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특집] ê²°ì‚° 2020 민화계 ë™í–¥ ì´ì •리

ì•„ë¬´ë„ ì˜ˆìƒì¹˜ 못한 팬ë°ë¯¹ ì†ì—서 ê²½í™©ì—†ì´ ì§€ë‚˜ê°„ 2020ë…„.
마지막 ë‹¬ì„ ì•žë‘ê³  월간<민화>는 민화 í™”ë‹¨ì˜ ì§€ë‚œ 1ë…„ì„ ë˜ëŒì•„ë³´ê³ ìž ì†¡ë…„íŠ¹ì§‘ì„ ë§ˆë ¨í–ˆë‹¤.
매해 í’성히 개최ë˜ë˜ 민화 전시나 ì¶•ì œ ë“±ì´ ëŒ€ê±° 취소ë˜ê±°ë‚˜ 연기ë지만, 민화계는 주요 협회와 학회를 중심으로 온ë¼ì¸ 플랫í¼ê³¼ 연계하거나 철저한 방역수칙 아래 ëœ»ê¹Šì€ í–‰ì‚¬ë¥¼ ì´ì–´ê°€ë©° ê²°ì†ë ¥ì„ 다지고 êµë¥˜ë¥¼ ì´ì–´ê°”다. 위기 ì†ì—ì„œë„ ëŒíŒŒêµ¬ë¥¼ 모색하고, 조심스레 한걸ìŒì”© ë‚´ë”›ì€ ê·¸ ì‹œê°„ë“¤ì„ í•­ëª©ë³„ë¡œ 요약해 살펴본다.

정리 월간<민화> 편집팀


PART 1. 2020 민화계 주요 ì´ìŠˆ


민화계는 팬ë°ë¯¹ 앞ì—서 움츠러들지 않았다. ê°ì¢… 행사와 전시를 온ë¼ì¸ìœ¼ë¡œ 전환하고,
민화가 지닌 벽사와 ê¸°ë³µì˜ ì˜ë¯¸ë¥¼ 빌어 옛 ë¯¼í™”ì „ì„ ê°œìµœí•˜ê±°ë‚˜ 특별한 기íšì „ì„ ì„ ë³´ì˜€ë‹¤.
ìœ„ê¸°ì˜ ì‹œê¸°, ë”ìš± ë¶„ì£¼í–ˆë˜ ë¯¼í™” í™”ë‹¨ì˜ ì£¼ìš” ì´ìŠˆë¥¼ ë˜ì§šì–´ë³¸ë‹¤.


Issue 1. 코로나가 바꾼 민화계 í’ê²½

í•œêµ­ë¯¼í™”ë®¤ì§€ì—„ì´ ì„ ë³´ì¸ ì‚¬ì´ë²„ 전시
<í•œêµ­ì˜ ë¯¼í™”> ì „ê²½

ë‰´ë…¸ë©€ì˜ ì‹œëŒ€, 민화계 역시 여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온ë¼ì¸ ì±„ë„ ë° ê¸°ë°˜ ê¸°ìˆ ì„ ì ê·¹ 활용하며 팬ë°ë¯¹ì— 대ì‘하는 모습ì´ë‹¤. (사)한국민화협회와 안산민화협회는 ì• ì´ˆ 오프ë¼ì¸ìœ¼ë¡œ 기íšëœ 정기회ì›ì „ì„ ì˜¨ë¼ì¸ì „시로 전환해 성료했으며 í•œêµ­ë¯¼í™”ë®¤ì§€ì—„ì€ ë¯¼í™”ê³„ 최초로 ì–¸íƒíЏ ê¸°ìˆ ì„ ë„입하여 사ì´ë²„ 전시장ì—서 특별기íšì „ <í•œêµ­ì˜ ë¯¼í™”>를 개최했다. 해마다 정기 학술대회를 개최한 한국민화학회와 계명대 한국민화연구소 역시 올해 학술대회는 í™”ìƒíšŒì˜ 프로그램 줌(Zoom)ì„ í™œìš©í•œ 온ë¼ì¸ 학술대회를, 경기ë„ë°•ë¬¼ê´€ì€ ìœ íŠœë¸Œ ìƒì¤‘계 ë° í™”ìƒíšŒì˜ ë°©ì‹ìœ¼ë¡œ 현대 민화 특별전 <경기별곡 : 민화, 경기를 노래하다> 연계 특강 ë° ì°¸ì—¬ìž‘ê°€ 온ë¼ì¸ 좌담회를 진행했다.


Issue 2. 박물관ì—서 ì¦ê¸°ëŠ” 현대 민화전

경기ë„박물관 재개관 기ë…ì „
<경기별곡 : 민화, 경기를 노래하다> 전경

최근 ë°•ë¬¼ê´€ì´ í˜„ëŒ€ 민화 기íšì „ì„ ì†ì† 개최하고 있다. 현대 민화는 전통성과 í˜„ëŒ€ì„±ì„ ë‘루 지녀 ë°•ë¬¼ê´€ì´ ì§€ë‹Œ 콘í…츠와 ì–´ìš°ëŸ¬ì§€ë©´ì„œë„ ëŒ€ì¤‘ê³¼ ê³µê°ëŒ€ë¥¼ ë„“íž ìˆ˜ 있기 ë•Œë¬¸ì¸ ê²ƒìœ¼ë¡œ ë¶„ì„ëœë‹¤. 경기ë„ë°•ë¬¼ê´€ì€ ì§€ë‚œ 8ì›” 4ì¼ ì „ë©´ 리모ë¸ë§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며 현대민화 특별전 <경기별곡 : 민화, 경기를 노래하다>를 개최했다. 30ëª…ì˜ ë¯¼í™” 작가가 참여한 ì´ë²ˆ 전시는 유물 ìœ„ì£¼ì˜ ë°•ë¬¼ê´€ 전시 ê´€í–‰ì„ íƒˆí”¼í•˜ê³  시대, 장르를 초월한 í¬ë¡œìŠ¤ì˜¤ë²„ 콘í…츠를 선보였다는 ì ì—서 í° í™”ì œë¥¼ 모았다. ì›ì£¼ì‹œ ì—­ì‚¬ë°•ë¬¼ê´€ì€ ì§€ë‚œ 8ì›” 7ì¼ ê°œê´€ 20ì£¼ë…„ì„ ê¸°ë…í•´ 송기성작가와 ì›ì£¼ì‹œì˜ ì‹œì¡°å¸‚é³¥ì¸ â€˜ê¿©â€™ì„ ì£¼ì œë¡œ 기íšì „ <ê¿©ì˜ ë¹„ìƒ>ì„ ê°œìµœ, ê¿©ì„ ì£¼ì œë¡œ 한 창작민화와 ë°•ë¬¼ê´€ì´ ì†Œìž¥í•œ ê¿©ê·¸ë¦¼ì„ í•¨ê»˜ 선보였다.


Issue 3. ì—°ì´ì–´ ê°œìµœëœ ì˜› 민화전

코로나19로 ë§Žì€ ì „ì‹œê°€ 취소ë˜ì—ˆì§€ë§Œ 박물관과 ë¯¸ìˆ ê´€ì€ ë¯¼í™”ê°€ 지닌 ‘벽사와 í¬ë§â€™ì˜ ì˜ë¯¸ì— 주목, 오히려 옛 민화를 ë³¼ 수 있는 전시를 ì ê·¹ì ìœ¼ë¡œ 여는 모습ì´ë‹¤. ì „ì£¼ì—­ì‚¬ë°•ë¬¼ê´€ì€ ì½”ë¡œë‚˜19 ê·¹ë³µì„ ì—¼ì›í•˜ë©° 김철순 ê¸°ì¦ ë¯¼í™”íŠ¹ë³„ì „ <민화 ì†ì—서 나를 만나다>를 개최했으며 í˜¸ë¦¼ë°•ë¬¼ê´€ì€ 2013ë…„ 민화전 ì´í›„ 7ë…„ë§Œì— ë¯¼í™”íŠ¹ë³„ì „ <서가(書架)ì˜ í’ê²½_冊巨里·文字圖>, <ì •ì›(庭園)ì˜ í’ê²½_ì¸ë¬¼Â·ì‚°ìˆ˜Â·í™”ì¡°>를 연달아 개최하여 ì‹ ì†Œìž¥í’ˆì„ ëŒ€ê±° 선보였다. 아모레í¼ì‹œí”½ë¯¸ìˆ ê´€ì€ 개관 2ë…„ ë§Œì— ì²« 고미술품 소장전 < APMA, CHAPTER TWO- FROM THE APMA COLLECTION >ì„ ì—´ê³  다양한 민화와 ë„ìž, ê¸ˆì† ë“± 1,500ì—¬ì ì˜ ê³ ë¯¸ìˆ í’ˆì˜ ë§¤ë ¥ì„ ìƒˆë¡­ê²Œ 조명했다.

