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š©ìž¥êµ°ë„ ì´ˆë³¸ì˜ ê³ í–¥ì„ ì°¾ì•„ì„œ – ì¶©ì²­ë„ íŽ¸

ë„5 ì€ì‚° 금공리 ì‚°ì‹ ë„, 정림사지박물관 소장



ë„6 용장군초, 지본수묵, 목아박물관 소장



ì´ë²ˆ 시간ì—는 ì¶©ì²­ ì§€ì—­ì˜ ë¬´ì†ì‹ ì•™ì— 대해 살펴보는 ì‹œê°„ì„ ê°–ê³ ìž í•œë‹¤.
ì´ë¥¼ 통해 목아박물관 소장 ìš©ìž¥êµ°ë„ ì´ˆë³¸ì´ ì–´ëŠ ì§€ì—­ì˜ ë¬´ì‹ ë„였는지 ì•Œì•„ë³´ê³ ìž í•œ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ì¶©ì²­ë„ì˜ ë¬´ì†ì‹ ì•™

지난 시간ì—ë„ ì„¤ëª…í•œ 것처럼 용장군 ì´ˆë³¸ì´ ì–´ëŠ ì§€ì—­ 무신ë„ì¸ì§€ë¥¼ 알아보기 위해서는 ê° ì§€ì—­ 무신ë„ì˜ íŠ¹ì§•ê³¼ ë¬´ì† í˜•íƒœë¥¼ 살펴보는 ìž‘ì—…ì´ í•„ìš”í•˜ë‹¤.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무ì†ì‹ ì•™ì€ ì¶©ì²­ë„ì˜ ë¬´ì†ì‹ ì•™ì´ë‹¤.
ì¶©ì²­ë„ì˜ ë¬´ì†ì‹ ì•™ì€ ‘앉ì€êµ¿â€™ 형태가 가장 ì¼ë°˜ì ì´ë‹¤(ë„1). 앉ì€êµ¿ì€ ê²½ê°ç¶“客, 법사法師ë¼ê³  불리는 ë¬´ë‹¹ì´ ìžë¦¬ì— 앉아 ë¶ê³¼ ì§•ì„ ì¹˜ë©´ì„œ ë¬´ê²½å·«ç¶“ì„ ì½ì–´ 양재기복禳ç½ç¥ˆç¦(ìž¬ì•™ì„ ë¬¼ë¦¬ì¹˜ê³  ë³µì„ ê¸°ì›í•˜ëŠ” 것)하는 ìš°ë¦¬ë‚˜ë¼ ë¬´ì†ì‹ ì•™ì˜ 한 형태ì´ë‹¤. ì¶©ì²­ë„ì—서 유행하고 특히 ì–‘ë°˜ë“¤ì´ ì„ í˜¸í•˜ëŠ” 굿ì´ë¼ 하여 â€˜ì¶©ì²­ë„ êµ¿â€™ ë˜ëŠ” ‘양반 굿’ì´ë¼ê³ ë„ 불린다. 현재 앉ì€êµ¿ì€ â€˜ì¶©ì²­ë„ ì•‰ì€êµ¿[å¿ æ·¸é“ ì•‰ì€êµ¿]’ì´ë¼ëŠ” ì´ë¦„으로 ì¶©ì²­ë¶ë„ 무형문화재로 지정ë˜ì–´ 있으며, â€˜ëŒ€ì „ì˜ ì•‰ì€êµ¿[å¤§ç”°ì˜ ì•‰ì€êµ¿]’ì´ë¼ëŠ” ì´ë¦„으로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ë˜ì–´ 있다.


ë„1 ì¶©ì²­ë„ ì•‰ì€êµ¿, 문화재청, 공공누리



ë„2 설위설경設ä½è¨­ç¶“, 지본채색, ê° 60×10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ì²­ë„ ë¬´ì‹ ë„를 살펴보ìž

