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ê·œìž¥ê° ì˜ê¶¤ 귀환 10주년 ê¸°ë… íŠ¹ë³„ì „

ì™¸ê·œìž¥ê° ì˜ê¶¤ ì „ëŸ‰ì„ ëª¨ì•„ 꾸민 서가.
ê·¸ 어마어마한 규모ì—서 조선왕조가 ì˜ê¶¤ì— ë“¤ì¸ ë‚¨ë‹¤ë¥¸ ê³µë ¥ì„ ì—¿ë³¼ 수 있다.


ì™¸ê·œìž¥ê° ì˜ê¶¤, ê·¸ ê³ ê·€í•¨ì˜ ì˜ë¯¸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ì´ ì™¸ê·œìž¥ê° ì˜ê¶¤ì˜ 귀환 10ì£¼ë…„ì„ ê¸°ë…í•´ íŠ¹ë³„ì „ì„ ê°œìµœí•œë‹¤.
êµ­ì™•ì„ ìœ„í•´ 특별 ì œìž‘ëœ ì™¸ê·œìž¥ê° ì˜ê¶¤ì—는 ì¡°ì„ ì™•ì¡°ì˜ í†µì¹˜ì² í•™ë¶€í„° 수준 ë†’ì€ ë¯¸ê°ê¹Œì§€ ë‹¹ëŒ€ì˜ ë¬¸í™”ê°€ 고루 깃들었다. ê·¸ 고귀한 ì˜ë¯¸ë¥¼ 찾아 박물관 ë‚´ ë§ˆë ¨ëœ ì™¸ê·œìž¥ê°ì„ 방문했다.

