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ì‹œì ˆì˜ ì „ì—¼ë³‘ê³¼ 민화 그림으로 ì§ˆë³‘ì— ë§žì„œë‹¤

ë„ 1. ê³ ì–‘ì´, 1884ë…„ ê²½

ì¡°ì„  ë§ê¸°ì— ì „ì—¼ë³‘ì´ ì°½ê¶í•  때면, 병마로부터 ìƒëª…ì„ ì§€í‚¤ê¸° 위한 ê·¸ë¦¼ë“¤ì´ ê·¸ë ¤ì¡Œë‹¤. ì§ˆë³‘ì„ ë¬¼ë¦¬ì¹˜ê¸° 위한 주술ì ì¸ ì„±ê²©ì˜ ë¯¼í™”ë“¤ì´ë‹¤. ì´ ê·¸ë¦¼ë“¤ì€ ì˜ìˆ ì˜ 혜íƒì´ 미치지 못한 í‰ë¯¼ë“¤ì—게 ì‹¬ì‹ ì˜ ìœ„ë¡œì™€ í‰ì•ˆì„ 주었다. 하지만, ì˜í•™ì˜ 발달과 ë”불어 ì£¼ìˆ ì  ë¯¼í™”ë“¤ì€ ì°¨ì¸° íš¨ë ¥ì„ ìžƒê³  무ì†ì˜ 공간ì´ë‚˜ 박물관으로 들어가야만 했다. 우리 ë¬´ì† ë¯¼í™” ì†ì— 담긴 ì „ì—¼ë³‘ì˜ ëŒ€ì²˜ë²•ê³¼ ê·¸ê²ƒì„ ê·¹ë³µí•˜ê³ ìž í–ˆë˜ ê°„ì ˆí•œ 형ìƒë“¤ì„ 들여다본다.

ì „ì—¼ë³‘ì€ ì˜ˆë‚˜ 지금ì´ë‚˜ 변함없는 ê³µí¬ì˜ 대ìƒì´ë‹¤. ì´ ë¬´ì‹œë¬´ì‹œí•œ 병마病魔를 ì¡°ì„ ì‹œëŒ€ì˜ ì‚¬ëžŒë“¤ì€ ì–´ë–»ê²Œ ê°ë‹¹í•˜ì˜€ì„까? ê³¼ê±°ì˜ ì˜ìˆ ì€ ì „ì—¼ë³‘ì˜ ê³µì„¸ì— ì•„ë¬´ëŸ° 대ì‘ì¡°ì°¨ 하지 못했다. ìˆ˜ë§Žì€ ì¸ëª…ì´ ê³µí¬ì™€ 고통 ì†ì—서 ì†ìˆ˜ë¬´ì±…으로 í¬ìƒë˜ì—ˆë‹¤. ì˜ìˆ ì˜ 기회마저 접하지 못한 ë°±ì„±ë“¤ì€ ì €ë§ˆë‹¤ ì§ˆë³‘ì˜ ìž¬ì•™ì—서 ë²—ì–´ë‚˜ê³ ìž ì£¼ìˆ ì˜ íž˜ì— ì˜ì¡´í•˜ê¸°ë„ 했다. í‰ë¯¼ë“¤ì€ 민간신앙ì´ë‚˜ 무ì†ì˜ 세계ì—서 마ìŒì˜ í‰ì˜¨ì„ 찾았다. ë˜í•œ 기ë„ì˜ ëŒ€ìƒì¸ 조형물ì´ë‚˜ ë¶€ì ç¬¦ç± ë“±ì„ ë§Œë“¤ì–´ ê·¸ê²ƒì´ ì˜í—˜í•œ ëŠ¥ë ¥ì„ ë°œíœ˜í•´ 주기를 빌었다.
ì¡°ì„  ë§ê¸°ì— 유행한 ë¯¼í™”æ°‘ç•µë„ ì´ëŸ¬í•œ ë°°ê²½ì—서 그려진 사례가 많다. 예컨대 ì •ì›”ì´ˆí•˜ë£¨ì— ì§‘ì§‘ë§ˆë‹¤ ëŒ€ë¬¸ì— ë¶™ì¸ ì„¸í™”æ­²ç•µë„ ì§ˆë³‘ì´ë‚˜ 사악한 ê¸°ìš´ì„ ë§‰ê³ ìž ê·¸ë¦° 대표ì ì¸ ì‚¬ë¡€ì˜ í•˜ë‚˜ë‹¤.
