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堯임금 ì‹œëŒ€ì˜ ì€ìž 허유許由와 소부巢父

ë„ 1. ì „ 진재해, <소부세ì˜ë„>, 《만고기관첩》, 18세기 ì „ë°˜, 종ì´ì— 채색, 33.5×29.4cm, ì¼ë³¸ 야마토분카칸

â–²ë„ 1. ì „ 진재해, <소부세ì˜ë„>, 《만고기관첩》, 18세기 ì „ë°˜, 종ì´ì— 채색, 33.5×29.4cm, ì¼ë³¸ 야마토분카칸
*ì´ ê·¸ë¦¼ì—서는 소부가 ì˜ìˆ˜ ê°•ê°€ì—서 귀를 씻고 있고, 번중부가 소를 ìƒë¥˜ë¡œ ëŒê³  가서 ë¬¼ì„ ë¨¹ì´ê³  있다.

허유와 소부는 요임금 ì‹œëŒ€ì˜ ì „ì„¤ì ì¸ ì€ìžì´ë‹¤. ìš”ìž„ê¸ˆì´ í—ˆìœ ë¥¼ 불러 ì²œí•˜ì˜ í†µì¹˜ë¥¼ 맡기려 하였지만 허유는 ì´ë¥¼ 사양하고 다시 그런 ì œì˜ë¥¼ 듣고 ì‹¶ì§€ 않아 ì˜ìˆ˜ 물가ì—서 귀를 씻었다. ê·¸ì˜ ì¹œêµ¬ 소부가 마침 송아지를 ëŒê³  와서 ë¬¼ì„ ë¨¹ì´ë ¤ë‹¤ê°€ 허유가 귀를 씻는 ê²ƒì„ ë³´ê³  ê·¸ ì´ìœ ë¥¼ 물어보고는 ë”러운 ë¬¼ì„ ë¨¹ì¼ ìˆ˜ 없다며 ë” ìƒë¥˜ë¡œ 올ë¼ê°€ì„œ 송아지ì—게 ë¬¼ì„ ë¨¹ì˜€ë‹¤. ì´ ì´ì•¼ê¸°ëŠ” 워낙 ë„리 알려져 있어 모르는 ì‚¬ëžŒì´ ë“œë¬¼ 것ì´ë‹¤. 하지만 태í‰ì„±ëŒ€ë¥¼ 구가한 ì „ì„¤ì  ì„±êµ°ì¸ ìš”ìž„ê¸ˆì´ ì²œí•˜ë¥¼ ì–‘ìœ„í•˜ê³ ìž í•œ ê·¸ ì œì˜ê°€ 왜 ë”럽게 ë°›ì•„ë“¤ì—¬ì¡Œë˜ ê²ƒì¼ê¹Œ? ì´ê²ƒì„ ì´í•´í•˜ë ¤ë©´ ì´ ì´ì•¼ê¸°ê°€ 수ë¡ëœ ì›ì „ì¸ ã€Šê³ ì‚¬ì „é«˜å£«å‚³ã€‹(è¥¿æ™‰ì˜ çš‡ç”«è¬, 215~282ë…„ ì§€ìŒ)ì„ ì¢€ ë” ë“¤ì—¬ë‹¤ë³¼ 필요가 있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ž„ê¸ˆì˜ ìžë¦¬ë¥¼ 사양하고 ê¸°ì‚°ç®•å±±ì— ì€ë‘”한 허유

