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아 작가 특별전 <불로 그린 민화> 작품 리뷰

오선아 작가는 ì¹ ë³´ ê³µì˜ˆì— í˜„ëŒ€ì ì¸ 민화를 접목한 ìž‘í’ˆì„ ì„ ë³´ì¸ë‹¤.
ë¯¼í™”ì˜ íšŒí™”ì  ì•„ë¦„ë‹¤ì›€ ë¿ ì•„ë‹ˆë¼ ì¡°í˜•ì  íŠ¹ì„±ì„ ê°€ë¯¸í•œ ì´ ìž‘í’ˆë“¤ì—서는 오 작가 íŠ¹ìœ ì˜ ë°ì€ ì—너지와 위트를 ëŠë‚„ 수 있다. ì¼ë ¨ì˜ 작품 활ë™ì„ 통해 현대민화가 나아갈 ê¸¸ì„ ëª¨ìƒ‰í•˜ëŠ” 오선아 ìž‘ê°€ì— ëŒ€í•´ ì´ì•¼ê¸°í•´ë³´ê³ ìž 한다.


민화가 공예ë¼ëŠ” 시ê°ì´ ë‹¤ë¶„í–ˆë˜ 20세기 후반, 현대민화는 다양한 미술 ë¶„ì•¼ì˜ ì¢…í•©ì ì¸ ì„±ê²©ì„ ê°€ì§€ëŠ” 공모전ì—서 주로 공예 ë¶€ë¬¸ì— í¬í•¨ë˜ëŠ” ê²½í–¥ì´ ìžˆì—ˆë‹¤. 민화가 가지는 í‰ë©´ì„±ê³¼ ê°™ì€ íšŒí™”ì ì¸ íŠ¹ì„±ì„ ê³ ë ¤í•œë‹¤ë©´ ì´ê²ƒì€ 조금 ì˜ì•„한 부분ì´ë‹¤. 그러나 민화가 대중화ë˜ì—ˆë˜ ì¡°ì„  후기와 ë§ê¸°ì— 우리 ì„ ì¡°ë“¤ì€ ì´ëŸ¬í•œ 수복ì ì´ê³  벽사ì ì¸ ê·¸ë¦¼ì„ ì‹¤ìƒí™œì— 활용하여 ì§‘ì•ˆì„ ìž¥ì‹í•˜ê³ , 제례나 혼례 ë“±ì˜ ë‹¤ì–‘í•œ ì˜ë¡€ì— 사용하였으니 어쩌면 민화는 ê·¸ 태ìƒë¶€í„° 회화ì´ì§€ë§Œ 공예ì ì¸ íŠ¹ì§•ì„ ê°€ì§€ê³  있다고 해야 í• ì§€ë„ ëª¨ë¥´ê² ë‹¤. ì¡°ì„ ë¯¼í™”ë°•ë¬¼ê´€ì˜ ë¶„ê´€ìœ¼ë¡œ 2015ë…„ ê°•ì§„ì— ê°œê´€í•œ 한국민화뮤지엄ì—서는 <대한민국민화대전>ì„ ì‹ ì„¤í•˜ë©´ì„œ 민화 ë¿ ì•„ë‹ˆë¼ ë¯¼í™”ë¥¼ 접목한 공예 ë¶€ë¬¸ì„ ë³„ë„로 추가하였다. 민화를 그리는 ì¸êµ¬ê°€ ì¦ê°€í•¨ì— ë”°ë¼ íšŒí™”ê°€ 아닌, 다양한 ê³µì˜ˆí’ˆì— ë¯¼í™”ë¥¼ 활용하는 ì‚¬ëžŒë“¤ì´ ëŠ˜ì–´ë‚œ í˜„ì‹¤ì„ ë°˜ì˜í•œ 것ì´ë‹¤. ì´ì¯¤ ë˜ë‹ˆ 민화가 회화ì¸ê°€ 공예ì¸ê°€í•˜ëŠ” ì§ˆë¬¸ì€ ìš°ë¦¬ ì„ ì¡°ë“¤ì´ ë¯¼í™”ë¥¼ 그리거나 ìƒí™œì— í™œìš©í–ˆë˜ ì²˜ìŒë¶€í„° 그렇게 중요하지 ì•Šì•˜ëŠ”ì§€ë„ ëª¨ë¥´ê² ë‹¤.