하지만, ë³µì„ êµ¬í•˜ê³  ì‚¬ì•…í•¨ì„ í‡´ì¹˜í•œë‹¤ëŠ” ì˜ë¯¸ì˜ 세화는 í˜„ì‹¤ì´ í‰ì˜¨í•  때 ì´ì•¼ê¸°í•  수 있는 그림ì´ë‹¤. ìƒëª…ì„ ìœ„í˜‘í•˜ëŠ” 질병과 마주선 ì‚¬ëžŒë“¤ì€ ì–´ë–¤ 그림으로 ìœ„ì•ˆì„ ì‚¼ê³  ë˜í•œ ìžì‹ ì„ ì§€í‚¤ê³ ìž í–ˆì„까? 질병 앞ì—서 ì˜ìˆ ê³¼ 처방마저 ì†Œìš©ì´ ì—†ì„ ë•Œ, ì‚¬ëžŒë“¤ì€ í•œ í­ì˜ ê·¸ë¦¼ì— ê°„ì ˆí•œ ë°”ëžŒì„ ë‹´ì•˜ë‹¤.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콜레ë¼ì™€ ê³ ì–‘ì´

ì¡°ì„ ì‹œëŒ€ì˜ ê°€ìž¥ ê³µí¬ìŠ¤ëŸ¬ìš´ 병마는 ì „ì—¼ë³‘ì¸ ê´´ì§ˆæ€ªç–¾ì´ì—ˆë‹¤. ì›ì¸ë„ 모른 채 죽어가는 ì‚¬ëžŒë“¤ì´ ì†ì¶œí•  때, ê·¸ ì§ˆë³‘ì„ â€˜ê´´ì§ˆâ€™ì´ë¼ 불렀다. 『조선왕조실ë¡ã€ì—는 ê´´ì§ˆì— ê´€í•œ 기ë¡ì´ ì ì§€ 않게 나온다. 가장 심ê°í–ˆë˜ ê²ƒì€ 1821ë…„(순조 21) ì‹ ì‚¬ë…„ì— ì „êµ­ì„ ì´ˆí† í™”ì‹œì¼°ë˜ ê´´ì§ˆì´ë‹¤. 무ë”위가 맹위를 ë–¨ì¹˜ë˜ ê·¸ í•´ì˜ 8ì›” 13ì¼, í‰ì•ˆê°ì‚¬ë¡œë¶€í„° 숨 ê°€ìœ ë³´ê³ ê°€ 올ë¼ì™”다. í‰ì–‘ë¶€ì— ê´´ì§ˆì´ ë°œìƒí•˜ì—¬ ì—´í˜ ë™ì•ˆ 1천 ëª…ì´ ì£½ì—ˆìœ¼ë©°, 구제할 ë°©ë²•ë„ ì—†ì–´ ëˆˆì•žì˜ ê´‘ê²½ì´ ë§¤ìš° 참담하다는 ë‚´ìš©ì´ì—ˆë‹¤. ì´ë¡œë¶€í„° ì—´í˜ ë’¤ì¸ 8ì›” 22ì¼ì˜ 『순조실ë¡ã€ì—는 ê´´ì§ˆì´ ì„œìš¸ê³¼ 전국으로 번져 수십만 ëª…ì˜ ì‚¬ë§ìžê°€ 나왔다는 기ë¡ì´ 있다. ì „ì—¼ë³‘ì€ ê¸‰ì†ë„로 확산ë˜ì–´ ê°€ëŠ”ë° ì† ì“¸ ë°©ë„ê°€ 없었다. ì´ ê´´ì§ˆì˜ ì •ì²´ëŠ” 19세기 ë§ì— 가서야 비로소 ë°í˜€ì¡Œë‹¤. 바로 콜레ë¼Cholera였다. 당시 콜레ë¼ëŠ” ìŒì—­í•˜ì—¬ ‘호역虎疫’ í˜¹ì€ â€˜í˜¸ì—´ìžè™Žåˆ—刺’로 ì“°ê³  불렸다. 호랑ì´ê°€ ì‚´ì ì„ 찢어내는 듯한 ê³ í†µì„ ì¤€ë‹¤ëŠ” ì˜ë¯¸ë‹¤. ì´ â€˜í˜¸ì—´ìžâ€™ëŠ” 1821ë…„ 우리나ë¼ì— ì²˜ìŒ ë°œë³‘í•˜ì—¬ 백성 10만여 명 ì´ìƒì˜ ëª©ìˆ¨ì„ ì•—ì•„ê°„ 안타까운 재앙ì´ì—ˆë‹¤.
