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범 ë°•ìˆ˜í•™ì˜ ë¯¼í™”ì‹¤ê¸°êµì‹¤. ì‹ ì²´ì˜ í‘œí˜„ê³¼ 채색 기법

ì‹ ì²´ì˜ í‘œí˜„ê³¼ 채색 기법

지난 호ì—는 ì¸ë¬¼ 그리기 중ì—ì„œë„ ì–¼êµ´ê³¼ ê´€ë ¨ëœ ë‚´ìš©ì„ ì§‘ì¤‘ì ìœ¼ë¡œ 살펴봤다. ì´ë²ˆì—는 ì–¼êµ´ì„ ì œì™¸í•œ 신체표현 ë°©ë²•ì„ ê°„ëžµížˆ 소개하고, ì±„ìƒ‰ì— ê´€í•œ ì´ë¡ ì„ 소개한다. ìƒ‰ì— ëŒ€í•´ 주로 ì“°ì´ëŠ” ìš©ì–´ë“¤ì„ ìµížˆê³  ê°œë…ì„ ìž¡ê¸° 위해서 마련한 ìžë¦¬ë‹¤.

ì†ê³¼ ë°œì˜ í‘œí˜„

ê¸°ë³¸í˜•ì„ ì´í•´í•œë‹¤. 그러고 나서 다양한 ìžì„¸ì˜ ì†ë°œì„ 표현해본다. í‰ì†Œ ìžì‹ ì˜ ì†ê³¼ ë°œì„ ìœ ì‹¬ížˆ 관찰한다. ì†ë°œì˜ ë‘께를 파악하고, ìžì—°ìŠ¤ëŸ¬ìš´ 주름과 형태를 ìµížˆê³  표현하ë„ë¡ ë…¸ë ¥í•œë‹¤. ì†ì„ 예로 들어보면, ì†ë°”ë‹¥ì„ íŽ´ë©´ ê´€ì ˆì´ ë³´ì´ì§€ 않는다. ì†ì„ ì¥ë©´ ê´€ì ˆì´ í™•ì‹¤í•˜ê²Œ ë‘드러진다. ì¸ë¬¼ì˜ 성격ì´ë‚˜ ì§€ìœ„ì— ë”°ë¼ ì†í†±ê³¼ ë°œí†±ì˜ í˜•íƒœì™€ 길ì´ê°€ 다르다. ë…¸ë™ì„ 하는 ê³„ê¸‰ì€ ì†í†±ì´ ì§§ê³  ì†ì´ 투박한 편ì´ë‹¤.

