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


《ì¼ìƒì´ ê³ ê³ í•™ 나 í˜¼ìž êµ­ë¦½ì¤‘ì•™ë°•ë¬¼ê´€ã€‹
스토리텔ë§ìœ¼ë¡œ 만나는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마니아ì´ìž ì¼ëª… 역사 ‘ë•í›„â€™ì¸ ì €ìžëŠ” 오래ë„ë¡ ìžì‹ ë§Œì˜ 스토리텔ë§ìœ¼ë¡œ â€˜ê¸ˆâ€™ì„ ì£¼ì œë¡œ 한 ê´€ëžŒì„ ì¦ê²¨ì™”다. 언젠가 êµ­ë¦½ì¤‘ì•™ë°•ë¬¼ê´€ì„ ì£¼ì œë¡œ ì±…ì„ ì“´ë‹¤ë©´ ê·¸ 주ì¸ê³µì€ 당연히 금ë™ë°˜ê°€ì‚¬ìœ ìƒì´ë¼ ìƒê°í–ˆë‹¤ëŠ” ì €ìž. ê·¸ ì´ìœ ëŠ” 금과 예술, 불êµì˜ 집약체가 바로 국립중앙박물관 â€˜ì‚¬ìœ ì˜ ë°©â€™ì— ì „ì‹œëœ ê¸ˆë™ë°˜ê°€ì‚¬ìœ ìƒì´ë¼ ìƒê°í•˜ê¸° 때문ì´ë‹¤. ì´ ì±…ì€ êµ­ë¦½ì¤‘ì•™ë°•ë¬¼ê´€ â€˜ì‚¬ìœ ì˜ ë°©â€™ì— ì „ì‹œëœ ê¸ˆë™ë°˜ê°€ì‚¬ìœ ìƒê³¼ì˜ ë§Œë‚¨ì„ ë”ìš± 깊고 í’부하게 ê°ìƒí•  수 있ë„ë¡ ë„와주는 안내서ì´ìž íƒêµ¬ì„œë‹¤. ë”불어 êµ­ë¦½ì¤‘ì•™ë°•ë¬¼ê´€ì˜ ì „ì‹œë¥¼ ì „ë°˜ì ìœ¼ë¡œ 아우르며 ì˜ë¯¸ 있는 ê³ ê³ í•™ì  ì§ˆë¬¸ë“¤ì„ ë˜ì§„다는 ì ì€ ì´ ì±…ì˜ í° ë¯¸ë•으로 꼽힌다.



황윤 / ì±…ì½ëŠ”ê³ ì–‘ì´
20,000ì›
010-8978-7996

《산수와 í’ê²½ì˜ ì„¸ê³„ã€‹
7ëª…ì˜ ê³ ì „ê³¼ 7ëª…ì˜ ì„ êµ¬

산수화와 í’경화는 ëˆˆì— ë³´ì´ëŠ” ê²ƒì„ ê·¸ëŒ€ë¡œ ê·¸ë¦¬ê¸°ë„ í•˜ê³  저항과 찬미, 꿈과 좌절 ê°™ì€ ì¸ê°„ì˜ ë³´íŽ¸ì  ì •ì„œë¥¼ ë‹´ê¸°ë„ í•œë‹¤. ì €ìžëŠ” ë™ì–‘ì˜ ì‚°ìˆ˜í™”ì™€ ì„œì–‘ì˜ í’경화를 고유한 시선으로 재조명한다. ê°ê°ì˜ 그림 세계가 방대한 역사와 ë‚´ìš©ì„ ê°€ì§„ ë§Œí¼ ì‹œëŒ€ë³„ë¡œ 중요한 ì—­í• ì„ í•œ í™”ê°€ë“¤ì„ ì¤‘ì‹¬ìœ¼ë¡œ 구성했다는 ì ì—ë„ ì£¼ëª©í• ë§Œ 하다. ë…ìžì  í™”í’ì„ ê°€ì§„ 7ëª…ì˜ ì‚°ìˆ˜í™” 화가를, ë˜ ì´ì „ì— ì—†ì—ˆë˜ ê³ ìœ í•œ 시선으로 새로운 그림 세계를 ì—° 7ëª…ì˜ í’경화 화가를 소개한다. 나아가 ë™ì„œì–‘ì— ì „ê°œëœ ê·¸ë¦¼ 사조를 ë§ë¶™ì—¬ ì„¤ëª…í•¨ìœ¼ë¡œì¨ ë…ìžë“¤ì´ ë™ì–‘ì˜ ì‚°ìˆ˜í™”ì™€ ì„œì–‘ì˜ í’경화를 í­ë„“게 ì´í•´í•  수 있ë„ë¡ ë•는다.