콜레ë¼ë¥¼ 체험한 ì‚¬ëžŒì€ ê·¸ 무서운 ê³µí¬ë¥¼ 잊지 못한다. ë˜ ë‹¤ì‹œ ê´´ì§ˆì´ ì˜¨ë‹¤ëŠ” ì†Œë¬¸ì´ ë“¤ë¦¬ë©´, ì´ëŸ° ê·¸ë¦¼ì´ ì§‘ì§‘ë§ˆë‹¤ 붙었다. 프랑스 ì¸ë¥˜í•™ìž 샤를 ë°”ë¼Charles Varat(1842~1893)ê°€ 1888ë…„ì— ì§€ë°©ì„ ì—¬í–‰í•  때, ì–´ëŠ ë§ˆì„ì—서 발견한 <ê³ ì–‘ì´> 그림ì´ë‹¤.(ë„ 1) ë°”ë¼ëŠ” ì´ ê·¸ë¦¼ì„ ì½œë ˆë¼ì˜ ì ‘ê·¼ì„ ë¬¼ë¦¬ì¹˜ê³ ìž í•œ ë¶€ì  ê°™ì€ ê·¸ë¦¼ì´ë©°, ë‹¹ì‹œì˜ ë°±ì„±ë“¤ì€ ì½œë ˆë¼ì˜ ì£¼ë²”ì„ ì¥ë¡œ 여겼다고 소개하였다. ì¥ê°€ ë°œë³‘ì˜ ì›ì¸ì´ ë˜ì—ˆê¸°ì— ì¥ì˜ 천ì ì¸ ê³ ì–‘ì´ë¥¼ 그려ë‘ë©´ 콜레ë¼ê°€ 접근하지 못할 것ì´ë¼ ìƒê°í•œ 것ì´ë‹¤. ë°”ë¼ê°€ 소개한 <ê³ ì–‘ì´> ê·¸ë¦¼ì€ ë‹¤ë¶„ížˆ 주술ì ì¸ ì˜ë¯¸ë¡œ 그려진 것ì´ë‹¤.
그림 ì†ì˜ ê³ ì–‘ì´ëŠ” ì ë¬´ëŠ¬ê°€ 있는 ê²€ì€ ê³ ì–‘ì´ë‹¤. ì•žë°œì„ ë”›ê³  ì•‰ì€ ëª¨ìŠµì´ ë§ˆì¹˜ 19ì„¸ê¸°ì˜ ë¯¼í™” 호랑ì´ì™€ í¡ì‚¬í•˜ë‹¤.(ë„ 2) 당시 ìœ í–‰í•˜ë˜ ê¹Œì¹˜í˜¸ëž‘ì´ì˜ í˜¸ëž‘ì´ ë„ìƒê³¼ 분명 ì—°ê´€ì´ ìžˆì–´ ë³´ì¸ë‹¤. 그러나 ê³ ì–‘ì´ëŠ” 전혀 위협ì ì´ì§€ ì•Šì€ ì–Œì „í•œ 모습ì´ë‹¤. 마치 ê´´ì§ˆì— ëŒ€ì í•˜ë¼ê³  사람들ì—게 등 떠밀려 나온 ê³ ì–‘ì´ ê°™ì€ ëŠë‚Œì„ 준다. 그런ë°, 가만히 ë³´ë©´ ë‘ ëˆˆ ìœ„ì— ëˆˆì´ í•˜ë‚˜ì”© ë” ê·¸ë ¤ì§„ 것처럼 ë³´ì¸ë‹¤.
