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 그려졌ì„까? í‰ìƒë„平生圖 초본Ⅰ

ë„1 í‰ìƒë„ 초본 부분, 35×20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í‰ìƒë„平生圖> 초본 중 ‘삼ì¼ìœ ê°€ä¸‰æ—¥éŠè¡—’ 장면ì´ë‹¤.
ì´ë²ˆ 시간부터는 <í‰ìƒë„平生圖> ì´ˆë³¸ì„ í†µí•´ í‰ìƒë„ì˜ ë‹¤ì–‘í•œ íŠ¹ì§•ì— ëŒ€í•´ ì‚´íŽ´ë³´ê³ ìž í•œ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í‰ìƒë„平生圖> ì´ˆë³¸ì„ ì‚´íŽ´ë³´ìž

ì´ë²ˆ ì‹œê°„ì— ì†Œê°œí•˜ëŠ” <í‰ìƒë„> 초본ì—서는 화제畫題를 비롯해 ì–´ë–¤ 글ìžë„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화면 ì† ìž¥ë©´ì„ ì‚´íŽ´ë³´ë©´ ì´ˆë³¸ì— í‘œí˜„ëœ ìž¥ë©´ì´ í‰ìƒë„ 중 ‘삼ì¼ìœ ê°€ä¸‰æ—¥éŠè¡—’ ìž¥ë©´ìž„ì„ ì•Œ 수 있다. ‘삼ì¼ìœ ê°€â€™ëŠ” ê³¼ê±°ì— í•©ê²©í•œ 주ì¸ê³µì´ 악사와 ê´‘ëŒ€ë“¤ì„ ê±°ëŠë¦¬ê³  3ì¼ ë™ì•ˆ 스승과 ì„ ë°°, ì¼ê°€ì¹œì²™ì„ 방문하여 ì¸ì‚¬ë¥¼ 드리는 í’습으로 ã€Šì¡°ì„ ì™•ì¡°ì‹¤ë¡æœé®®çŽ‹æœå¯¦éŒ„》과 유ë“공柳得æ­ì˜ 《경ë„잡지京都雜誌》를 비롯한 여러 ë¬¸í—Œì— ê¸°ë¡ë˜ì–´ 있다.
그림ì—는 ë§Žì€ ì¸ë¬¼ì´ 그려져 있다. 화면 ìƒë‹¨ì—는 기다란 ë¬¼ê±´ì„ ë“¤ê³  다리를 건너는 세 ëª…ì˜ ì¸ë¬¼ì´ 있는ë°, ì´ë“¤ì´ 들고 있는 ê²ƒì€ ê³¼ê±°ê¸‰ì œì¦ì„œì¸ í™íŒ¨ç´…牌ì´ë‹¤. 화면 중앙ì—는 악기를 연주하는 7ëª…ì˜ ì¸ë¬¼ì´ 있는ë°, ì´ë“¤ì€ 과거급제ìžì˜ 행차를 알리는 악사들ì´ë‹¤. 화면 하단 왼쪽ì—는 부채를 들고 ì¶¤ì„ ì¶”ëŠ” 3ëª…ì˜ ê´‘ëŒ€ê°€ 그려져 있는ë°, ì´ë“¤ì€ ê°ì¢… 재주와 재담으로 ì‚¬ëžŒë“¤ì˜ í¥ì„ ë‹ìš°ëŠ” ì—­í• ì„ í–ˆë‹¤. 화면 하단 중앙ì—는 사모관대와 어사화를 ì“°ê³  ë§ì„ ì°¬ ì¸ë¬¼ì´ 있는ë°, ì´ ì¸ë¬¼ì´ 바로 그림 ì† ì£¼ì¸ê³µì´ë‹¤. 주ì¸ê³µì˜ 주변ì—는 ì‚¬ëžŒë“¤ì´ ëª¨ì—¬ 있다. ë§Žì€ ì‚¬ëžŒë“¤ì´ ì£¼ì¸ê³µì˜ í–‰ë ¬ì„ êµ¬ê²½í•˜ê³  ìžˆëŠ”ë° ë§ˆë‹¹ì—서 구경하는 사람, 길가ì—서 구경하는 사람, ì§‘ 안ì—서 창문으로 내다보는 사람 등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ì´ˆë³¸ì€ ë¨¹ìœ¼ë¡œ 그려져 있으며 수정한 í”ì ì´ 전혀 없고 먹선 ë˜í•œ ê¹”ë”하게 그려져 있어 마치 채색만 하면 ê·¸ë¦¼ì´ ì™„ì„±ë  ê²ƒ ê°™ì€ ëª¨ìŠµì´ë‹¤. 그렇다면 ì´ ì´ˆë³¸ì€ ì±„ìƒ‰ ì§ì „ì˜ ë‹¨ê³„ì—서 멈춰선 초본ì¼ê¹Œ? 그렇다고 하기ì—는 ì´ ì´ˆë³¸, í¬ê¸°ê°€ ì´ìƒí•˜ë‹¤. ì´ ì´ˆë³¸ì˜ í¬ê¸°ëŠ” 가로 20ãŽ, 세로 35ãŽë¡œ A4용지보다 조금 ë” í° ì •ë„ì˜ í¬ê¸°ì´ë‹¤. 우리가 ìƒê°í•˜ëŠ” ì¼ë°˜ì ì¸ í‰ìƒë„ 작품보다 ìƒë‹¹ížˆ ìž‘ì€ í¬ê¸°ì´ë‹¤. ì´ ì´ˆë³¸ì— ì±„ìƒ‰ì„ ë”해서 ê·¸ë¦¼ì„ ì™„ì„±í•˜ê³ , ê·¸ 그림으로 병í’ì„ ê¾¸ë¯¼ë‹¤ë©´ ê·¸ 병í’ì€ ì–¼ë§ˆë‚˜ ìž‘ì€ ë³‘í’ì¸ ê²ƒì¼ê¹Œ? ì´ë ‡ê²Œ ìž‘ì€ ë³‘í’ì„ ì“°ëŠ” ì‚¬ëžŒì´ ìžˆì—ˆì„까? ì´ ë¬¸ì œë¥¼ ìƒê°í•˜ê¸° 위해서는 ìš°ì„  í‰ìƒë„ê°€ 언제부터, ì–´ë–¤ ì´ìœ ë¡œ 그려지기 시작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í‰ìƒë„ì˜ ì‹œìž‘