윤철규 / 미진사
25,000ì›
02-336-6084

《í‰ë²”한 ìˆ˜ì§‘ê°€ì˜ íŠ¹ë³„í•œ 초대》
우리 ë„ìžê¸°ì™€ 목가구 ì´ì•¼ê¸°

우리 ë„ìžê¸°ì™€ ëª©ê°€êµ¬ì˜ ì•„ë¦„ë‹¤ì›€ì— ì‹¬ì·¨í•´ 30ì—¬ ë…„ê°„ 발품 팔아 ê³ ë¯¸ìˆ í’ˆì„ ëª¨ì•„ì˜¨ ì €ìžê°€ ê·¸ë™ì•ˆì˜ ë°œìžì·¨ë¥¼ ë‹´ì•„ 《í‰ë²”한 ìˆ˜ì§‘ê°€ì˜ íŠ¹ë³„í•œ 초대》를 발간했다. ì €ìžëŠ” 기ìžë¡œ ì‚¬íšŒì— ì²«ë°œì„ ë‚´ë”›ê³  여러 나ë¼ë¡œ ì¶œìž¥ì„ ë‹¤ë‹ˆë©° ê³ ë¯¸ìˆ ì˜ ì„¸ê³„ì— ì²˜ìŒ ëˆˆì„ ë–´ë‹¤. 진품과 ê°€í’ˆì„ ê°€ë¦´ 줄 ëª¨ë¥´ë˜ ì‹œì ˆ ê²ªì€ ì‹œí–‰ì°©ì˜¤ë¶€í„° 고미술 ìƒì¸ë“¤ê³¼ ì „ë¬¸ê°€ë“¤ì„ ë§Œë‚˜ ì•ˆëª©ì„ í‚¤ìš´ í¥ë¯¸ë¡œìš´ ì—피소드로 ë…ìžë“¤ì„ 고미술 세계로 안내한다. ë„ìžê¸°ì™€ ëª©ê°€êµ¬ì— ëŒ€í•œ ì‚¬ëž‘ì´ ë‚¨ë‹¤ë¥¸ ë§Œí¼ ì €ìžì˜ í•´ì„¤ì€ íŠ¹ë³„í•˜ë‹¤. 공들여 수집한 소장품과 ì§ì ‘ 찾아보고 íƒë¯¸í•œ 국보급 ìž‘í’ˆì— ëŒ€í•œ í•´ì„¤ì— 30ë…„ ë™ì•ˆ 숙성시킨 고미술 ì‚¬ëž‘ì´ ì˜¤ë¡¯ì´ ë‹´ê²¼ë‹¤.

최필규 / 나남출íŒ
28,000ì›
031-955-4601



ã€Šë‚˜ì˜ í•œêµ­ 미술사 연구》, ã€Ší•œêµ­ì˜ ë¯¸ìˆ ë¬¸í™”ì™€ 전시》
연구 ê¶¤ì  ë‹´ê¸´ 한국미술사 ì´ì„œ