눈 ìœ„ì— ëˆˆì¹ì„ 그린 것ì´ë¼ê³  하기ì—는 ì„연치 않다. 다시 ë³´ë©´, í‹€ë¦¼ì—†ì´ ë„¤ ê°œì˜ ëˆˆì„ ê°€ì§„ 비범한 ê³ ì–‘ì´ë‹¤. ìœ„ìª½ì˜ ë‘ ëˆˆì€ ë³‘ë§ˆë¥¼ 위협하여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매서운 ëˆˆì„ ê·¸ë¦¬ë ¤ 한 것 같다. 그러나 명확한 묘사가 ë˜ì§€ 못했다. ê·¸ëŸ°ë° ì•„ëž˜ì˜ ë‘ ëˆˆì€ ëˆˆë§ìš¸ì´ 무척 ì„ í•´ ë³´ì¸ë‹¤. 병으로 죽거나 고통 받는 ì‚¬ëžŒë“¤ì„ í–¥í•œ 눈물 어린 ìœ„ë¡œì˜ ì‹œì„ ìœ¼ë¡œ 다가온다. 민간화가가 그린 ì„œë¯¼ë“¤ì˜ ìˆœë°•í•œ 정서가 그대로 담긴 듯한 ê³ ì–‘ì´ì˜ ì´ë¯¸ì§€ë‹¤. 구한ë§ì˜ 무ì†í™”ì— ë“±ìž¥í•˜ëŠ” ì¸ë¬¼ 형ìƒì„ ë³´ë©´, ì¸ê°„미가 ëŠê»´ì§€ëŠ” í•´í•™ì ì¸ íŠ¹ìƒ‰ì´ ìž˜ 드러나 있다. 그러한 ì¸ê°„미는 ê³ ì–‘ì´ì˜ ì´ ëª¨ìŠµê³¼ë„ ë¶€í•©ë˜ëŠ” ì¼ë©´ì´ 있다. 화면 오른쪽 위ì—는 ‘雜殺退’ë¼ê³  ì ì–´ë‘었다. ì•„ë§ˆë„ ë–¨ì–´ì ¸ 나간 한 글ìžëŠ” ì¥ë¥¼ ì˜ë¯¸í•˜ëŠ” ‘서鼠’ìžë¡œ ë³´ì¸ë‹¤. â€œìž¡ê·€ì¸ ì¥ë¥¼ 죽여서 물리ì³ë¼â€ëŠ” 뜻ì´ë‹¤. ì „ì—¼ë³‘ì˜ ê³µí¬ì— 질린 ì‚¬ëžŒë“¤ì´ ì´ ê³ ì–‘ì´ì—게 부여한 임무ì´ìž ì£¼ë¬¸ì¸ ê²ƒì´ë‹¤.
ì¡°ì„ ì‹œëŒ€ì— ê³ ì–‘ì´ë¥¼ 그린 ê·¸ë¦¼ì€ ê·¸ë¦¬ ë§Žì§€ 않다. ë³€ìƒë²½åžç›¸ç’§ì´ 그린 <ë¬˜ìž‘ë„ çŒ«é›€åœ–>(ë„ 3)를 비롯한 í™”ì›í™”ê°€ë“¤ì˜ ê·¸ë¦¼ì´ ìž˜ 알려져 있다.(ë„ 4) ê·¸ëŸ°ë° í™”ì›ë“¤ì€ 당시 ì˜ëª¨í™”ç¿Žæ¯›ç•µì— ìµœê³ ì˜ ì‹¤ë ¥ì„ ìžëž‘í•˜ë˜ ìžë“¤ì´ë‹¤. ì´ ë¬¸ë°° <ê³ ì–‘ì´>를 그린 민간화가는 í™”ì›ë“¤ì˜ 정밀한 필치를 ë”°ë¼ê°€ì§€ 못한다. 전문가와 ì•„ë§ˆì¶”ì–´ì˜ ì°¨ì´ë‹¤. 하지만, ê·¸ë¦¼ì„ ê·¸ë¦° ì˜ë„ì˜ ì ˆë°•í•¨ìœ¼ë¡œ 본다면 단연 <ê³ ì–‘ì´>ê°€ ì–´ë–¤ 그림보다 앞설 것ì´ë‹¤. 문배 ê·¸ë¦¼ì¸ <ê³ ì–‘ì´>는 조형ì ì¸ 특징보다 ì–´ë–¤ ë§¥ë½ì—서 나온 그림ì¸ì§€ë¥¼ 먼저 ì´í•´í•  필요가 있다. 사실ì ì¸ 그림ì—는 미치지 못하지만, 사실ì ì¸ 묘사가 ì „í•  수 없는 묘한 분위기를 ë ê³  있다.