(왼쪽) ì „ì£¼ì—­ì‚¬ë°•ë¬¼ê´€ì´ ê°œìµœí•œ 김철순 ê¸°ì¦ ë¯¼í™” 특별전 ì „ê²½
(오른쪽) 아모레í¼ì‹œí”½ ë¯¸ìˆ ê´€ì˜ ê³ ë¯¸ìˆ í’ˆ 소장전 < APMA, CHAPTER TWO > ì „ê²½


Issue 4. 민화 전문 갤러리 오픈

조선시대 민화를 ê°ìƒí•  수 있는 옛 민화 ìƒì„¤ 전시장부터 현대 민화를 만나고, 배울 수 있는 민화 전문갤러리가 지역 곳곳ì—서 오픈해 ë¯¼í™”ê³„ì— í™œë ¥ì„ ë¶ˆì–´ë„£ê³  있다. ì‹œê° ë””ìžì´ë„ˆì´ìž ë¯¼í™”ìˆ˜ì§‘ê°€ì¸ ì´ì„¸ì˜ 대표는 오는 12ì›” ì¢…ë¡œì— ì¡°ì„ ì‹œëŒ€ 민화를 ìƒì„¤ 전시하는 ‘갤러리 ì¡°ì„ ë¯¼í™”â€™ì˜ ë¬¸ì„ ì—°ë‹¤. 갤러리 조선민화는 옛 ë¯¼í™”ë§Œì„ ìƒì„¤ì „시하는 ìµœì´ˆì˜ ë¯¼í™” 전문 갤러리ë¼ëŠ” ì ì—서 오픈 전부터 ë¯¼í™”ì• í˜¸ê°€ë“¤ì˜ í° ê´€ì‹¬ì„ ë°›ê³  있다. ê·¸ 외 ì´ê²½ì£¼ 작가가 갤러리 ë° ì•„íŠ¸ìˆ â€˜#민화gallery’를, ë£¨ì”¨ìœ ìž‘ê°€ê°€ ì œì£¼ë„ ìµœì´ˆì˜ ë¯¼í™” 갤러리 â€˜ë£¨ì”¨ìœ ì•„ëœ°ë¦¬ì—’를 ì—´ì–´ 다양한 민화 ìž‘í’ˆì„ ìƒì„¤ 전시하고 ì›ë°ì´í´ëž˜ìŠ¤ë¥¼ 진행하며 민화를 ë„리 알리고 있다.

(왼쪽) 갤러리 조선민화를 오픈하는 ì´ì„¸ì˜ 대표
(오른쪽) ì´ê²½ì£¼ 작가가 오픈한 민화 갤러리 ë° ì•„íŠ¸ìˆ #민화gallery ì „ê²½


Issue 5. ì œ2회 설촌장학ìƒ, ê¹€ìƒì•„ 작가

지난 8ì›” 겸재정선미술관ì—서 개최ëœ
‘2020 창작민화가를 위한 장학금 수여ì‹â€™

설촌창작민화연구회가 ìš´ì˜í•˜ëŠ” 장학사업부ì—서 ì œ2회 창작민화가를 위한 장학금 시ìƒì‹ 수ìƒìžë¡œ ê¹€ìƒì•„ 작가를 선정했다. 제주 ì§€ì—­ì— ê±°ì£¼í•˜ëŠ” ê¹€ìƒì•„ 작가는 ì œì£¼ì˜ ì§€ì—­ì  íŠ¹ì„±ì„ ë¯¼í™”ì— ì ‘ëª©í•´ ë…ì°½ì ì¸ ìž‘í’ˆì„ ì„ ë³´ì¸ë‹¤. 정하정 작가가 설립한 설촌창작회민화연구회는 ë†’ì€ ìž ìž¬ë ¥ì„ ì§€ë‹Œ 창작민화가를 ì§€ì›í•˜ê³  ë¯¼í™”í™”ë‹¨ì˜ ë°œì „ì„ ë„ëª¨í•˜ê³ ìž ì§€ë‚œí•´ë¶€í„° ìž¥í•™ì‚¬ì—…ì„ ì‹œìž‘, ì œ1회 수ìƒìžë¡œëŠ” ì´ê²½ë¯¸ 작가를 선정했다. 장학사업 수ìƒìžëŠ” 2백만ì›ì˜ 장학금, 월간<민화>와 í•œêµ­ë¬¸í™”ì •í’ˆê´€ì´ ê³µë™í›„ì›í•˜ëŠ” ì´ˆëŒ€ì „ì˜ ê¸°íšŒë¥¼ ë¶€ìƒìœ¼ë¡œ 받는다.


Issue 6. ê²½ë§¤ì‹œìž¥ì— ë³¸ê²© ë°ë·”한 현대 민화

지난 11ì›” ì¼€ì´ì˜¥ì…˜ì—서 진행한 현대 민화 ìžì„ ê²½ë§¤

현대 민화가 경매시장으로 íŒë¡œë¥¼ 넓혀가며 순항하고 있다. 지난 6ì›” ì¼€ì´ì˜¥ì…˜ì´ 아트/공예 ì„¹ì…˜ì„ ì‹ ì„¤í•˜ê³  진행한 프리미엄 온ë¼ì¸ 미술품 경매ì—서 í¼ë¯¼ì˜ <3단 모란사방íƒìž>와 ë¬¸ì„ ì˜ ìž‘ê°€ê°€ì˜ <어미새1>ê°€ ë‚™ì°°ëœ ê²ƒì„ ì‹œìž‘ìœ¼ë¡œ, 민화 ìž‘ê°€ë“¤ì˜ ìž‘í’ˆì´ ê²½ë§¤ì—서 꾸준히 íŒë§¤ë˜ê³  있다. 지난 10ì›” 24ì¼ë¶€í„° 11ì›” 3ì¼ê¹Œì§€ ì§„í–‰ëœ ì¼€ì´ì˜¥ì…˜ 프리미엄 온ë¼ì¸ ìžì„ ê²½ë§¤ì˜ 경우 í¼ë¯¼ì´ 기íší•œ 것으로 현대 민화 작가 20ì ì´ ì™„íŒ ë˜ëŠ” 성과를 ê±°ë‘었다.


Issue 7. 창간 6주년 ë§žì´í•œ 월간<민화>

월간<민화> 창간 6주년 기ë…ì „ <ì „í†µì˜ íž˜ 42>
ê°œë§‰ì‹ ì „ê²½

월간<민화>ê°€ 창간 6ì£¼ë…„ì„ ë§žì´í•´ 다양한 전시와 í–‰ì‚¬ë“¤ì„ ê°œìµœí–ˆë‹¤. 코로나19로 ì¸í•´ í–‰ì‚¬ì˜ ê°œë§‰ì‹ì€ 대개 소략하게 치렀으나 ê° í–‰ì‚¬ëŠ” ë¯¼í™”ê³„ì˜ ìœ„ìƒì„ 높ì´ê³  ë°œì „ì  ë¹„ì „ì„ ì œì‹œí•œë‹¤ëŠ” ì ì—서 ê°ë³„한 ì˜ë¯¸ë¥¼ 지닌다. 월간<민화>는 ì „í†µë¯¼í™”ì˜ ê³µë¡œì™€ 가치를 조명한 <ì „í†µì˜ íž˜ 42>, 민화 대표 화목 중 í•˜ë‚˜ì¸ â€˜í™”ì¡°í™”â€™ë¥¼ 주제로 ì„ ë³´ì¸ í…Œë§ˆê¸°íšì „ <화조화 Today>, 한국문화정품관과 ê³µë™ì£¼ìµœí•œ ê°€ì„ë§žì´ íŠ¹ë³„ì´ˆëŒ€ì „, 민화계 ìµœì´ˆì˜ í˜¸í…”ì•„íŠ¸íŽ˜ì–´ <민화滿> 등 다양한 기íšì „ì„ ì—´ì–´ í™”ë‹¨ì˜ ì„±ìž¥ì„ ë„모하고 창간 6ì£¼ë…„ì˜ ê¸°ì¨ì„ 나누었다.

PART 2. 2020 민화전시


지난해와 대비해 ìƒë‹¹ìˆ˜ì˜ 전시가 취소ë˜ê±°ë‚˜ 연기ë지만,
주요 단체와 중진 ìž‘ê°€ë“¤ì„ ì¤‘ì‹¬ìœ¼ë¡œ ëœ»ê¹Šì€ ì „ì‹œê°€ ì´ì–´ì¡Œë‹¤.
ìž‘ê°€ë“¤ì€ ìœ„ê¸°ì˜ ì‹œê¸°ë¥¼ 기회 삼아 ê¸°ëŸ‰ì„ ë“œë†’ì´ê³  ê³¼ê°í•œ ë„ì „ì„ ê±°ë“­í–ˆìœ¼ë©°
ìƒë‹¹ìˆ˜ì˜ 민화 ë‹¨ì²´ë“¤ì´ ë‹¨ì²´ì „ì„ í†µí•´ ìƒˆì¶œë°œì„ ì•Œë¦¬ê³ , í¬ë§ì„ 전했다.