지난 8ì›” 8ì¼ë¶€í„° 10ì›” 31ì¼ê¹Œì§€ 3달간 한국민화뮤지엄 2층 ìƒí™œë¯¼í™”전시실ì—서 ì—´ë ¸ë˜ ì˜¤ì„ ì•„ 작가 초청 <불로 그린 민화> 특별전 ë˜í•œ ì´ëŸ¬í•œ ë§¥ë½ì—서 ì´í•´ê°€ 가능하다. 오선아 작가는 ì¡°ê°ì„ 전공하고 작품 활ë™ì„ ê³„ì† í•˜ë‹¤ 브론즈 ì¡°ê° ìž‘í’ˆì— ìƒ‰ì„ ìž…ížˆê³ ìž ì¹ ë³´ì— ìž…ë¬¸í•˜ì˜€ë‹¤. ì¹ ë³´ ê³µì˜ˆë„ ë¯¼í™”ì™€ 마찬가지로 고등 êµìœ¡ê¸°ê´€ ë‚´ì— ì „ë¬¸ êµìœ¡ í”„ë¡œê·¸ëž¨ì´ ë§ˆë ¨ë˜ì§€ 않았고, 주로 ë³´ì„공예 ì „ê³µì—서 부분ì ìœ¼ë¡œ 다루는 분야ì´ê¸° ë•Œë¬¸ì— ìŠ¤ìŠ¤ë¡œ ìžë£Œë¥¼ 찾아보거나 다양한 ì‹¤í—˜ì„ í†µí•œ ë…í•™ì˜ ì‹œê°„ì„ ê±°ì³ì•¼ 했다. 오선아 작가가 2005년부터 ì¹ ë³´ì¡°ê°ì„ 비롯한 여러 ìž¥ë¥´ì˜ ìž‘í’ˆì— í™œìš©í•˜ì˜€ìœ¼ë‹ˆ ì Šì€ ìž‘ê°€ìž„ì—ë„ ë¶ˆêµ¬í•˜ê³  경력ì´ë‚˜ 작품 ìˆ˜ì¤€ì€ ì§ìž‘ì´ ê°€ëŠ¥í•˜ë‹¤. ë”ìš±ì´ ìžì‹ ë§Œì˜ ì¹ ë³´ ê¸°ë²•ì„ ê°œë°œí•˜ëŠ” 등 새로운 ë„ì „ì„ ê³„ì†í•˜ê³  있다는 ì ì—서 주목할 만한 작가ì´ë‹¤.
오선아 작가가 한국민화뮤지엄과 ì¸ì—°ì„ ë§ºì€ ê²ƒì€ 2016ë…„ <ì œ19회 김삿갓문화제 전국민화공모전> 창작민화 부문ì—서 최우수ìƒì„ 받으면서다. 고온ì—서 구워내어 색ê°ì„ 살려내는 ì¹ ë³´ 공예 ìž‘í’ˆì€ íˆ¬ê³¼ìœ¨ì´ ì¢‹ì€ ìœ ë¦¬ì§ˆì´ê¸° ë•Œë¬¸ì— ìƒ‰ìƒì´ 선명하고 화려한 ê²ƒì´ íŠ¹ì§•ì´ë‹¤. 한국민화뮤지엄 초청전ì—서 오선아 작가는 ì´ëŸ¬í•œ ì¹ ë³´ ê³µì˜ˆì— ë¯¼í™”ë¥¼ 접목하여 수복ì ì´ê³  길ìƒì ì¸ ë„ìƒì„ ë°ê³  화려하게 담아낸 ìž‘í’ˆë“¤ì„ ë‹¤ìˆ˜ 선보였다. ë˜í•œ ì¹ ë³´ ê¸°ë²•ì´ ê°€ì§€ëŠ” ê³µì˜ˆì  íŠ¹ì„±ì„ í™œìš©í•˜ì—¬ 화장대나 í˜‘íƒ ë“±ì˜ ë‹¤ì–‘í•œ 가구를 민화 칠보로 장ì‹í•˜ê±°ë‚˜ 촛대, 시계 ë“±ì˜ ìƒí™œìš©í’ˆì„ 작품으로 íƒˆë°”ê¿ˆì‹œí‚¤ê¸°ë„ í–ˆë‹¤. 특히 ì¹ ë³´ 공예와 ì¡°ê°ì„ 접목한 와 는 ê·¸ë¦¼ì´ ê·¸ë ¤ì§„ ë¶€ë¶„ì´ ê°€ì§€ëŠ” 유려한 회화ì ì¸ 면모 ë¿ ì•„ë‹ˆë¼ ë‹¤ê°ë„로 ê°ìƒ 가능한 ì¡°í˜•ì  ì•„ë¦„ë‹¤ì›€ê¹Œì§€ 살려낸 작품으로 관람ìžë“¤ì˜ ì´ëª©ì„ 집중시켰다.