ìš”ìž„ê¸ˆì€ ì¤‘êµ­ ì‹ í™” ì†ì˜ ì¸ë¬¼ì´ë‹¤. 삼황오제三皇五å¸ì—서 오제 중 하나로서 순임금과 함께 성군è–å›ìœ¼ë¡œ 꼽힌다. ì´ëŸ° ìš”ìž„ê¸ˆì´ ìŠ¤ìŠ¤ë¡œëŠ” ë¶€ì¡±í•¨ì´ ë§Žë‹¤ê³  여기고 허유ì—게 천하를 선양하려고 하였다. 허유는 사양하면서 다ìŒê³¼ ê°™ì´ ë§í–ˆë‹¤.
“그대가 다스려 천하가 ì´ë¯¸ 잘 다스려지고 ìžˆëŠ”ë° ë‚´ê°€ 대신한다면 나ë”러 허울 ì¢‹ì€ ì´ë¦„ì„ ìœ„í•˜ë¼ëŠ” ë§ì¸ê°€? ì´ë¦„ì´ëž€ ì‹¤ì§ˆì˜ ì†ë‹˜ì´ë‹ˆ 나ë”러 ì†ë‹˜ì´ ë˜ë¼ëŠ” ë§ì¸ê°€? ë±ìƒˆê°€ ê¹Šì€ ìˆ²ì— ë‘¥ì§€ë¥¼ 튼다 í•´ë„ ë‚˜ë­‡ê°€ì§€ 하나면 충분하고, ë‘ë”지가 í™©í•˜ì˜ ë¬¼ì„ ë§ˆì‹ ë‹¤ í•´ë„ ë°°ë§Œ 채우면 그만ì´ì˜¤. 그러니 ëŒì•„가시오. 나ì—게는 천하가 쓸모가 없소ì´ë‹¤.â€
ë±ìƒˆê°€ 둥지를 트는 ë°ì— 숲 ì „ì²´ê°€ 필요하지 않고, ë‘ë”지가 배를 채우는 ë°ëŠ” 황하 ì „ì²´ê°€ 필요치 ì•Šë“¯ì´ ì€ì‚¬éš±å£«ì¸ 허유ì—게는 천하가 필요치 않다는 ë§ì´ë‹¤.
허유는 세ì†ì„ 등진 고결한 선비였으니, 아무리 ì„ ì •å–„æ”¿ì´ ì´ë£¨ì–´ì§„ 태í‰ì„±ëŒ€ë¼ í• ì§€ë¼ë„ ìž„ê¸ˆì˜ ìžë¦¬ëŠ” ì†ì„¸ì˜ ë”러운 í‹°ëŒì— 묻힌 ê³³ì´ë¼ ì—¬ê²¼ë˜ ê²ƒì´ë‹¤. 허유는 ì„ ì–‘ì„ í”¼í•˜ì—¬ 중악中岳(嵩山)ì— ìžˆëŠ” ì˜ìˆ˜æ½æ°´ ë¶ìª½ 기산箕山 ì•„ëž˜ì— ìˆ¨ì–´ 살았다고 한다. ì´í›„ ê¸°ì‚°ì€ ì€ê±°ì²˜ì˜ 대명사가 ë˜ì—ˆë‹¤. 허유ì—게는 ì´í›„ì—ë„ ìž¬ì°¨ ìš”ìž„ê¸ˆì˜ ì„ ì–‘ ì œì˜ê°€ ë“¤ì–´ì™”ëŠ”ë° í—ˆìœ ëŠ” 다시는 ê·¸ 소리를 듣고 ì‹¶ì§€ 않아 ì˜ìˆ˜ ê°•ì— ê·€ë¥¼ ì”»ì—ˆë˜ ê²ƒì´ë‹¤.

그런 허유를 수치스럽게 여긴 소부

소부는 ì€ì‚¬éš±å£«ì˜ ë³¸ë¶„ì— ë”ìš± 충실한 사람ì´ì—ˆë‹¤ê³  í•  수 있다. 심지어 새처럼 ë‚˜ë¬´ì— ë‘¥ì§€ë¥¼ 틀고 살았고, 둥지 소巢 ìžë¥¼ ì“´ ‘소부’ë¼ëŠ” ì´ë¦„ë„ ê·¸ëž˜ì„œ 유래ë˜ì—ˆë‹¤ê³  한다. 소부는 송아지ì—게 ë¬¼ì„ ë¨¹ì´ëŸ¬ 갔다가 허유가 ì˜ìˆ˜ ê°•ê°€ì—서 귀를 씻는 ê²ƒì„ ë³´ì•˜ë‹¤. 그가 ìš”ìž„ê¸ˆì˜ ì„ ì–‘ì„ ê±°ì ˆí•˜ê³  와서 씻고 ìžˆë˜ ê²ƒì„ ì•Œê³ ëŠ” “어찌하여 ìžì‹ ì˜ ëª¨ìŠµì„ ìˆ¨ê¸°ì§€ 않고 드러내었는가? 스스로 명예를 구한 것ì´ë‹ˆ ë‚´ ì†¡ì•„ì§€ì˜ ìž…ë§Œ ë”럽혔네â€ë¼ 하고 송아지를 ëŒê³  ìƒë¥˜ë¡œ ë” ì˜¬ë¼ê°€ì„œ ë¬¼ì„ ë¨¹ì˜€ë‹¤.
ì†Œë¶€ì˜ ìƒê°ì€ ì´ê²ƒì´ë‹¤. 허유가 세ìƒì„ 등지고 제대로 ì€ë‘”했다면 ê·¸ ì´ë¦„ì´ ìš”ìž„ê¸ˆì—게 ë‹¿ì§€ ì•Šì•˜ì„ ê²ƒì´ë‹ˆ 천하를 맡아달ë¼ëŠ” ì²­ì„ ë°›ì„ ì¼ë„ ì—†ì—ˆì„ ê²ƒì´ê±´ë§Œ, 그는 스스로 알려지기를 ë°”ë¼ë©° 명예를 구한 것ì´ì—ˆìœ¼ë‹ˆ 수치스럽다는 것ì´ë‹¤. 소부는 ì´í›„ 다시 허유를 ë³´ì§€ 않았다고 한다.
사실 허유와 소부는 ìƒê³ ì‹œëŒ€ì˜ ì¸ë¬¼ë“¤ë¡œì„œ ì–´ë–¤ 기ë¡ì—는 허유와 소부가 ê°™ì€ ì‚¬ëžŒì´ë¼ê³  기ë¡í•˜ê¸°ë„ 하였다. 어쨌든 허유와 소부는 세ì†ì˜ ë¶€ê·€ê³µëª…ì„ ë²„ë¦¬ê³  ì‚°ìˆ˜ì— íŒŒë¬»í˜€ ì‚´ì•˜ë˜ ê³ ê²°í•œ ì€ì‚¬ì˜ 표ìƒì´ ë˜ì–´ ì˜¤ëŠ˜ë‚ ì— ì´ë¥´ê¸°ê¹Œì§€ 숭앙ë˜ê³  있는 것ì´ë‹¤.