글 문지혜 ê¸°ìž ì‚¬ì§„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조선시대 ì™•ì‹¤ì˜ ë³´ë¬¼ì°½ê³  외규장ê°å¤–奎章閣, ì´ê³³ 최고 보배로 ì†ê¼½ížˆëŠ” ì˜ê¶¤å„€è»Œ 297ì±…ì´ ëŒ€ëŒ€ì ìœ¼ë¡œ 공개ëœë‹¤.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ì´ ì™¸ê·œìž¥ê° ì˜ê¶¤ì˜ 귀환 10ì£¼ë…„ì„ ê¸°ë…í•´ 오는 3ì›” 19ì¼(ì¼)까지 개최하는 특별전 <ì™¸ê·œìž¥ê° ì˜ê¶¤, ê·¸ ê³ ê·€í•¨ì˜ ì˜ë¯¸>를 통해서다.
ì¡°ì„  ì œ22대 왕 정조正祖가 1782ë…„ ê°•í™”ë„ì— ì„¤ì¹˜í•œ 외규장ê°ì€ 왕실 관련 서ì ê³¼ 진귀한 ë¬¼ê±´ë“¤ì„ ë³´ê´€í•˜ë˜ ê³³ì´ë‹¤. ì™¸ê·œìž¥ê° ë‚´ 가장 ë§Žì€ ìˆ˜ëŸ‰ì„ ì°¨ì§€í•œ ê²ƒì´ ë°”ë¡œ ‘ì˜ê¶¤â€™ë‹¤. ì˜ê¶¤ëž€ ‘ì˜ì‹å„€å¼ì˜ 궤범軌範’ 즉, ‘ì˜ì‹ì˜ 본보기가 ë˜ëŠ” ì±…â€™ì„ ì˜ë¯¸í•œë‹¤. êµ­ê°€ì˜ ì£¼ìš” 행사가 ê°œìµœëœ ë°°ê²½ë¶€í„° ì§„í–‰ 매뉴얼까지 세밀히 기ë¡ëœ ì¼ì¢…ì˜ í–‰ì‚¬ ê²°ê³¼ 보고서ì´ë‹¤. í›„ëŒ€ì— ì˜ë¡€ë‚˜ 행사를 준비할 때는 물론 ìœ ì  ë° ìœ ë¬¼ ë³µì› ìž‘ì—…ì—ë„ ìš”ê¸´í•˜ê²Œ ì‚¬ìš©ë  ë§Œí¼ ê·¸ ë‚´ìš©ì´ ë¬´ì²™ ìƒì„¸í•˜ë‹¤. í†µìƒ ì˜ê¶¤ëŠ” êµ­ì™•ì´ ë³´ëŠ” 어람용御覽用 1ë¶€ ì™¸ì— ì˜ì •ë¶€, 춘추관 등 관련 중앙기관과 봉화 태백산, í‰ì°½ 오대산 등 사고å²åº«ì— 보내지는 ë¶„ìƒìš©åˆ†ä¸Šç”¨ìœ¼ë¡œ 구분ë˜ì–´ ì˜ê¶¤ 당 ì´ 5~9ë¶€ 내외로 제작ëœë‹¤.
ì™¸ê·œìž¥ê° ì˜ê¶¤ê°€ 여타 ì˜ê¶¤ì™€ 차별화ë˜ëŠ” ë¶€ë¶„ì€ ë¶„ìƒìš©ê³¼ 등ë¡ë¥˜ ì¼ë¶€ë¥¼ 제외한 290ì±… ëª¨ë‘ êµ­ì™•ì´ ë³´ëŠ” 어람용ì´ë¼ëŠ” ì ì´ë‹¤. 최고급 재료만으로 출중한 장ì¸åŒ äººì˜ 솜씨로 ì œìž‘ë¼ í‘œì§€, 서체, 안료 등 모든 ë©´ì—서 ë¶„ìƒìš©ê³¼ êµ¬ë³„ë  ë§Œí¼ ë…ë³´ì  ë¯¸ê°ê³¼ ê¸°ìˆ ë ¥ì„ ìžëž‘한다.
병ì¸ì–‘ìš”(1866ë…„) 당시 ê°•í™”ë„ì— ìƒë¥™í•œ 프랑스 군대가 외규장ê°ì„ 불태우며 약탈해간 ì˜ê¶¤ëŠ” ì´í›„ 파리 국립ë„ì„œê´€ì— ì¤‘êµ­ì±…ìœ¼ë¡œ ë¶„ë¥˜ë¼ ìžˆë‹¤ê°€ 1978ë…„ 박병선(1928-2011) 박사가 ì´ë¥¼ 발견하면서 재조명ë다. 2011ë…„ ì™¸ê·œìž¥ê° ì˜ê¶¤ê°€ 귀환한 ë’¤ êµ­ë¦½ì¤‘ì•™ë°•ë¬¼ê´€ì€ ì§€ì†ì ìœ¼ë¡œ 학술연구, 온ë¼ì¸ ë°ì´í„°ë² ì´ìФ 구축 ë“±ì„ ì§„í–‰í•´ì™”ë‹¤. ì´ë²ˆ íŠ¹ë³„ì „ì€ ì§€ë‚œ 10여년 ê°„ì˜ ì—°êµ¬ 성과를 나누는 ìžë¦¬ì¸ ì…ˆì´ë‹¤.


ì˜ê¶¤ ì† ì™•ì‹¤ ìž”ì¹˜ì˜ ëª¨ìŠµì„ ìž¬í˜„í•˜ì—¬ 만든 3ë¶€ 전시장 ì „ê²½



ì™•ì´ ë³´ëŠ” 어람용 ì˜ê¶¤ëŠ” êµ­ê²©ë„ ìƒì§•í•˜ê¸°ì— ì¼ë°˜ 서책ì—서 ë³¼ 수 없는 고급스러운 장황 ë°©ì‹ìœ¼ë¡œ 제작ë다. 고급 ì´ˆì£¼ì§€è‰æ³¨ç´™, 비단, 금ì†ì¸ ë³€ì² é‚Šéµ ë“± 최고 재료와 장ì¸ì˜ 솜씨로 완성한 어람용 ì˜ê¶¤ëŠ” 단지 ì±…ì´ ì•„ë‹Œ 예술품과 다름없다.