민화를 접목한 ì¹ ë³´ 공예, í˜„ëŒ€ì  ê°ì„±ì˜ 매력

오선아 작가 ìž‘í’ˆì˜ íŠ¹ì§• 중 하나는 í‰ì˜¨í•œ 분위기와 유쾌함ì´ë‹¤. ë‘ ë‹¨ì–´ê°€ 가지는 ì‚¬ì „ì  ì˜ë¯¸ë¡œ 본다면 다소 ìƒì¶©í•˜ëŠ” ë¶€ë¶„ì´ ìžˆì„ ìˆ˜ 있지만 ê·¸ë…€ì˜ ìž‘í’ˆ ì†ì—서는 ë‘ ê°€ì§€ 모ë‘ê°€ ìžì—°ìŠ¤ëŸ½ê²Œ 공존한다. <í–‰ìš´ì˜ ë§>ì—서는 í‰í™”롭게 í’€ì„ ëœ¯ê³  있는 얼룩ë§ì„ í‘œí˜„í•˜ë©´ì„œë„ ê³ ì „ì ìœ¼ë¡œ 옆ì´ë‚˜ ì•žëª¨ìŠµì„ ë³´ì—¬ì£¼ëŠ” ë„ìƒì—서 벗어나 관람ìžì—게 ê³¼ê°í•˜ê²Œ ì—‰ë©ì´ë¥¼ 들ì´ë°€ê³  네잎 í´ë¡œë²„ê°€ 달린 꼬리를 펄럭ì´ëŠ” ëª¨ìŠµì„ ì œì‹œí–ˆë‹¤. ìž‘ê°€ì˜ í•´í•™ê³¼ 위트가 그림 ì†ì— 그대로 녹아든 것ì´ë‹¤. ë§ˆë„¤ì˜ <올랭피아>나 ë¥´ëˆ„ì•„ë¥´ì˜ <누워있는 누드>와 ê°™ì´ 19세기 ë§ì—서 20세기 ì´ˆ 다양한 ê·¸ë¦¼ì— ë“±ìž¥í•˜ë˜ ì•„ë¦„ë‹¤ìš´ 나체 ì—¬ì¸ì´ 오선아 ìž‘ê°€ì˜ <ì•„ë¦„ë‹¤ì›€ì„ ë³´ë‹¤>ì—서는 ì—°ê½ƒì´ ë§Œë°œí•˜ê³  ìƒˆë“¤ì´ ë…¸ë‹ˆëŠ” í‰í™”로운 연못 ê·¼ì²˜ì— ë“±ìž¥í•œë‹¤. ê·¸ê²ƒë„ ì„œì–‘í™”ì—서 ë³´ì´ë˜ ì—¬ì¸ê³¼ 달리 ê²€ì€ ë¨¸ë¦¬ë¥¼ 가진 우리네 모습으로 ë§ì´ë‹¤.
전통민화가 그대로 ì¹ ë³´ 공예로 표현ë˜ì—ˆì„ ê²ƒì„ ê¸°ëŒ€í•œ 관람ê°ë“¤ì˜ ìƒíˆ¬ì ì¸ 기대를 í•œìˆœê°„ì— ë¬´ì°¸ížˆ 깨는 장면ì´ë‹¤. ìž‘í’ˆì´ ê´€ëžŒìžì˜ 기대와 ê¼­ ë§žì•„ 떨어진다면 새로운 전시를 향하는 발걸ìŒì€ ì•„ë§ˆë„ ì ì§€ 않게 줄어들 것ì´ë‹¤. 관람ìžë¡œì„œ 우리는 어쩌면 작가가 ì „ë‹¬í•˜ê³ ìž í•˜ëŠ” 메시지를 ë‹´ë˜ ê·¸ 표현 매체와 조형, 색 ë“±ì— ê°œì„±ì„ ë‹´ì•„ 신선하게 ëŠê»´ì§€ëŠ” 무언가를 기대하며 ì „ì‹œìž¥ì„ ì°¾ëŠ”ì§€ë„ ëª¨ë¥´ê² ë‹¤. 그런 ë©´ì—서 오선아 ìž‘ê°€ì˜ ì „ì‹œëŠ” 사진으로는 다 담아낼 수 없는 디테ì¼ê³¼ ìƒ‰ê° ì´ì™¸ì—ë„ ê³µê°„ì„ ê°€ë“ ì±„ìš°ëŠ” ë°ì€ ì—너지, 유쾌함, 위트가 함께 어우러져 ì¼ìƒì—서 ëŠë‚„ 수 없는 신선한 ê°ë™ìœ¼ë¡œ 다가온다. 분명, 오선아 ìž‘ê°€ì˜ ìž‘í’ˆì€ í˜•íƒœë‚˜ 색, 재료 등 표면ì ìœ¼ë¡œ 전통민화와는 거리ê°ì´ 있다. 그러나 소ë§ê³¼ ë°”ëžŒì„ ë‹´ì€ ë¯¼í™”ê°€ 우리 ì„ ì¡°ë“¤ì˜ ì‚¶ì—서 ìŸì•„ëƒˆë˜ ê¸ì •ì ì¸ ê°ì„±ì´ 충분히 녹아들어 있다. ê·¸ 형용할 수 없는 í’성한 ê°ìˆ˜ì„±ì´ 오랜 ì‹œê°„ì„ ê²¬ëŽŒ 다분히 현대ì ì¸ ì˜·ì„ ìž…ê³  우리 ì•žì— ë‚˜íƒ€ë‚¬ì„ ë¿.