ì›ë¡œ ë¯¸ìˆ ì‚¬í•™ìž ì•ˆíœ˜ì¤€ 서울대 명예êµìˆ˜ê°€ í•™ìˆ ì  ì„±ê³¼ì™€ 수필, ì¸í„°ë·° 기사 ë“±ì„ ì¶”ë ¤ 모아 ì‹ ê°„ ã€Šë‚˜ì˜ í•œêµ­ 미술사 연구》와 ã€Ší•œêµ­ì˜ ë¯¸ìˆ ë¬¸í™”ì™€ 전시》를 발간했다. 스스로 ‘ì€ì‚¬ë“¤ì— ì˜í•´ 만들어진 ë¯¸ìˆ ì‚¬ê°€â€™ë¼ ì¹­í•˜ë©° ê·¸ê°„ì˜ ê³µì„ ê²¸í—ˆížˆ 스승ì—게 ëŒë¦¬ê³¤ í–ˆë˜ ì•ˆíœ˜ì¤€ êµìˆ˜. 서울대 ê³ ê³ ì¸ë¥˜í•™ê³¼ 1기ìƒìœ¼ë¡œ ìž…í•™, ì§€ë„êµìˆ˜ì˜€ë˜ 삼불 ê¹€ì›ë£¡ êµìˆ˜ì™€ 초대 êµ­ë¦½ì¤‘ì•™ë°•ë¬¼ê´€ìž¥ì„ ì§€ë‚¸ 여당 ê¹€ìž¬ì› ì„ ìƒì˜ 권유로 한국회화사 ì—°êµ¬ì— ë°œì„ ë‚´ë”›ì—ˆë‹¤. 서울대를 졸업한 ì´í›„ 미국 하버드대 ëŒ€í•™ì› ë¯¸ìˆ ì‚¬í•™ê³¼ì—서 ì„사와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프린스턴대 ëŒ€í•™ì›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수학했으며 1974ë…„ 귀국해 한국 ë¯¸ìˆ ì‚¬ì˜ í•™ë¬¸ì  ì²´ê³„ë¥¼ 세우고, ì œìžë¥¼ 양성하여 í•œêµ­íšŒí™”ì‚¬ì˜ ì´ˆì„ì„ ë§ˆë ¨í–ˆë‹¤.
ã€Šë‚˜ì˜ í•œêµ­ 미술사 연구》는 ê·¸ì˜ ì—°êµ¬, êµìœ¡, 사회 봉사 ë“±ì˜ ë‹¤ì–‘í•œ 분야ì—서 ì´ë£©í•œ ì„±ê³¼ë“¤ì„ í•œë° ëª¨ì•„ 정리한 ì±…ì´ë‹¤. ì±…ì˜ ë’·ë¶€ë¶„ì—는 논문, 서í‰ê³¼ 발간사, 수필과 논설 ë“±ì´ ì‹¤ë ¤ ìžˆëŠ”ë° ì´ ëª¨ë“  ê¸€ë“¤ì´ ì‹ ë¬¸ê³¼ 잡지를 제외하고는 해당 서ì ì— 처ìŒìœ¼ë¡œ ê²Œìž¬ëœ ê²ƒì´ë‹¤.
ã€Ší•œêµ­ì˜ ë¯¸ìˆ ë¬¸í™”ì™€ 전시》는 미술문화와 전시와 ì—°ê´€ëœ ê¸€ë“¤ì„ ì¶”ë ¤ ì‹¤ì€ ì±…ì´ë‹¤. 문화재와 미술 관련 단문, 박물관(미술관) ë° ì €ìžì™€ ì¸ì—°ì´ ê¹Šì€ ë¬¸í™”ì¸ì— 관한 단문, 국공립박물관과 ì‚¬ë¦½ë¯¸ìˆ ê´€Â·í™”ëž‘ì´ ê°œìµœí•œ ê³ ë¯¸ìˆ ì „ë“¤ì„ ë¹„ë¡¯í•´ í˜„ëŒ€íšŒí™”ì „ì— ì´ë¥´ê¸°ê¹Œì§€ 다양한 ì „ì‹œì— ëŒ€í•´ ì“´ 40ì—¬íŽ¸ì˜ ê¸€ë“¤ì„ ëª¨ì•˜ë‹¤. ì±…ì˜ ë§ë¯¸ì—는 신문과 ìž¡ì§€ì‚¬ì˜ ìš”ì²­ì— ë”°ë¼ ì§„í–‰í•œ ì¸í„°ë·° ê¸°ì‚¬ë“¤ì„ ì‹¤ì—ˆë‹¤.
한편, ì €ìžê°€ ì“´ 학술단문들 중 2000ë…„ ì´ì „ì˜ ê¸€ë“¤ì€ ã€Ší•œêµ­ì˜ ë¯¸ìˆ ê³¼ 문화》, 《한국 íšŒí™”ì˜ ì´í•´ã€‹ ë‘ ê¶Œì— ë‹´ê²¨ 있다. 2000ë…„ ì´í›„ì— ì“´ ê¸€ë“¤ì´ ë‘ ê¶Œì˜ ì‹ ê°„ìœ¼ë¡œ ë°œê°„ëœ ê²ƒ. 한국 ë¯¸ìˆ ì‚¬ì˜ ì—°êµ¬ í름부터 ì¸ê°„ â€˜ì•ˆíœ˜ì¤€â€™ì˜ ì• í™˜ê¹Œì§€ ë‘루 담긴 ì´ ì„œì ì€ 한국미술사를 ì´í•´í•˜ëŠ” ë° ë”ì—†ì´ ì¢‹ì€ ê¸¸ìž¡ì´ê°€ ë˜ì–´ì¤„ 것ì´ë‹¤.