조선시대 ê¸°ë¡ ë¬¸í™”ì˜ ê½ƒ, ì˜ê¶¤

ê°•í™”ë„ì— ìœ„ì¹˜í•œ ì™¸ê·œìž¥ê° ê±´ë¬¼ì„ ì‹¤ë¬¼ê³¼ ë™ì¼í•œ í¬ê¸°ì™€ 모양으로 재현한 미디어파사드를 지나 전시실 안으로 들어서면 ì„œê°€ì— ì§„ì—´ëœ ì˜ê¶¤, 왕실 귀중품 등 ì™¸ê·œìž¥ê° ë‚´ë¶€ë¥¼ 재현한 ê³µê°„ì´ íŽ¼ì³ì§„다. 특히 ì¹¸ì¹¸ì´ ì™¸ê·œìž¥ê° ì˜ê¶¤ë¡œ 채워 ë„£ì€ ëŒ€í˜• 서가가 ì••ê¶Œ. 조선왕조가 수 세기 ë™ì•ˆ ì˜ê¶¤ì— ìŸì•„온 공력과 ê·¸ ì†ì— 깃든 ìœ„ì—„ì„ ëŠë‚„ 수 있다.
전시는 ì´ 3부로 구성ë다. 1ë¶€ â€˜ì™•ì˜ ì±…, ì™¸ê·œìž¥ê° ì˜ê¶¤â€™ì—서는 ì˜ê¶¤ê°€ 지닌 ê°€ì¹˜ì— ëŒ€í•´ 조명한다. 실ë¡å¯¦éŒ„, 등ë¡è¬„錄, ì¼ê¸°æ—¥è¨˜ 등 다양한 기ë¡ë¬¼ì„ 남긴 ì¡°ì„ ì™•ì¡°ì˜ ê¸°ë¡ë¬¸í™”는 유명하지만, 그중ì—ì„œë„ ì˜ê¶¤ëŠ” ìƒì„¸í•œ 내용과 다른 기ë¡ë¬¼ì—서는 찾기 힘든 세밀하고 아름다운 그림까지 ê°–ì¶° ‘조선시대 ê¸°ë¡ ë¬¸í™”ì˜ ê½ƒâ€™ìœ¼ë¡œ 불린다. ì¼ë¡€ë¡œ, 1829ë…„ ë°œìƒí•œ 대화재로 ì¸í•´ 훼ì†ëœ 경복ê¶ì„ 재건축하는 작업과 관련하여 《숙종실ë¡ã€‹ì—서는 ê³µì—­ì˜ ì‹œìž‘ 시ì ì´ë‚˜ 완공 시ì ë§ˆì €ë„ 드러나지 ì•Šì„ ë§Œí¼ ë‹¨íŽ¸ì ìœ¼ë¡œ 다뤄지지만, 《서ê¶ì˜ê±´ë„ê°ì˜ê¶¤ã€‹ì—서는 ê¶ê¶ì˜ ì¤‘ì‹¬ë¶€ì— ìœ„ì¹˜í•œ 주요 ì „ê°ì˜ 공사 ë‚´ìš©, ì‚¬ìš©ëœ ë¶€ìž¬ ë‚´ì—­ ë“±ì´ ì „ê°ë³„로 ì •ë¦¬ë¼ ìžˆê³  해당 ì „ê°ì˜ 지붕 구조, 창호 수량과 모양까지 그림으로 세세히 ë¬˜ì‚¬ë¼ ìžˆë‹¤. 임혜경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조선시대 역사를 디테ì¼í•˜ê²Œ ë³¼ 수 있는 기ë¡ë¬¼ë¡œ ‘ì˜ê¶¤â€™ë§Œí•œ ê²ƒì´ ì—†ë‹¤. ê°ì¢… 기ë¡ë¶€í„° ë„설圖說까지 방대한 ë‚´ìš©ì„ ì´ë§ë¼í•œ ê²ƒì€ ë¬¼ë¡ , 문화유ì ì„ 보수하거나 관리할 ë•Œë„ í° ë„ì›€ì´ ë˜ëŠ” ìžë£Œâ€ë¼ê³  ë§í–ˆë‹¤.


