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만들었ì„까? 문ìžë„ 초본 â… 

ë„1 ‘만사태í‰ì˜ê°€â€™ 문ìžë„, 문ìžë„ 초본,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²ˆ 시간ì—는 <문ìžë„ 초본>ì„ ì‚´íŽ´ë³´ê³ ìž í•œë‹¤.
우리 민화를 제작하는 ë˜ ë‹¤ë¥¸ ë°©ì‹ì„ 확ì¸í•  수 있는 ì‹œê°„ì´ ë  ê²ƒì´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문ìžë„ 초본>ì„ ì‚´íŽ´ë³´ìž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문ìžë„ 초본>ì€ ê°€íšŒë¯¼í™”ë°•ë¬¼ê´€ 소장품ì´ë‹¤. ì´ ì´ˆë³¸ì€ ì´ 6장으로 ê° â€˜ë§Œè¬â€™, ‘사事’, ‘태泰’, ‘í‰å¹³â€™, â€˜ì˜ (ìžæ°¸ì˜ ë™ìžåŒå­— – ì–´ë–¤ 한ìžì— 대하여, ìžíšì€ 다르나 ê°™ì€ ëœ»ì˜ í•œìžæ¼¢å­—)’, ‘가家’ ìžê°€ 오려져 있고, 글ìžëŠ” 먹으로 쓰여있다. ë˜ â€˜ë§Œè¬â€™ ìžì—는 ‘대우수전大禹手篆’ì´ë¼ëŠ” 글ìžê°€ 쓰여있고, ‘태太’ìžì—는 ‘대우전大禹篆’ì´ë¼ëŠ” 글ìžê°€ ì“°ì—¬ 있어 ì´ ê¸€ìžê°€ 중국 하å¤ë‚˜ë¼ ìš°ç¦¹ìž„ê¸ˆì´ ì“´ ì „ì„œì²´ì¸ â€˜ëŒ€ìš°ìˆ˜ì „å¤§ç¦¹æ‰‹ç¯†â€™ì²´ì¸ ê²ƒì„ ì•Œ 수 있다. ì´ ì´ˆë³¸ì„ ì‚´íŽ´ë³´ë©´ 매우 ë‘꺼운 종ì´ë¡œ ì œìž‘ëœ ê²ƒì„ ë³¼ 수 있는ë°, 다양한 글씨가 ë¹„ì³ ë³´ì´ê³  있어 ì´ ìœ ë¬¼ì´ ì˜¤ëž˜ëœ ì±… 등 파지破紙를 여러 장 ê²¹ì³ ë¶™ì—¬ 만든 ìœ ë¬¼ìž„ì„ ì•Œ 수 있다. ì´ëŠ” ì„ ì¡°ë“¤ì˜ ì•Œëœ°í•¨ê³¼ 지혜를 ë³¼ 수 있는 유물ì´ë‹¤. 모든 글ìžì˜ í…Œë‘리ì—는 먹으로 칠한 í”ì ì´ 남아있어 ì´ ì´ˆë³¸ì´ ì‹¤ì œë¡œ 사용ë˜ì—ˆìŒì„ 알 수 있다.
현재 가회민화박물관ì—는 ì´ ì´ˆë³¸ì„ í™œìš©í•´ì„œ 만든 ìœ ë¬¼ì´ í•¨ê»˜ 남아있어 주목할 만하다. ì´ ìœ ë¬¼ì€ ê°€ë¡œë¡œ 긴 종ì´ì— 그려진 작품으로, ê·¸ë¦¼ì˜ ì˜¤ë¥¸ìª½ì—서부터 ‘만è¬â€™, ‘사事’, ‘태泰’, ‘í‰å¹³â€™, â€˜ì˜ (ìžæ°¸ì˜ ë™ìžåŒå­—)’, ‘가家’가 순서대로 그려져 있다. ê° ì¢…ì´ì— 그려진 글ìžì™€ ì´ˆë³¸ì˜ ê¸€ìžê°€ í¬ê¸°ì™€ ëª¨ì–‘ì´ ë™ì¼í•˜ì—¬ ì´ ì´ˆë³¸ì„ í™œìš©í•´ì„œ ì œìž‘ëœ ìœ ë¬¼ìž„ì„ ë°”ë¡œ 알 수 있다.


(좌) ë„2 ‘만사태í‰ì˜ê°€â€™ 문ìžë„ 초본 중 ‘事’ ë’·ë©´ / (ìš°) ë„3 ‘만사태í‰ì˜ê°€â€™ 문ìžë„ 초본 중 ‘平’ ë’·ë©´


<문ìžë„ 초본>,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

<문ìžë„ 초본>ì˜ í˜•íƒœëŠ”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ì´ ì´ˆë³¸, 어떻게 사용하는 것ì¼ê¹Œ? 우리는 ì´ ì´ˆë³¸ì˜ ì‚¬ìš©ë°©ì‹ì„ ê¹€ìœ ê²½ì´ ì“´ 논문 <ìš°ì„尤石 김호연金鎬然-40ì—¬ ë…„ì˜ ì‹œê°„ì„ ê±°ìŠ¬ëŸ¬> ì† ìš°ì„尤石 ê¹€í˜¸ì—°é‡‘éŽ¬ç„¶ì˜ íšŒê³ ì—서 찾아볼 수 있다.

