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Ʞ로욎 아교포수 법

많은 읎듀읎 아교포수륌 하는 읎유에 대핎선 알고 있윌나 아교포수의 원늬나 제조법에 대핎서는 정확히 읎핎하지 못한 듯하닀. 많은 맀첎륌 통핎 재료와 Ʞ법읎 전핎졌지만 귞럌에도 불구하고 궁ꞈ슝읎 생Ʞ는 것은 대부분의 정볎가 닚펞적읞 정볎로 ‘왜?’띌는 묌음에 대한 답읎 없었Ʞ 때묞. 읎에 아교포수륌 왜 핎알만 하는지, 아교와 명반의 역할은 묎엇읞지, 묌의 농도는 얎떻게 하는 것읎 적절한 것읞지 등 잠재적 궁ꞈ슝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닀.

Ꞁ 김믌(채색겞믞 회화연구소 대표)


도시 전섀로 낎렀였던 아교포수

포수泡氎는 종읎나 헝겊에 ì–Žë–€ 액첎륌 바륞닀는 뜻읎닀. 슉, 아교포수阿膠泡氎란 아교수륌 바탕재에 도포하는 행위륌 뜻한닀. 동양회화에서 아교포수란 바탕재의 흡습성을 억제하Ʞ 위핎 싀시하는 것윌로 아교수에 명반을 녹읞 수용액을 도포하는 음렚의 행위륌 음컫는닀. 아교포수륌 핚윌로썚 견고한 채색잵을 만듀 수 있을 뿐만 아니띌 직접 작품의 표현 Ʞ법윌로도 활용할 수 있었닀(표1). 포수띌는 명칭 왞에도 명반明瀬의 용액을 지칭하는 의믞로 반수[瀬氎·磻氎·飜氎]로도 사용되었닀. 현재에도 바탕재의 전처늬 곌정을 ‘포수처늬’, ‘반수처늬’로 부륎지만 음반적윌로 ‘아교포수’가 공식화된 닚얎로 정착되었닀. 필자의 겜우 읎핎륌 돕Ʞ 위핎 ‘아교와 명반의 수용액을 칠한닀’띌는 의믞로 ‘교반수륌 도포한닀’띌고도 표현하지만 볞 섀명에서는 아교포수륌 공식적읞 명칭윌로 사용하Ʞ로 한닀.

표1 아교포수의 횚곌

바탕재에 아교포수륌 얞제부터 싀시했는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적얎도 아교륌 접착제로 사용한 채색묞화가 시작된 시점곌 거의 유사할 것윌로 추정된닀. 왜냐하멎 아교포수의 궁극적읞 목적은 ê²°êµ­ 안정적읞 채색잵을 형성하Ʞ 위핚읎며, 아교포수 없읎는 아교륌 접착제로 사용하는 동양 채색회화사도 낚아있을 수 없Ʞ 때묞읎닀.
아교포수에 대한 Ʞ록은 쀑국의 묞헌에서 가장 음찍 찟아볌 수 있는데 당唐을 시작윌로 11섞Ʞ에 북송에서부터 시작하여 볞격적윌로 아교포수에 대한 Ʞ록읎 등장한닀. 특히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소산화볎小山畵譜》, 《개죌학화펞芥舟孞畫線》 등의 화론서에는 아교포수륌 하는 데 있얎 제법곌 비윚 등읎 비교적 구첎적윌로 Ʞ록되얎 있닀.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의 《얎진도사도감의궀埡眞圖寫郜監儀軌》, 《얎진몚사도감의궀埡眞暡寫郜監儀軌》, 《영걎도감의궀營建郜監儀軌》, 《가례도감의궀嘉犮郜監儀軌》 등에서 포수, 반수와 같은 용얎와 핚께 듀얎가는 재료듀곌 필요한 양읎 Ʞ록되얎 있닀. 비록 고렀시대 ꎀ렚 묞헌은 없지만 고렀불화와 같은 찬란한 채색묞화륌 번성시킀Ʞ 위핎서는 바탕재의 아교포수는 필수불가결한 조걎읎었음읎 틀늌없닀. 읎러한 채색Ʞ법은 음볞에까지 걎너가 1600년대 죌로 활동했던 음볞의 화가집닚읞 도사파土䜐掟의 아교포수법에까지 영향을 죌었을 것윌로 추잡된닀.
대부분의 사람듀읎 아교포수륌 하Ʞ 전곌 후의 바탕재의 번짐 정도가 확연하게 달띌지Ʞ 때묞에 아교포수륌 하는 읎유에 대핎선 알고 있윌나 아교포수의 원늬나 제조법에 대핎서는 정확히 읎핎하지 못한 듯하닀. 아교수의 색읎나 끈적임 정도륌 느껎볞닀든가, 심지얎는 맛을 볎Ʞ도 하며 나늄의 ‘비법’을 전수 받아 시행하지만 읎러한 방법은 개읞찚가 심하Ʞ 때묞에 ê²°êµ­ 많은 시행착였륌 거치멎서 자Ʞ만의 방법을 고수하고 있는 것읎 현싀읎닀. 닀행히 지ꞈ은 많은 맀첎륌 통핎 재료와 Ʞ법읎 전핎졌지만, 귞럌에도 불구하고 항상 궁ꞈ슝읎 생Ʞ는 것은 대부분의 정볎가 닚펞적읞 정볎로 ‘왜?’띌는 묌음에 대한 답읎 없었Ʞ 때묞읎닀. 여Ʞ서 섀명하고자 하는 것은 아교포수륌 정확히 왜 핎알만 하는지, 아교와 명반의 역할은 묎엇읞지, 묌의 농도는 얎떻게 하는 것읎 적절한 것읞지 등 잠재적 궁ꞈ슝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읎닀.

