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ì†ì˜ ì´ë¯¸ì§€ë¥¼ í™”ë©´ì— ì˜®ê¸°ê¸° 위해 구ìƒí•˜ëŠ” 바를 ê°„ì¶”ë ¤ 그린 ê²ƒì´ ìŠ¤ì¼€ì¹˜, 사ìƒ(寫生)ì´ë‹¤. ìˆ˜ì •ì„ ë°˜ë³µí•˜ë©´ì„œ 스케치를 완성하면, 초를 만들어서 본격ì ì¸ ê·¸ë¦¼ê·¸ë¦¬ê¸°ì— ë“¤ì–´ê°„ë‹¤. ë°‘ê·¸ë¦¼ì„ ê·¸ë¦¬ê³ ê²½ìš°ì— ë”°ë¼ í•œì§€ë¥¼ ë¬¼ë“¤ì¸ í›„, ë°”íƒ•ìƒ‰ì„ ì¹ í•œë‹¤. 바림기법으로 ëª…ì•”ì„ ë”í•˜ê³ ë§ˆê°ì„ ì„ ê·¸ìœ¼ë©´ ìž‘í’ˆì´ ì™„ì„±ëœë‹¤. 첫 ë‹¨ê³„ì¸ ìŠ¤ì¼€ì¹˜ 방법과 ì„ ê·¸ë¦¬ëŠ” ë°©ë²•ì„ ì•Œì•„ë³´ìž.

1. 스케치ì´ë¡
스케치 ë°©ë²•ì€ ë™ì–‘ê³¼ ì„œì–‘ì´ ë‹¤ë¥´ë‹¤. 서양ì—서는 í™©ê¸ˆë¶„í• ë²•ì´ë¼ 하여 가로변과 ì„¸ë¡œë³€ì˜ ë¹„ìœ¨ì„ 1 : 1.618로 기준으로 잡는 ê²ƒì„ ê°€ìž¥ ì´ìƒì ì¸ ë¹„ìœ¨ë¡œ 보았다. ì´ ë¹„ë¡€ì— ë”°ë¥´ë©´ 가로, 세로가 약 5 : 3ì˜ ì •ë„ì˜ ë¹„ë¡€ê°€ ë˜ë©°, ì´ ì•ˆì—서 다시 길게 2ë“±ë¶„í•˜ê³ 5칸으로 나눈 ì‹ë¶„í• ë²•ì„ ì‚¬ìš©í•œë‹¤. ë™ì–‘ì—서는 주로 íŒ”ë¶„í• ë²•ì„ ì‚¬ìš©í•˜ì—¬ 스케치를 한다. í•œìª½ë³€ì´ ê¸´ 종ì´ë¥¼ 반으로 길게 ì ‘ê³ , 반대방향으로 2번 ë” ì ‘ìœ¼ë©´ 8ì¹¸ì´ ë‚˜ì˜¤ëŠ”ë°, ì ‘ížŒ ì„ ì„ ê¸°ì¤€ìœ¼ë¡œ 중요한 ë„ìƒì„ 배치하면 ëœë‹¤.
ì²˜ìŒ ìŠ¤ì¼€ì¹˜í•˜ëŠ” ê²ƒì„ í•œìžë¡œëŠ” 출초(出è‰)ë¼ í•˜ê³ ì™„ì„±ëœ ìŠ¤ì¼€ì¹˜ëŠ” ì´ˆ(è‰)ë¼ê³ 한다. ê·¸ë¦¼ì˜ ë³¸ì´ ë˜ëŠ” 초를 밑그림 삼아 종ì´ë¥¼ ì˜¬ë ¤ ì œëŒ€ë¡œ ëœ ì„ ì„ ê·¸ë¦¬ëŠ” ê²ƒì„ í™”ë„ë¼ê³ 한다.
