œì§€ 캔ìžìŠ¤ëŒ€í•™êµì˜ 스펜서미술관(Spencer Museum of Art)ì—서 열리고 있다. í•œêµ­ì˜ ê°œì¸ ì†Œìž¥ê°€ë“¤ê³¼ 여러 ë¯¸ìˆ ê´€ë“¤ì˜ ê¶ì¤‘ 책거리 ë° ë¯¼í™” 책거리 13ì ê³¼ 함께, ìŠ¤íŽœì„œë¯¸ìˆ ê´€ì´ ì†Œìž¥í•˜ê³  있는 한국과 ì¤‘êµ­ì˜ íšŒí™” ë° ë„ìžê¸°, 공예품 ë“±ì„ ì „ì‹œí•˜ëŠ”ë°, ìµœê·¼ì— í•œêµ­ì—서 ë³µì›ì„ 마친 곽분양행ë½ë„éƒ­æ±¾é™½è¡Œæ¨‚åœ–ë„ ê³µê°œë˜ì—ˆë‹¤.


미국 ë‚´ 첫 책거리 학회 í° í˜¸ì‘

특별히 ì´ ì „ì‹œì˜ ê°œë§‰ê³¼ 연계하여 4ì›” 14ì¼ê³¼ 15ì¼ ì–‘ì¼ê°„ì—는 Paintings in Brilliant Colors: Korean Chaekgeori Screens of the Joseon Dynasty(화려한 채색화 : 조선시대 책거리 병í’)ë¼ëŠ” 제목으로 êµ­ì œ 학술회ì˜ê°€ 열렸다. 스펜서미술관 íë ˆì´í„° í¬ë¦¬ìФ ì–´ì¸ìŠ¤ì™€ í•„ìžê°€ 함께 기íší•œ ì´ í•™íšŒëŠ” 미국 ë‚´ì—서 열린 첫 책거리 학회ì´ë©° 캔ìžìФì—서 열린 첫 한국미술사 학회로서, 수준 ë†’ì€ ë…¼ë¬¸ë°œí‘œì™€ ì‹¬ë„ ìžˆëŠ” 질ì˜ì‘ë‹µì„ í†µí•´, ì±…ê±°ë¦¬ì˜ ì„¸ê³„ë¯¸ìˆ ì‚¬ì  ë„“ì´ì™€ í•œêµ­ë¯¸ìˆ ì‚¬ì  ê¹Šì´ë¥¼ 드러내어 í° í˜¸ì‘ì„ ì–»ì—ˆë‹¤.
í•™íšŒì˜ ì‹œìž‘ì€ ë¯¸êµ­ ë‚´ í•œêµ­ë¯¸ìˆ ì‚¬í•™ì˜ ê°œì²™ìžì¸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ë¯¸ìˆ ì‚¬í•™ê³¼ì˜ ë¶€ë¥´ê¸€ë¦°íŠ¸ 융만(Burglind Jungmann) êµìˆ˜ê°€ 맡았다. 융만 êµìˆ˜ëŠ” “Chaekgeori: Court Culture and Foreign Inspiration in Joseon Painting(책거리: ì¡°ì„ íšŒí™”ì˜ ê¶ì¤‘문화와 외래ì˜í–¥)â€ì´ë¼ëŠ” 기조 ê°•ì—°ì—서 조선후기 ê¶ì¤‘ íšŒí™”ì— ë‚˜íƒ€ë‚œ 중국 ì²­í™©ì‹¤ì„ í†µí•œ 서양화 ê¸°ë²•ì˜ ì„ íƒì  수용과 í•œêµ­ì  ë³€ìš©ì„ ê°•ì—°í•˜ì˜€ë‹¤. 