ì²œì—°ë‘ ì‹ ç¥žì˜ í˜•ìƒí™”

샤를 ë°”ë¼ëŠ” 천연ë‘와 ê´€ë ¨ëœ ë¬¸ë°°ê·¸ë¦¼ì— ê´€í•´ì„œë„ ìžì‹ ì´ 목격한 바를 ì´ì•¼ê¸°í–ˆë‹¤. “천연ë‘ê°€ 발병하면 집집마다 나ë¼ì˜ 으뜸 ê³ ê´€ëŒ€ìž‘ì˜ ì¤€ì—„í•œ ì˜ê´€ì„ 갖춘 무시무시한 í‘œì •ì˜ ì²œì—°ë‘ ë§ˆê·€ ê·¸ë¦¼ì„ ë²½ì— ë¶™ì˜€ë‹¤â€ê³  했다. ì´ë•Œ ë°”ë¼ê°€ 본 â€˜ì²œì—°ë‘ ë§ˆê·€â€™ë¼ëŠ” ê·¸ë¦¼ì€ ì–´ë–¤ ëª¨ìŠµì˜ ê·¸ë¦¼ì¼ê¹Œ? ê·¸ì˜ ì €ì„œ 『조선기행ã€ì—는 서울 광통êµì—서 구입한 그림 하나를 â€˜ì²œì—°ë‘ ë§ˆê·€â€™ë¼ëŠ” 제목으로 실었다.(ë„ 5) ê°“ì— ê¹ƒí„¸ì„ ê½‚ê³  활과 ì¹¼ì„ ì°¬ ë¬´ê´€ì˜ ìš©ëª¨ë¥¼ 한 모습ì´ë‹¤. 즉 ë°”ë¼ëŠ” ì´ ê·¸ë¦¼ì„ ì¸ê°„ì˜ ëª¨ìŠµì„ ë¹Œì–´ 형ìƒí™”한 천연ë‘ì˜ ì‹¤ì²´ë¡œ 본 것ì´ë‹¤.
ì´ì™€ 비슷한 ê·¸ë¦¼ì€ ë¬´ì‹ ë„ì—서 여러 사례를 ë³¼ 수 있다. 한 예가 <별ìƒë„ 別相圖>로 알려진 그림ì´ë‹¤.(ë„ 6) ê°‘ì˜·ì„ ìž…ê³  언월ë„를 들고 있는 ì´ ì¡´ìž¬ëŠ” 천연ë‘를 관장하는 ì‹ ì´ë¼ê³  한다. 보는 순간 ì‚¬ëžŒë“¤ì˜ ì‹œì„ ì„ ì••ë„하며 금방ì´ë¼ë„ 화면 밖으로 튀어나올 듯 한 기세다. 무ì†í™”ì—서 ‘장군’ì´ë¼ëŠ” ì œëª©ì„ ë¶™ì¸ ê·¸ë¦¼ ê°€ìš´ë° ì´ì™€ 유사한 ë„ìƒë“¤ì´ 있다. 예컨대 <장군ë„>(ë„ 7)로 ì†Œê°œëœ ê·¸ë¦¼ì€ í™œê³¼ ê²€ì„ ë“±ì— ê±¸ì¹˜ê³  ì•‰ì€ í˜•ìƒì´ë‹¤. ë¨¸ë¦¬ì— ì“´ ë¶‰ì€ ì˜»ì¹ ì„ í•œ ê°“ì—는 깃털로 만든 호수(í˜¸ëž‘ì´ ìˆ˜ì—¼)ë¼ëŠ” 장ì‹ë¬¼ì„ 꽂았다. 전형ì ì¸ ë¬´ê´€ì˜ ëª¨ìŠµì´ì§€ë§Œ, 예사롭지 ì•Šì€ ëˆˆë§¤ì™€ í‘œì •ì€ ì¸ê°„ì ì¸ 범주를 넘어서 있다. ì´ëŸ¬í•œ <장군ë„>와 ê°™ì€ ê·¸ë¦¼ì€ ì²œì—°ë‘처럼 질병과 ê´€ë ¨ëœ ê·¸ë¦¼ì¼ ê°€ëŠ¥ì„±ì´ ë†’ë‹¤. 다만 그림 ì†ì—서 ì–´ë–¤ ì—­í• ì„ í•˜ëŠ” 존재로 설명ë˜ëŠ”ê°€ê°€ ê·¸ ì •ì²´ì„±ì„ ë§í•´ì£¼ëŠ” ê´€ê±´ì´ ë  ê²ƒì´ë‹¤.