ì‹ ì„ í•˜ë©´ì„œë„ ìœ ì¾Œí•œ 작품세계, í˜„ëŒ€ë¯¼í™”ì˜ ë°©í–¥ 제시해

현대민화 작가들 사ì´ì—서 ìž‘í’ˆì˜ ë°©í–¥ì„± 문제는 ì´ë¯¸ 가장 í° í™”ë‘ê°€ ëœ ì§€ 오래ì´ë‹¤. ì „í†µì„ ê³ ìˆ˜í•  것ì¸ì§€, ë˜ëŠ” í˜„ëŒ€ì  ë¯¸ê°ì„ ë”í•´ 새로운 시ë„를 í•  것ì¸ì§€, 즉 재현민화와 창작민화가 엎치ë½ë’¤ì¹˜ë½í•˜ëŠ” ìƒí™©ì€ 당분간 현대민화ì—서 계ì†í•´ì„œ ì´ì–´ì§ˆ 것으로 내다본다. ê·¸ëŸ°ë° ì°½ìž‘ë¯¼í™”ì—서 어떠한 ë°©ì‹ìœ¼ë¡œ í˜„ëŒ€ì„±ì„ ì ‘ëª©í•  것ì¸ì§€ì— 관한 ë°©ë²•ë¡ ì€ ìž‘í’ˆí™œë™ì„ 하는 현대민화 작가들 ë¿ ì•„ë‹ˆë¼ ì´ë¥¼ 지켜보는 연구ìžë“¤ê¹Œì§€ 민화계 모ë‘ì˜ ê´€ì‹¬ ë¶„ì•¼ìž„ì— í‹€ë¦¼ì—†ë‹¤. 우리 ì„ ì¡°ë“¤ì˜ ì‚¶ì—서 ê·¸ëŸ¬í–ˆë“¯ì´ ë¯¼í™”ê°€ 전통ì ì¸ ë§¥ë½ì„ ì§€í‚¤ë©´ì„œë„ í˜„ëŒ€ì¸ì˜ ìž…ë§›ì— ì•Œë§žê²Œ 요리ë˜ì–´ì•¼ 현대ì¸ì˜ ìƒí™œ ê³µê°„ì„ íŒŒê³ ë“¤ì–´ ìžë¦¬ë§¤ê¹€í•˜ëŠ” 진정한 ì˜ë¯¸ì—ì„œì˜ ëŒ€ì¤‘í™”ë¥¼ ì´ë£¨ì—ˆë‹¤ê³  í•  수 있기 때문ì´ë‹¤. 그러한 ì˜ë¯¸ì—서 오선아 작가는 ì¼ë ¨ì˜ 작품활ë™ì„ 통해 í•˜ë‚˜ì˜ ë°©í–¥ì„ ì œì‹œí•˜ê³  있다고 ë³¼ 수 있다.


글 오슬기 (한국민화뮤지엄 학예실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