《ì¸ì„ ì™•후ì˜ë¦‰ì‚°ë¦‰ë„ê°ì˜ê¶¤(ìƒ)ã€‹ì— ìˆ˜ë¡ëœ ì‚¬ìˆ˜ë„ ë„설圖說. 국왕ì´ë‚˜ ì™•í›„ì˜ ìž¥ë¡€ì—서는 ì°¬ê¶æ¬‘å®®ì— ì‚¬ìˆ˜ë„를 ë¶™ì´ëŠ” ê²ƒì´ í†µë¡€ì´ì§€ë§Œ, ì°¬ê¶ì€ 장례 ì˜ì‹ì´ ë나면 ëª¨ë‘ ë¶ˆíƒœìš°ë¯€ë¡œ 사수ë„는 ì˜¤ì§ ì˜ê¶¤ë¥¼ 통해서만 확ì¸í•  수 있다. 박물관ì—서 따로 보존처리를 하지 ì•Šì•„ë„ ë  ë§Œí¼ ë„ì„¤ì´ ì„ ì—°í•˜ë‹¤



《기사진표리진찬ì˜ê¶¤ã€‹ ì† 1809ë…„ ì°½ê²½ê¶ ê²½ì¶˜ì „ì—서 열린 진표리 장면. (ì˜êµ­êµ­ë¦½ë„서관 소장 ë° ìžë£Œ 제공).