융만 êµìˆ˜ëŠ” 19세기 ì¡°ì„ ì˜ ë„화서 í™”ì›ë“¤ì´ 그린 채색 병í’ì˜ ëŒ€í‘œì ì¸ 예ì¸, 1868ë…„ ì‹ ì •ì™•í›„ì˜ íšŒê°‘ìž”ì¹˜ë¥¼ 그린 무진진찬ë„병戊辰進饌圖屛, ê³¤ë¥œì‚°ì˜ ì—¬ì‹  ì„œì™•ëª¨ì˜ ìƒì¼ìž”치를 그린 요지연ë„瑤池宴圖, ë‹¹ë‚˜ë¼ ìž¥êµ° ê³½ìžì˜ì˜ ìƒì¼ìž”치를 그린 곽분양행ë½ë„郭汾陽行樂圖, ìš©ìƒì˜ 뒤를 장ì‹í•˜ëŠ” ì¼ì›”오봉ë„一月五峯圖 병í’ì˜ ìš©ë„와 ì–‘ì‹, 세부 묘사를 비êµë¶„ì„함으로ì¨, 책거리병í’ë„ ê°™ì€ ë§¥ë½ ì•ˆì—서 ì œìž‘ëœ ê·¸ë¦¼ìž„ì„ ë³´ì—¬ì£¼ì—ˆë‹¤. ë˜í•œ ì§Â·ê°„ì ‘ì ì¸ êµë¥˜ë¥¼ 통해 습ë“한 서양화 기법과 정물화 사조가 한국ì¸ì˜ 취향과 ê´€ì‹¬ì— ë§žê²Œ ê¶ì¤‘ 책거리 병í’ì— ì ìš©ëœ 것과, 나아가 ì‹¤ë¬¼ì„ ì‚¬ì‹¤ì ìœ¼ë¡œ ìž¬í˜„í•˜ë˜ ì±…ê±°ë¦¬ê°€ 현대ì ìœ¼ë¡œ ì¶”ìƒí™”ë˜ëŠ” ì–‘ìƒë„ 조명하였다.


ì±…ê±°ë¦¬ì˜ ê¸°ì›ê³¼ ì˜ë¯¸ë¥¼ 다시 ë˜ì§šì–´ë³¸ 시간


ì´íŠ¿ë‚  ì´ì–´ì§„ 네 ê°œì˜ ì„¸ì…˜ì—서는 ê°ê°ì˜ ì£¼ì œì— ë”°ë¼ ì±…ê±°ë¦¬ì˜ ê¸°ì›ê³¼ í™•ì‚°ì— ëŒ€í•œ 다ê°ë„ì˜ ë…¼ì˜ê°€ ì´ì–´ì¡Œë‹¤. 첫 번째 세션ì—서는 “Chaekgeori in Global Context(ì±…ê±°ë¦¬ì˜ ì„¸ê³„ì  ë§¥ë½)ë¼ëŠ” 주제 아래 다트머스 ëŒ€í•™ì˜ ì¡°ì´ ì¼„ì„¸ìŠ¤(Joy Kenseth) êµìˆ˜, 세ì¸íЏ 루ì´ìФ 워싱턴 ëŒ€í•™ì˜ í¬ë¦¬ìŠ¤í‹°ë‚˜ í´ë£¨íЏê²(Kristina Kleutghen) êµìˆ˜, 프린스턴 ëŒ€í•™ì˜ ì œë¡¬ 실버겔드(Jerome Silbergeld) 명예êµìˆ˜ê°€ 발표를 하였다. 켄세스 êµìˆ˜ëŠ” 유럽 르네ìƒìФ ì‹œëŒ€ì— ë§Œì—°í–ˆë˜ ì˜ˆìˆ í’ˆ ë° í¬ê·€ ë™ì‹ë¬¼ì˜ 수집과 전시 취미를 보여주는 박물관과 살롱 ë‚´ë¶€ì˜ ê¸°ë¡í™”들과 ì±…ìž¥ì„ ì‚¬ìš©í•œ 정물화들 통해 ì±…ê±°ë¦¬ì˜ ì„œì–‘ì  ê¸°ì›ì„ 제시하였다. í´ë£¨íŠ¸ê² êµìˆ˜ëŠ” 17세기ì—서 19ì„¸ê¸°ì— ê±°ì³ ì¤‘êµ­ 청황실 