샤를 ë°”ë¼ëŠ” 천연ë‘ì˜ ì‹ ì„ ê·¸ë ¤ì„œ 붙여ë‘는 ì´ìœ ë¥¼ ì´ë ‡ê²Œ ë§í•œë‹¤. ì§ˆë³‘ì˜ ì‹¤ì²´ë¥¼ ì˜ì¸í™”하여 그리는 ê²ƒì€ ê·¸ 대ìƒì— 대한 ì¡´ì¤‘ì˜ ì˜ë¯¸ë¥¼ ë‹´ê³  있다는 것ì´ë‹¤. 즉 그림 ì†ì˜ ì²œì—°ë‘ ì‹ ì€ í‡´ì¹˜í•´ì•¼ í•  ìƒëŒ€ê°€ ì•„ë‹ˆë¼ ì¡´ì¤‘í•˜ê³  공경해야 í•  대ìƒì´ë¼ëŠ” 것ì´ë‹¤. 극진한 기ë„ì˜ ëŒ€ìƒìœ¼ë¡œ 모시고 ëŒ€ì ‘í•¨ìœ¼ë¡œì¨ ë…¸ì—¬ì›€ì„ í’€ê³  물러가기를 ë°”ë¼ëŠ” 것ì´ë¼ê³  했다.
샤를 ë°”ë¼ëŠ” 천연ë‘ì˜ ì‹ ì—게 â€˜ì²œì—°ë‘ ë§ˆê·€â€™ë¼ëŠ” ì œëª©ì„ ë¶™ì˜€ì§€ë§Œ, 당시 ì‚¬ëžŒë“¤ì€ â€˜ë§ˆë§ˆâ€™ë¼ëŠ” ì¡´ì¹­ì„ ì¼ë‹¤ê³  한다. ‘마귀’와 â€˜ë§ˆë§ˆâ€™ì˜ ì˜ë¯¸ëŠ” 극과 ê·¹ì˜ ì°¨ì´ë‹¤. ‘마마’는 ìž„ê¸ˆì„ ìƒê°ë§ˆë§ˆë¼ê³  ë¶ˆë €ë“¯ì´ ìµœê³ ì˜ ê²©ì„ ë¶€ì—¬í•œ ì¡´ì¹­ì´ë‹¤. ì´ëŸ° ëª…ì¹­ì„ ì²œì—°ë‘ì— ë¶™ì¸ ê²ƒì€ ì•žì„œ 언급한 바와 ê°™ì´ ì§ˆë³‘ì˜ ì‹ ì„ ê³µê²½í•˜ì—¬ ë…¸ì—¬ì›€ì„ í’€ê²Œ 한다는 ì£¼ìˆ ì  ì˜ë¯¸ë¥¼ ë°˜ì˜í•œ 것ì´ë¼ê³  한다. ê·¸ëŸ°ë° ì•žì—서 다룬 <별ìƒë„>와 <장군ë„> ì†ì˜ 주ì¸ê³µì€ 과연 ‘마마’ë¼ëŠ” 존칭으로 불린 천연ë‘ì˜ ì‹¤ì²´ë¡œ ë³¼ 수 있ì„까?