바른 예법으로 조화로운 사회 추구

2ë¶€ â€˜ì˜ˆç¦®ë¡œì¨ êµ¬í˜„í•˜ëŠ” 바른 정치’ì—서는 ì˜ê¶¤ì— 기ë¡ëœ êµ­ê°€ 주요 행사와 ì´ì— 깃든 ì¡°ì„ ì˜ í†µì¹˜ì² í•™ì„ ì‚´íŽ´ë³¸ë‹¤. ì™•ì‹¤ì˜ ê¶Œìœ„ë¥¼ 높ì´ê¸° 위해 왕위 계승ìžë¥¼ ê³µì¸í•˜ëŠ” ì™•ì„¸ìž ì±…ë¡€å†Šç¦® ë° ì–´ì§„å¾¡çœž 관련 ì˜ë¡€, êµ­ì™•ì´ ì¶©ì‹ ë“¤ì„ ì˜ˆìš°í•˜ì—¬ ì‹ ì˜ä¿¡ç¾©ë¥¼ ë³´ì´ê³ ìž 마련한 공신녹훈功臣錄勳 ì˜ë¡€, 유êµì  혼례를 보급하기 위해 ì™•ì‹¤ì´ ì†”ì„ ìˆ˜ë²”í•˜ì—¬ ì„ ë³´ì¸ ì¹œì˜ë¡€è¦ªè¿Žç¦®ë¥¼ 중심으로 한 혼례, ë°±ì„±ë“¤ì˜ ìƒì—…ç”Ÿæ¥­ì¸ ë†ì‚¬ë¥¼ 장려하고 ì• ë¯¼ì •ì‹ ì„ ë‹´ì•„ êµ­ì™•ì´ ì§ì ‘ ë†ì‚¬ì§“는 ì‹œë²”ì„ ë³´ì¸ ì¹œê²½è¦ªè€•ì˜ë¡€ 등 ì˜ë¡€ì˜ 종류는 무척ì´ë‚˜ 다양하지만 ì´ ëª¨ë‘를 관통하는 지향ì ì€ 하나, ‘예치’ì´ë‹¤. 신하와 ë°±ì„±ë“¤ì´ ì§„ì‹¬ìœ¼ë¡œ ê¸°êº¼ì´ ë”°ë¥¼ 수 있ë„ë¡ ì™•ì´ ìœ„ì—„ì„ ë³´ì´ê³ , 솔선수범하여 바른 ì˜ˆë²•ì„ ì‹¤ì²œí•¨ìœ¼ë¡œì¨ ë‹¤í•¨ê»˜ 조화를 ì´ë£¨ëŠ” 사회를 ë§Œë“¤ê³ ìž í–ˆë˜ ê²ƒì´ë‹¤.
3ë¶€ì˜ í…Œë§ˆëŠ” ‘질서 ì†ì˜ 조화’로, 왕실 잔치를 통해 다양한 ì‚¬ëžŒë“¤ì´ ì˜ë¡€ 절차를 따르며 ì¦ê±°ì›€ì„ 나누는 ëª¨ìŠµì„ ì„ ë³´ì¸ë‹¤. 왕실 잔치 역시 ì¡°ì„ ì´ ì˜ë¡€ë¥¼ 통해 ì´ë£¨ê³ ìží–ˆë˜ ì´ìƒì  ì‚¬íšŒì˜ ì¶•ì†ŒíŒì¸ ì…ˆ. ì „ì‹œìž¥ì— ì§„ì—´ëœ ã€Šê¸°ì‚¬ì§„í‘œë¦¬ì§„ì°¬ì˜ê¶¤ã€‹ëŠ” 1809ë…„ 순조純祖가 ì¡°ëª¨ì¸ í˜œê²½ê¶ì˜ 관례(冠禮, 전통사회ì—ì„œì˜ ì„±ì¸ì˜ì‹) 60ì£¼ë…„ì„ ì¶•í•˜í•˜ê¸° 위해 창경ê¶ì—서 개최한 진표리(進表è£, 경사스러운 ë‚  ì˜·ì˜ ê²‰ê°ê³¼ 안ê°ì„ 바치는 ì¼)와 ì§„ì°¬(進饌, ê¶ì¤‘잔치)ì´ ê¸°ë¡ëœ ì±…ì´ë‹¤. 현재 ìœ ë¬¼ì„ ì†Œìž¥í•œ ì˜êµ­êµ­ë¦½ë„ì„œê´€ì˜ í˜‘ì¡°ë¡œ 실물과 ë˜‘ê°™ì€ í˜•íƒœë¡œ 복제하여 관람ê°ì´ ì§ì ‘ ì±…ìž¥ì„ ë„˜ê¸°ë©° ê°ìƒí•  수 있ë„ë¡ í–ˆìœ¼ë©° ê¶ì¤‘ ìž”ì¹˜ì— ì‚¬ìš©ëœ ì¶•, 어·어채 ë“±ì˜ ì•…ê¸°, ëª¨ëž€ë„ ë³‘í’ ë“±ì„ í•¨ê»˜ ì„ ë³´ì¸ë‹¤.
ì—필로그ì—서는 ì¡°ì„  ì´í›„ ì˜ê¶¤ì˜ ì´ì•¼ê¸°ë¥¼ 다룬다. 1897ë…„ ëŒ€í•œì œêµ­ì´ ìˆ˜ë¦½ë¼ ì¡°ì„ ê³¼ëŠ” 다른 국가체제를 갖춘 ë’¤ì—ë„ ì˜ê¶¤ë¥¼ 제작하는 ì „í†µì€ ê³„ì† ì´ì–´ì¡Œë‹¤. 1897ë…„ 10ì›”ì— ê°„í–‰í•œ 《대례ì˜ê¶¤å¤§ç¦®å„€è»Œã€‹ëŠ” ì¡°ì„ ì´ ëŒ€í•œì œêµ­ìœ¼ë¡œ 거듭나는 가장 중요한 ì˜ì‹ì¸ ê³ ì¢…í™©ì œì˜ ì¦‰ìœ„ì‹ì´ ìƒì„¸ížˆ 기ë¡ëœ ì±…ì´ë‹¤. ì¡°ì„ ì™•ì¡°ì˜ ê¸°ë¡ì •ì‹ ì´ ëŒ€ëŒ€ë¡œ ì´ì–´ì¡ŒìŒì„ 알 수 있는 대목ì´ë‹¤.
ì´ì²˜ëŸ¼ ì˜ê¶¤ì—는 절차와 형ì‹ì— 맞게 ì˜ë¡€ë¥¼ 잘 ì‹œí–‰í•¨ìœ¼ë¡œì¨ ë°”ë¥¸ 예를 실천하고, ê¶ê·¹ì ìœ¼ë¡œ 바른 정치를 ì‹¤í˜„í•˜ë ¤í–ˆë˜ ì¡°ì„ ì™•ì¡°ì˜ ê°€ì¹˜ê°€ 담겨있다. ì˜ê¶¤ê°€ 단순히 기ë¡ë¬¼ì˜ ì°¨ì›ì„ 넘어 고귀한 문화유산으로 í‰ê°€ 받는 ì´ìœ ë‹¤.