ë‚´ë¶€ 벽장ì‹ì— 사용한 통경화通景畵ë¼ëŠ” 벽화 장르를 소개하며, í™©ì œì˜ ëª…ìƒê³¼ 휴ì‹ì„ 위한 ê³µê°„ì— íˆ¬ì‹œì›ê·¼ë²•ì„ ì‚¬ìš©í•œ 눈ì†ìž„기법으로 그려진 ì´ëŸ¬í•œ 통경화가 ì²­í™©ì‹¤ì˜ ì •í†µì„±ì„ ê³„ìŠ¹í•˜ê³ ìž í•˜ëŠ” ì •ì¹˜ì  ì˜ì§€ë¥¼ 암시하는 회화 공간으로 사용ë˜ì—ˆìŒì„ 보여주었다. 실버겔드 êµìˆ˜ëŠ” 18세기 후반 ì¡°ì„ ì˜ ì™•, 정조를 통해 정치ì ì´ê³  민족ì ìœ¼ë¡œ ë”ìš± ë¶€ê°ëœ ì±…ê±°ë¦¬ì˜ ìœ í–‰ì„ ìœ ëŸ½ì˜ ë°•ë¬¼ê´€ê³¼ 공공 ë„서관 문화와 연결하여, ëŒ€ì¤‘ì„ ìœ„í•œ 학문ì , ë¬¸í™”ì  ê³µê³µ ê¸°ê´€ë“¤ì´ ì—†ë˜ ì‹œëŒ€ì— ê·¸ 정치ì , ë¬¸í™”ì  ì—­í• ì„ í‘œë°©í•˜ê³ ìž ì°¨ìš©ëœ ì±…ê±°ë¦¬ì˜ ì˜ë¯¸ë¥¼ 설명하였다.
ë‘ ë²ˆì§¸ ì„¸ì…˜ì€ â€œBooks and Things in Chaekgeori(책거리 ì†ì˜ ì±…ê³¼ 기물들)â€ë¼ëŠ” 주제로 ê³ ë ¤ëŒ€í•™êµ ë°©ë³‘ì„  êµìˆ˜ì™€ 서울대 규장ê°í•œêµ­í•™ì—°êµ¬ì›ì˜ ê³ ì—°í¬ êµìˆ˜ê°€ 발표하였다. 방병선 êµìˆ˜ëŠ” 조선후기 ê¶ì¤‘ ì±…ê±°ë¦¬ì— ë‚˜íƒ€ë‚˜ëŠ” 중국 ë„ìžì— 대한 연구ì—서 조선후기 왕실과 ìƒë¥˜ê³„ì¸µì˜ ë¬¸ë°© 수집 ì—´í’ê³¼ 중국 골ë™í’ˆ 애호 현ìƒì„ 소개하고, ê¶ì¤‘ í™”ì›ì¸ 장한종과 ì´í˜•ë¡ì˜ ì±…ê±°ë¦¬ì— ìž¬í˜„ëœ ë‹¤ì–‘í•œ ê¸°ë¬¼ë“¤ì„ ì‹¤ì œ 중국 청대 ë„ìžê¸°ì™€ 비êµí•˜ë©° ê·¸ 유사성과 ë³€í˜•ì„ ë¶„ì„하였다. ê³ ì—°í¬ êµìˆ˜ëŠ” ì±…ê±°ë¦¬ì˜ ì£¼ëœ ì†Œìž¬ì¸ ì±…ì— ë‹¤ì‹œ 주목하여 ì¤‘êµ­ì˜ ìœ êµê²½ì „ ë° ì‹œì™€ 소설들 ë¿ë§Œ ì•„ë‹ˆë¼ ì¡°ì„  í•™ìžë“¤ì˜ 글과 책거리 ì†Œìž¥ê°€ë“¤ì˜ ê¸°ë¡ì´ ì ížŒ ë¶€ë¶„ë“¤ì„ ì†Œê°œí•˜ë©°, 책거리가 ë…서를 권하는 êµìœ¡ìš©ìœ¼ë¡œ, ê°œì¸ì ì¸ 취향과 ìš•ë§ì˜ 표현으로, ë˜í•œ ê°€ë¬¸ì˜ ì˜ê´‘ì„ ë“œëŸ¬ë‚´ëŠ” ë„구로 쓰였ìŒì„ ë°í˜”다.