ì†ê³¼ ë°œì˜ í‘œí˜„

â–²ì†ê³¼ ë°œì˜ í‘œí˜„

옷과 ì‹ ì²´ì˜ í‘œí˜„

ê²½ì§ë„耕織圖를 ë³´ë©´ ë°­ì„ ê°ˆê³  옷ê°ì„ 만드는 ê³¼ì •ì´ ìž˜ 나타나있다. 그림ì—서 ì‹ ë¶„ì„ ê°€ìž¥ ì§ì ‘ì ìœ¼ë¡œ 드러낼 수 있는 ê²ƒì´ ì˜·ì´ë‹¤. ì„œë¯¼ë“¤ì€ ë¬´ëª…ì´ë‚˜ ì‚¼ë² ì˜·ì„ ì£¼ë¡œ 입었고, 사대부 ì´ìƒì˜ 계급ì—서는 ë¹„ë‹¨ì˜·ì´ ì¸ê¸°ì˜€ë‹¤. 비êµì  거친 옷ê°ì¸ 삼베나 ë¬´ëª…ì„ í‘œí˜„í•  때는 ì±„ìƒ‰ì„ ë‘í…게 하고 ë°”ë¦¼ì€ ì ê²Œ 한다. ë§ˆì§€ë§‰ì— ì„ ì„ ì˜¬ë ¤ ì˜·ì˜ ì£¼ë¦„ì„ ë‚˜íƒ€ë‚¸ë‹¤. ë‘ê»ê³  거친 선으로 옷ê°ì˜ ëŠë‚Œì„ 살린다.
ë¹„ë‹¨ì˜·ì„ ìž…ì€ ì¸ë¬¼ì„ 그릴 때는 부드러운 노방(ìƒì‚¬)ì— ê·¸ë¦¬ê¸°ë„ í•œë‹¤. ë¹„ë‹¨ì€ ì±„ìƒ‰ì„ ê²¹ê²¹ì´ ìŒ“ì•„ 진채로 그린다. 금박ì´ë‚˜ 옷ê°ì˜ 무늬 등 장ì‹ì ì¸ 요소가 많다.
기ìƒë„ ë¹„ë‹¨ì˜·ì„ ìž…ëŠ”ë°, 옷고름ì—서 사대부 여성과 ì°¨ì´ê°€ 있다. ì‚¬ëŒ€ë¶€ì˜ ì˜·ì€ ì˜·ê³ ë¦„ì´ ê¸¸ê³  기ìƒì€ ëˆì²˜ëŸ¼ ë³´ì¼ ì •ë„로 ì§§ì€ íŽ¸ì´ë‹¤. ë‚¨ì„±ì˜ ê²½ìš° ì‹ ë¶„ì— ë”°ë¼ ë‹¤ë¥¸ ìƒ‰ì˜ ê´€ë³µê³¼ 다른 ë¬¸ì–‘ì˜ í‰ë°°, 다른 ì†Œìž¬ì˜ ê°ëŒ€ë¥¼ 착용했다. ë¹„ë‹¨ì˜·ì´ ìœ í–‰í•˜ìž ì‚¬ì¹˜ê°€ ê·¹ì— ë‹¬í–ˆê³ , 한때 ê¸ˆì§€ë ¹ì´ ë‚´ë ¤ì§€ê¸°ë„ í–ˆë‹¤. ì˜·ì€ ì‹ ë¶„ë¿ë§Œ 아니ë¼, 사회와 ìœ í–‰ì„ ì½ëŠ” ì°½ì´ ëœë‹¤.