ì™¸ê·œìž¥ê° ì˜ê¶¤ 귀환 10주년 ê¸°ë… íŠ¹ë³„ì „
2022ë…„ 11ì›” 1ì¼(í™”)~2023ë…„ 3ì›” 19ì¼(ì¼)
휴관 | 2023ë…„ 1ì›” 1ì¼(ì¼), 1ì›” 22ì¼(ì¼)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MINI INTERVIEW


êµ­ì™•ì´ ë³´ë˜ ì™¸ê·œìž¥ê° ì˜ê¶¤, 예치 ì² í•™ 고스란히 담아낸 최ìƒê¸‰

ì´ê²ƒë§Œì€ 놓치지 ë§ ê²ƒ!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ì™¸ê·œìž¥ê° ì˜ê¶¤, ê·¸ ê³ ê·€í•¨ì˜ ì˜ë¯¸>를 기íší•œ 임혜경 학예연구사가 짚어주는 ì „ì‹œì˜ ë·° í¬ì¸íЏ.

사진 ìš°ì¸ìž¬ 기ìž


임혜경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학예연구사

Q ì´ë²ˆ ì „ì‹œì˜ ê¸°íšì˜ë„ì— ëŒ€í•´ ë§ì”€í•´ì£¼ì„¸ìš”.
1866ë…„ 병ì¸ì–‘ìš” 때 í”„ëž‘ìŠ¤êµ°ì´ ì•½íƒˆí•´ê°„ ì™¸ê·œìž¥ê° ì˜ê¶¤ê°€ 한국으로 ëŒì•„온 시기는 2011년입니다. ì´í›„ êµ­ë¦½ì¤‘ì•™ë°•ë¬¼ê´€ì´ ì™¸ê·œìž¥ê° ì˜ê¶¤ë¥¼ 보관하고 관리하면서 ì´ì™€ 관련해 학술ì´ì„œë¥¼ 발간하거나 í•™ìˆ ëŒ€íšŒë„ ê¾¸ì¤€ížˆ 개최했습니다. ê·¸ 성과를 대중들과 공유하기 위해 íŠ¹ë³„ì „ì„ ì—´ê²Œ ëœ ê²ƒì´ì§€ìš”. 2021ë…„ì´ ì™¸ê·œìž¥ê° ì˜ê¶¤ 귀환 10ì£¼ë…„ì´ ë˜ëŠ” 해여서 그때 íŠ¹ë³„ì „ì„ ì—´ë ¤ 했는ë°, 코로나19 펜ë°ë¯¹ ë•Œë¬¸ì— ì „ì‹œ ì¼ì •ì„ ë¯¸ë¤„ 2022ë…„ì— ì „ì‹œë¥¼ 개최하였습니다.


Q 프랑스 정부가 ì™¸ê·œìž¥ê° ì˜ê¶¤ë¥¼ ‘반환’하진 ì•Šì€ ê²ƒìœ¼ë¡œ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ì™¸ê·œìž¥ê° ì˜ê¶¤ë¥¼ ‘대여’한 것ì¸ê°€ìš”?
ë§Žì€ ë¶„ë“¤ì´ í•˜ì‹œëŠ” 질문ì¸ë°ìš”, ë§ì”€í•˜ì‹ ëŒ€ë¡œ ‘대여’ ë°©ì‹ìœ¼ë¡œ ì™¸ê·œìž¥ê° ì˜ê¶¤ë¥¼ í•œêµ­ì— ê°€ì ¸ì™”ìŠµë‹ˆë‹¤. 정부간 í•©ì˜ ì•„ëž˜ 국립중앙박물관과 프랑스국립ë„ì„œê´€ì´ ì•½ì •ì„ ì²´ê²°í•˜ì˜€ìŠµë‹ˆë‹¤. 대여 ê¸°ê°„ì´ ì •í•´ì§„ ê²ƒì€ ì•„ë‹ˆê³  정기ì ìœ¼ë¡œ ê³„ì•½ì„ ê°±ì‹ í•˜ëŠ” ë°©ì‹ì´ì§€ìš”.