ê°œì¸ì „ 한층 성숙해진 작품으로 건네는 위안과 ê°ë™

(왼쪽) 차선미 작가 (오른쪽) 신미경 작가
(ê°€ìš´ë° ìœ„) ì„œë¯¼ìž ìž‘ê°€ 초대전 <ì¼ìƒìœ¼ë¡œì˜ 초대> ì „ê²½
(ê°€ìš´ë° ì•„ëž˜) 정학진 작가 ê°œì¸ì „ <기물-추억여행> ì „ê²½



코로나19ê°€ 야기한 집콕ìƒí™œì€ 창작열 ê°€ë“한 작가들ì—게 오히려 ì ˆí˜¸ì˜ ê¸°íšŒë¡œ 작용했다. ìž‘ê°€ë“¤ì€ ì˜ˆê¸°ì¹˜ 않게 맞닥뜨린 혼ìžë§Œì˜ 시간 ì†ì—서 ê¸°ëŸ‰ì„ ì—°ë§ˆí•˜ê³ , ì‹¤í—˜ì„ ê±°ë“­í•˜ì—¬ 업그레ì´ë“œëœ 작품세계를 선보였다. 힘든 한 해였지만 ìƒë‹¹ìˆ˜ì˜ ë¯¼í™”ìž‘ê°€ë“¤ì´ ì—¬ëŸ¬ ë²ˆì˜ ê°œì¸ì „ ë° ì´ˆëŒ€ì „ì„ í†µí•´ í¬ë§ê³¼ 용기를 전했다.
ì„œë¯¼ìž ìž‘ê°€ëŠ” ìƒë°˜ê¸° 비오케ì´ì•„트센터 초대전 <ë§¥ - 민화, ë´„ì˜ í–¥ê¸°ë¡œ 날다>, 하반기 <ì¼ìƒìœ¼ë¡œì˜ 초대>를 통해 전통민화, 창작민화, ìƒí™œë¯¼í™”를 아우르는 í­ë„“ì€ ë¯¸ê°ì„ 선보였다. 정학진 작가는 ê°œì¸ì „ <기물-추억여행>ì„ í†µí•´ ì• ìž¥í’ˆì— ë¹—ëŒ„ ê·¸ì˜ ì‚¶ì„ í™”í­ì— 펼ì³ëƒˆë‹¤. ë™ì„œì–‘ì˜ ë¬¸í™”ì™€ ë¯¼í™”ì  ìš”ì†Œë¥¼ ë‚´í¬í•˜ë©´ì„œë„ ì „ ìž‘í’ˆì´ ì§„ì±„ 기법으로 ì œìž‘ë¼ í° ê´€ì‹¬ì„ ëª¨ì•˜ë‹¤. 차선미 작가는 ê°œì¸ì „ <í르는 강물처럼>ì„ í†µí•´ 전통민화 ë¿ ì•„ë‹ˆë¼ ê¸°ë…êµ ì†Œì„¤ 《천로역정》 시리즈를 ì„ ë³´ì—¬ ì£¼ëª©ì„ ë°›ì•˜ìœ¼ë©° 가회민화박물관 초대전ì—서는 호랑ì´ë¥¼ 테마로 그린 다양한 ìž‘í’ˆë“¤ì„ ê³µê°œí–ˆë‹¤. 신미경 작가는 ìƒë°˜ê¸° 갤러리 갤러리 엘르 초대전 <다복다복(多ç¦å¤šç¦)>, 하반기 ì´ì •아갤러리 초대전 를 통해 새롭게 작업한 디지털작품과 한층 모ë˜í•˜ê³  ê°„ê²°í•´ì§„ ì‹ ìž‘ë“¤ì„ ëŒ€ê±° 공개해 호í‰ì„ 받았다. ê·¸ 외 김언ì˜, 김혜중 노호남, ë¼ì˜¤ë¯¸, ë°©í¬ì›, ì†ìœ ì˜, 옥ë„윤, 양금옥, ìµœì„œì› ìž‘ê°€ 등 내로ë¼í•˜ëŠ” ìž‘ê°€ë“¤ì´ ìˆ˜ì¤€ê¸‰ 전시로 관람ê°ë“¤ì—게 위로와 í–‰ë³µì˜ ì‹œê°„ì„ ì„ ì‚¬í–ˆë‹¤.


단체전 ì „êµ­ì—서 대규모 회ì›ì „ ì—°ì´ì–´ì ¸

(왼쪽) 온ë¼ì¸ìœ¼ë¡œ 회ì›ì „ì„ ê°œìµœí•œ (사)한국민화협회
(오른쪽) <국제아트페어·부산미술제>ì—서 첫 ë¶€ìŠ¤ì „ì„ ê°œìµœí•œ (사)부산민화협회가 민화·불화 ë¶„ê³¼



(왼쪽) ë¯¼ç•µì› íšŒì›ì „ <병í’담다潭多> ì „ê²½
(오른쪽) 소운회 회ì›ì „ ì „ê²½



코로나19ê°€ ì„±í–‰í–ˆë˜ ìƒë°˜ê¸°ì—는 ë¯¼í™”ì „ë„ ëŒ€ê±° 줄었지만, 주요 민화 단체를 중심으로 회ì›ì „ ë° ê³µëª¨ì „ 수ìƒìž‘ 전시회 ë“±ì´ ê¾¸ì¤€ížˆ 개최ë으며 하반기ì—는 ì‹ ìƒ ë‹¨ì²´ë“¤ì˜ ì°½ë¦½ì „ì´ ì—°ì´ì–´ì§€ë©° í™”ë‹¨ì— í™œê¸°ë¥¼ ë”했다. (사)한국민화협회는 신년기íšíŠ¹ë³„ì „ <한국 현대 ë¯¼í™”ì˜ ç¤ŽçŸ³>, 베트남 íŠ¹ë³„ì „ì„ ê°œìµœí–ˆìœ¼ë©° 한국민화전업작가회는 기íšì „ <민화부채展>ì„ ì—´ê³  치유와 í‰ì•ˆì„ ì—¼ì›í–ˆë‹¤. (사)한국전통민화협회는 ì¶©ë¶ ë¯¸ìˆ  ë°œì „ì— ê¸°ì—¬í•˜ê³ ìž <ì œ1회 한국전통민화협회 작가展>ì„ ê°œìµœí•˜ì—¬ 다양한 민화 ë° ìƒí™œë¯¼í™” ìž‘í’ˆì„ ì„ ë³´ì˜€ìœ¼ë©° (사)부산민화협회가 민화·불화 ë¶„ê³¼ ì„¤ë¦½ì„ ê¸°ë…í•´ ìž„ì›ì „ ë° <국제아트페어·부산미술제>ì—서 첫 ë¶€ìŠ¤ì „ì„ ê°œìµœí–ˆë‹¤. ëŒ€í•™êµ ë¶€ì„¤ 민화êµìœ¡ê¸°ê´€ìœ¼ë¡œëŠ” 수ì›ëŒ€í•™êµ ë¯¸ìˆ ëŒ€í•™ì› ë¯¼í™” 전문가과정, ìˆ­ì‹¤ëŒ€í•™êµ êµìœ¡ëŒ€í•™ì› 민화반, 숙명여ìžëŒ€í•™êµ 미래êµìœ¡ì› 민화지ë„ìž ê³¼ì •, ë™ë•ì—¬ìžëŒ€í•™êµ íŠ¹ìˆ˜ëŒ€í•™ì› ë¯¼í™”ê³¼, ë™ë°©ë¬¸í™”대학ì›ëŒ€í•™êµ 민화êµìœ¡ì§€ë„ìž ê³¼ì •, í™ìµëŒ€í•™êµ 문화예술í‰ìƒêµìœ¡ì› 창작민화반 등ì—서 민화과정 정기 회ì›ì „ ë° ì¡¸ì—…ì „ì„ ê°œìµœí–ˆë‹¤. ë¬¸í•˜ìƒ ë‹¨ì²´ë¡œëŠ” 송규태 ìž‘ê°€ì˜ íŒŒì¸íšŒ, ê¹€ìƒì²  ìž‘ê°€ì˜ ì§€ì‚°íšŒ, 정하정 ìž‘ê°€ì˜ ì„¤ì´Œì°½ìž‘ë¯¼í™”ì—°êµ¬íšŒ, ì„œë¯¼ìž ìž‘ê°€ê°€ ì§€ë„하는 호정회, ì •ë•순 ìž‘ê°€ì˜ ì†Œìš´íšŒ, 민봉기 ìž‘ê°€ì˜ ì•ˆì‚°ë¯¼í™”í˜‘íšŒ, í™ê²½í¬ ìž‘ê°€ì˜ ë¯¼ç•µì›, ì´ë§¹ìž ìž‘ê°€ì˜ ì†¡ì—°íšŒ, ì†ì§€ì˜ ìž‘ê°€ì˜ í•˜ëž‘íšŒ ë“±ì´ íšŒì›ì „ì„ ê°œìµœí–ˆìœ¼ë©° 박하경 ìž‘ê°€ì˜ ëª…ìžì™€ë½, 김연우 ìž‘ê°€ì˜ ê²¸ë¦¬íšŒ, ì´ì˜ìˆ™ ìž‘ê°€ì˜ ì†ŒëžŒíšŒ ë“±ì´ ëœ»ê¹Šì€ ì°½ë¦½ì „ì„ ê°œìµœí–ˆë‹¤.
.

