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미금 작가와 함께하는 ì—°í™”ë„ ê·¸ë¦¬ê¸° â…¢

ì—°í™”ë„ ì‹œë¦¬ì¦ˆì˜ ë§ˆì§€ë§‰ 시간ì—는 땅거미가 질 무렵 피어난 ì—°ê½ƒì„ ê·¸ë ¤ë³´ê³ ìž í•œë‹¤.
ì €ë… ë¬´ë µì˜ ì‹ ë¹„í•œ 분위기부터 ì†Œìž¬ì˜ ì¤‘ìš”ë„ì— ë”°ë¼ ë¬´ê²Œê°ì„ 달리 묘사한 엄미금 ìž‘ê°€ì˜ ì‹¤ê¸° 노하우를 살펴보ìž.


배경색, 초본 작업


â‘  해질녘 고즈넉한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ë°”íƒ•ìƒ‰ì„ ë¨¼ì € 칠한다.
ë°”íƒ•ìƒ‰ì´ ì¹ í•´ì§„ ì¢…ì´ ìœ„ì— ì—°ê½ƒì„ ê·¸ë ¤ 넣으면 연꽃 공간 ì† ìƒ‰ì´ ê²¹ì¹˜ë©°
ìžì—°ìŠ¤ë ˆ í†¤ë‹¤ìš´ëœ íš¨ê³¼ë¥¼ 연출할 수 있기 때문ì´ë‹¤. ì›ë³¸ì˜ ë°”íƒ•ìƒ‰ì€ êµ°ì²­
색ì´ì§€ë§Œ, ê°œì¸ì ìœ¼ë¡œ 좋아하는 초저ë…ì˜ ì‹ ë¹„ë¡œìš´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ë³´ë¼ìƒ‰ì„ ì„ íƒí–ˆë‹¤. ë°”íƒ•ìƒ‰ì„ ì¡°ìƒ‰í•˜ê¸° 위해 분채 êµ°ì²­, ì ìƒ‰ì— í˜¸ë¶„ì„ ë§Žì´
섞고 ë¨¹ì„ ì•„ì£¼ 조금 넣었다. í•˜ëŠ˜ì„ ì¹ í•  때는 ë„“ì€ ë¶“ì„ í™œìš©í•´ 바림한다.
ì´ë•Œ ë¶“ì˜ ë°˜ ì •ë„를 바탕색 물ê°ì—, 나머지 ì ˆë°˜ì„ ë¬¼ì— ë‹´ê·¼ ë’¤ 바림하면
ìžì—°ìŠ¤ë ˆ ìƒ‰ì˜ ê·¸ë¼ë°ì´ì…˜ì„ 연출할 수 있다.
í•˜ëŠ˜ìƒ‰ì€ í™”í­ì˜ â…“ ì •ë„를 ì¹ í•˜ë˜ ë°”íƒ•ìƒ‰ì´ ë§ˆë¥´ê³  나면 다시 칠하는 ë°©ì‹
으로 세 번 ì •ë„ ë°˜ë³µí•œë‹¤.


â‘¡ ê½ƒë¶€ë¶„ì€ ì—°í•˜ê²Œ 그린 ë’¤ ì—°ê½ƒì„ ëª¨ë‘ ì±„ìƒ‰í•˜ê³  나면 중먹으로 ì„ ì„ ê·¸ì–´
마무리한다. 보통 í™ë§¤ìƒ‰ìœ¼ë¡œ ì„ ì„ ë§ˆê°í•˜ì§€ë§Œ 그림 íŠ¹ìœ ì˜ ë¬´ê²Œê° ìžˆëŠ”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ì¤‘ë¨¹ì„ ì„ íƒí–ˆë‹¤. ë‘ ë²ˆì— ê±¸ì³ ì„ ìž‘ì—…í•˜ëŠ” 과정ì´
한편으론 번거롭게 ëŠê»´ì§ˆ 수 있지만 ìž‘í’ˆì˜ ì™„ì„±ë„를 ë†’ì¼ ìˆ˜ 있다는 ì ì—
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바위와 연잎 1차색, 호분 작업


â‘¢ í˜¸ë¶„ì€ ì—°ê½ƒìžŽ ë¶€ë¶„ì— ì¹ í•˜ê³  바위는 분채 í™©í™©í† ì— í˜¸ë¶„ì„ ì„žì–´ì„œ 칠한다.


â‘£ ì—°ê½ƒìžŽì€ ë¶„ì±„ ë…¹ì²­ì— í™©í™©í† , í˜¸ë¶„ì„ ì„žì€ ë’¤ ì „ì²´ì ìœ¼ë¡œ 연하게 바림
한다. ì—°ìžŽì„ ì—°í•˜ê²Œ 바림하는 ì´ìœ ëŠ” ê½ƒìžŽì˜ ê°€ë²¼ì›€ì„ í‘œí˜„í•˜ê¸° 위함ì´ë‹¤.
뒤집어진 연잎 ë¶€ë¶„ì€ ë¶„ì±„ í™©í™©í† ì— í˜¸ë¶„ì„ ë§Žì´ ì„žì–´ 채색한다.