ì±…ê±°ë¦¬ì˜ ëŒ€ì¤‘í™”ì— ëŒ€í•œ ì˜ê²¬ ë°œí‘œë„ ì´ì–´ì ¸

세 번째 세션ì—서는 캔ìžìŠ¤ëŒ€í•™ì˜ ë§ˆìƒ¤ 하우플러(Marsha Haufler) êµìˆ˜ì™€, í¬ë¦¬ìФ ì–´ì¸ìФ íë ˆì´í„°, 그리고 í´ë¦¬ë¸”랜드 ë¯¸ìˆ ê´€ì˜ ìž„ìˆ˜ì•„(Sooa Im McCormick) íë ˆì´í„°ê°€ 조선후기 채색 병í’ì˜ ì‹¤ì§ˆì ì¸ ì˜ˆë“¤ì„ ì†Œê°œí•˜ì˜€ë‹¤. 하우플러 êµìˆ˜ëŠ” ì¡°ì„ í›„ê¸°ì— ë¶ë°©ì˜ 중요한 ë„ì‹œì¸ í‰ì–‘ì„ ì†Œìž¬ë¡œ 그린 병í’ë“¤ì„ ì–‘ì‹ì ìœ¼ë¡œëŠ” ê¶ì¤‘í™”í’, 문ì¸í™”í’, 민화í’으로 분류하고, ë„ìƒì ìœ¼ë¡œëŠ” í‰ì–‘ì˜ ì‹¤ê²½ì„ ê·¸ë¦° ì§€í˜•í•™ì  ê·¸ë¦¼, í‰ì–‘ì„ ì´ìƒí™”한 그림, 특정한 ì‚¬ê±´ì„ ê¸°ë¡í•˜ê¸° 위한 ë°°ê²½ìœ¼ë¡œì„œì˜ í‰ì–‘ 그림으로 나누어, í‰ì–‘ 병í’ì´ ë‹¤ì–‘í•œ 목ì ê³¼ ê¸°ëŠ¥ì„ ìˆ˜í–‰í•˜ê¸° 위해 제작ë˜ì—ˆìŒì„ ë°í˜”다. ì–´ì¸ìФ íë ˆì´í„°ëŠ” ìŠ¤íŽœì„œë¯¸ìˆ ê´€ì˜ ìˆ˜ìž¥ê³ ë¥¼ ì •ë¦¬í•˜ë˜ ì¤‘ì— ë°œê²¬í•˜ì—¬ 지난해 서울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ì—서 ë³µì›ì„ 하고 국립고ê¶ë°•물관ì—ì„œë„ ì „ì‹œë¥¼ 한 ë°” 있는 곽분양행ë½ë„ì˜ ì†Œìž¥ê²½ìœ ì™€ ë³µì›ê³¼ì •ì„ ë°ížˆê³ , ê³½ë¶„ì–‘ì— ëŒ€í•œ ì¤‘êµ­ë¯¸ìˆ ì˜ ë‹¤ì–‘í•œ 표현ì—서 파ìƒëœ ë˜ ë‹¤ë¥¸ ì–‘ì‹ì„ 보여주는 ìŠ¤íŽœì„œì˜ ê³½ë¶„ì–‘í–‰ë½ë„ê°€ 전형ì ì¸ 19세기 ì´ˆì˜ ê¶ì¤‘ë³‘í’ í‘œêµ¬ì–‘ì‹ì„ 보존하는 ìž‘í’ˆìž„ì„ ì„¤ëª…í–ˆë‹¤. 임수아 íë ˆì´í„°ëŠ” í´ë¦¬ë¸”랜드 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 ì†Œìž¥ì˜ ê¶ì¤‘ ì±…ê°€ë„ ì†ì˜ 여러 가지 문방 기물들과 ê½ƒê½‚ì´ ë“±ì— ë‚˜íƒ€ë‚œ ìƒì§•성과 ì˜ë¯¸ë¥¼ í•´ì„하며, ëª…ë§ ì‚¬ëŒ€ë¶€ë“¤ì˜ ì·¨í–¥ì„ í ëª¨í–ˆë˜ ì²­í™©ì‹¤ì˜ ë¬¸í™”ê°€ ì¡°ì„  책거리ì—ë„ ë°˜ì˜ë˜ì—ˆìŒì„ 시사하였다. ë”ìš±ì´ í´ë¦¬ë¸”랜드 ì±…ê±°ë¦¬ì— ê·¸ë ¤ì§„ ì¸ìž¥ì€ ê¶ì¤‘화가 ì´í˜•ë¡(ì´ì‘ë¡)ì˜ ë˜ ë‹¤ë¥¸ ì´ë¦„ì¸ ì´íƒê· ìœ¼ë¡œ íŒë…ë˜ì–´ ê·¸ ì˜ë¯¸ê°€ í¬ë‹¤ê³  ë°í˜”다.