PART 3. ì—°ê°„ 전시 모ìŒ

아래 전시 ë‚´ì—­ì€ ë³¸ì§€ì˜ ë°ì´í„°ë¥¼ 토대로 취합한 내용입니다.
ì „êµ­ ê°œì¸ì „, 단체전, 해외전 등 ê°ì¢… 전시 제보는 월간<민화>
편집팀 (designmeme7@naver.com, 02-765-3812)로 해주십시오.

2020ë…„ 1ì›”
2019.09.27.
~ 2020.01.20
명주사고íŒí™”박물관
<íŒí™”로 보는 ë™ì•„시아 화조ë„ì˜ ì„¸ê³„>
ì›ì£¼ì‹œ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2019.11.01
~ 2020.02.28
광주전통민화협회
<온고지신 병í’>展
강진 한국민화뮤지엄
2019.12.18
~ 2020.02.16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ê¶. å®®. Palace.>
ì´ì²œì‹œë¦½ì›”전미술관
2019.12.24
~ 2020.03.01
국립민ì†ë°•물관 ì¥ë  í•´ 특별전
<ì¥êµ¬ë©ì— 볕 ë“  ë‚ >
국립민ì†ë°•물관
2019.12.25
~ 2020.01.07
(사)한국민화협회
정겨운 우리 민화 송년 선물전
서울 ë™ë•아트갤러리
2019.12.27
~ 2020.01.10
(사)한국민화진í¥í˜‘회 갤러리393 개관전
<ì´ê²ƒì´ 민화다 : 청출어람>
서울 gallery393
2019.12.28
~ 2020.01.15
ì œ6회 전통미술연구소 ë¶“ë‹´ 회ì›ì „ ë”ì¼€ì´í˜¸í…”경주 갤러리
01.01 ~ 01.05 제7회 대갈문화축제 <제16회 전국
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 수ìƒìž‘ì „>
서울 종로구 ì¸ì‚¬ì•„트센터
01.01 ~ 01.05 제7회 대갈문화축제
<ì œ8회 대갈화사 회ì›ì „>
서울 종로구 ì¸ì‚¬ì•„트센터
01.01 ~ 01.05 제7회 대갈문화축제
<제7회 현대민화공모전>
서울 종로구 ì¸ì‚¬ì•„트센터
01.01 ~ 01.05 제7회 대갈문화축제
<ì œ8회 가회민화아카ë°ë¯¸ 회ì›ì „>
서울 종로구 ì¸ì‚¬ì•„트센터
01.01 ~ 01.05 제7회 대갈문화축제
<ì œ5회 현대민화공모전 ëŒ€ìƒ íŠ¹ë³„ì „>
서울 종로구 ì¸ì‚¬ì•„트센터
01.01 ~ 01.07 ì œ7회 호정회 회ì›ì „
<오색프리즘> 2차 전시
서울 갤러리 ì´ì¦ˆ
01.01 ~ 01.31 ì¡°ì˜í•´ ê°œì¸ì „
<í–‰ë³µì„ ë‹´ì€ ë¯¼í™”ì „>
ë¶ê²½ì£¼í–‰ì •복지센터
01.02 ~ 01.31 ë°•ì†Œì€ êµ­íšŒì•„íŠ¸ê°¤ëŸ¬ë¦¬ 초대전
<길몽산수>
서울 국회아트갤러리
01.02 ~ 02.28 곽수연 ê°€ì‚°ì²œë…„ì •ì› ì´ˆëŒ€ì „
<길ìƒ(å‰ç¥¥)>展
서울 ê´‘ë™ì œì•½
가산천년정ì›
01.03 ~ 01.31 옥ë„윤 ë¯¼í™”ë¶€í‹°í¬ ì´ˆëŒ€ì „
< Old memories >
서울 민화부티í¬
01.07 ~ 01.13 ì˜ì‚°ëŒ€í•™êµ í‰ìƒêµìœ¡ì› 민화반 회ì›ì „
<민화, ê·¸ 달달한 ì¦ê±°ì›€>
부산 갤러리보명
01.08 ~ 01.13 정해진 진채연구소 세화전
<알-ì¥! 너를 ì‘ì›í•´!> 1ì°¨ 전시
서울 갤러리 ì´ì¦ˆ
01.08 ~ 01.14 ìˆ­ì‹¤ëŒ€í•™êµ êµìœ¡ëŒ€í•™ì› 민화반 회ì›ì „ 서울 31갤러리
01.08 ~ 01.20 (사)한국민화협회 ì‹ ë…„ 기íšì „
<í•œêµ­í˜„ëŒ€ë¯¼í™”ì˜ ì´ˆì„>
서울 ë™ë•아트갤러리
01.10 ~ 01.24 정정혜 2020 LA 아트 프로ì íЏ
<3ì¸ì˜ 작가, 민화와 마주하다>
미국 LA 한국문화ì›
01.11 ~ 01.21 지산회 갤러리393 특별초대전
<ì´ê²ƒì´ 민화다>
서울 gallery393
01.13 ~ 01.23 ì œ3회 ë°•ì •ì€ ê°œì¸ì „
<호축삼재>
서울 갤러리맘
01.14 ~ 01.20 ì œ1회 숙명여ìžëŒ€í•™êµ 미래êµìœ¡ì›
민화지ë„ìžê³¼ì • 작품발표회
숙명여대 청파갤러리
01.14 ~ 02.13 김종숙 갤러리그ë¼í”¼ 초대전
<세화>展
대구 갤러리그ë¼í”¼
01.15 ~ 01.22 ì œ4회 ì¸ì²œë¯¼í™”협회 세화전
<2020 ì˜¬í•´ë„ í–‰ë³µí•˜ì¥>
ì¸ì²œ 한중문화관
01.17 ~ 02.16 ìƒˆí•´ë§žì´ í•œÂ·ì¤‘Â·ì¼ í•©ìž‘ 전시
< A Good Beginning, Here >
미국 뉴욕 플러싱타운홀
01.28 ~ 02.03 ì œ2회 정숙훈 ê°œì¸ì „
<화병 ì†ì— ë‹´ì€ ì†Œë§>
수ì›ë¯¸ìˆ ì „시관
01.28 ~ 02.05 정해진 진채연구소 세화전 2부
<ê²½ìžåºšå­ì˜ 전성시대>
서울 갤러리 한옥
01.29 ~ 02.04 ì œ4회 소운회 회ì›ì „ 서울 ì¸ì‚¬ì•„트프ë¼ìž
01.29 ~ 02.23 ì´ì§€ìˆ™ ê°œì¸ì „ <å›; 喜喜> 서울 ì´ˆì´ìŠ¤ì•„íŠ¸ì»´í¼ë‹ˆ
2020ë…„ 2ì›”
2020.02.04
~ 2021.02.04
ì¹¼í…예술위ì›íšŒ
ì„¤ê¸ˆí¬ ì´ˆëŒ€ì „ < Caltech Arts Gala >
미국 캘리í¬ë‹ˆì•„ ì¹¼í…
02.05 ~ 02.10 칼제7회 ìš¸ì‚°ëŒ€í•™êµ í‰ìƒêµìœ¡ì›
<삼구ë™ì„±ì „>
울산문화예술회관
제4전시장
02.05 ~ 02.27 ì¹¼ì„œë¯¼ìž ì´ˆëŒ€ì „
<ë§¥ - 민화, ë´„ì˜ í–¥ê¸°ë¡œ 날다>
세종시 비오케ì´ì•„트센터
02.06 ~ 02.18 칼한ì¼í˜„대미술êµë¥˜ì „ 실행위ì›íšŒ 5ì¸å±•
<ë„ì¿„ì— í’ë©! ì˜ˆìˆ ì— í’ë©!>
ì¼ë³¸ ë„ì¿„
한국문화ì›
02.09 ~ 02.24 칼고정애 갤러리393
특별초대전
서울 gallery393
02.11 ~ 03.10 칼설촌창작민화연구회
<창작민화 1호>展
시í¥ì‹œ 카페
무랑가배 갤러리
02.12 ~ 02.18 칼서진아트ë™ìš°íšŒ
<우화화 : 벗들과 그리는 꽃그림>
서울 ê²½ì¸ë¯¸ìˆ ê´€ ì œ6ê´€
02.18 ~ 02.24 ì¹¼ë„민ìµì•„트랩 민화연구소
<2020 Joyful>
천안시 ìŒìš©ê°¤ëŸ¬ë¦¬
02.19 ~ 02.25 칼(사)한국민화협회 베트남 특별전
<과거를 ì´ì–´ 미래를 보다>
베트남 하노ì´
한국문화ì›
02.19 ~ 03.01 칼네ì´ë²„밴드 민화ì´ì•¼ê¸° 회ì›ì „
<민화 - 따로 ë˜ ê°™ì´>
서울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02.23 ~ 03.15 칼스테파니 소연 리 멤버 그룹전 미국 ì—드워드 í˜¸í¼ í•˜ìš°ìŠ¤
뮤지엄& 스터디 센터
2020ë…„ 3ì›”
03.02 ~ 03.31 김민수 ê°œì¸ì „
< Paper & Petals >
ìºë‚˜ë‹¤ 토론토 공공ë„서관
Don Mills Gallery
03.02 ~ 04.02 뉴욕예술가협회 그룹전
< Female Gender Identity and Equality >
미국 ì´ì˜¤ë‚˜ 대학
03.10 ~ 04.10 설촌창작민화연구회
<3ì¸3색 ì˜í¬ì „>
시í¥ì‹œ 카페
무랑가배 갤러리
03.11 ~ ì¼ì‹œì¤‘단 ë‰´ìš•í•œêµ­ë¬¸í™”ì› ì•ˆì„±ë¯¼ 특별전