ê¶ì¤‘ì—서 그려진 허유와 ì†Œë¶€ì˜ ê³ ì‚¬

<소부세ì˜ë„>(ë„ 1)는 《만고기관첩》ì´ë¼ëŠ” ì„œí™”ì²©ì— ìžˆëŠ” 그림으로, í™”í­ì˜ 왼편 ì•„ëž˜ìª½ì— ì§„ìž¬í•´ç§¦å†å¥šë¼ëŠ” í™”ê°€ì˜ ì´ë¦„ì´ ì“°ì—¬ 있다. 진재해는 ì˜ì¡° 당시 최고급 í™”ì› ì¤‘ 하나ì´ê³ , ì´ ì„œí™”ì²©ì€ ê¶ì¤‘ì—서 ê°ìƒë˜ë˜ 것ì´ë‹¤. ë¯¼í™”ì˜ ì£¼ì œë¡œ 종종 다루어진 허유와 ì†Œë¶€ì˜ ê³ ì‚¬ëŠ” ê·¸ 유래가 왕실과 ìƒë¥˜ì¸µì´ 향유한 그림ì—서 비롯ë˜ì—ˆìŒì„ 알 수 있다.
ê·¸ëŸ°ë° ì´ ê·¸ë¦¼ì—서는 귀를 씻는 ì‚¬ëžŒì´ í—ˆìœ ê°€ 아닌 소부ì´ê³ , 소를 탄 ì¸ë¬¼ì€ 번중부樊仲父ì´ë‹¤. ì´ ê·¸ë¦¼ì˜ ë§žì€íޏì—는 <소부세ì˜ë„>와 ê´€ë ¨ëœ ê³ ì‚¬ë¥¼ ì ì€ 글씨가 ì“°ì—¬ 있는ë°, 바로 《고사전》 ì¤‘ì˜ ã€Œì†Œë¶€ã€íŽ¸ê³¼ ìœ„ë‚˜ë¼ ì¡°ì‹æ›¹æ¤ì´ ì§€ì€ ã€Œí—ˆìœ ì†Œë¶€ë²ˆì¤‘ë¶€ì°¬è¨±ç”±å·¢çˆ¶æ¨Šä»²çˆ¶è´Šã€ì´ë¼ëŠ” 글ì—서 발췌한 ë‚´ìš©ì´ë‹¤. ê·¸ ë‚´ìš©ì„ ë³´ë©´ ìš”ìž„ê¸ˆì´ í—ˆìœ ì—게 왕위를 ì–‘ìœ„í•˜ê³ ìž í–ˆë‹¤ëŠ” ì‚¬ì‹¤ì„ ì†Œë¶€ê°€ 듣고 ì˜ìˆ˜ ê°•ê°€ì—서 귀를 씻는다. 마침 소ì—게 ë¬¼ì„ ë¨¹ì´ë˜ 번중부는 ë”러운 ë¬¼ì„ ì†Œì—게 ë¨¹ì¼ ìˆ˜ 없다며 ìƒë¥˜ë¡œ ëŒê³  간다. ì¡°ì‹ì˜ 글ì—서 허유·소부·번중부는 요임금 ë•Œì˜ ì„¸ ì€ì‚¬éš±å£«ë¼ 칭하였다. ì´ ê·¸ë¦¼ì—서는 허유는 전혀 표현ë˜ì§€ 않고 소부가 ë¶€ê°ë˜ì—ˆë‹¤ëŠ” ì ì´ í¥ë¯¸ë¡­ë‹¤. ì¡°ì„  í›„ê¸°ì— í—ˆìœ ì™€ ì†Œë¶€ì˜ ê³ ì‚¬ëŠ” ã€Šê³ ì‚¬ì „ã€‹ë¿ ì•„ë‹ˆê³  ë”ìš± 다양한 ë¬¸í—Œì„ í†µí•´ 수용ë˜ì—ˆìŒì„ 알 수 있다.

