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가는 날

〈시집가는 ë‚ ã€‰ì€ ì¡°ì„ ì‹œëŒ€ 양반집ì—서 혼ì¸í•˜ëŠ” í’ê²½ì„ ê·¸ë¦° 작품ì´ë‹¤. 최천숙 작가는 아들 ë‚´ì™¸ì˜ ê²°í˜¼ì„ ì¶•í•˜í•˜ë©´ì„œ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기를 ë°”ë¼ëŠ” 마ìŒì„ 그림 ì†ì— 담아내었다고 한다. ë¬¸ë“ ì°¬ë°”ëžŒì´ ë¶ˆì–´ ì €ë„ ëª¨ë¥´ê²Œ ì˜·ê¹ƒì„ ì—¬ë¯¸ê²Œ ë˜ëŠ” 11ì›”. 최천숙 작가가 전해주는 따스한 민화 ì´ì•¼ê¸°ë¥¼ 건네 들으며, 잊고 ìžˆë˜ ì¼ìƒ ì†ì˜ í–‰ë³µì„ ë˜ëŒì•„보는 ê²ƒì€ ì–´ë–¨ê¹Œ.(편집ìžì£¼)


육군사관학êµë¥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한 ì•„ë“¤ì´ ì „ë°©ì—ì„œì˜ ì†ŒëŒ€ìž¥ ìƒí™œì„ 마치고는 ê²°í˜¼ì„ í•˜ê² ë‹¤ê³  ë§í–ˆë‹¤. 신부는 사관학êµë¥¼ 함께 졸업한 ë™ê¸°ìƒì´ì—ˆë‹¤. 힘든 군대 ìƒí™œì„ 내조하는 ë©°ëŠë¦¬ë¥¼ 맞았으면 했지만, 뜻과는 다르게 êµ°ì¸ ë©°ëŠë¦¬ë¥¼ 얻게 ëœ ê²ƒì´ë‹¤. 나는 ì‹ ë¶€ 집으로 í˜¼ìˆ˜í•¨ì„ ë³´ë‚´ë©° 혼서지와 함께 편지를 넣어 보냈다.

주실ì—게
너를 우리 가족으로 ë§žì´í•˜ê²Œ ë˜ì–´ 무척 기ì˜ë‹¤.
혜ì›ì´ì™€ ë„ˆì™€ì˜ ì²«ì‚¬ëž‘ì´ ì„¸ì›”ì´ íë¥´ë©´ì„œë„ ì§€ì†ë˜ì–´
ê²°í˜¼ì— ì´ë¥´ë‹ˆ ê·¸ ì‚¬ëž‘ì´ ì˜ì›í•˜ê¸¸ 기ì›í• ê²Œ.
순수하고 아름다운 ì‚¬ëž‘ì„ ì¶•ë³µí•˜ê³  싶구나.
그러나 ê²°í˜¼ì€ ì—°ì• ë³´ë‹¤ 훨씬 길고,
í‰ìƒì„ 함께 í‰í™”롭게 지내야 하니,
ì¸ë‚´ì™€ ë…¸ë ¥ì´ í•„ìš”í•˜ë‹¨ë‹¤.
ì´ì œëŠ” ë„ˆí¬ ë‘˜ì´ ì¤‘ì‹¬ì´ ë˜ì–´ 한 ê°€ì •ì„ ì´ë£¨ì–´ 내는 거다.
ìžë…€ë¥¼ 잘 키우고, ë¶€ëª¨ì˜ í‰ì•ˆì„ ì—¼ë‘ì— ë‘어야 한다.
ìžì‹ ë§Œì„ 위한다면 결혼할 필요가 없는 것ì´ë‹¤.
ê²°í˜¼ì€ ì‚¬ëž‘í•˜ëŠ” ì´ë¥¼ 위해 봉사하고, 헌신할 수 있어야 한다.
어려운 공부를 마치고, êµ­ê°€ì˜ ê°„ì„±ì´ ë  ìƒë„를 가르치는
êµìˆ˜ë¡œ ìš°ëš ì„œê²Œ ëœ ë„ˆë¥¼ ìžëž‘스럽게 ìƒê°í•œë‹¤.
명예를 지키고 êµ­ê°€ì— ì¶©ì„±í•˜ëŠ” 훌륭한 êµ°ì¸ì´ ë˜ê¸¸ 바란다.
현명하고 지혜롭게 우리 ì§‘ì•ˆì„ ìž˜ 꾸려나가
ì´ ì‚¬íšŒì™€ êµ­ê°€ì˜ ë°œì „ì— í° ë„ì›€ì´ ë˜ì—ˆìœ¼ë©´ 한다.
아름다운 ë‚ ì´ë‹¤.
오랜 ì‚¬ëž‘ì´ ê²°ì‹¤ì„ ì´ë£¨ì–´ ë§Œë¬¼ì˜ ì¶•ë³µì„ ë°›ìœ¼ë©°
한 ê°€ì •ì„ ì´ë£¨ì–´ 대물림하며 ì•žìœ¼ë¡œë„ ë…¸ë ¥ê³¼ 헌신으로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아가길 바란다.
다시 한 번 ìžëž‘스러운 너를 우리집
새 ì‹êµ¬ë¡œ ë§žì´í•˜ê²Œ ë˜ì–´ 기ì˜ê³  고맙다.