<한국전통민화와 ë™ì‹œëŒ€ì˜ 대화>
미국 뉴욕 한국문화ì›
03.25 ~ 03.30 ì œ1회 명ìžì™€ë½ 회ì›ì „
<喜喜樂樂>
서울 ì¸ì‚¬ì•„트프ë¼ìž
03.26 ~ 04.26 박수애 ê°œì¸ì „
<목련 그 고귀함, 민화로 피었네>
태안 천리í¬ìˆ˜ëª©ì›
밀러가든 갤러리
2020ë…„ 4ì›”
04.01 ~ 04.06 ë™ë•ì—¬ìžëŒ€í•™êµ 특수대학ì›
민화과 ì„·박사 초대전
서울 ë™ë•아트갤러리
04.01 ~ 05.04 올미아트스페ì´ìФ ì´ì§€ìˆ™ 한주ì€
초대전 < Portraits of Spring >
서울 올미아트스페ì´ìФ
04.01 ~ 05.06 ì†¡ì€ ì•„íŠ¸í브 ë¼ì˜¤ë¯¸ ê°œì¸ì „
<ìƒìƒì˜ì •ì›ì— ì§„ì§œ ë‘꺼비들ì„>
서울 ì†¡ì€ ì•„íŠ¸í브
04.03 ~ 05.02 JJ갤러리 ì´ì†Œëª… 초대전
<ìžì—°ì„ 타고 ë‚´ 안으로>
경주 JJ갤러리
04.15 ~ 04.20 월간<민화> 창간 6주년 기ë…ì „
<ì „í†µì˜ íž˜ 42>
서울 ë™ë•아트갤러리
04.22 ~ 04.30 ì†ìœ ì˜ ê°œì¸ì „
<ê³ ì–‘ì´ì˜ ë´„ - ì°¸ æ:한 봄입니다>
서울 갤러리한옥
04.25 ~ 05.07 신미경 갤러리엘르 초대전
서울 갤러리엘르
04.25 ~ 05.24 연선미 ê°œì¸ì „
천안 ì¸ë”갤러리
04.30 ~ 05.31 고양민화협회
<처염ìƒì •(處染常淨)>
파주 ê¹€ì˜ì‚¬ 갤러리
2020ë…„ 5ì›”
05.01 ~ 06.27 ì œ3회 ë¬¸í˜œì˜ ê°œì¸ì „
<오메, ì´ìœ 것!>
성남시 카페 드노피
05.06 ~ 05.11 남정예 ê°œì¸ì „
<남정예 민화전>
서울 ë™ë•아트갤러리
05.06 ~ 06.28 전주역사박물관 김철순 ê¸°ì¦ ë¯¼í™”ì „
<민화 ì†ì—서 나를 만나다>
전주역사박물관
05.12 ~ 07.31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민화 기íšì „
<æ›¸æž¶ì˜ í’ê²½ 책거리·문ìžë„>
서울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05.13 ~ 05.19 ì œ4회 (사)한국민화진í¥í˜‘회
전국민화공모대전 수ìƒìž‘ 전시회 ë° íšŒì›ì „
서울 한국미술관
05.15 ~ 05.24 ì œ7회 ê¹€ì–¸ì˜ ê°œì¸ì „
<태화루 - 야외전시 : 바람 그리고 산책>
울산 태화루 야외전시장
05.18 ~ 05.29 소완회 초대전 <ê¿ˆì˜ í•­ì—°> ì–‘í‰ ë¶í•œê°•갤러리
05.20 ~ 05.25 <ìž„ì˜ìˆ™ ê°œì¸ì „> 서울 갤러리ì¸ì‚¬ì•„트
05.20 ~ 05.31 ì œ1회 ì´ìœ ì£¼ ê°œì¸ì „
< Intervention >
서울 갤러리단디
05.21 ~ 05.27 ëŒ€ì „ì¤‘êµ¬ë¬¸í™”ì› íŠ¹ë³„ê¸°íšì „
<한ê», 아름다운 그림 ì „>
대전중구문화ì›
05.22 ~ 05.27 민화ì›another
<꽃.ë²—: ê³µê°„ì„ ë‹´ë‹¤> 1ì°¨ 전시
서울 갤러리외í¬
05.27 ~ 06.02 ë™ë•아트갤러리 송창수, ì¡°ì—¬ì˜, 김민성
초대전 <삼ì¸ì‚¼ìƒ‰>
서울 ë™ë•아트갤러리
05.29 ~ 08.16 성파스님 ê°œì¸ì „
<통ë„사 옻칠민화 특별전>
ì–‘ì‚° 통ë„사 성보박물관
05.30 ~ 06.28 (사)한국미술협회 오산지부
<제14회 오뫼천 아트페스티벌>
오산시 ê³ ì¸ëŒê³µì›
ë‚´ 빛터ë„
05.30 ~ 07.31 ê³ íŒí™”박물관
<íŒí™”로 보는 ë™ì•„시아 문ìžë„ì˜ ì„¸ê³„>
ì›ì£¼ì‹œ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2020ë…„ 6ì›”
06.01 ~ 06.08 송태화 수ë•사선미술관 ê°œì¸ì „ 예산 수ë•사선미술관
06.01 ~ 07.26 제1회 (사)한국전통민화협회
작가전
청주 아정갤러리
06.03 ~ 08.31 한해숙 ê°œì¸ì „
<ë‹¨ìƒ ê³ ì–‘ì´>
천안 ì˜ë ë¹ ë¦¬
06.10 ~ 06.16 ì œ1회 네ì´ë²„밴드 í–‰ë³µì„ ê·¸ë¦¬ëŠ” 민화
ë™í˜¸íšŒì „ <민화가 좋아서>
서울 하나아트갤러리
06.10 ~ 06.16 ì œ13회 (사)우리민화협회 회ì›ì „
<민화, 새로운 ì¼ìƒì„ 만나다>
서울 ê²½ì¸ë¯¸ìˆ ê´€ ì œ1ê´€
06.12 ~ 06.24 ê°•ëª…í¬ ì´ˆëŒ€ì „
<민화(民畵), 사랑과 í–‰ë³µì„ ê·¸ë¦¬ë‹¤>
서울 UNI·T 문화갤러리ì—
06.16 ~ 06.22 제9회 안산민화협회
정기 회ì›ì „
온ë¼ì¸
06.17 ~ 06.24 갤러리ì¼ëž€ 단오 ë§žì´ ê¸°íšì „
<ì°½í¬ì˜ 향기전>
서울 갤러리ì¼ëž€
06.17 ~ 06.30 제4회 가.품.민 전통채색연구소
회ì›ì „ <가슴으로 품다 민화>
마산롯ë°ë°±í™”ì  ë”갤러리
06.18 ~ 06.29 국제장애ì¸ë¬¸í™”êµë¥˜í˜‘회
<ë°œë‹¬ìž¥ì• ì¸ ì²­ë…„ìž‘ê°€ì „ 2020 : 보고…다시 ë³´ê³ >
서울 ë¼ë©”르갤러리
06.20 ~ 07.26 뉴욕 한국민화연구소 회ì›ì „
< Minhwa: Painting of the People
(民畵: ë°±ì„±ì˜ ê·¸ë¦¼) >
미국 뉴욕 백림사
사찰내 갤러리
06.22 ~ 07.31 제4회 옛, 멋 민화전
<ë‹¨ì˜¤ì— ë¶€ëŠ” 바람 - 랑랑風> ê³ 
양 주엽커뮤니티센터
06.24 ~ 06.30 제2회 그리미벗 정기전 서울 31갤러리
06.24 ~ 06.30 ì œ4회 길ìƒí™”사 회ì›ì „
<ì „ìŸ ì†ì— í•€ 꽃>
서울 ë™ë•아트갤러리
2020ë…„ 7ì›”
7월 초 스테파니 소연 리
< Community Art Exhibition >
미국 뉴욕 플러싱타운홀
07.06 ~ 07.11 수ì›ëŒ€í•™êµ 미술대학ì›
민화 전문가과정 졸업전
수ì›ëŒ€í•™êµ 미술대학ì›
고운미술관
07.06 ~ 07.12 (사)대구환경미술협회
토갤러리 개관기ë…ì „
대구 토갤러리
07.10 ~ 08.20 서ë™ê°¤ëŸ¬ë¦¬ 노호남 초대전 오산 서ë™ê°¤ëŸ¬ë¦¬
07.14 ~ 08.09 ì´ì§€ìˆ™ 초대전 <ìžê¸°ë§Œì˜ ë°©> ë”숲갤러리 1, 2ê´€
07.17 ~ 07.26 민화ì›another
<꽃.ë²—: ì‹œê°„ì„ ë‹´ë‹¤> 2ì°¨ 전시
서울 소허당
07.20 ~ 07.25 부산민화협회 제7회 부산민화제
& ì œ2회 대한민국 ì–´ë¦°ì´ ë¯¼í™”ì œ <비ìƒ>
부산시청갤러리
07.20 ~ 08.07 ì œ8회 ê¹€ì–¸ì˜ ê°œì¸ì „
<ì†Œë…€ì˜ ì„±ìž¥ê¸°_mind>
울산 갤러리한빛
07.22 ~ 08.03 ë™ë•ì—¬ìžëŒ€í•™êµ íŠ¹ìˆ˜ëŒ€í•™ì› ë¯¼í™”ê³¼
민화작업전 <민화 꽃피우다>
서울 피움갤러리
07.22 ~ 07.26 정정혜 ê°œì¸ì „
<문연 정정혜 민화사랑>
안ë™ë¬¸í™”예술ì˜ì „당
07.23 ~ 08.19 경민현대미술관 민화기íšì „
<민화 ì´ì•¼ê¸°>
경민현대미술관
07.28 ~ 11.08 아모레í¼ì‹œí”½ë¯¸ìˆ ê´€ 고미술품 소장전
< APMA, CHAPTER TWO >
아모레í¼ì‹œí”½ë¯¸ìˆ ê´€