마지막 ì„¸ì…˜ì€ â€œChaekgeori for the People(ë¯¼ì¤‘ì„ ìœ„í•œ 책거리)â€ì´ë¼ëŠ” 제목으로 ê¶ì¤‘ 책거리ì—서 민화 책거리로 ì´í–‰ë˜ëŠ” ì¡°ì„ ë§ê¸° ì±…ê±°ë¦¬ì˜ ëŒ€ì¤‘í™”ì— ëŒ€í•´ 김성림 êµìˆ˜, 대ì˜ë°•ë¬¼ê´€ì˜ ì—˜ë ˆë…¸ì•„ 현(Eleanor Hyun) íë ˆì´í„°, ê²½ì£¼ëŒ€í•™êµ ì •ë³‘ëª¨ êµìˆ˜ê°€ 발표하였다. 다트머스대학 김성림 êµìˆ˜ëŠ” 책거리 í™”ê°€ì˜ ìž…ìž¥ì—서 민화 책거리 구ë„ì˜ ë°˜ë³µë˜ëŠ” íŒ¨í„´ì„ ë¶„ë¥˜í•˜ê³ , ì´ˆë³¸ì— ê¸°ë¡ëœ ì•ˆë£Œì˜ ì´ë¦„ê³¼ 실제 ì±„ìƒ‰ì„ ë¹„êµí•˜ì—¬ ì±…ê±°ë¦¬ì˜ ì œìž‘ê³¼ì •ì—서 ë³´ì´ëŠ” í¥ë¯¸ë¡œìš´ ì‚¬í•­ë“¤ì„ íŽ¼ì³ë³´ì˜€ë‹¤. 엘레노아 현 íë ˆì´í„°ëŠ” 민화 책거리ë¼ëŠ” ìž¥ë¥´ì˜ ë¶„ë¥˜ë¥¼ 20세기 ì´ˆ ì¼ì œì‹œëŒ€ì— ì¼ì–´ë‚œ 야나기 ë¬´ë„¤ìš”ì‹œì˜ ë¯¼ì˜ˆìš´ë™ê³¼ 연결하여 설명하며, í™”ì›ë“¤ì´ 그린 ê¶ì¤‘책거리와 작가를 알 수 없는 ë¯¼í™”ì±…ê±°ë¦¬ì˜ êµ¬ë¶„ ìžì²´ì— 대한 근본ì ì¸ ì˜ë¬¸ì„ 제기하며, ì±…ê±°ë¦¬ì˜ ìž‘ê°€, ì–‘ì‹, 기능과 ì†Œë¹„ì— ëŒ€í•´ ì´ë¶„법ì ì¸ 분류를 초월한 통합ì ì¸ ì´í•´ì™€ ë¶„ì„ì´ í•„ìš”í•¨ì„ ì—­ì„¤í•˜ì˜€ë‹¤. 정병모 êµìˆ˜ëŠ” 민화 책거리ì—서 드러나는 기발한 ì–‘ì‹ì˜ 파격과 다양한 ë„ìƒë“¤ì˜ ìƒì§•ì„±ì„ ì†Œê°œí•˜ë©´ì„œ, 현실과 ìƒìƒì˜ ì„¸ê³„ì˜ ê²½ê³„ë¥¼ 넘나드는 민화 ì±…ê±°ë¦¬ì˜ í™˜ìƒì ì¸ 매력과 ìƒë™ê° 넘치는 í•´í•™ì„ ë³´ì—¬ì£¼ì—ˆë‹¤.