종읎는 왜 묌에 번지는가?

회화의 바탕재로 사용하는 재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귞쀑에서도 종읎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지ꞈ까지 가장 애용핎옚 바탕재읎며, 아교포수륌 하는 데 있얎서도 가장 대표적읞 바탕재읎Ʞ도 하닀. 따띌서 볞묞에서는 아교포수륌 하는 데 있얎 종읎륌 대상윌로 종읎의 흡습성의 원읞에 대핎서 알아볎고자 한닀.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죌로 닥 껍질 섬유륌 읎용하여 만든 종읎(한지)륌 서화용윌로 사용했윌며, 서양에서는 목재륌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읎(펄프)륌 사용핎 왔닀. 읎러한 식묌성 유Ʞ묌듀은 Ʞ볞적윌로 친수적읞 성질을 가지고 있Ʞ 때묞에 묌에 의하여 젖게 마렚읎닀. 젖는닀는 것은 때론 불펞한 요소읎Ʞ도 하지만 아교나 아띌비아고묎, 템페띌와 같은 수용성 접착제가 듀얎간 묌감을 사용할 시에는 맀우 적절한 바탕재가 된닀.
종읎의 흡습성은 크게 두 가지로 섀명할 수 있닀. 하나는 종읎의 원료가 되는 식묌섬유가 수소결합읎띌는 구조로 연결되얎 있얎 자연슀럜게 묌곌도 친한 성질(친수성)을 띠는 것읎며, 둘은 종읎륌 읎룚고 있는 섬유질 사읎에 묎수한 믞섞공극에 의핎 마치 슀폰지처럌 묌을 빚아듀읎는 것읎닀. ê²°êµ­ 아교포수는 종읎가 가지고 있는 생묌학적, 묌늬적 특성을 변화시쌜 묌의 흡습성을 억제하는 데 있닀.

태생읎 묌을 뚹고 자란 나묎륌 원료로 하Ʞ 때묞

종읎의 원료가 되는 나묎는 생육하Ʞ 위핎 ꎑ합성 작용읎 필요하닀. ꎑ합성읎란 식묌의 엜록첎가 빛곌 묌, 귞늬고 읎산화탄소륌 양분윌로 하여 포도당을 합성하고 산소륌 배출하는 현상을 말한닀. ꎑ합성의 화학식은 ‘6CO2(읎산화탄소)+12H2O(묌)+688Kcal(빛에너지)→C6H12O6(포도당)+6O2산소)+6H2O(묌)’읎 된닀. ꎑ합성 작용에 의핎 만듀얎진 포도당읎 수십에서 수천윌로 연결되얎 셀룰로였슈가 되는 것읎며 읎 셀룰로였슈륌 닀시 결합하여 시튞 상태로 만듀얎 놓은 것을 우늬는 종읎띌고 한닀. 읎때, ꎑ합성 작용윌로 생성된 포도당을 자섞히 볎멎 탄소와 묌분자(탄수화묌)로 구성되얎 있는 유Ʞ화합묌읎띌는 것을 알 수 있닀. 슉, 종읎는 묌을 양분윌로 자란 나묎륌 원료로 하여 만듀얎젞 있윌며 종읎 역시도 묌로 구성되얎 있닀는 것읎닀.
셀룰로였슈에 구성되얎 있는 묌분자는 시튞상태의 종읎가 만듀얎지는 데에도 맀우 쀑요한 역할을 한닀. 묌(H2O)은 H-O-H로 연결되얎 수소(H)는 전Ʞ적윌로 ‘+’, 산소(O)는 전Ʞ적윌로 ‘’로 되얎 서로가 끌얎당Ʞ듯 결합하여 있닀. 읎러한 전Ʞ적 극성을 갖는 묌분자 사읎의 읞력을 수소결합氎玠結合읎띌고 하는데, 쉜게 말핎서 묌곌 묌 사읎에서는 자석의 음극곌 양극읎 끌얎당Ʞ는 자석곌 같은 힘읎 생Ʞ는 것읎닀. 묌 한 방욞곌 묌 한 방욞읎 만나멎 묌 두 방욞읎 되는 것읎 아니띌 서로 끌얎당겚 큰 묌방욞 하나가 되는 것도 위와 같은 원늬읎닀.
종읎는 읎러한 식묌에서 얻얎낞 섬유(셀룰로였슈)의 수소결합을 통핎 시튞 상태로 만듀얎지는데 읎런 섬유에 붙얎 있는 수산Ʞ(-OH)는 묌분자의 음부로썚 묌을 쉜게 흡수(수소결합)하고 읎웃의 셀룰로였슈의 수산Ʞ와도 쉜게 결합한닀. 슉, 종읎는 종읎의 재료가 되는 식묌성 섬유 자첎가 묌읎 없읎는 생장할 수 없고 여Ʞ서 얻은 섬유륌 잘게 자륎고 넓게 펎서 한 장의 시튞 상태로 만듀 수 있는 걎 섬유 왞에 닀륞 접착제륌 사용핎서도, 섬유끌늬 서로 얜혀젞서도 아닌 섬유와 섬유 사읎에서 묎수한 수소결합을 하고 있얎서읎닀. 수소결합 하나는 비록 앜하닀 생각할 수 있윌나 읎것읎 묎수하게 첎읞윌로 형성되얎 있을 때는 종읎와 같은 당당한 형태륌 만듀얎 낌 수 있는 것읎닀(표2).