07.29 ~ 08.03 월간<민화> 정병모 êµìˆ˜ ê³µë™ì£¼ìµœ
테마 기íšì „ <화조화 Today>
서울 ë™ë•아트갤러리
07.29 ~ 08.04 한국민화전업작가회 2020
한국민화조ë§ì „ <민화부채展>
서울 ì¸ì‚¬ì•„트프ë¼ìž
2020ë…„ 8ì›”
08.01 ~ 08.01 ê¹€ë¯¸ì˜ ê°œì¸ì „
<우리 그림 우리 민화展>
고양 주엽커뮤니티센터
08.04 ~ 08.30 ë£¨ì”¨ìœ ì•„ëœ°ë¦¬ì— ê°œê´€ê¸°ë…ì „
<민화로 꿈 피우다>
제주 루씨ìœì•„뜰리ì—
08.04
~ 2021.02.14
경기ë„박물관 재개관 ê¸°ë… íŠ¹ë³„ì „
<경기별곡 : 민화, 경기를 노래하다>
경기ë„박물관
08.05 ~ 08.11 한길한국화협회 회ì›ì „
<한길한국화전>
공주 ì´ë¯¸ì •갤러리
08.07 ~ 09.13 ì›ì£¼ì‹œì—­ì‚¬ë°•물관 & 송기성
기íšì „ <ê¿©ì˜ ë¹„ìƒ>
ì›ì£¼ì‹œì—­ì‚¬ë°•물관
08.12 ~ 08.18 ìµœì„œì› ê°œì¸ì „ ë™ë•미술관 ì¸ì‚¬ë™ ë¶„ê´€
08.12 ~ 08.18 ì •ì€í•˜ ê°œì¸ì „
<傳統彩色畵展>
서울 ê²½ì¸ë¯¸ìˆ ê´€
08.12 ~ 08.24 ë°•ì†Œì€ ì´ˆëŒ€ì „
<여심 - 소, 확, 행>
서울 갤러리ì¸ì‚¬ì•„트
08.13 ~ 08.16 향사민화 회ì›ì „
<향사민화방 특별전>
대구 엑스코
08.13 ~ 09.14 ì´í™”ì˜ ê°œì¸ì „
<초월 그리고 í‰í™”>
광주 갤러리 ìƒê°ìƒìž
08.14 ~ 08.16 지민선 ê°œì¸ì „
< Eye of Tiger >
부산 벡스코
08.15 ~ 08.20 ê¹€ë„ì› ê°œì¸ì „
<ë„ìžê¸°ì— 스며든 고래>
í¬í•­ 중앙아트홀
08.25 ~ 09.20 신연숙 ê°œì¸ì „
<꽃 범, 꽃 닭>
울산 지앤갤러리
08.26 ~ 08.31 (사)부산미협 민화/불화분과
ìž„ì› ì°½ë¦½ì „
서울 ì¸ì‚¬ì•„트센터
08.26 ~ 09.06 월간<민화> 한국문화정품관 초대전
<2020민화, 주목할만한 작가 special5>
서울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2020ë…„ 9ì›”
09.01 ~ 09.29 <ì œ4회 담진민화회 회ì›ì „> ì°½ì› ì§„í•´êµ¬ì²­
09.02 ~ 09.08 ë™ë°©í‰ìƒêµìœ¡ì› 민화êµìœ¡ê°•사과정
1기 졸업작품전
갤러리H
09.02 ~ 09.15 ë”갤러리 초대전
<ì´ì§€ì› 展>
마산롯ë°ë°±í™”ì  ë”갤러리
09.04 ~ 09.14 ê°¤ëŸ¬ë¦¬ì•„ë°±í™”ì  ê´‘êµ ë¬¸í™”ì„¼í„°
민화반 회ì›ì „ <갤러리아 화우회전>
경기ë„êµìœ¡ë³µì§€ì¢…합센터
갤러리
09.07 ~ 09.26 ì´ë¯¸ëž€, ì´ì˜ë¯¸ 작가 2ì¸ì „
<사부작 사부작 소품展>
청주 아정갤러리
09.09 ~ 09.14 차선미 ê°œì¸ì „
<í르는 강물처럼>
서울 ì¸ì‚¬ì•„트센터
09.09 ~ 09.15 양금옥 초대개ì¸ì „
<금강산과 신선>
서울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09.09 ~ 09.15 예창ê¶ì¤‘장ì‹í™”전승회 회ì›ì „
<ê¶ì¤‘í™”ì›ì˜ ë¹›>
서울 ì¸ì‚¬ì•„트프ë¼ìž
09.09 ~ 09.14 <ì œ8회 파ì¸íšŒ 회ì›å±•> 서울 ì¸ì‚¬ì•„트센터
09.10 ~ 09.19 르네갤러리 권매화 초대전 춘천 르네갤러리
09.11 ~ 09.30 <ì œ25회 (사)한국민화협회 회ì›ì „> 온ë¼ì¸
09.16 ~ 09.22 í™ëŒ€ 미대 ë™ë¬¸ì „
< Wow! Wow, Family >
서울 갤러리 ì´ì¦ˆ
09.17 ~ 09.26 노호남 초대전
<붓으로 ìˆ˜ë†“ì€ ë¯¼í™” 패브릭아트>
서울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09.18 ~ 09.27 <제8회 대갈화사전> 가회민화박물관
09.22 ~ 09.27 ì œ4회 옥ë„윤 고운그림展
<그대 ê°€ìŠ´ì— ë³„ë¹› ë˜ì–´>
김해문화ì˜ì „당
윤슬미술관
09.24 ~ 10.11 소담하우스 개관기ë…ì „
<신연숙 초대전>
울산 소담하우스
09.29 ~ 10.16 신미경 초대전
< Magic on life >
ì´ì •아갤러리
2020ë…„ 10ì›”
10.01 ~ 10.31 <ë‹´ì§„ 김경애 초대전> ì°½ì› ì§„í•´êµ¬ì²­
10.02 ~ 10.28 The Drawing Room 그룹전
< Interweaving >
미국 The Alfred
Van Loen Gallery
10.05
~ 2021.01.05
ìµœì„œì› ì´ˆëŒ€ì „
<슈필ë¼ì›€ì „>
ì˜ì™•시 넬ë¼í¬ë ˆìŠ¤íƒ€
10.05 ~ 미정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åº­åœ’ì˜ í’ê²½_ì¸ë¬¼Â·ì‚°ìˆ˜Â·í™”ì¡°>
서울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10.06 ~ 10.12 하랑회 회ì›ì „
<ê°€ì„, ìš°ë¦¬ìƒ‰ì„ ìž…ë‹¤>
부산 갤러리보명
10.06
~ 2021.02.28
<ì œ6회 대한민국민화대전 수ìƒìž‘ 특별전> ê°•ì§„ 한국민화뮤지엄
10.07 ~ 10.13 ì´í¬ì—° ê°œì¸ì „
<ê¶ê¶ì„ ë„˜ì€ ê¶ì¤‘í™”>
서울 갤러리 ì´ì¦ˆ
10.08 ~ 10.18 (재)아산문화재단 초대전
<아산 아티스트展> 1차
아산시 당림미술관
10.11 ~ 10.18 ì œì²œë‹¨ì–‘ë¯¼ì˜ˆì´ ì „í†µë¯¸ìˆ ìœ„ì›íšŒ
<ë‹¨ì˜¤ë§žì´ ë¯¼í™”>展
제천시 ì˜ë¦¼ì§€ì—­ì‚¬ë°•물관
10.12 ~ 11.07 êµ°í¬ë¬¸í™”재단 김혜중 민화기íšì „
<민화 ì† ì´ì•¼ê¸°>
êµ°í¬ë¬¸í™”예술회관
10.14 ~ 10.19 정학진 ê°œì¸ì „
<기물-추억여행>
서울 갤러리 ì´ì¦ˆ
10.14 ~ 10.20 겸리회 창립전 <10ì›” ê°•ë¦‰ì„ ë¬¼ë“¤ì´ë‹¤>
& ì œ5회 김연우 ê°œì¸ì „ <ë‘번째 시월>
강릉 미술관가는길
10.14 ~ 10.20 ì œ9회 민수회 회ì›ì „ 서울 ê²½ì¸ë¯¸ìˆ ê´€
10.16 ~ 10.19 (사)부산미술협회 2020
제9회 BFAA & 부산미술제
부산 벡스코
10.16 ~ 10.19 신호경 ê°œì¸ì „
< Minhwa Blooms in Canada >
ìºë‚˜ë‹¤ ë„ì‚° 갤러리
토론토 온타리오
10.20 ~ 10.22 ì œ17회 제천단양민예ì´
민족예술제 <어우르다>
제천시민회관
10.20 ~ 10.31 <가회민화박물관 í˜¸ëž‘ì´ íŠ¹ë³„ì „
– 초대작가 차선미>
서울 가회민화박물관
10.21 ~ 10.27 ì œ8회 ë¯¼í™”ì› íšŒì›ì „
<병í’담다 - 1ë¶€ ë‹´ì•„ 펴다>
서울 갤러리그림ì†
10.21 ~ 10.27 지산회 회ì›ì „ <울림> 서울 갤러리 ë¼ë©”르
10.25 ~ 11.07 ì¡°ì€ë¯¸ 초대전
<민화, í–‰ë³µì„ ê·¸ë¦¬ë‹¤>
서울 GALLERY T2
10.27 ~ 11.02 ìƒì§€ 임현주 ê°œì¸ì „ <ë½> 수ì›ë¯¸ìˆ ì „시관