ê·¸ë¦¼ì„ ê·¸ë¦¬ëŠ” ë° ìžˆì–´ 가장 ë¨¼ì € ê·¸ë¦¼ì˜ í˜•íƒœì™€ 구ë„를 잡아 ê·¸ë¦¼ì˜ ì „ì²´ì ìœ¤ê³½ì„ ìž¡ëŠ” ê²ƒì´ ì´ˆì•ˆì´ë©°, ë¯¸ìˆ , 공예 등 ìž‘í’ˆì„ ì œìž‘í• ë•Œ 빛깔, 모양, ë°°í•© ë”°ìœ„ì˜ ëª¨ìŠµì„ ê·¸ë¦¼ìœ¼ë¡œ 나타낸 ê²ƒì´ ë„안ì´ë‹¤.

2. ì„ ê·¸ë¦¬ê¸°
먹으로 면까지 채우는 ëª°ê³¨ë²•ì„ ì œì™¸í•œ ë™ì–‘í™”ì˜ ëŒ€ë¶€ë¶„ì€ ì„ ë¬˜ë²•ìœ¼ë¡œ ê·¸ë ¤ì§„ë‹¤. 중êµì—서는 ë¬˜ë²•ì„ ì„¸ë¶„í™”í•´ 17종류로 나눌 ë§Œí¼ ì„ ì„ ì¤‘ìš”ì‹œí–ˆë‹¤. ì„ ìœ¼ë¡œë§Œ 그리는 ê·¸ë¦¼ì€ ë°±ë¬˜í™”ë¼ê³ ì¼ì»«ê³ 당~ë¶ì†¡ì‹œëŒ€ì— ìœ í–‰í–ˆë‹¤. 민화는 다른 ì •í†µí™”ì™€ ê°™ì´ ì„ ì— ìƒ‰ì´ ë”í•´ì§„ 그림ì´ë‹¤. ì„ ìœ¼ë¡œ í˜•ì²´ì˜ ì™¸ê³½ì„ ê·¸ë¦¬ê³ ê·¸ ì•ˆì— ìƒ‰ì„ ì¹ í–ˆë‹¤. ë™ì–‘í™”ë¼ê³ ì¹í•˜ì§€ë§Œ 한, 중, ì¼ êµê°€ë³„로 대표ì ì¸ ì„ ì—는 ì°¨ì´ê°€ 있다. 한êµì—서는 ì •ë‘서미(釘é é¼ å°¾)ë²•ì„ ì£¼ë¡œ 쓴다. 못 ë¨¸ë¦¬ì— ì¥ê¼¬ë¦¬ë¼ëŠ” 뜻으로, ëì„ íž˜ì„ ì£¼ê³ ê°€ë³ê²Œ ì¥ê¼¬ë¦¬ ê°™ì´ ë‚ ë µí•˜ê²Œ 그리는 ì„ ì„ ë§í•œë‹¤. 대표ì ì¸ ìž‘ê°€ë¡œëŠ” ë‹¨ì› ê¹€í™ë„와 í˜œì› ì‹ ìœ¤ë³µ ë“±ì´ ìžˆë‹¤. 중êµì€ ìœ ì—½ì„œë¯¸(æŸ³è‘‰é¼ å°¾)ë²•ì„ ì£¼ë¡œ 쓴다. 가운ë°ê°€ 버드나무 ìžŽì‚¬ê·€ê°™ì´ ë¶ˆë£©í•˜ê²Œ í•˜ê³ ì¥ê¼¬ë¦¬ ê°™ì´ ë‚ ë µí•˜ê²Œ 그리는 ì„ ì´ë‹¤. ì¼ë³¸ì€ ì¥ê¼¬ë¦¬ ê°™ì´ ë‚ ë µí•˜ê²Œ 그리는 서미(é¼ å°¾)ë²•ì„ ì£¼ë¡œ 쓴다. 특히 불화(탱화)ì—는 ì² ì„ ë¬˜(éµç·šæ)í•˜ê³ í•´ì„œ ì •ë‘ì„œë¯¸ë²•í•˜ê³ ë¹„ìŠ·í•˜ë‚˜ 처ìŒì— íž˜ì´ ë§Žì´ ë“¤ì–´ê°€ 있는 ì„ ì„ ì“´ë‹¤. 