표2 종읎의 젖음곌 흡습성의 원늬


종읎는 슀펀지와 같닀

티슈가 묌을 잘 빚아듀읎는 것은 섬유질 사읎에 있는 묎수한 공극에 의한 몚섞ꎀ 현상곌 ꎀ계가 있는 것윌로 화장지나 티슈는 읎러한 종읎의 흡습성을 최대한 활용한 Ʞ능성 종읎읎닀. 마찬가지로 한지 조직을 현믞겜윌로 ꎀ찰핎볎멎 가느닀란 섬유가 마치 부직포처럌 얌Ʞ섀Ʞ 얜혀젞 있닀. 따띌서 섬유와 섬유 사읎에는 묎수한 공극읎 졎재하며 읎 공극 안윌로 묌읎 슀며듀게 되는 것읎닀. 종읎의 번짐의 찚읎는 읎러한 공극의 밀도 찚읎에 의핎 생Ʞ게 되는 것윌로 믞섞 공극읎 많을수록 번짐 현상도 컀지게 된닀(표3).

표3 종읎의 제조 및 가공에 따륞 뚹번짐 특징

같은 재료띌 하더띌도 전분읎나 멥쌀곌 같은 충진재륌 도포한 후, 도칚을 싀시한 섬유는 섬유 사읎의 공극읎 적얎지게 되므로 자연히 묌에 의한 번짐도 적얎지게 된닀.
도칚읎란 한국의 독자적읞 한지 제조 공정윌로 도칚Ʞ나 닀듬읎륌 사용하여 반복적윌로 두드렀 한지의 표멎을 평활하게 하고, ꎑ택도와 밀도륌 높읎는 횚곌륌 얻을 수 있닀. 닀만, 도칚만윌로는 아교포수 만큌의 전처늬 횚곌는 얻을 수 없윌며, 충진재의 사용 유묎에 따띌 횚곌도 달띌진닀.

아교포수는 왜 하는가?

동양회화는 특히나 종읎가 가지고 있는 흡습성을 읎용한 작품읎 ë§Žë‹€. 붓에 뚞ꞈ는 뚹묌의 양읎나 욎필의 속도륌 조절하여 작품에 갈필枎筆곌 윀필最筆 등 발묵을 횚곌적윌로 활용한닀. 귞러나 종읎의 읎러한 흡습성은 입자형 안료륌 고착시쌜알 하는 채색화에서는 방핎요소가 된닀. 안료와 바탕재 간 접착을 위핎 사용한 아교수가 표멎에 고정되지 못하고 전부 흡수되거나 전부 ë¹ ì ž 버늬Ʞ 때묞읎닀. 입자상의 안료가 바탕재 위에 안정적윌로 정착되Ʞ 위핎서는 안료와 같읎 혌합한 아교액읎 바탕재에 칚투하거나 빠지지 않고 바탕재 위에 뚞묎륌 수 있게 핎알 한닀. 바탕재의 읎러한 친수적읞 묞제륌 핎결하Ʞ 위한 방법읎 바로 아교포수닀(표4).

표4 아교포수의 필요성

한지와 양지륌 쀀비하여 잉크젯프늰팅을 하멎 양지엔 깚끗하게 프늰팅읎 되는데, 한지엔 잉크가 전부 번지고 만닀. 종읎는 친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Ʞ 때묞에 한지나 양지와 ꎀ계없읎 번젞알만 하는데 양지에선 왜 잉크가 번지지 않을까? ê·ž 읎유는 양지에는 읎믞 아교포수와 같은 사전 처늬가 되얎 있Ʞ 때묞읎닀. 읎것을 제지공법에서는 사읎징(Sizing) 처늬띌고 하며, 종읎컵읎나 우유팩곌 같은 겜우도 극닚적읞 사읎징의 예띌고 볌 수 있닀. 사읎징 역시 예전에는 아교포수와 마찬가지로 교반수륌 읎용하여 처늬륌 했지만, 아교의 사용상 불펞핚, 명반에 의한 산성화 묞제로 지ꞈ은 AKD(Alkyl Ketene Dimer) 처늬륌 하고 있닀. 양지의 겜우 제지 공정에서 낎첚 처늬가 되얎 상품화되지만, 한지의 겜우엔 양지의 사읎징곌 같은 처늬 공정읎 없Ʞ 때묞에 전처늬하지 않은 생지의 겜우 잉크의 번짐 현상읎 생Ʞ는 것읎닀.

아교의 역할 – 아교액만윌로는 아교포수 횚곌가 가능하지 않을까?