10.28 ~ 11.03 ì œ8회 ë¯¼í™”ì› íšŒì›ì „
<병í’담다 - 2ë¶€ ë‹´ì•„ 접다>
서울 갤러리그림ì†
10.28 ~ 12.13 ê¹€ì–¸ì˜ ê¸°íšì´ˆëŒ€ì „
<옛 그림ì—서 ì°¾ì€ í–‰ë³µ>
김해한림박물관
10.29 ~ 11.02 한ë™í™˜ ê°œì¸ì „
<ê°€ì„ë¹› 여정 그리고 행복>
공주 아트센터 고마
10.30 ~ 11.03 ì œ5회 하랑회 정기회ì›ì „
<민화ì´ì•¼ê¸°>
양산문화예술관
10.30 ~ 11.06 í‰íƒë¯¸ìˆ í˜‘회 뉴욕한ì¸ë¯¸ìˆ í˜‘회
<2020 소사벌 국제아트 êµë¥˜ì „>
í‰íƒí˜¸ì˜ˆìˆ ê´€
10.30
~ 2021.02.28
가회민화박물관
<수묵민화 특별전>
서울 가회민화박물관
10.31 ~ 11.02 월간<민화> 호텔아트페어 ‘민화滿’ 서울 ì´ë¹„스스타ì¼
ì•°ë°°ì„œë” ëª…ë™
10.31 ~ 11.07 ì œ7회 ì€ê´‘민화회 회ì›ì „ 경주 서ë¼ë²Œë¬¸í™”회관
10.31 ~ 11.11 호정 ì„œë¯¼ìž ì´ˆëŒ€ì „
<ì¼ìƒìœ¼ë¡œì˜ 초대>
서울 갤러리 공간35
2020ë…„ 11ì›”
11.03 ~ 11.16 ê¶Œí˜ì†¡ 소장품
<아시아 목íŒí™”ì „>
충남ë„서관
11.03 ~ 12.20 ê¹€ì§€ìƒ ì´ˆëŒ€ì „
<21세기 민화 ìš°ë¦¬ë“¤ì˜ ì´ì•¼ê¸°>
세종시립민ì†ë°•물관
11.04 ~ 11.15 2020 고양국제현대미술제
행주미술·공예·디ìžì¸ëŒ€ì „ 수ìƒìž‘ 전시
ì¼ì‚° 벨ë¼ì‹œíƒ€ì´ë²¤íŠ¸í™€
11.06 ~ 미정 한국민화뮤지엄 사ì´ë²„전시
<í•œêµ­ì˜ ë¯¼í™”ì „>
온ë¼ì¸
11.11 ~ 11.16 효천 ë°©í¬ì› ê°œì¸ì „
<í™”ì›ì˜ 노래Ⅰ>
서울 ì¸ì‚¬ì•„트센터
11.11 ~ 11.17 ì œ4회 설촌창작민화연구회 회ì›ì „
<ì°½ìž‘ë¯¼í™”ì˜ í–¥ê¸°>展
서울 ì¸ì‚¬ì•„트프ë¼ìž
갤러리
11.11 ~ 11.17 ê¹€ì„œì˜ ê°œì¸ì „
<ì±…ì˜ í’ê²½>
서울 갤러리H
11.11 ~ 11.30 정양모 작가 & 성파스님 2ì¸ì „
<지기지우(知己之å‹)>
서울 나마갤러리
11.11
~ 2021.01.10
가회민화박물관
<못ëœë³‘못들어오는>展
서울 가회민화박물관
11.13 ~ 11.19 ì œ5회 경주민화협회 정기전 ë”ì¼€ì´í˜¸í…” 경주
11.14 ~ 11.20 <í™ì²œí™”정민화회 회ì›ì „> í™ì²œë¯¸ìˆ ê´€
11.15 ~ 11.19 제9회 (사)한국전통민화협회 전국공모전
수ìƒìž‘ 전시 ë° íšŒì›ì „
청주 예술ì˜ì „당
11.18 ~ 11.24 ë°•ì§„ì„  ê°œì¸ì „
<민화愛 스미다>
대전 MBC M갤러리
11.24
~ 2021.01.31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겨울 지나 ë´„ 오듯-세한歲寒·í‰ì•ˆå¹³å®‰>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1.25 ~ 11.28 (사)한국민화협회 제13회 대한민국
민화공모대전 수ìƒìž‘ 전시
온ë¼ì¸
11.26 ~ 12.02 ì œ2회 송연회 회ì›ì „
<옛 것과 새 ê²ƒì˜ ë§Œë‚¨ì „>
광주 무등갤러리
2020ë…„ 12ì›”
12.01 ~ 12.06 ì œ5회 김해민화연구회 회ì›ì „
<으리義리>展
김해문화ì˜ì „당
윤슬미술관
12.01 ~ 12.13 제5회 그리다방 네모 전시회
< Thanks giving >
천안 ì˜ë ë¹ ë¦¬
12.02 ~ 12.08 소람회 창립전
<ì „í†µë¯¼í™”ì˜ ì†Œì†Œí•œ 나들ì´>
서울 갤러리ë¼ë©”르
12.02 ~ 12.08 ì œ10회 소소회 회ì›ì „
<ë¶“ì§ˆì€ ë‚ ê°œì§“ë˜ì–´>
서울 ì¸ì‚¬ì•„트센터
12.02 ~ 12.08 ë™ì‚°ë¶ˆêµëŒ€í•™ 불êµë¯¸ìˆ í•™ê³¼ 불화전
<어서와 ê·¹ë½ì€ 처ìŒì´ì§€>
서울 ê²½ì¸ë¯¸ìˆ ê´€
12.03 ~ 12.07 ìµœì„œì› ë¶€ì‚°êµ­ì œì•„íŠ¸íŽ˜ì–´
<멀어진, ì´ì–´ì§„>
부산 벡스코
12.04
~ 2021.01.10
국외소재문화재재단·국립고ê¶ë°•물관
<해학반ë„ë„, 다시 날아오른 í•™>
서울 국립고ê¶ë°•물관
12.07 ~ 12.12 (사)한국전통민화연구소 회ì›ì „
<ì•„í””ì„ ë‹¬ëž˜ì£¼ëŠ” 우리그림 민화展>
ê²½ë¶ë„ì²­ ë™ë½ê´€
12.14 ~ 12.19 울산민채예술협회 회ì›ì „
<아름다운 민화 향기>
울산 별빛마루갤러리
12.15
~ 2021.01.17
정혜성 초대전
<부활 : 조선왕실 ë‹¬êµ¬ë²Œì— ê½ƒí”¼ë‹¤>
호텔ì¸í„°ë¶ˆê³  대구
12.15
~ 2021.02.01
2020 ë„민ìµì•„트랩 전시회
< Dominic Art Space >
천안 ì˜ë ë¹ ë¦¬
12.16 ~ 12.21 김명분 ê°œì¸ì „
<ë…¸ì„ë¹› ì—°ê°€>
서울 ì¸ì‚¬ì•„트센터
12.16 ~ 12.22 ê¶ì¤‘장ì‹í™” ì•„ì¹´ë°ë¯¸ 4기
회ì›ì „ <身畵ä¸äºŒ>
서울 31갤러리
12.16 ~ 미정 갤러리 조선민화 개관전
<ë””ìžì´ë„ˆì˜ 민화>
갤러리 조선민화
12.19 ~ 12.26 전통미술연구소 ë¶“ë‹´ 회ì›ì „
<화첩기행>
ë”ì¼€ì´í˜¸í…” 경주
12.22 ~ 12.31 ì œ15회 연선미 ê°œì¸ì „
<존재하지 않는 ê³µê°„ì˜ ì‚¬ìœ >
천안 카페갤러리 하루
12.21
~ 2021.01.04
신광숙 ê°œì¸ì „
<소ë§ì„ 쌓아>
화성 리ë¼ê°¤ëŸ¬ë¦¬
12.23 ~ 12.27 ë°•ì†Œì€ & ì´ê²½ì£¼
<서울아트쇼2020>
서울 코엑스
12.23 ~ 12.28 ì œ4회 ì´ì˜ì‹¤ ê°œì¸ì „
<작가 ì´ì˜ì‹¤ì˜ ç¾…ç¾…Land ì±…ê°€ë„_ì´ì•¼ê¸°ë¥¼ 담다>
서울 ì¸ì‚¬ì•„트센터
12.23 ~ 2021.01.07 길ìƒí™”사 회ì›ì „
<벽사, 초복>
서울 ìží•˜ë¯¸ìˆ ê´€
12.30 ~ 2021.01.05 ì œ8회 호정회 회ì›ì „
<오색뷰>
서울 아리수갤러리