ã€Šë‚˜ì˜ í•œêµ­ 미술사 연구》
(주)사회í‰ë¡ ì•„ì¹´ë°ë¯¸
40,000ì›
02-326-1545

ã€Ší•œêµ­ì˜ ë¯¸ìˆ ë¬¸í™”ì™€ 전시》
(주)사회í‰ë¡ ì•„ì¹´ë°ë¯¸
35,000ì›
02-326-1545


안휘준


미술사학ìž
ì„œìš¸ëŒ€í•™êµ ì¸ë¬¸ëŒ€í•™ 고고미술사학과 명예êµìˆ˜



정오경 작가 《글씨그림》
마ìŒì„ 다스리는 문ìžë„ 그리기

정오경 작가가 월간민화 실기êµì‹¤ 시리즈 11 ã€Šê¸€ì”¨ê·¸ë¦¼ã€‹ì„ ë°œê°„í–ˆë‹¤. 조선시대 í›„ê¸°ì— ìœ í–‰í•œ 문ìžë„文字圖는 ë§ ê·¸ëŒ€ë¡œ 문ìžë¥¼ ë„안화圖案化하여 그린 그림으로, ì±…ì—서는 다양한 문ìžë„ ê°€ìš´ë° ì£¼ìš” 3ê°€ì§€ì˜ ì „í†µë¬¸ìžë„ì¸ <효제문ìžë„>, <백수백복ë„>,
<제주문ìžë„>와 정오경 작가가 창작한 문ìžë„ <ë³µì„ ì§“ë‹¤>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ìžë¥¼ 활용한 문ìžë„ì˜ íŠ¹ì„±ìƒ ìž‘í’ˆë§ˆë‹¤ ë¨¹ì´ ë§Žì´ í™œìš©ë˜ë‹¤ë³´ë‹ˆ ì±…ì—서는 ë¨¹ì„ ë‹¤ë£¨ëŠ” ë²•ì„ ì¤‘ì ì ìœ¼ë¡œ 설명한다. ì¼ë¡€ë¡œ, 작가는 문ìžë¥¼ 바림할 때 분채 í‘ê³¼ ë¨¹ë¬¼ì„ 1:1로 ì„žì€ ë’¤ ë¬¼ì„ ì¶”ê°€í•œ 색으로 바림하는 ê²ƒì´ ì¢‹ë‹¤ê³  ê·€ë”한다. 먹물만으로 바림하면 ìƒ‰ì´ ì—°í•˜ê¸° 때문ì´ë‹¤.