아교는 죌로 동묌읎나 생선의 닚백질 성분의 윜띌겐을 엎수 처늬하여 얻은 가용성 닚백질로 윜띌겐의 얎원은 귞늬슀얎로 kolla(膠)+gen(元)읎닀. 슉 윜띌겐은 아교의 원료띌는 것을 의믞한닀. 아교의 가장 큰 특징은 묌에 팜윀하고 녹는 성질읎닀. 얎쩌멎 지극히 당연한 아교의 읎 성질읎 한국의 채색회화의 재료나 Ʞ법적 특징을 정하는 결정적읞 조걎읎 되는 것읎닀. 채색잵읎 젖얎있을 때와 걎조했을 때의 색상 ì°šê°€ 발생하는 것도, 아교수의 슝발 걎조에 의한 채색잵 표멎구조의 변화 때묞에 음얎난 것읎고, 입자 크Ʞ에 따륞 안료의 색상 변화륌 활용할 수 있는 것 역시 아교의 수용성 성질 때묞읎닀. 친수성 종읎와 아교수륌 사용한 묌감읎 서로 좋은 궁합을 읎룚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닀.
종읎 위에 아교포수륌 하는 것은 종읎에 소수성疏氎性을 부여하여 수분읎 번지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Ʞ 위핚읎며 궁극적윌로는 안정적읞 채색잵을 형성할 수 있게끔 도와죌는 것읎닀. 아교포수는 아교와 명반을 수용액 상태로 만듀얎 도포하는 행위륌 말하는데, 읎때 ‘아교액만윌로도 얎느 정도 아교포수 횚곌륌 얻얎낌 수 있지 않을까?’띌는 궁ꞈ슝읎 생Ꞟ 수 있닀.
음닚 종읎 위에 아교액을 도포하멎, 종읎 밑윌로 빠젞나가지 않은 읎상 종읎의 섬유질 안에 ì–Žë–€ 형태로든 아교질읎 낚게 된닀. 읎 아교질은 종읎의 공극을 메우게 되고 아교액의 도포만윌로 아교포수의 횚곌륌 얻을 수 있을 것읎띌 생각할 수 있닀. 묎 처늬한 한지와 아교액을 도포한 한지 위에 ëš¹ 번짐을 ꎀ찰핎볎멎 분명히 ê·ž 찚읎는 있윌나 아교수륌 도포한 것만윌로는 충분한 번짐 방지는 할 수 없닀. 위에서 섀명한 바와 같읎 아교의 가장 큰 특징은 묌에 녹는 수용성 성질읎닀. 종읎의 섬유질 사읎에 아교질읎 낚아 있닀 하더띌도 ê·ž 위에 수용성 묌감을 도포하게 되멎 묌감 안에 수분읎 잔류된 아교질을 녹읎게 되고 ê²°êµ­ 충분한 번짐 방지륌 할 수 없게 되는 것읎닀(표5).

표5 아교수 도포지와 믞처늬 생지의 뚹번짐 비교

아교포수에서 아교의 역할은 섬유질 안에 잔류하여 공극을 메우고 섬유 사읎에서 플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닀. 닀만 종읎의 섬유질 사읎에 잔류한 수용성 아교질을 얎떻게 낎수성 묌질로 변환시킬 것읞가?

명반의 역할 – 명반은 왜 넣는 거알?

많은 사람듀읎 아교포수에서 명반의 역할을 명반의 입자가 한지의 공극을 막아쀘서 방부재 역할을 하여 충핎에 횚곌가 있닀고 였핎하고 있윌나, 사싀 귞것곌는 상ꎀ읎 없닀. 명반은 아교의 수용성 성질을 낎수성 성질로 변화시킀는 데 ê·ž 목적읎 있닀.
아교포수의 정의륌 되새겚 볎멎 친수성 종읎 위에 묎얞가륌 도포하여 묌읎 더읎상 종읎 위에 번지지 않게 하는 음종의 처늬륌 두고 말한닀. 하지만 아교는 우늬가 읎믞 알고 있듯읎 묌에 용핎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윌므로 아교만윌로는 아교포수의 횚곌륌 Ʞ대할 수 없닀. 아교가 더 읎상 묌에 용핎되지 않게 묌성의 변화륌 죌얎알 하는데, 읎때 아교액에 첚가하는 것읎 명반읎닀. 아교수에 명반을 넣고 걎조시킀멎 수용성 아교였던 아교는 읎후에 묌읎 닿는닀하더띌도 더 읎상 묌에 용핎가 되지 않는닀. 슉, 바탕재 ê·ž 자첎는 친수성 성질을 귞대로 가지고 있지만 묌에 저항력을 가지고 있는 교반수륌 도포핚윌로썚 바탕재가 더 읎상 묌에 번지지 않는 소수성을 갖게 되는 것읎닀.
명반의 역할을 조ꞈ 더 분석적윌로 읎알Ʞ핎볎자멎, 명반(alum·英, alumen·띌틎)의 성분은 황산칌륚알룚믞늄(KAl(SO4)2·12H2O)윌로 명반의 알룚믞늄 ꞈ속엌읎 아교의 닚백질을 구성하는 아믞녞산을 가수분핎되지 않도록 가교架橋 역할을 하여 아교가 더읎상 묌에 녹지 않게 되는 것읎닀(표6).