ë³„ì„±ë§ˆë§ˆì˜ ì‹¤ìƒê³¼ í•´ì„

민화ì—는 천연ë‘와 관련하여 별성마마ë¼ëŠ” ì œëª©ì„ ë¶™ì¸ ê·¸ë¦¼ì´ ì—¬ëŸ¬ ì  ì „í•œë‹¤. ë³„ì„±åˆ¥æ˜Ÿì€ ë³€í™”í•˜ëŠ” ë³„ì˜ ê¸°ìš´ì„ ëœ»í•˜ë©°, 별ìƒåˆ¥ç›¸ì´ë¼ê³ ë„ 불렀다. ëª¸ì´ í—ˆì•½í•˜ì—¬ ë³„ì˜ ê¸°ìš´ì„ ì–»ì§€ 못하면 천연ë‘ì— ê±¸ë¦¬ê²Œ ëœë‹¤ëŠ” 것ì¸ë°, 별성마마는 천연ë‘ì˜ ì‹ ì„ ë†’ì—¬ì„œ 부르는 ë§ë¡œ ì“°ì´ê³  있다. 샤를 ë°”ë¼ëŠ” 앞서 소개한 그림 ì†ì˜ 존재를 천연ë‘ì˜ ì‹ (잡귀)ì´ë¼ê³  하였다. ê·¸ëŸ°ë° ì´ëŠ” 정반대로 í•´ì„ë  ì—¬ì§€ê°€ 있다. 다시 ë§í•´ì„œ ê·¸ë¦¼ì— ë“±ìž¥í•œ 별성마마는 천연ë‘를 좌우하는 ì§ˆë³‘ì˜ ì‹¤ì²´ê°€ ì•„ë‹ˆë¼ ê·¸ ì§ˆë³‘ì„ ë¬¼ë¦¬ì¹  수 있는 막강한 íž˜ì˜ ì¡´ìž¬ë¥¼ ì˜ë¯¸í•˜ëŠ” ê²ƒì€ ì•„ë‹ê¹Œ? 즉 ê·¸ë¦¼ì˜ ì£¼ì¸ê³µì€ ê·¸ ì§ˆë³‘ì˜ ì£¼ê´€ìžê°€ ì•„ë‹ˆë¼ ë³‘ì„ í‡´ì¹˜í•  íž˜ì„ ì§€ë‹Œ 존재로 ë³¼ 수 있다. 예컨대 금사당ì´ë¼ëŠ” ê³³ì— ê±¸ë¦° <별ìƒë„>(ë„ 8)처럼 창과 철퇴로 무장한 그림 ì†ì˜ 존재는 천연ë‘를 잡는 ì˜í—˜ì´ 있는 존재로 보는 ê²ƒì´ ë” íƒ€ë‹¹í•  것ì´ë‹¤.