ë˜í•œ 제주문ìžë„ì˜ ê²½ìš° ê¸€ìž ë‚´ë¶€ì— ë¬¼ê²°ëª¨ì–‘ìœ¼ë¡œ ë³´ì´ëŠ” 비백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준비한 ë¶“ì— ì¤‘ë¨¹ì„ ë¬»ížŒ ë’¤ ì ‘ì‹œì— ë¹„ë²¼ ë¶“ëì„ ê°ˆë¼ì§€ê²Œ 만들어 작업한다. 별ë„ì˜ ì¢…ì´ì— ì„ ì„ ê·¸ì–´ ì„ ì˜ ëª¨ì–‘ì´ë‚˜ 굵기를 확ì¸í•œ ë‹¤ìŒ ë¬¼ê²° ëª¨ì–‘ì„ í•œ ë²ˆì— ë¬˜ì‚¬í•œë‹¤(사진 1참고).
창작문ìžë„ â€˜ë³µì„ ì§“ë‹¤â€™ 시리즈ì—는 토종 박새가 ‘복ç¦â€™ìžë¥¼ 한 땀씩 꿰매는 ëª¨ìŠµì´ ë‹´ê²¨ìžˆë‹¤. ë³µì„ ì§“ê¸° 위해 부지런히 살아가는 현대ì¸ì˜ ëª¨ìŠµì„ íˆ¬ì˜í•œ 것으로 ê²€ì€ ë°”íƒ•ì„ ì²œì˜ ëŠë‚Œìœ¼ë¡œ 표현하기 위해 ë°”íƒ•ì— ìžë¥¼ 대고 ë†ë¬µìœ¼ë¡œ ì„ ì„ ê·¸ë ¤ 넣었다. 가로, 세로 ì„ ë“¤ì´ ì—¬ëŸ¬ê²¹ ê²¹ì³ì§„ ëª¨ìŠµì€ ì‹¤ì œ ì²œì˜ ëª¨ìŠµì„ ë°©ë¶ˆì¼€ 한다(사진 2참고).
ì±…ì˜ ë 부분ì—는 먹물, 목간먹물, 송연먹, 유연먹, 카본먹 등 다양한 ì¢…ë¥˜ì˜ ë¨¹ê³¼ 바림 ë°©ì‹ì— 따른 ìƒ‰ê° ë° ë†ë‹´ì˜ ì°¨ì´ì— ëŒ€í•´ì„œë„ ì§šì–´ì¤€ë‹¤. 정오경 ìž‘ê°€ì˜ ì¹œì ˆí•œ ì•ˆë‚´ì— ë”°ë¼ ë¬¸ìžë„를 그리다 ë³´ë©´ 마ìŒì„ 다잡고, í–‰ë³µì„ ëŠë‚„ 수 ìžˆì„ ê²ƒì´ë‹¤.



실기êµì‹¤ 시리즈 11 <글씨그림>
15,000ì›
02-765-3812


정오경
우리민화연구소를 ìš´ì˜ ì¤‘ì´ë©° ëª…ì§€ëŒ€í•™êµ ë¯¸ëž˜êµìœ¡ì›, 겸재정선미술관,
롯ë°ë°±í™”ì  ë³¸ì  ë° ìž ì‹¤ì ì—서 민화를 ì§€ë„하고 있다.
월간민화 기íšì „ , <문ìžë„ 투ë°ì´> 등
ë‹¤ìˆ˜ì˜ ê¸°íšì „ê³¼ ê·¸ë£¹ì „ì— ì°¸ì—¬í–ˆë‹¤.