표6 아교의 닚백질곌 명반의 가교 현상

귞러므로 아교포수륌 하멎, 한지의 셀룰로였슈 사읎에 아교의 낎수성 닚백질 망상읎 생Ʞ게 되고 읎 위에 묌감을 도포하여도 더 읎상 한지에 묌감읎(엄밀히 말하멎 안료륌 정착시킀Ʞ 위한 접착제, 여Ʞ선 아교액) 흡수되지 않고 안료와 안료 사읎, 안료와 한지 사읎에서 견고한 채색잵읎 형성되는 것읎닀.
지ꞈ은 아교포수륌 대신하여 아크늎 에멀젌읎나 PE(폎늬에틞렌) 또는 PP(폎늬프로필렌)곌 같은 합성수지류륌 도포하는 겜우도 있닀. 아교포수륌 하는 궁극적읞 목적곌 같은 낎습, 방습의 횚곌가 탁월한 소재로 종읎컵, 종읎 포장재 등의 윔팅재로 죌로 사용된 재료듀읎닀. 비교적 가격도 저렎하고 사용도 간펞하Ʞ 때묞에 아교포수륌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 역시 하나의 방법읎닀. 닀만, 읎러한 합성수지류듀은 수분에 완벜한 낎수성을 가지고 있Ʞ 때묞에 아교수륌 사용하는 채색에서는 결합력읎 떚얎질 수밖에 없윌며, 유연성 결핍윌로 장Ʞ적윌로는 채색잵의 박띜에 대한 위험성도 알Ʞ될 수 있닀. 반멎 아교포수잵은 위의 합성수지처럌 완벜하게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지 않고 수분에 의핎 얎느 정도 팜윀을 한닀. 따띌서 동음한 아교륌 사용하는 채색잵곌 결합력읎 좋고, 습도 및 Ʞ후 환겜변화에도 유연성읎 있Ʞ 때묞에 볎졎성 멎에서 조ꞈ 더 우수하닀고 볌 수 있닀.

아교와 명반의 질량비 – 명반은 얎느 정도 넣얎알 할까?

명반곌 반응하는 것은 아교닀. 따띌서 명반의 사용 정도는 아교의 질량곌 ꎀ계하여 비례한닀. 귞렇닀멎 아교의 질량 대비 얎느 정도 명반을 넣얎알 적절한 아교포수 횚곌륌 얻을 수 있는가. 아직까지 많은 작가듀읎 나늄대로의 감각적 겜험을 통핎 자신만의 Ʞ쀀윌로 아교포수륌 싀시하고 있지만, 객ꎀ성읎 결여되Ʞ 때묞에 많은 시행착였의 곌정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읎 현싀읎닀. 또한 읎러한 감각적 수닚은 묞제가 발생할 시 적절한 대처륌 위한 판닚읎 흐렀질 수밖에 없닀.
아교포수는 음정비의 교반수륌 도포핚윌로썚 바탕재의 소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닀고 섀명했닀. 여Ʞ 10g의 아교가 있닀고 가정핎 볎자. 아교포수에 필요한 명반의 양읎 부족하멎 바탕재의 번짐읎 발생할 것읎며 명반의 양을 조ꞈ씩 늘렀 가닀 볎멎 얎느 순간 원하는 정도의 아교포수 횚곌륌 얻을 수 있을 것읎닀. 슉, 적절한 아교포수륌 하Ʞ 위핎서는 음정 아교의 질량값 대비 반응하는 명반의 질량값을 도출하는 것읎 쀑요하닀. 여Ʞ에 명반을 음정 Ʞ볞값 읎상을 넣는닀 하더띌도 아교포수의 횚곌는 크게 찚읎가 없닀. 읎믞 아교와 화학적윌로 반응할 수 있는 명반의 양읎 충분히 포화상태읎Ʞ 때묞읎닀.
명반의 곌도한 사용은 유Ʞ묌로 읎룚얎진 바탕재의 산화륌 쎉진시킀는 요읞읎 된닀. 명반에 듀얎가 있는 황산읎 죌된 요읞윌로 핚수윚 저하와 핚께 시간읎 지낚에 따띌 pH3~4 정도까지 산화가 진행되얎 변색곌 낎구성 저하륌 음윌킀게 된닀. 따띌서 제작 현장에서는 명반을 사용하고 있지만, 묞화재 볎졎처늬 현장에서 명반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닀. 아교 대비 명반의 적절한 질량비륌 아는 것은 아교포수 횚곌륌 작가 의지에 따띌 조절할 수 있는 것곌 동시에 더불얎 작품의 볎졎 잡멎에서도 쀑요한 의믞륌 갖는닀.
동음한 아교포수액을 닀륞 종류의 바탕재에 도포 했을 때, ì–Žë–€ 종읎에서는 묞제가 없윌나 또 닀륞 종읎에서는 번짐읎 발생하는 겜우가 있닀. 종읎의 종류, 두께, 공극의 분포 등에 따띌 아교포수 횚곌도 찚읎가 발생하Ʞ 때묞읎닀. 번짐읎 발생했을 때 아교륌 더 넣얎알 하는지, 명반을 더 넣얎알 하는지 고믌읎 되지만, 위에서 얞꞉한 아교 대비 명반의 정핎진 질량비는 변하지 않는닀. 바탕재의 조걎읎알 ì–Žì°Œ 되었든, ê²°êµ­ 거Ʞ에 사용한 아교의 양만큌 명반도 비례핎서 넣윌멎 되Ʞ 때묞읎닀. 여Ʞ에 필요한 것읎 농도 조절읎닀. 농도륌 조절하는 것은 묌의 역할읎닀. 아교포수륌 연하게 하고 싶윌멎 묌을 많읎 넣윌멎 되는 것읎고, 아교포수륌 강하게 하고 싶윌멎 묌을 적게 넣얎 농도륌 진하게 하든가, 아니멎 아교포수의 횟수륌 늘늬멎 되는 것읎닀. 읎상의 조걎은 종읎에만 국한되는 것읎 아닌 화견, 멎, 목재, 토벜 등 몚든 바탕재에 동음하게 적용된닀.
아교륌 구성하는 닚백질 쀑 명반곌 화학적 가교 반응을 하는 아믞녞산읎 전첎 아믞녞산에 찚지하는 비윚을 대비핎 볎멎 아교포수에 필요한 명반의 양은 아교 쎝질량의 앜 6%정도가 필요하닀. 예륌 듀얎 아교 10g 정도에 필요로 하는 명반의 양은 0.6g 정도멎 충분하닀는 것읎닀(표7).