민화가 다른 그림과 다른 ì ì€ ê·¸ë¦¼ ì†ì— 나오는 ëª¨ë“ ë¬¼ê±´ì˜ í˜•íƒœê°€ ìžìœ 스럽다는 ì ì´ë‹¤. ì˜›ë‚ ë¶€í„° ë‚´ë ¤ì˜¤ë˜ ë²•ì‹ì„ ì¡´ì¤‘í•˜ê³ ê·¸ í…Œë‘리를 벗어나지 ëª»í–ˆë˜ ì „í†µí™”ë‚˜ 불화, ì›í™”와 달리 민화는 무수한 ìž‘ì€ ì , êµµì€ ì , íž˜ì°¨ê³ êµµì€ ì§ì„ , 구부러진 줄거리, 반듯한 ì„ , 울í‰ë¶ˆí‰í•œ ì„ , 둥근 ì›, 모진 ê°, 형ìƒì„ ì¼ê·¸ëŸ¬ëœ¨ë¦° 그림 형ìƒì´ 없는 그림 등등 별별 ê·¸ë¦¼ì´ ë‹¤ 있다. ë”°ë¼ì„œ 민화작가가 ë˜ê³ ìž í•œë‹¤ë©´ 다양한 í•„ì„ ì„ ìžìœ ìžìž¬ë¡œ êµ¬ì‚¬í• ë•Œê¹Œì§€ ì—°ìŠµì„ ê²Œì„리해서는 안 ëœë‹¤.

3. 나무 가지 그리기
나무는 ì¼ë°˜ì 으로 기둥, 가지, 나ë‡ìžŽ 순으로 그린다. 그리는 ê¸°ë²•ì€ ë‚˜ë¬´ì˜ ì¢…ë¥˜ë³„ë¡œ 달ë¼ì§€ê¸°ë„ í•˜ê³ , ìž‘ê°€ì˜ ì„ í˜¸ì— ë”°ë¼ ë‹¬ë¼ì§€ê¸°ë„ 한다. 나무를 사실ì 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í‰ì†Œ 나무마다 갖는 íŠ¹ì§•ì„ ê´€ì°°í•˜ëŠ” í›ˆë ¨ì„ í•˜ë©´ 좋다. 버드나무는 가지를 ì¶• ëŠ˜ì–´ëœ¨ë¦¬ê³ ìžˆë‹¤ê±°ë‚˜ ëŠ™ì€ ë‚˜ë¬´ëŠ” 잔가지가 많다. ë‚˜ë¬´ì˜ ê¸°ë‘¥ì—는 표피를 ê·¸ë ¤ 넣는 ë°, 예를 들어 소나무ì—는 비늘무늬나 ê±°ë¶ë“±ê»ì§ˆ 무늬를 넣는다. ê·¸ë¦¬ê³ ë‚˜ë¬´ 한 ê·¸ë£¨ì •ë„는 기ì´í•˜ê²Œ ê·¸ë ¤ í¬ì¸íŠ¸ë¥¼ 주는 ê²ƒì´ ì¢‹ë‹¤. 가지를 그리는 ë°©ë²•ì€ ë‹¤ìŒê³¼ 같다.

1. 가지 그리는 방법
â”ë…¹ê°ë²• : 사슴뿔 ê°™ì€ ê°€ì§€ì˜ ë‚˜ë¬´ë¥¼ 그리는 방법으로 초봄, ê°€ì„ ìˆ²ì— ì 합한 표현법ì´ë‹¤.
â”해조법 : ê²Œì˜ ë°œí†±ì²˜ëŸ¼ 그리는 방법ì´ë‹¤. 안개 ë‚€ 숲, 눈 ìŒ“ì¸ ë‚˜ë¬´ í‘œí˜„ì— ìž˜ 어울린다.
â”화염법 : 마치 ë¶ˆê¸¸ì´ íƒ€ì˜¤ë¥´ëŠ” 나무를 그리는 방법으로 낙엽 ì§„ 가지를 그릴 때 쓴다.