⑤ 바위 2ì°¨ìƒ‰ì„ ë°”ë¦¼í•  때 녹색 ê³„í†µì€ ë¶„ì±„ ë…¹ì²­ì— í™©ì„ ì„žì–´ 연하게 바림
하며 ë³´ë¼ ê³„í†µì€ í•˜ëŠ˜ì„ ë°”ë¦¼í–ˆë˜ ìƒ‰ê³¼ ë™ì¼í•œ ìƒ‰ì„ ì‚¬ìš©í•´ 넓게 바림한다.

꽃잎, 2차 바림 작업


â‘¥ 연잎 2ì°¨ìƒ‰ì€ ë¶„ì±„ ë…¹ì²­ì— ë¨¹, 분채 황황토를 조색해 칠한다. 지난 3ì›”
연잎 2ì°¨ìƒ‰ì„ ë°”ë¦¼í•  때는 ìžŽë§¥ì„ ê¸°ì¤€ìœ¼ë¡œ 양쪽 ê³µê°„ì„ ì‚´ì§ ë„우는 ë°©ì‹
으로 바림했지만, ì´ë²ˆì—는 줄기를 기준으로 한쪽만 ê³µê°„ì„ ë„워 바림한다.
ì—°ìžŽì˜ ìžŽë§¥ì„ ê±°ê¾¸ë¡œ ëœ Vìž ëª¨ì–‘ìœ¼ë¡œ 표현했는ë°, ê·¸ ì´ìœ ëŠ” ì—°ìžŽì˜ ìž…ì²´
ê°ì„ 한층 살리기 위함ì´ë‹¤. 뒤집어진 ì—°ìžŽì€ ë¶„ì±„ ì´ˆë¡ì— 황황토, 호분ì„
ë§Žì´ ì„žì–´ 바림한다.


⑦ 연잎 ëë¶€ë¶„ì€ ë¶„ì±„ ì ëŒ€ìžë¡œ ëìª½ì„ ì¤‘ì‹¬ìœ¼ë¡œ ë°”ë¦¼í•˜ë˜ ë‹¨ì¡°ë¡œì›€ì„
피하기 위해 êµ°ë°êµ°ë° ê°„ê²©ì„ ë„워가며 바림한다.


â‘§ 줄기와 꽃봉오리가 만나는 부분, 줄기와 줄기가 서로 맞닿는 부분 등ì—
분채 ì—°ë‘로 ìŒì˜ì„ 넣으면 ê·¸ë¦¼ì— ìž…ì²´ê°ì„ ë”í•  수 있다.


⑨ 분채 í™ë§¤ì— í˜¸ë¶„ì„ ì„žì€ ë’¤ 꽃잎 ëì„ ë„“ê²Œ 바림한다. 녹색으로 바림한
꽃받침 부분ì—ë„ ë¶„ì±„ í™ë§¤ë¥¼ ë§ì¹ í•œë‹¤.


â‘© 여뀌를 그릴 때 ìš°ì„  ì—¬ë€Œì˜ ìœ¤ê³½ì„ ëŒ€ëžµ 잡는다는 ëŠë‚Œìœ¼ë¡œ 분채 í™ë§¤ë¡œ
ì ì ì´ ì°ì–´ 그리면 한층 수월하게 여뀌를 표현할 수 있다. ì´í›„ 호분ì„
조금 ì„žì€ ìƒ‰ìœ¼ë¡œ 나머지 ë©´ì ì„ ì ì ì´ ì°ëŠ”ë‹¤. 마지막으로 ë¨¹ì„ ì°ì–´ 여뀌
ëª¨ì–‘ì„ ë§ˆë¬´ë¦¬í•œë‹¤.


⑪ ì—°ë°¥ ë°‘ë¶€ë¶„ì˜ ê½ƒìˆ ì€ ë¶„ì±„ 황으로 ì°ì–´ 표현한다.

마무리 작업


â‘« 분채 êµ°ì²­ì„ ì—°ìžŽ ëª¨ì–‘ì— ë§žê²Œ 연하게 바림한다.


⑬ 바위 í‘œë©´ì€ ì§„ë¨¹ìœ¼ë¡œ 표현해 무게ê°ì„ 싣는다.


â‘­ 수초ì ì€ 분채 í™©í™©í† ì— í˜¸ë¶„ì„ ì¡°ìƒ‰í•œ 색과 봉채 êµ°ì²­ ì—°í•œìƒ‰ì„ ì„žì–´
조화롭게 ì°ì–´ 완성한다.


정리 문지혜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