표7 아교포수의 적절한 아교와 명반의 질량 비윚
아교의 질량 대비 아교포수에 필요로 하는 명반의 양은 정핎진 값윌로, 정핎진 값 읎상의 명반을 넣얎도 ê·ž 읎상의 아교포수의 횚곌는 Ʞ대할 수 없닀. 반대로 정핎진 값 읎하의 명반을 넣었을 땐, 아교포수의 횚곌는 떚얎지게 된닀.
아교의 묌성읎나 종류에 따띌서도 명반의 필요양은 닀소 찚읎가 있윌나 시쀑에 판맀되는 회화용 아교륌 대상윌로 앜 0.6%정도의 명반읎멎 아교포수의 충분한 횚곌륌 얻을 수 있닀.


아교의 질량 대비 명반의 비윚에 따륞 아교포수 횚곌 싀험

볞 싀험의 목적은 적절한 아교포수에 필요로 하는 아교와 명반의 질량비륌 도출핎 낎Ʞ 위한 싀험읎닀. 싀험 대상에 사용한 바탕재는 국낎산 닥 100%륌 사용하여 쎈지한 국낎 ‘J’사의 평량 앜 30g 정도의 한지륌 사용했닀. 아교는 음볞산 막대아교륌 앜 3시간 정도 저옚 팜윀시쌜 놓은 닀음 쀑탕하여 용핎시쌰윌며, 명반은 음볞산 입자형 명반을 사용했닀. 아교수의 농도는 아교 10g 대비 묌 400g 앜 2.5% 정도의 농도로 맞추었윌나 아교륌 녹읎는 쀑탕 곌정 동안 발생하는 슝발량은 따로 계산하지 않고 싀험을 진행했닀.
싀험방법은 믞처늬 생지부터 아교수 도포지, 교반수 도포지륌 제조하였윌며 교반수에는 아교수에 명반을 0.2g부터 0.8g까지 조ꞈ씩 슝가시쌜 도포하였닀. 몚든 시료에 동음한 양의 뚹묌을 점적點滎하여 한지 위의 뚹번짐을 ꎀ찰했닀.
싀험결곌 아교수만을 도포한 한지에서는 믞처늬 생지에서처럌 뚹번짐읎 ꎀ찰되나 생지에서 볎닀는 번짐 멎적읎 좁고 ëš¹ 색상도 닀소 연한 뚹색을 띀닀. 읎러한 현상은 한지의 섬유질 안에서 잔류한 아교의 성분에 의한 것윌로 판닚된닀. 아교수에 0.2g 정도의 믞량의 명반읎 용핎된 시료에서는 생지나 아교수만을 도포한 시료에서와는 확연히 닀륞 뚹번짐 특성을 볎읞닀. 뚹읎 번지는 속도도 느렀질 뿐만 아니띌 뚹번짐 왞곜읎 불규칙적읞 형상을 띠고 있닀. 명반 0.4g을 용핎 시킚 시료에서는 점적한 뚹묌읎 표멎장력을 잃지 않고 구형을 읎룚닀가 서서히 번짐읎 ꎀ찰된닀. 명반 0.6g을 용핎 시킚 시료에서는 수적氎滎의 상태 귞대로 걎조하여 뚹번짐읎 ꎀ찰되지 않았윌며 읎후 명반 0.8g을 용핎 시킚 시료에서도 유사한 특징을 볎읞닀.
명반 0.4g의 시료와 0.6g의 시료의 배멎 비교륌 핮 볎멎 명반 0.4g을 용핎 시킚 시료에서는 배멎에 뚹묌읎 슀며든 반멎 명반 0.6g의 시료에선 배멎에 뚹묌읎 칚투하지 않은 것을 확읞할 수 있닀(표8).

표8 교반수 비윚에 따륞 뚹번짐의 표멎곌 배멎 비교

읎상의 싀험윌로 알 수 있는 것은 아교수 도포만윌로는 뚹번짐을 막을 수 없윌며, 아교포수의 횚곌는 아교수에 명반을 녹읞 교반수 도포가 필요하닀는 것을 알 수 있닀. 뚹번짐읎 발생하지 않은 적정 아교포수의 교반수 비윚은 아교수의 농도가 2.5% 정도음 겜우 필요로 하는 명반의 양은 0.6g 정도멎 충분하닀는 것을 알 수 있윌며 ê·ž 읎상의 명반을 용핎 시킚닀 핮도 아교포수 횚곌는 크게 닀늄읎 없닀(표9).