ì†ì„¸ë¥¼ 벗어나 유유ìžì í•˜ëŠ” ì€ì‚¬ë“¤ì˜ ì‚¶ì˜ í‘œìƒ

‘ì˜ìˆ˜ì—서 귀를 씻는다’는 ì œëª©ì˜ ê·¸ë¦¼ì—서 대개 귀를 씻는 ì´ëŠ” 허유ì´ê³  소를 ë„는 ì´ëŠ” 소부ì´ë‹¤. <ì˜ìƒì„¸ì´ë„>(ë„ 2)는 고사ì¸ë¬¼í™” 8í­ ì¤‘ì˜ í•˜ë‚˜ì´ë‹¤. ê°•ì´ í™”í­ì„ 대ê°ì„ ìœ¼ë¡œ 가르고, ì „ê²½ì—는 소를 탄 ì¸ë¬¼ì´ ê°•ì˜ ê±´ë„ˆíŽ¸ì—는 귀를 씻는 í—ˆìœ ì˜ ëª¨ìŠµì´ ê·¸ë ¤ì¡Œë‹¤. 사선으로 가로지른 ê°•ì„ ì¤‘ì‹¬ìœ¼ë¡œ 한 구ë„ê°€ í™”ë©´ì— ë™ì„¸ë¥¼ ë”í•´ 주고, ì¸ë¬¼ê³¼ 산등성ì´ì— 청·í™Â·í™©Â·ê°ˆÂ·ë…¹ìƒ‰ ë“±ì˜ ì±„ìƒ‰ì´ ê°€í•´ì ¸ì„œ 화사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ìžì•„낸다.
가회민화박물관 ì†Œìž¥ì˜ <ì˜ìˆ˜ì„¸ì´ë„>(ë„ 3)ë„ ì˜ìˆ˜æ½æ°´ì—서 귀를 씻는 허유와 ì†Œë¶€ì˜ ê³ ì‚¬ë¥¼ 그렸다. ì´ ê·¸ë¦¼ì—서는 수묵으로 ë¬˜ì‚¬ëœ ì‚°ìˆ˜ê°€ ì±„ìƒ‰ì´ í™”ì‚¬í•œ ì¸ë¬¼ë“¤ê³¼ 대조를 ì´ë£¨ë©° 신선한 ê°ê°ì„ 보여준다. ë”구나 화면 ìƒë‹¨ì˜ 바위산ì—서 아래를 향해 거꾸로 ìžëž€ 소나무와 ê±°ê¸°ì— ê±¸ë¦° í—ˆìœ ì˜ ì˜· í‘œí˜„ì€ íŒŒê²©ì´ë¼ í•  만하다. ì›ƒí†µì„ ë²—ì€ ì±„ 귀를 씻는 허유와 소를 탄 ì†Œë¶€ì˜ í•´í•™ì  í‘œí˜„ì´ ê·¸ë¦¼ì— ìž¬ë¯¸ë¥¼ ë”해준다.