â”ê³ ë¥˜ë²• : í•´ì¡°ë²•ì„ ê¸¸ê²Œ 한 것ì´ë‹¤. 해조법ì—서는 ëì„ ë©ˆì¶”ì§€ë§Œ ê³ ë¥˜ë²•ì—서는 ëì„ ì‚친다. 버드나무를 그릴 때 ë§Žì´ ì“´ë‹¤.
â”ì •ë‘법 : 마치 ëª»ì˜ ë¨¸ë¦¬ 부분과 ê°™ì€ ëª¨ì–‘ìœ¼ë¡œ 그리는 방법ì´ë‹¤.
â”잔가지 : 줄기는 가지보다 연하게(중묵)í•˜ê³ , ë‹´ë¬µì— ì•½ê°„ ì¤‘ë¬µì„ ì°ì–´ì„œ 옆가지를 ê·¸ë¦¬ê³ ì´ë•Œ ì –ì–´ 있는 사ì´ì— 약간 진한 ì¤‘ë¬µì„ ì°ì–´ ê²¹ì³ ê·¸ë¦°ë‹¤. ì œì¼ ì§„í•œ ë†ë¬µì„ ì‚¬ìš©í• ê²½ìš°ëŠ” ì¤‘ì‹¬ì— ìžˆëŠ” 가지와 ìžŽì„ ê·¸ë¦´ 때다. 가지를 그릴 때는 가지 ë부분과 êµ´ì ˆë¶€ë¶„ì„ íž˜ì°¨ê²Œ ê·¸ë ¤ì•¼ 한다.

2. 나무를 여러 그루 그리는 법
â”ë‘ ê·¸ë£¨ì˜ ë‚˜ë¬´ : 하나는 아래를 하나는 위를 보게 한다. 하나는 ë¹„ìŠ¤ë“¬í•˜ê³ í•˜ë‚˜ëŠ” 곧게 그린다. 하나는 왼쪽, 하나는 ì˜¤ë¥¸ìª½ì— ê·¸ë¦°ë‹¤. 하나는 뿌리가 ìžˆê³ í•˜ë‚˜ëŠ” 낮게 그린다. 하나는 í‰ë‘(ë‰ëší•œ 머리)로, 하나는 예ë‘(뾰족한 머리)로 그린다. 대소ì´ì£¼ë²•ì´ë¼ëŠ” ê²ƒì´ ìžˆë‹¤. 부조는 í° ë‚˜ë¬´ê°€ 멀리 ìžˆê³ ìž‘ì€ ë‚˜ë¬´ê°€ 가까ì´ì— 있게 ê·¸ë ¤ ê·¸ë¦¼ì˜ ì›ê·¼ê°ì„ ë”하는 방법으로, ì Šì€ì´ê°€ ì–´ë¥¸ì„ ì—…ê³ ìžˆëŠ” ê²©ì— í•´ë‹¹í•˜ê³ , íœ´ìœ ëŠ” ìž‘ì€ ë‚˜ë¬´ê°€ 멀리 ìžˆê³ í° ë‚˜ë¬´ê°€ 가까ì´ì— 있어 ì–´ë¦°ì• ë¥¼ ì–´ë¥¸ì´ ì—…ê³ ìžˆëŠ” 격ì´ë‹¤.
â”세 ê·¸ë£¨ì˜ ë‚˜ë¬´ : 나무를 세 그루 그릴 때는 주ì¸ê³µì´ ë˜ëŠ” 나무, 즉 주수를 ì•žì— ë‘ê³ ë³´ì¡°í•˜ëŠ” ê²©ì¸ ë‘ ê·¸ë£¨ì˜ ê°ìˆ˜ë¥¼ ë’¤ì— ê·¸ë¦°ë‹¤.
â”네 ê·¸ë£¨ì˜ ë‚˜ë¬´ : 파ì‹ì´ë¼ê³ 하여 ë‘ ê·¸ë£¨ëŠ” ê°€ê¹ê²Œ ê·¸ë¦¬ê³ , 다른 ë‘ ê·¸ë£¨ëŠ” 조금 멀리 그린다.
â”다섯 그루 ì´ìƒ : ë‘ ê·¸ë£¨ 그리는 법과 세 그루 그리는 ë°©ì‹ì„ 섞어서 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