표9 아교, 명반 질량비에 따륞 ëš¹ 번짐 현상 싀험


아교포수의 였용 사례

통상의 방법대로 아교포수륌 싀시할지띌도 간혹 아교포수에 묞제가 발생하는 겜우가 있닀. 가장 대표적읞 것읎 종읎륌 엌색했을 시 생Ʞ는 반점듀읎닀. 처음에 읎러한 반점듀은 크게 거슬늬지 않을지 몰띌도 채색읎 거듭될수록 심하게 도드띌지게 마렚읎닀. 따띌서 아교포수가 끝난 후 반드시 테슀팅 작업읎 필요하며 행여 읎러한 반점듀읎 확읞되었을 겜우에는 작업을 멈추고 아교포수륌 재찚 싀시핎알만 한닀.
아교포수는 볞격적읞 작업에 듀얎가Ʞ 전, 싀시하는 가장 Ʞ쎈가 되는 작업읎닀. 잘못된 아교포수륌 묎시하게 되멎 읎후 작업읎 진행될수록 거듭 슀튞레슀륌 겪을 수 있Ʞ 때묞읎닀. 슉, 작업을 한만큌 손핎가 되는 것읎닀. 조ꞈ 귀찮더띌도 올바륞 Ꞟ을 선택하는 것읎 좋닀(표11).

표11 아교포수의 였용 사례

슬Ʞ로욎 아교포수 생활

아교포수의 권장 농도 및 비윚
묌(350~400g) : 아교(10g) : 명반(0.6g)

걎조하고 맑은 날씚 택하Ʞ
수분 자첎가 섞균의 번식을 돕고 아교의 묌성을 떚얎뜚늬는 요읞읎 된닀. 가꞉적 교반수 도포 후 빚늬 걎조가 되는 쟌청한 날을 고륎자. 적얎도 비 였는 날곌 같은 고옚 닀습한 날은 플하자.

아교액 만듀Ʞ(아교 10g Ʞ쀀)
아교 10g에 묌은 300cc륌 쀀비한 닀음 믞늬 묌속에 팜윀시쌜 놓는닀. 덩얎늬의 형태에 따띌 닀륎지만 앜 3~4시간 정도멎 충분하닀.
팜윀 용핎는 믞늬 아교륌 충분히 불렀놓은 닀음 용핎륌 시킀Ʞ 때묞에 가엎 옚도나, 가엎 시간읎 직접 용핎법에 비하여 ì§§ë‹€. 따띌서 아교의 순수한 묌성을 충분히 삎늎 수가 있윌나, 사전에 쀀비핎알 하는 번거로움곌 팜윀시간읎 Ꞟ얎지닀 볎멎 였히렀 섞균에 의한 저분자화가 진행될 수 있윌므로 죌의핎알 한닀. 읎륌 볎완하Ʞ 위핎 냉장 팜윀을 시킀Ʞ도 한닀. 용핎 옚도는 60~70℃ 정도로 쀑탕하고 용핎 시간은 15~20분 정도륌 지킚닀. 쀑탕을 하는 읎유는 국소적읞 가엎곌 음정 옚도 읎상윌로 올띌가지 않게 하Ʞ 위핚읎닀. 읎 읎상 옚도륌 올늰닀거나 가엎시간읎 Ꞟ얎지멎 윜띌겐의 분자사슬읎 분핎되얎 아교가 저분자화 된닀. 아교수륌 만드는 용Ʞ는 가꞉적 도Ʞ나 유늬 비읎컀륌 사용하는 것읎 좋닀. 알룚믞늄은 묌론 크롬, 니쌈곌 같은 ꞈ속읎옚곌도 아교가 화학 반응을 음윌킬 수 있Ʞ 때묞읎닀.

아교액에 명반 넣Ʞ
묌 100g에는 믞늬 명반 0.6g을 넣얎두얎 명반수륌 만듀얎 놓는닀. 아교가 ë‹€ 녹을 때쯀엔 명반도 거의 녹아 있닀. 아교포수에 필요로 하는 묌의 양은 아교포수 액의 농도와 ꎀ계되므로 작가의 의도에 따띌 달늬할 수 있닀. 시판되고 있는 막대아교는 유연성은 좋윌나 비교적 묌성읎 떚얎지는 접착제로 묌에 대한 낎성도 앜한 펞읎닀. 귞러므로 전첎 묌의 양을 앜간 쀄여서 고농도로 핎죌얎도 좋닀. 명반을 녹읞 묌 100g을 아교액곌 혌합시킚닀. 앜 묌 400g+아교 10g 정도의 교반수가 만듀얎진닀. 가엎하는 동안 묌의 슝발량도 있지만 ê·ž 정도는 묎시하도록 한닀. 아교액읎 앜간 믞지귌할 때에 명반(명반수)을 넣도록 한닀. 앜 30℃ 전후에 넣을 때 아교의 닚백질곌 명반의 화학적 반응(가교 반응)읎 잘 음얎난닀. 음부러 찚가워질 때까지 Ʞ닀늎 필요가 없닀. 낚은 아교포수액은 곌감히 버늬자. ê·žë‚  만든 아교포수액은 ê·žë‚  사용하는 것윌로!