 
ìŒí–¥ì˜¤í–‰ì„¤ê³¼ 오방색

고대 ì¸ë„ì—서 ì˜¤í–‰ì„¤ì´ ì°½ì‹œë˜ê³  중국으로 유입ë˜ì–´ ìŒì–‘ì˜¤í–‰ì„¤ì˜ ê°œë…ì´ ì •ì°©ëœ í›„, ì´ë¥¼ 바탕으로 근간과 체계를 세워 나ë¼ë¥¼ 형성하고 문화가 꽃피게 ë˜ì—ˆë‹¤. ìŒì–‘ì˜¤í–‰ì„¤ì€ ë°©ìœ„(ë™, 서, 남, ë¶, 중앙)와 맛味(ì§ ë§›, ì“´ë§›, ì‹ ë§›, 매운맛, 단맛), 장기臟(심장, í, 비장, ê°„, 신장), ì‚°å²³(금강산 ë˜ëŠ” 설악산), 묘향산, 지리산, ë°±ë‘ì‚°, ë¶í•œì‚°) 등과 연관시키는 í’토가 ìƒê²¼ë‹¤.
특히 ìƒ‰ì˜ ê²½ìš° 오방색(í‘, ë°±, ì , ì²­, 황)ì´ë¼ëŠ” ê°œë…으로 확장ë˜ì–´ ë„리 쓰였다. ë™ì–‘미술ì—서는 오방색으로 ê·¸ë¦¼ì„ í‘œí˜„í–ˆìœ¼ë©° ì´ì™€ëŠ” 별ë„로 ë…¹ìƒ‰ì€ ìžì—°ìƒ‰ì´ë¼ 하여 오방색ì—서 ì“°ì§€ 않고 있다. ë˜ ë…¹ìƒ‰(황색+청색)ì€ ìž¥ìˆ˜ìƒ‰ì´ë¼ê³  해왔다. 녹색처럼 ë‘ ê°œì˜ ì˜¤ë°©ìƒ‰ì„ ì„žì–´ 나오는 ìƒ‰ì„ ì˜¤ê°„ìƒ‰(사ì´ìƒ‰)ì´ë¼ê³  한다.
서양ì—서 ìƒ‰ì„ ë‚˜ëˆ„ëŠ” ê¸°ì¤€ì€ ëª‡ 가지가 있지만, í¬ê²ŒëŠ”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나눈다. ë¬´ì±„ìƒ‰ì€ ì±„ë„ê°€ 없는 색으로 í°ìƒ‰ê³¼ ê²€ì€ìƒ‰, ê·¸ë¦¬ë„ ì´ ë‘˜ 사ì´ì— 존재하는 회색ì´ë‹¤. ìœ ì±„ìƒ‰ì€ ì´ ë°–ì— ë¬´ìˆ˜ížˆ ë§Žì€ ìƒ‰ì„ ë§í•œë‹¤. ìƒ‰ì„ êµ¬ë¶„í•  수 있는 색ìƒ, ë°ê¸°ë¥¼ 뜻하는 명ë„, ì„ ëª…í•¨ì„ ëœ»í•˜ëŠ” 채ë„는 ìƒ‰ì´ ê°€ì§„ ì†ì„±(요소)ì´ë¼ê³  한다.
병치는 ë°ì§€ë„ ì–´ë‘¡ì§€ë„ ì•Šì€ í‰ê· ëœ 명ë„ì˜ ìƒ‰ìœ¼ë¡œ, 중간혼합ì´ë¼ê³ ë„ 한다. ìˆœìƒ‰ì€ ë‹¤ë¥¸ ìƒ‰ì„ ì„žì§€ ì•Šì€ ê³ ìœ ì˜ ìƒ‰ìƒì„, íƒìƒ‰ì€ ìˆœìƒ‰ì— ë‹¤ë¥¸ ìƒ‰ì„ ì„žì–´ 둔해지고 채ë„ê°€ 낮아진 ìƒ‰ì„ ë§í•œë‹¤. ë˜ ìƒ‰ì—는 명시와 주목성ì´ë¼ëŠ” ê°œë…ì´ ìžˆëŠ”ë°, 명시는 확실하게 ëˆˆì— ë³´ì´ëŠ” 것ì„, ì£¼ëª©ì„±ì€ ìƒ‰ì´ í•œëˆˆì— ìž˜ ë„는 ê²ƒì„ ë§í•œë‹¤.

ìŒí–¥ì˜¤í–‰ì„¤ê³¼ 오방색

▲오방색과 참고색 / ìŒì–‘오행 ìƒê´€í‘œ

 
â–  안채(색채)ì˜ ìš©ì–´

ì„ì²­ = êµ°ì²­ì„ ë§í•¨ë“±í™© = ìží™©ì„ ë§í•¨
ì²­ë¡ = 녹청ì„ë¡ = ë…¹ì²­ì„ ë§í•¨
ìžì„ = 대ìžì€ì£¼ = ì¸ì¡°ì˜ 주
주사 = ì£¼ì˜ ë³„ì¹­ì›…í™© = ê´‘ì„ì˜ ì´ë¦„
(ì„황ì´ë¼ 하며 í™©ìƒ‰ì˜ ì¼ì¢…)
ë¶„ì²­ = ë°±êµ°ì²­ì„ ë§í•¨ë¶„ë¡ = ë°±ë…¹ì„ ë§í•¨

 
â–  삼ì›ìƒ‰

물ê°(색료)ì˜ 3ì›ìƒ‰ë¹¨ê°•, 노랑, 파랑. ëª¨ë‘ í˜¼í•©í•˜ë©´ ê²€ì€ìƒ‰ì´ ëœë‹¤.
ë¹›(색광)ì˜ 3ì›ìƒ‰ë¹¨ê°•, ì´ˆë¡, 파랑. ëª¨ë‘ í˜¼í•©í•˜ë©´ ë°±ìƒ‰ì´ ëœë‹¤.