ì—¬ê¸°ì— ì†Œê°œí•˜ëŠ” ë‘ ì ì˜ ê·¸ë¦¼ì„ ë³´ìž. ì¡°ì„  후기 ë¬´ê´€ì˜ ë³µì‹ì„ 한 ì¸ë¬¼ìƒì´ë‹¤. 한 ì ì€ <장군ë„>(ë„ 9)ì´ê³ , ë˜ í•œ ì ì€ <별ìƒë„>(ë„ 10)ë¼ëŠ” ì œëª©ì„ ë¶™ì˜€ë‹¤. ì›ëž˜ì˜ ì œëª©ì¼ ìˆ˜ë„ ìžˆì§€ë§Œ, ì´ ê·¸ë¦¼ì„ ì†Œìž¥í•˜ê±°ë‚˜ 정리한 ì‚¬ëžŒì´ ë¶™ì˜€ì„ ê²ƒìœ¼ë¡œ 본다. ì œëª©ì˜ ë²”ìœ„ë¡œ ë³´ë©´ 앞서 본 그림들과 ê°™ì€ ë§¥ë½ì— 있다. ì–¼êµ´ì˜ í‘œì •ë„ ì•ž 그림들보다 훨씬 í‰ì˜¨í•˜ë‹¤. ì´ ë‘ ê·¸ë¦¼ì€ ê²€ì´ë‚˜ 지휘봉 ë“±ì„ ë“¤ê³ ì„œ ì§ˆë³‘ì˜ ìž¡ê·€ë¥¼ 위협하여 ë°±ì„±ë“¤ì„ í‰ì•ˆížˆ 지켜준다는 ì˜ë¯¸ë¡œ ì½ížŒë‹¤. 그렇게 ë³´ë©´, ë”ìš± ì¸ê°„ì ì¸ 면모와 ì§ˆë³‘í‡´ì¹˜ì˜ íž˜ì„ ì§€ë‹Œ 능력ìžì˜ 모습으로 마주하게 ëœë‹¤. ì§ˆë³‘ì„ ì£¼ê´€í•˜ëŠ” ì‹¤ì²´ì˜ ëª¨ìŠµê³¼ëŠ” 거리가 멀다.
사실 ì§ˆë³‘ì˜ ì£¼ê´€ìž, 즉 ì§ˆë³‘ì˜ ì‹¤ì²´ë¥¼ ì¸ê²©í™”하여 그린 ê·¸ë¦¼ì€ ë¬´ì†í™”ì— ë§Žì§€ 않다. ë˜í•œ 그런 논리로 본다면, ì´ ê¸€ì˜ ì•žì—서 살펴본 콜레ë¼ë¥¼ 퇴치해야 í•  ê·¸ë¦¼ì€ ê³ ì–‘ì´ê°€ ì•„ë‹ˆë¼ ì¥ë‚˜ ì¥ë¥¼ ì˜ì¸í™”한 ëª¨ìŠµì´ ë˜ì–´ì•¼ 한다. ì¥ë¥¼ 신격神格으로 대접하고 달래서 ì§ˆë³‘ì„ ê±°ë‘ë„ë¡ í•´ì•¼ë§Œ ê°™ì€ ë§¥ë½ì˜ ì´ì•¼ê¸°ê°€ ë  ìˆ˜ 있다. 물론 ì´ëŸ° ì´ì•¼ê¸°ëŠ” 앞으로 ê²€ì¦ë˜ì–´ì•¼ í•  가설ì´ë‹¤. 콜레ë¼ë¥¼ 퇴치해야 í•  ê³ ì–‘ì´, 그리고 천연ë‘를 물리ì³ì•¼ í•  별성마마는 어떻게 ë³´ë©´ ê°™ì€ ìž„ë¬´ë¥¼ 지닌 존재다.
ì „ì—¼ë³‘ì˜ ì‹¤ì²´ì¸ ë°”ì´ëŸ¬ìŠ¤ëŠ” ëŠìž„ ì—†ì´ ë³€í™”í•˜ê³  진화해 간다. ì˜ìˆ ë„ 마찬가지ì´ë‹¤. 현대 ì˜í•™ì€ ì¡°ì„  ë§ê¸°ì˜ ê´´ì§ˆì´ ì°½ê¶í•˜ë˜ 시대와 비êµí•  수 ì—†ì„ ë§Œí¼ ë°œì „í•œ ë¬¸ëª…ì‚¬íšŒì˜ ìœ„ìƒì„ 잘 보여준다. ì§ˆë³‘ì„ ì œì••í•˜ëŠ” 위대한 현대 ì˜í•™ì´ë‚˜ êµ¬í•œë§ ë¶ˆê°€í•­ë ¥ì˜ ìƒí™©ì—서 그림으로 ì§ˆë³‘ì— ë§žì„œê³ ìž í–ˆë˜ ì ˆë°•í•œ ë…¸ë ¥ë“¤ì€ ëª¨ë‘ ê·¸ ì‹œëŒ€ì˜ ìµœì„ ì´ ì•„ë‹ˆì—ˆì„까.

 

글 : 윤진ì˜(í•œêµ­í•™ì¤‘ì•™ì—°êµ¬ì› ì±…ìž„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