현대ì—는 ì‹ ëž‘ì´ ì–‘ë³µì„ ìž…ê³ , 신부가 웨딩드레스를 입는 서양 결혼ì‹ì„ 주로 한다. 물론 전통 형ì‹ì˜ 혼례ì‹ì„ 하는 ì´ë“¤ë„ 종종 있다. 민화는 ìš°ë¦¬ì˜ ì „í†µìœ¼ë¡œë¶€í„° ì „í•´ 내려오는 그림ì´ë¯€ë¡œ, 나는 ì•„ë“¤ì˜ ê²°í˜¼ì„ ë§žì•„ ê·¼ëŒ€ì˜ í˜¼ë¡€ì‹ì—서 신행新行가는 ìž¥ë©´ì„ ê·¸ë ¤ 보았다. ì‹ í–‰, 즉 우귀례于歸禮란 ì‹ ëž‘ì´ ì‹ ë¶€ì§‘ì—서 대례를 치르고 1~3ì¼ê°„ 머무른 í›„ì— ì‹ ë¶€ì™€ ì‹ ëž‘ì´ í•¨ê»˜ ì‹ ëž‘ì˜ ì§‘ìœ¼ë¡œ 들어가는 ê²ƒì„ ë§í•œë‹¤. ì‹ ëž‘ì€ ì‚¬ëª¨ê´€ëŒ€ì— ì¡°ëž‘ë§ì„ 타고, 신부는 ì—¼ì˜ë¥¼ ìž…ê³  가마를 타고 간다. 차림새는 대례복과 같다. ì‹ ëž‘ì´ ìœ„ë¥¼ ì³ë‹¤ë³´ê³  신부는 아래를 내려다보며 다소곳하다. ì²­ì‚¬ì´ˆë¡±ì„ ì•žì„¸ìš°ë©°, 하ì¸ë“¤ì€ ì‹ ë¶€ ì§‘ì—서 만들어 준 ìŒì‹ê³¼ 가재 ë„구를 ì†Œë“±ì— ì‹£ê³  보따리를 들거나 ë¨¸ë¦¬ì— ì´ê³  ë”°ë¼ê°„다.
ëª¨ëž€ì€ ë¶€ê·€ì˜í™”를 ìƒì§•하므로 ê¶ì¤‘ì—서 세화나 병í’, 장ì‹ìš©ìœ¼ë¡œ ì“°ì´ê³  민가ì—ì„œë„ ì• ìš©í•˜ëŠ” ë„ìƒì´ë¯€ë¡œ, ëª¨ëž€ì„ ë‚˜ë¬´ì— í•€ë“¯ 커다랗게 그려넣었다. ë‘ ê·¸ë£¨ì˜ ë‚˜ë¬´ê°€ 하나 ë˜ì–´ í¬ê³  아름다운 ê½ƒì„ í”¼ìš°ë“¯, 아들 ë‚´ì™¸ë„ í•œí‰ìƒ 행복하게 잘 살기를 소ë§í•œë‹¤.


글·그림 최천숙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