ì¶©ì²­ ì§€ì—­ì˜ ë¬´ì‹ ë„는 우리가 ìƒê°í•˜ëŠ”, 먹과 안료를 사용해 그린 무신ë„와는 거리가 있다. 실제로 ì¶©ì²­ ì§€ì—­ì˜ êµ¿ë‹¹ì€ ë¬¼ë¡  박물관ì—ì„œë„ 40ë…„ ì´ìƒ ëœ ì¶©ì²­ 지역 무신ë„를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ì¶©ì²­ 지역ì—ì„œë„ êµ¿ë‹¹ê³¼ 굿íŒì— ì‹ ì˜ í˜•ìƒì„ 모시고 무ì†ì˜ë¡€ë¥¼ 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ì¶©ì²­ 지역ì—서는 ì‹ ì˜ í˜•ìƒì„ 어떻게 표현했ì„까. 바로 ‘설위설경設ä½è¨­ç¶“’ì´ë‹¤(ë„2), (ë„3). ì„¤ìœ„ì„¤ê²½ì€ ë¬´ì‹ ë„ì˜ ì—­í• ì„ í•˜ëŠ” 무구巫具로, 종ì´ì— 글씨를 쓰거나 칼로 형ìƒì„ 오려내어 만든다. ì„¤ìœ„ì„¤ê²½ì€ ì‹ ì˜ ì´ë¦„ì„ ì ì€ 위목ä½ç›®ê³¼ ì‹ ì˜ í˜•ìƒê³¼ ë¶€ì  ë“±ì„ í‘œí˜„í•œ 설진設陣으로 나눌 수 있으며, ì¶©ì²­ë„ ì•‰ì€êµ¿ì˜ 가장 í° íŠ¹ì§•ìœ¼ë¡œ 꼽힌다. ê·¸ëŸ°ë° ì„¤ìœ„ì„¤ê²½ì€ ì¢…ì´ë¥¼ 오려서 만들기 ë•Œë¬¸ì— ë‚´êµ¬ì„±ì´ í¬ê²Œ 떨어져 ì˜¤ëž˜ëœ ìœ ë¬¼ì´ ë‚¨ì•„ìžˆì§€ 않다. 그리고 6·25 ì´í›„ ì¶©ì²­ ì§€ì—­ì— ì„œìš¸Â·ê²½ê¸°ì§€ì—­ 등 다른 ì§€ì—­ì˜ ë¬´ë‹¹ë“¤ì´ ìœ ìž…ë˜ë©´ì„œ ì´ë“¤ì˜ ì˜í–¥ì„ 받아 ì¶©ì²­ ì§€ì—­ì˜ ë¬´ì†ì‹ ì•™ì´ 빠르게 변형ë˜ì—ˆë‹¤. ì¶©ì²­ ì§€ì—­ì˜ êµ¿ë‹¹ì—서 다른 지역처럼 êµ¿ë‹¹ì— ì¼ë°˜ì ì¸ 무신ë„를 봉안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1960년대 ì´í›„ 대량ìƒì‚°ëœ ë™ì¼í•œ ë„ìƒì˜ 무신ë„ê°€ 봉안ë˜ê³  있다. ë˜í•œ ì„¤ìœ„ì„¤ê²½ì„ ê¸°ê³„ë¡œ 대량제작하여 íŒë§¤í•˜ë©´ì„œ ì„¤ìœ„ì„¤ê²½ì„ ì œìž‘í•˜ëŠ” ì‚¬ëžŒë“¤ì´ ì ì°¨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면 ì¶©ì²­ ì§€ì—­ì˜ ë¬´ì‹ ë„는 한 ì ë„ 없는 것ì¼ê¹Œ? 그렇지는 않다. 우리가 정확하게 ì¶©ì²­ ì§€ì—­ì˜ ë¬´ì‹ ë„ìž„ì„ ì•Œ 수 있는 ìœ ë¬¼ì´ ëª‡ ì  ìžˆë‹¤. ê·¸ 중 하나는 ìžì£¼ 소개ë˜ëŠ” 공주 계룡산 중악단 ì‚°ì‹ ë„ì´ê³ (ë„4), 나머지 하나는 ì€ì‚° 금공리 ì‚°ì‹ ë„(부여 í–¥í† ìœ ì  ì œ24호)ì´ë‹¤(ë„5). ì´ ì¤‘ 공주 계룡산 중악단 ì‚°ì‹ ë„는 ì›ëž˜ ìžˆë˜ ì—¬ì‚°ì‹ ë„ê°€ ë„난당한 후 새로 그린 것ì´ë¼ 전한다. ë”°ë¼ì„œ ê´‘ë³µ ì´ì „ì˜ ìœ ë¬¼ì´ë¼ê³  보기 어려우며, ì¶©ì²­ ì§€ì—­ì˜ ê³ ìœ í•œ íŠ¹ì„±ì„ ì§€ë‹ˆê³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ì€ì‚° 금공리 ì‚°ì‹ ë„는 ì´ì „ì— ìžˆë˜ ê²ƒì´ ì˜¤ëž˜ë˜ì–´ 1989ë…„ì— ë‹¤ì‹œ 그렸다는 기ë¡ì´ 있고, 유물 ìƒíƒœë¥¼ ë³´ì•„ ê´‘ë³µ ì´ì „ì— ê·¸ë ¤ì§„ ìœ ë¬¼ì¸ ê²ƒìœ¼ë¡œ íŒë‹¨ëœë‹¤. ë”°ë¼ì„œ ì€ì‚° 금공리 ì‚°ì‹ ë„를 ì¶©ì²­ ì§€ì—­ì˜ ë¬´ì‹ ë„ íŠ¹ì§•ì„ ì§€ë‹ˆê³  있는 것으로 ë³¼ 수 있다.