기산箕山, 허유 ì´ëž˜ì˜ ëŒ€í‘œì  ì€ë‘”처

<세ì´ì˜ì²œë„>(ë„ 4)는 언뜻 한 í­ì˜ 수묵 산수화 같다. 지그재그로 í르는 ì˜ì²œì´ 화면 ì¤‘ì•™ì„ ì¢…ìœ¼ë¡œ 가르고, ê°•ê¸°ìŠ­ì˜ í’ê´‘ì´ í™”í­ì˜ í…Œë‘리를 ë”°ë¼ íŽ¼ì³ì¡Œë‹¤. 가만히 ë³´ë©´ 화면 하단 ê°• 가운ë°ì˜ 바위섬ì—서 한 ì¸ë¬¼ì´ 귀를 씻고 있고, 소 한 마리가 홀로 ë¬¼ì„ ë¨¹ê³  있다. ì´ë“¤ì€ ì´ ê·¸ë¦¼ì˜ ì£¼ì¸ê³µì´ì§€ë§Œ ë¹„ì¤‘ì´ í˜„ì €ížˆ 줄어든 모습ì´ë‹¤. 심지어 주요 등장ì¸ë¬¼ 중 í•˜ë‚˜ì¸ ì†Œë¶€ëŠ” 아예 ìƒëžµë˜ì—ˆë‹¤. 고사ì¸ë¬¼í™”ì—서 ê³ ì‚¬ì‚°ìˆ˜í™”ë¡œì˜ ì´í–‰ ê³¼ì •ì„ ë³´ì—¬ 주는 듯하다.
<기산ë„箕山圖>(ë„ 5)ì˜ í™”ë©´ êµ¬ì„±ì€ ë³µí•©ì ì´ë‹¤. ìƒë‹¨ì—는 고사ë„, 하단ì—는 화조ì˜ëª¨ë„ê°€ 결합한 형ì‹ì´ë‹¤. 민화 가운ë°ëŠ” ì´ì²˜ëŸ¼ í™”ë©´ì„ ìƒë‹¨ìœ¼ë¡œ 나누어 전혀 다른 ì£¼ì œì˜ ê·¸ë¦¼ì„ ê·¸ë¦° 예를 ë³¼ 수 있다. ì´ ê·¸ë¦¼ì—서 í•˜ë‹¨ì— ê·¸ë ¤ì§„ ê²ƒì€ ì—°ê½ƒê³¼ 잉어, ìžë¼ë¡œì„œ ìƒë‹¨ì˜ <기산ë„>와는 ê´€ë ¨ì„±ì´ ì—†ë‹¤. 여기서 ê´€ì‹¬ì„ ë„는 ê²ƒì€ ë°”ë¡œ ìƒë‹¨ì— 그려진 것ì´ë‹¤. 화면 ì¤‘ì•™ì˜ í° ì‚°ì€ ê¸°ì‚°ì´ê³  거기서 í˜ëŸ¬ë‚´ë¦° ê°•ì€ ì˜ìˆ˜ì´ë‹¤. 소 한 마리가 ê·¸ ë¬¼ì„ ë¨¹ê³  있다. 바로 허유와 ì†Œë¶€ì˜ ê³ ì‚¬ì˜ ë°°ê²½ì´ ë˜ëŠ” ê¸°ì‚°ì„ ê·¸ë¦° 그림ì´ë‹¤. ê·¸ëŸ°ë° ì¸ë¬¼ì€ ìƒëžµë˜ê³  소부가 ëŒë˜ 소만 그려졌다. ì´ì•¼ê¸°ì˜ ë°°ê²½ì´ ë˜ëŠ” 산수화를 통해 ê³ ì‚¬ì˜ ë‚´ìš©ì„ ì „í•˜ëŠ” ì´ ê°™ì€ ê·¸ë¦¼ì€ í—ˆìœ ì™€ ì†Œë¶€ì˜ ê³ ì‚¬ê°€ ê·¸ë§Œí¼ ë„리 알려져 있었ìŒì„ ë§í•´ 준다. í™”ë©´ì˜ ìƒë‹¨ì—는 기산과 ê´€ë ¨ëœ ê°„ëžµí•œ ê¸€ì´ ì í˜€ìžˆë‹¤. “소부는 빈 골짜기ì—서 배를 주리고, ì²œí•˜ì˜ ë…¹ë´‰ì€ ëœ¬êµ¬ë¦„ê³¼ 같구나. ì¸ê·¼ì˜ ë…¸ì¸ì´ ì—°ëª»ì— ì™€ì„œ 송아지 ë¬¼ì„ ë¨¹ì´ë„¤.â€ ì²œí•˜ì˜ ì™• ë…¸ë¦‡ë„ ëœ¬êµ¬ë¦„ ê°™ì€ ê²ƒì´ë‹¤. 세ì†ì„ 초월한 옛 ì€ì‚¬ì˜ ì‚¶ì„ ë™ê²½í•˜ê³  ì¶”êµ¬í–ˆë˜ ì¸ì‹¬ì„ 보여준다.

 

글 : 유미나(ì›ê´‘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