 
â–  ìƒ‰ì˜ í˜¼í•©

빨강 + 노랑 = 주황
노랑 + 파랑 = ì´ˆë¡
파랑 + 빨강 = ìžì£¼
ì°¨ìƒ‰ì€ ëª…ë„ê°€ 낮아진다.
즉 ì–´ë‘워진다. ê°ì‚°í˜¼í•©(-)ì´ë‹¤.

ìƒ‰ì˜ í˜¼í•©

 

â–  ìƒ‰ì˜ ì˜¨ë„
난색 = 빨강, 주황, 노랑(따뜻하다)
한색 = 파랑, ì²­ë¡, 남색(차다)
중성색 = ì´ˆë¡, ë³´ë¼(í•œÂ·ë‚œìƒ‰ì˜ í™•ì‹¤í•˜ì§€ ì•Šì€ ê²ƒ)
화려한 색 = ëª…ë„ ë†’ì€ ê²ƒ : 노랑, 주황, ì—°ë‘색, í°ìƒ‰, í‘색/ ì±„ë„ ë†’ì€ ê²ƒ : 빨강, 주í™(순색ì¼ìˆ˜ë¡ 강하다)
ì ìž–ê³  소탈한 색 = ëª…ë„ ì±„ë„ê°€ ë‚®ì€ ìƒ‰

â–  ìƒ‰ì˜ ëŒ€ë¹„

ëŠë‚ŒëŒ€ë¹„
따뜻하다(빨강 + 주황) (노랑 + 파랑) (ì´ˆë¡ + í°ìƒ‰)
시ì›í•˜ë‹¤(회색 + 검정) (ë³´ë¼ + 주황) (ì—°ë‘ + 파랑)
ë°ë‹¤(ë³´ë¼ + 빨강) (í°ìƒ‰ + 노랑) (파랑 + ì²­ë¡)
어둡다(주황 + ì²­ë¡) (빨강 + 주황) (ì´ˆë¡ + ì²­ë¡)
강하다(노랑 + 검정) (빨강 + 주황) (ì´ˆë¡ + ì²­ë¡)
약하다(ì²­ìž + 노랑) (ì²­ë¡ + 회색) (ì—°ë‘ + ìžì£¼)

 
ìƒ‰ì´ ê°€ì§„ 성격

â–  ìƒ‰ì´ ê°€ì§„ 성격
ì ìƒ‰(빨강) = ì •ì—´, í¥ë¶„, í˜ëª…, 활발
주(주황) = 애정, 명랑, 활발
황색(노랑) = 명랑, 경쾌, 활발
ì´ˆë¡(녹색) = 청춘, 성장, 성실, 민ê°
청색(파랑) = í‰í™”, í¬ë§, ìžìœ (ê±´ê°•ê³¼ 발전ì ì¸ 성품)
í°ìƒ‰ 호분, 파랑 = 청춘, ê²°ë°±, ê³ ê²°, ì ë§‰ (ì‹ ì•™ì‹¬ì´ ê°•í•¨)
í‘색(검정) = 엄숙, 비애, 신비 (ì˜ì§€ë ¥ì´ 강하고 ë…립ì ì¸ 성품)
ìžì£¼ìƒ‰(ë³´ë¼) = 신성, ê³ ê·€, ê³ ìƒ, í¬ë§, í‰í™”, 건실, ë¶€ë™, ìžì‹ 
녹황(황ë¡) = 활발, ì •ì§
회백색 = 애수, 번민, ê³ ë…, 정숙
복숭아 ë¹› = 쾌활, 친절, 기ì¨
벚꽃색 = 온정, 장수, 활ë™, 근면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