(위) ë„3 설위설경設ä½è¨­ç¶“, 공주민ì†ê·¹ë°•물관 소장
(아래) ë„4 공주 계룡산 중악단 ì‚°ì‹ ë„


용장군 초본과 비êµí•˜ëŠ” ì¶©ì²­ 지역 무신ë„

ì´ì œ ì€ì‚° 금공리 ì‚°ì‹ ë„와 ìš©ìž¥êµ°ë„ ì´ˆë³¸ì„ ë¹„êµí•´ë³´ìž(ë„5), (ë„6). ì¼ë‹¨ 비율ì—서 ì°¨ì´ê°€ 난다. ìš©ìž¥êµ°ë„ ì´ˆë³¸ì€ ì„¸ë¡œë¡œ 긴 í˜•íƒœì¸ ë° ë¹„í•´, ì€ì‚° 금공리 ì‚°ì‹ ë„는 ìƒëŒ€ì ìœ¼ë¡œ 가로와 ì„¸ë¡œì˜ ë¹„ìœ¨ì´ ë¹„ìŠ·í•˜ë‹¤. 제작법 ë˜í•œ 다르다. ì€ì‚° 금공리 ì‚°ì‹ ë„는 ì¼ë°˜ì ì¸ 무신ë„ê°€ ì´ˆë³¸ì„ ë– ì„œ 그리는 것과는 달리 초본 ì—†ì´ ë¨¹ì„ ì„ ê·¸ë¦¬ê³  ì±„ìƒ‰ì„ ë”한 형태ì´ë‹¤. ìš©ìž¥êµ°ë„ ì´ˆë³¸ì´ í™œìš©ë˜ëŠ” 모습과는 다른 것ì´ë‹¤.
물론 ì´ì²˜ëŸ¼ 단순히 형태를 비êµí•˜ëŠ” ê²ƒì„ ê°€ì§€ê³  ì§€ì—­ì„ êµ¬ë¶„ 짓는 ê²ƒì€ ì–´ë ¤ìš´ 것ì´ë‹¤. ë˜í•œ ì€ì‚° 금공리 ì‚°ì‹ ë„ í•œ ì ë§Œì„ 가지고 비êµí•˜ëŠ” ê²ƒì€ ì„±ê¸‰í•œ ì¼ë°˜í™”ì˜ ì˜¤ë¥˜ë¥¼ 범하는 것ì´ë‹¤.
그럼ì—ë„ ì´ëŸ¬í•œ 비êµì—°êµ¬ë¥¼ 진행하는 ê²ƒì€ ë‹¤ë¥¸ ìžë£Œë“¤ì´ ë‚˜íƒ€ë‚¬ì„ ë•Œ ìžë£Œë¥¼ 추가하여 비êµì—°êµ¬í•˜ëŠ” ìž‘ì—…ì„ ì¢€ ë” ì‰½ê²Œ 하려는 ì˜ë„ì´ë‹¤. ë§¨ë•…ì— í—¤ë”©í•˜ëŠ” ê²ƒì€ ì ìœ¼ë©´ ì ì„ìˆ˜ë¡ ì¢‹ì€ ê²ƒì´ ì•„ë‹ˆê² ëŠ”ê°€.
ì´ë²ˆ 시간ì—는 ì¶©ì²­ 지역 무신ë„와 ìš©ìž¥êµ°ë„ ì´ˆë³¸ì„ ë¹„êµí•´ë³´ì•˜ë‹¤. ë‹¤ìŒ ì‹œê°„ì—ë„ ë‹¤ë¥¸ ì§€ì—­ì˜ ë¬´ì‹ ë„와 ìš©ìž¥êµ°ë„ ì´ˆë³¸ì„ ë¹„êµí•˜ëŠ” ì‹œê°„ì„ ë§ˆë ¨í•˜ê³ ìž í•œë‹¤.
용장군 ì´ˆë³¸ì„ ë¹„ë¡¯í•œ ë¬´ì‹ ë„ ì´ˆë³¸ì„ ì—°êµ¬í•˜ë ¤ë©´ ë¬´ì‹ ë„ ì§€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ì—는 ëì´ ì—†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