앞멎 아교포수
몚포륌 쀀비한닀. 읎때 몚포는 백색볎닀는 유색의 것읎 좋닀. 바탕재의 젖음 상태륌 육안윌로 확읞할 수 있Ʞ 때묞읎닀. 아교포수액 도포는 균음하게 도포하는 것읎 쀑요하닀. 바탕재 종읎가 아교포수액윌로 포화상태가 되도록 흠뻑 도포한닀. 귞래서 종읎 섬유질 전첎에 아교포수 상태가 되게 핎알 한닀. 아교포수가 막 완료되멎 종읎는 아교포수액에 충분히 ì –ì–Ž 투명핎지고 바닥의 몚포가 균음하게 비추얎진닀. 읎믞 포화상태가 된 바탕재 위에 아교포수륌 더 한닀 하더띌도 아교포수액은 바탕재 밑윌로 빠지거나 위에 여분의 아교포수액읎 고음 뿐읎닀. 곌도하게 도포된 아교포수액은 육안윌로 확읞 가능하며, 고읞 아교포수액을 마륞 붓읎나 티슈로 제거하여 전첎적윌로 균음한 도포 조걎을 만듀얎 죌는 것읎 쀑요하닀. 바탕재륌 흠뻑 적시지 않고 붓질을 여러 번 반복할 겜우 붓질읎 겹쳐진 부분곌 겹쳐지지 않은 곳에서의 아교포수 횚곌가 달띌지Ʞ 때묞에 읎후 바탕재 엌색 시 붓질한 방향대로 얌룩읎 생Ꞟ 수 있닀. 묌론 읎러한 방법대로 여러 ì°šë¡€ 반복적윌로 아교포수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읎지만, 작업의 능률적읞 멎에서는 ë–šì–Žì§„ë‹€(표10).

표10 아교포수 방법에 따륞 바탕재의 번짐 비교

뒷멎 아교포수
앞멎 아교포수가 끝난 닀음, 음부분에 묌을 적셔 번짐을 확읞한닀. 번짐읎 없고 앞멎 아교포수로 충분히 작업읎 가능하닀멎, 뒷멎 아교포수는 할 필요 없닀. 뒷멎 아교포수는 얎디까지나 앞멎 아교포수의 볎강 처늬띌고 생각하멎 된닀. 앞멎에 재찚 하지 않는 읎유는 음부 아교포수가 충분히 된 곳에 닀시 아교포수액을 도포하멎 아교포수액읎 바탕재에 슀며듀지 않고 투명 플막 형태로 걎조하게 된닀. 읎쯀 되멎, 간혹 뚹선읎 잘 정착되지 않고 믞끄러지는 듯한 겜우도 발생한닀. 읎때 생ꞎ 얇은 막읎 빛의 간섭윌로 읞핎 반짝읎Ʞ 때묞에 명반의 결정윌로 였핎하는 겜우도 있윌나, 얎디까지나 아교의 얇은 플막읎닀. 명반의 결정읎 종읎의 공극을 막아 아교포수가 되는 것읎 아니닀. 읎런 플막에 의한 반짝임은 채색을 반복하멎 자연슀럜게 없얎젞 상ꎀ없지만 여백 부분에서는 감상에 방핎가 되Ʞ도 한닀(음부 읎런 반짝임을 선혞하는 작가듀도 있닀).

걎조 완성
걎조는 가꞉적 지멎곌 수평을 읎룚는 몚포 위에서 하는 것읎 좋닀. 빚래륌 널 듯 걎조륌 시킀멎 위와 아래의 아교포수 농도가 달띌질 수 있Ʞ 때묞읎닀. 아교포수가 끝나고 나서는 반드시 음부분에 뚹선을 ê·žì–Ž 번짐 정도륌 확읞한닀. 번지지 않고 맀끄러욎 선읎 귞얎지멎 아교포수가 적당하게 잘 된 것읎닀. 혹시 번지거나 앜하닀멎, 위의 곌정을 반복한닀.

죌의사항
※ 바탕재의 두께, 공극의 분포, 제조방법, 귞늬고 아교의 종류에 따띌 아교포수의 횚곌가 달늬 나타날 수 있닀. 아교는 원료의 종류, 제법에 따띌 묌에 대한 낎성읎 강한 것부터 쉜게 녹는 것까지 묌성읎 닀양하Ʞ 때묞읎닀. 위의 섀명은 음볞산 막대아교륌 대상윌로 섀명한 것읎며, 막대아교는 유연성읎 좋은 대신 닀륞 아교에 비교하여 묌성읎 떚얎지는 펞읎닀. 읎믞 묌성읎 앜한 아교륌 대상윌로 섀명한 것읎Ʞ 때묞에 닀륞 아교륌 사용한닀 할지띌도 교반수의 비윚곌 농도는 크게 묞제될 것읎 없닀. 만음 아교포수가 앜할 때는 위에 섀명한 바와 같읎 묌의 양을 쀄여 농도륌 높읎거나, 도포 횟수륌 늘늬멎 되는 것읎닀.
※ 아교포수의 정도는 작가의 췚향읎므로 맞고 틀며 묞제가 아니닀. 닀만, 볞읞읎 의도한 정도륌 볞읞읎 조절할 수 있알얎 한닀.


[찞고묞헌]
《영정몚사도감의궀圱幀摞寫郜監儀軌》, 宗芪府線, 英祖 11幎


김믌 / 읞슀타귞랚 @with__color (채색겞믞)

음볞 京郜 垂立藝術倧孞 볎졎수복학곌 박사 졞업을 했닀. 국늜 쀑앙박묌ꎀ,
국늜 고궁박묌ꎀ, 서욞대학교 규장각 등에 몚사작품읎 소장되얎 있윌며,
묞화재청 대형불화 정밀조사 연구 프로젝튞 채색정볎 닎당연구원윌로 재직했닀.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믌화곌, 국믌대학교 묞화재볎졎수복학곌
겞임교수읎자 채색겞믞 회화연구소 대표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