‘í‰ìƒë„平生圖’는 18ì„¸ê¸°ì— ë‚˜íƒ€ë‚˜ê¸° 시작한 화제畫題로 사대부가 겪게 ë˜ëŠ” í‰ìƒì˜ë¡€å¹³ç”Ÿå„€ç¦®ì™€ ê´€ì§ ìƒí™œ 중 경사스런 ì‚¬ê±´ë“¤ì„ ê·¸ë¦° 그림ì´ë‹¤. 현재 전하고 있는 í‰ìƒë„ 중ì—서는 ë‹¨ì› ê¹€í™ë„ í™”í’ì˜ ì˜í–¥ì„ ë°›ì€ 19ì„¸ê¸°ì˜ ìž‘í’ˆì¸ ëª¨ë‹¹æ…•å ‚ í™ì´ìƒ(洪履祥, 1549~1615)ì˜ í‰ìƒì„ ë‹´ì€ <모당í‰ìƒë„慕堂平生圖> 8í­ ë³‘í’, 담와淡窩 í™ê³„í¬(洪啓禧, 1703~1771)ì˜ í‰ìƒì„ ë‹´ì€ <담와í‰ìƒë„淡窩平生圖> 6í­ ë³‘í’ì´ ê°€ìž¥ ë„리 알려져 있으며, ì‹œê¸°ë„ ì•žì„  것으로 알려져 있다. ì´ ë‘ ì ì˜ í‰ìƒë„는 현재 남아있는 í‰ìƒë„ì˜ í˜•ì‹ì— ë§Žì€ ì˜í–¥ì„ 미쳤는ë°, ë‘ ìž‘í’ˆì„ ê¸°ì¤€ìœ¼ë¡œ í‰ìƒë„를 분류할 수 ìžˆì„ ì •ë„ì´ë‹¤.
ë‹¤ìŒ ì‹œê°„ì—는 í‰ìƒë„ì˜ ë¶„ë¥˜ë°©ì‹ì„ 살펴보고, ê·¸ ê¸°ì¤€ì´ ë˜ëŠ” <모당í‰ìƒë„慕堂平生圖>와 <담와í‰ìƒë„淡窩平生圖>ì— ëŒ€í•´ ì•Œì•„ë³´ê³ ìž í•œë‹¤. 그리고 현재 남아있는 í‰ìƒë„ ìž‘í’ˆê³¼ì˜ ë¹„êµë¥¼ 통해 <í‰ìƒë„ 초본>ì´ ì–´ë–¤ ë¶„ë¥˜ì— í•´ë‹¹í•˜ëŠ”ì§€ ì‚´íŽ´ë³´ê³ ìž í•œë‹¤. 현재 í‰ìƒë„는 잘 그리지 않는 주제ì´ë‹¤. 그러나 민화를 제대로 ì´í•´í•˜ê¸° 위해서는 반드시 연구해야 í•  필요가 있다.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