Q ì´ë²ˆ ì „ì‹œì˜ ê´€ëžŒ í¬ì¸íŠ¸ì— ëŒ€í•´ ë§ì”€í•´ì£¼ì„¸ìš”.
보통 특별전ì—서는 주요 ìž‘í’ˆë§Œì„ ì†Œê°œí•˜ëŠ”ë°, ì´ë²ˆ 전시ì—서는 êµ­ë¦½ì¤‘ì•™ë°•ë¬¼ê´€ì´ ë³´ê´€í•´ì˜¤ë˜ ì™¸ê·œìž¥ê° ì˜ê¶¤ë¥¼ ëª¨ë‘ ì˜®ê²¨ì™€ ê·¸ 규모를 ì²´ê°í•  수 있ë„ë¡ í–ˆìŠµë‹ˆë‹¤. ì™¸ê·œìž¥ê° ì˜ê¶¤ë¥¼ ëª¨ë‘ ê³µê°œí•˜ëŠ” ê²ƒì€ ì´ë²ˆì´ 처ìŒìž…니다. 사실, 297ì±…ì— ë‹¬í•˜ëŠ” ì™¸ê·œìž¥ê° ì˜ê¶¤ë„ 조선시대 ì˜ê¶¤ 중 극히 ì¼ë¶€ìž…니다. ì˜ê¶¤ê°€ 지닌 역사성과 ê°œì„±ì„ ìŒë¯¸í•˜ì‹œë©° ê°ìƒí•˜ì‹ ë‹¤ë©´ ë”ìš± í¥ë¯¸ë¡­ê²Œ 전시를 관람하실 수 있으실 ê²ë‹ˆë‹¤.


Q 관람ê°ë“¤ì´ ‘ì´ê²ƒë§Œí¼ì€â€™ 기억했으면 하는 ê²ƒì´ ìžˆë‹¤ë©´ 무엇ì¸ê°€ìš”?
ë‘ ê°€ì§€ì¸ë°ìš”, 하나는 ì™¸ê·œìž¥ê° ì˜ê¶¤ê°€ êµ­ì™•ì´ ë³´ë˜ â€˜ì–´ëžŒìš© ì˜ê¶¤â€™ì¸ë§Œí¼ í’ˆê²©ì´ ë‚¨ë‹¤ë¥¸ 최ìƒê¸‰ì˜ ì±…ì´ë¼ëŠ” 것, 다른 하나는 바른 ì˜ˆë²•ì— ë”°ë¼ ì˜ë¡€ë¥¼ ì§„í–‰í•˜ê³ ìž í–ˆë˜ ì¡°ì„  ì‚¬ëžŒë“¤ì˜ â€˜ì² í•™â€™ìž…ë‹ˆë‹¤. 예禮는 효å­, ì¶©å¿ , ì‹ ì˜ä¿¡ç¾© 등 조선사회가 ì¶”êµ¬í–ˆë˜ ì‚¬íšŒì  ê°€ì¹˜ë¥¼ 구현하는 êµ¬ì²´ì  ì‹¤ì²œ 방법ì´ì—ˆìŠµë‹ˆë‹¤. ì˜ë¡€ëŠ” ì´ëŸ¬í•œ ì˜ˆì— ì ˆì°¨ì™€ 형ì‹ì„ 부여한 것ì´ì§€ìš”. ê²°êµ­ ì˜ê¶¤ëŠ” 바른 ì˜ˆì— ë”°ë¼ ì˜ë¡€ë¥¼ 행하기 위해 구체ì ìœ¼ë¡œ 어떻게 해야 í•˜ëŠ”ì§€ì— ëŒ€í•œ 대답ì´ë¼ëŠ” ì ì—서 ì¡°ì„ ì´ ë§Œì„¸è¬ä¸–ì˜ ëª¨ë²”ìœ¼ë¡œ ì‚¼ê³ ìž í•œ 통치 철학과 ì˜ë¡€ ê²½í—˜ì´ ê³ ìŠ¤ëž€ížˆ 담겨있습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