오늘 8ì›”, í´ë¦¬ë¸”랜드 미술관ì—서 마지막 미국 순회전


미국 순회 ì „ì‹œì˜ ë§ˆì§€ë§‰ì€ 8ì›”ì— ì˜¤í•˜ì´ì˜¤ ì£¼ì˜ í´ë¦¬ë¸”랜드 미술관ì—서 열릴 예정ì´ë‹¤. 찰스왕센터와 스펜서미술관ì—서 ì „íƒê· ì˜ 책거리 병í’ì´ í•¨ê»˜ 공개ëœë‹¤.
“ì´ê²ƒì€ ì±…ì´ ì•„ë‹ˆê³  그림ì´ë‹¤â€
20세기 ì´ˆ 벨기ì—ì˜ ì´ˆí˜„ì‹¤ì£¼ì˜ í™”ê°€ 르네 ë§ˆê·¸ë¦¬íŠ¸ì˜ â€œCeci n’est pas une pipe-ì´ê²ƒì€ 파ì´í”„ê°€ 아니다â€ë¼ëŠ” ì œëª©ì˜ íŒŒì´í”„ ê·¸ë¦¼ì„ ì—°ìƒì‹œí‚¤ëŠ” ì´ ë¬¸ìž¥ì€ 18ì„¸ê¸°ì— ì •ì¡°ê°€ 신하들ì—게 책거리 ê·¸ë¦¼ì„ ë³´ì—¬ì£¼ë©° 한 ë§ì´ë‹¤. 조선후기 책거리 병í’ì€ ì²­í™©ì‹¤ì„ í†µí•´ 수용한 서양화 ì–‘ì‹ì˜ 눈ì†ìž„ ê¸°ë²•ì„ ì ìš©í•˜ì—¬ ì±…ê³¼ ê¸°ë¬¼ë“¤ì„ ì‚¬ì‹¤ì ì´ê³  ìž…ì²´ê° ìžˆê²Œ í‘œí˜„í•¨ìœ¼ë¡œì¨ ì‹¤ì œì˜ ì±…ê³¼ ê¸°ë¬¼ë“¤ì˜ ìž¥ì‹íš¨ê³¼ë¥¼ 대신하였다. 게다가 ì°½ë•ê¶ ë‚´ì— ì™•ì‹¤ ë„서관 규장ê°ì„ 세워 바른 정치를 위한 학문과 연구를 장려하고 ì¸ìž¬ë¥¼ ì–‘ì„±í–ˆë˜ ì •ì¡°ì˜ ì±…ì‚¬ëž‘ì€ ì±…ê±°ë¦¬ 병í’ì— ê·¸ëŒ€ë¡œ ë°˜ì˜ë˜ì—ˆë‹¤. ì´ëŸ¬í•œ 책거리는 왕실 밖으로 í˜ëŸ¬ë‚˜ê°€ 사대부들ë¿ë§Œ ì•„ë‹ˆë¼ ë¯¼ì¤‘ë“¤ì˜ ì‚¶ê³¼ 바람과 í•´í•™ì´ ì§ˆí½í•˜ê²Œ 녹아든 책거리로 재탄ìƒí•˜ì—¬ ë…특한 회화 장르를 형성하였다. ì´ë ‡ë“¯ ë™ì„œì–‘ì„ ìž‡ëŠ” ì—­ë™ì ì¸ ë¬¸í™”ì˜ í름 ì†ì—서 ì¡°ì„  ë•…ì— ê½ƒì„ í”¼ìš´ 책거리가 ì´ì œ 다시 세계 ê³³ê³³ì˜ ë¬´ëŒ€ 위ì—서 ê·¸ 가치를 발하며 세계미술사 ì†ì—서 활발하게 ë…¼ì˜ë˜ëŠ” 중요한 미술 ì–‘ì‹ìœ¼ë¡œ ë¶€ê°ë˜ê³  있다.

글 ì´ì •실(Jungsil Jenny Lee, 캔ìžìŠ¤ëŒ€í•™ 한국미술사 êµìˆ˜)
ì´ë¯¸ì§€ 제공 스토니브룩 대학 찰스왕센터, 캔ìžìŠ¤ëŒ€í•™êµ ìŠ¤íŽœì„œë¯¸ìˆ ê´€, 다할미디어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