…… ì–´ëŠ í•˜ëŠ˜ ë§‘ì€ ê°€ì„ë‚ , 나는 í• ì•„ë²„ì§€ì˜ ì‹¬ë¶€ë¦„ìœ¼ë¡œ 성 안 지물í¬ì— 갔다. …… 그때 나는 ì–´ë–¤ 낯선 ì‚¬ëžŒì´ ë§ˆë‹¹ì— ë†“ì—¬ìžˆëŠ” 들마루 위ì—서 무엇ì¸ê°€ 열심히 작업하는 ê²ƒì„ ë³´ì•˜ë‹¤. 반질반질하게 윤기가 나는 길다란 종ì´ë¥¼ 펴놓고 ê·¸ ìœ„ì— ë‘í„°ìš´ 장íŒì§€ë¥¼ ë®ê³ ëŠ” 걸쭉한 물ê°ì„ 칠했다. 장íŒì§€ì—는 글ìžê°€ 세로 ë„‰ìž ê°€ë¡œ ì„ìž ì”© ê°„ê²©ì´ ê³ ë¥´ê²Œ 패져 있었고 물ê°ì€ 글ìžë§ˆë‹¤ ìƒ‰ì´ ë‹¤ë¥´ê²Œ 빨강·파랑·노랑·초ë¡ì„ 번갈아 칠하는 것ì´ì—ˆë‹¤.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세 번 장íŒì§€ë¥¼ 갈아대면 한 í­ì´ 완성ë˜ëŠ” 그러한 작업으로 만들어지는 ê·¸ ê·¸ë¦¼ì€ ë°”ë¡œ 우리 ì§‘ ì‚¬ëž‘ë°©ì— ì³ìžˆëŠ” ë³‘í’ ê·¸ë¦¼ì˜ ê·¸ê²ƒì´ì—ˆë‹¤.
…… ë‚˜ì¤‘ì— ì•Œê²Œ ëœ ì¼ì´ì§€ë§Œ ê·¸ 병í’ì— ì“°ì—¬ì§„ 글씨는 å£½Â·ç¦ ë‘ ê¸€ìžê°€ 갖가지 모양으로 ë„ì•ˆëœ ë¯¼í™”ì˜ ì¼ì¢…ì´ì—ˆë‹¤.

ê¹€í˜¸ì—°ì€ ìžì‹ ì˜ 어린 시절 백수백복ë„ê°€ 그려지는 ê³¼ì •ì„ ì‹¤ì œë¡œ ë³´ê³ , ê·¸ ëª¨ìŠµì„ ìžì„¸í•˜ê²Œ 설명하였다. ê¹€í˜¸ì—°ì´ íšŒê³ í•œ 백수백복ë„ì˜ ì œìž‘ë°©ì‹ì„ ìžì„¸ížˆ 살펴보면, ê¹€í˜¸ì—°ì´ ë³¸ ë°±ìˆ˜ë°±ë³µë„ ì´ˆë³¸ì´ ê°€íšŒë¯¼í™”ë°•ë¬¼ê´€ 소장 <문ìžë„ 초본>ê³¼ 유사한 형태였ìŒì„ 유추할 수 있다. 그렇다면 ê¹€í˜¸ì—°ì˜ íšŒê³ ëŒ€ë¡œ 백수백복ë„를 제작해본다면 ê·¸ ê²°ê³¼ë¬¼ì€ ì–´ë–¤ 모습ì¼ê¹Œ?
ì´ë²ˆ 시간ì—는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문ìžë„ 초본>ì˜ í˜•íƒœë¥¼ 살펴보고, ì´ ì´ˆë³¸ê³¼ ê°™ì€ ë°©ì‹ìœ¼ë¡œ í™œìš©ëœ ë¯¼í™” ì´ˆë³¸ì˜ ì‚¬ë¡€ë¥¼ ê¹€í˜¸ì—°ì˜ íšŒê³  ì†ì—서 찾아보았다. ë‹¤ìŒ ì‹œê°„ì—는 <문ìžë„ 초본>ê³¼ ê°™ì€ ë°©ì‹ìœ¼ë¡œ 제작ë˜ì—ˆì„ 것으로 추정ë˜ëŠ”, ê¹€í˜¸ì—°ì˜ íšŒê³  ì† ë°±ìˆ˜ë°±ë³µë„를 ì§ì ‘ 제작해보고 초본과 ì™„ì„±ìž‘ì„ í•¨ê»˜ ì‚´íŽ´ë³´ê³ ìž í•œë‹¤. 현재 작업 중ì´ê¸° ë•Œë¬¸ì— ê²°ê³¼ë¬¼ì´ ì–´ë–»ê²Œ 나올지는 ì•„ì§ ì•„ë¬´ë„ ëª¨ë¥´ì§€ë§Œ, ì™„ì„±ëœ ìž‘í’ˆì€ ì§€ë©´ì„ í†µí•´ 소개할 예정ì´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