ê¹€ë„ì˜ ìž‘ê°€ 《한글 í’ˆì€ í•œì˜¥ã€‹
한글과 í•œì˜¥ì„ ì ‘ëª©í•œ 아름다운 그림책

그림으로 ì§‘ì„ ì§“ëŠ” 작가, ê¹€ë„ì˜ ìž‘ê°€ê°€ 한글과 í•œì˜¥ì„ ì ‘ëª©í•œ 작품으로 그림책 《한글 í’ˆì€ í•œì˜¥ã€‹ì„ ì¶œê°„í–ˆë‹¤.
í•œì˜¥ì€ ìŒì–‘오행, í’ìˆ˜ì§€ë¦¬ì— ë§žê²Œ ì§“ê¸°ë„ í–ˆì§€ë§Œ 마ìŒì˜ 기ì›ì„ ë‹´ì•„ 문ìží˜• 구조로 ì§“ê¸°ë„ í–ˆë‹¤. í•œì˜¥ì„ ìœ„ì—서 ë°”ë¼ë³´ë©´ 마치 한글처럼 ë³´ì´ê¸°ë„ 하는 ê²ƒì´ ê·¸ ì´ìœ ë‹¤. ê¹€ë„ì˜ ìž‘ê°€ëŠ” ì–´ëŠ ë‚ , 한옥ì—서 í•œê¸€ì„ ë°œê²¬í•˜ê³  그림으로 ì§‘ì„ ì§“ê¸° 시작했다. 한지 ìœ„ì— â€˜ê¸°ì—­ ìž í•œì˜¥â€™, â€˜ë‹ˆì€ ìž í•œì˜¥â€™, ‘디귿 ìž í•œì˜¥â€™ì„ ê·¸ë¦¬ë‹¤ 보니 ì–´ëŠìƒˆ 14ê°œì˜ í•œê¸€ ìžìŒ 모양 ì§‘ì„ ëª¨ë‘ ì™„ì„±í•˜ê²Œ ë˜ì—ˆë‹¤. ê¹€ë„ì˜ ìž‘ê°€ëŠ” ìž‘í’ˆì— ì‹¤ìž¬í•˜ëŠ” í•œì˜¥ì„ ë‹´ì•„ ê·¸ë¦¬ê¸°ë„ í–ˆëŠ”ë°, 《한글 í’ˆì€ í•œì˜¥ã€‹ì—는 ì˜ˆì‚°ì— ìžˆëŠ” 추사 ê³ íƒê³¼ 안ë™ì— 있는 ë„ì‚° 서ì›, ì„œìš¸ì— ìžˆëŠ” ì²œìš°ê° ë“± 유서 ê¹Šì€ í•œì˜¥ë“¤ì´ ë‹´ê²¨ 있다.
고즈넉하고 고아한 분위기가 ê°€ë“한 ìž‘í’ˆì— ëª½ê¸€ëª½ê¸€í•œ ê°ì„±ì´ 담긴 ê¸€ì´ ì–´ìš°ëŸ¬ì ¸ 한 íŽ¸ì˜ ì‹œë¥¼ ì½ëŠ” 듯한 ê¸°ë¶„ì´ ë“ ë‹¤. 유아 ë…ìžë“¤ì—게는 기역부터 히ì—까지 한글 ìžìŒì„ 배울 수 있는 í•˜ë‚˜ì˜ ìž¬ë¯¸ë‚œ êµê³¼ì„œê°€ ë˜ì–´ì¤„ 것ì´ë©°, 우리 전통 ê°€ì˜¥ì¸ í•œì˜¥ì˜ ë§¤ë ¥ì„ ì†Œê°œí•´ì£¼ëŠ” 소중한 안내서가 ë˜ì–´ì¤„ 것ì´ë‹¤. ì„ ì¡°ë“¤ì˜ ì‚¶ê³¼ 문화가 깃든 한옥 ê·¸ë¦¼ì„ í†µí•´ 우리 ê³ ìœ ì˜ ì˜› ì •ì·¨ì— í ë»‘ 빠져볼 수 있기를 바란다.


《한글 í’ˆì€ í•œì˜¥ã€‹
ê¹€ë„ì˜ / ë„ì„œì¶œíŒ ë°œê²¬(키즈엠) 13,000ì›
1566-1770


ê¹€ë„ì˜
대학ì—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한옥과 í•œê¸€ì„ ì£¼ì œë¡œ 회화, 설치 등
다양한 ì‹œê° ì˜ˆìˆ  활ë™ì„ ì´ì–´ê°€ê³  있는 ì „ì—… 작가ì´ë‹¤.
주요 전시 경력으로는 ê°œì¸ì „ <한옥ì—서 í•œê¸€ì„ ë³´ë‹¤â… , â…¡>, <ê¹€ ìž‘ê°€ì˜ í•œê¸€ë‹¤ìš´ 나날들>, 기íšì „ <한글, ì ìœ¼ë¡œë¶€í„° ë¹›>, <문ìžë„ Today> ë“±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