PART 4. 공모전, 출품수 í¬ê²Œ 줄지 않아


민화 전문 ê³µëª¨ì „ì´ ì½”ë¡œë‚˜19ì˜ ì—¬íŒŒë¡œ 올해는 얼마간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공모전 ì£¼ìµœì¸¡ì€ ì ‘ìˆ˜ ê¸°ê°„ì„ ë¯¸ë£¨ê±°ë‚˜ 수ìƒìž‘ 전시를 온ë¼ì¸ìœ¼ë¡œ 개최하는 등
ìƒí™©ì— ì ê·¹ 대처하여 ê³µëª¨ì „ì„ ì„±ê³µì ìœ¼ë¡œ 마쳤으며, ì¶œí’ˆìˆ˜ë„ ì „ë°˜ì ìœ¼ë¡œ í¬ê²Œ 줄진 않았다.
주요 민화단체와 박물관 주최 ê³µëª¨ì „ì˜ ìˆ˜ìƒê²°ê³¼ë¥¼ 요약했다. (공모전 소개는 개최순)


문수현, <만복ë„>

(사)한국민화진í¥í˜‘회 주최 ì œ4회 전국민화공모대전

(사)한국민화진í¥í˜‘회(ì´ì‚¬ìž¥ í™ëŒ€í¬, 회장 ê¹€ìƒì² )ê°€ 주최하고 전국민화공모대전운ì˜ìœ„ì›íšŒê°€ 주관하는 ì œ4회 ì „êµ­ë¯¼í™”ê³µëª¨ëŒ€ì „ì´ ì½”ë¡œë‚˜19 여파로 ì ‘ìˆ˜ê¸°ê°„ì„ ëŠ¦ì¶° 4ì›”ì— ì§„í–‰ë으며, 행사 ê·œëª¨ë„ ì¶•ì†Œí•´ 서울ì—서만 수ìƒìž‘ 전시가 개최ë다. 공모전ì—는 ìž‘ë…„ì˜ ìµœë‹¤ 출품수를 갱신한 853ì (전통민화 742ì , 창작민화 111ì )ì´ ì¶œí’ˆë으며, ìš´ì˜ìœ„ì›íšŒ
는 심사방ì‹ì„ 바꿔 대ìƒê³¼ 최우수ìƒì„ 먼저 선정했다. 올해는 다양한 ì œìž¬ì˜ ìž‘í’ˆë“¤ì´ ì¶œí’ˆë˜ì–´ ê³µëª¨ì „ì˜ ì–‘ì  ì„±ìž¥ì€ ë¬¼ë¡ , ì§ˆì  ìˆ˜ì¤€ë„ ë†’ì•„ì¡Œë‹¤ëŠ” 후문ì´ë‹¤. 올해부터 ì£¼ìµœì¸¡ì— ê·€ì†ë˜ëŠ” 대ìƒì€ í™”ë³‘ì„ ì¤‘ì‹¬ìœ¼ë¡œ ë„ìƒì„ 재구성한 문수현 ìž‘ê°€ì˜ <만복ë„>로 ì„ ì •ë다.


김선í¬, <í¬ì›(希願)>

한국민화뮤지엄 주관 제6회 대한민국민화대전

ê°•ì§„êµ°ì´ ì£¼ìµœí•˜ê³  한국민화뮤지엄(관장 오ì„환)ì´ ì£¼ê´€í•˜ëŠ” ì œ6회 대한민국민화대전 ì¼ë°˜ë¶€ 접수가 6ì›”ì— ì§„í–‰ë으며, ì´ 162ì ì´ 출품ë다. 출품수는 작년보다 다소 줄어들었으나 민화 ìž‘ê°€ë“¤ì˜ ê³µì‹ì ì¸ ë°ë·” 무대ë¼ëŠ” ëª…ì„±ì— ê±¸ë§žê²Œ ì „êµ­ê³¼ 해외ì—서 ìž‘í’ˆì´ ì ‘ìˆ˜ë다. ì¶œí’ˆìž‘ì— ì „í†µ í˜¹ì€ ì°½ìž‘ì˜ íŠ¹ì„±ì´ í™•ì—°ížˆ ë³´ì´ì§€ 않아 아쉬웠다는 í‰ì´ 있었다. 수ìƒìž‘ì€ ì´ 106ì ì´ë©°, 대ìƒì€ 어변성룡ë„를 재해ì„한 ê¹€ì„ í¬ ìž‘ê°€ì˜ <í¬ì›(希願)>, ê³µì˜ˆë¶€ë¬¸ì˜ ìµœê³ ìƒì€ 윤윤섭 ìž‘ê°€ì˜ <ì²­ìžì´ìœë„쿨무늬매병>으로 ì„ ì •ë다. 지난 10ì›” 6ì¼ ë§‰ì„ ì˜¬ë¦° 수ìƒìž‘ 전시는 ë‚´ë…„ 2ì›” 28ì¼ê¹Œì§€ 역대 ìµœìž¥ê¸°ê°„ì˜ ì¼ì •으로 ì§„í–‰ëœë‹¤.


조선민화박물관 주관 제23회 김삿갓문화제 전국민화공모전

강수진, <사현파진백만대병ë„>

ì˜ì›”êµ°ì´ ì£¼ìµœí•˜ê³  조선민화박물관(관장 오ì„환)ì´ ì£¼ê´€í•˜ëŠ” ì œ23회 김삿갓문화제 ì „êµ­ë¯¼í™”ê³µëª¨ì „ì´ ì§€ë‚œ 8ì›”ì— ì§„í–‰ë다.
ì´ ìƒê¸ˆì´ 6,100ë§Œì›ìœ¼ë¡œ í¬ê²Œ ìƒí–¥ëœ ì´ë²ˆ 전국민화공모전ì—는 205ì ì˜ ìž‘í’ˆì´ ì ‘ìˆ˜ë으며, 100호 ë˜ëŠ” 8í­ ì´ìƒì˜ ë³‘í’ ë“± ëŒ€ìž‘ì´ ëŒ€ê±° 출품ë˜ì–´ êµ­ë‚´ 최초 민화 전문 ê³µëª¨ì „ì˜ ê¶Œìœ„ë¥¼ 실ê°í•  수 있었다. 심사위ì›ë“¤ì€ 모든 작품 정보를 배제한 블ë¼ì¸ë“œ 심사, 최고ì ê³¼ 최저ì ì„ 제외한 나머지 ì ìˆ˜ë¥¼ 합산하는 ë°©ì‹ì„ ê±°ì³ ë³¸ìƒ ìˆ˜ìƒìž‘ì„ ì„ ì •í–ˆìœ¼ë©°, 대ìƒì€ ì¤‘êµ­ì˜ ìœ ëª…í•œ 전투 ìž¥ë©´ì„ ì •êµí•˜ê²Œ 재현한 강수진 ìž‘ê°€ì˜ <사현파진백만대병ë„>로 ì„ ì •ë다.


(사)한국전통민화협회 주최 제9회 전국공모전

김보연, <ì±…ê°€ë„ 10í­ ë³‘í’>

(사)한국전통민화협회(ì´ì‚¬ìž¥ ì‹ ì˜ìˆ™, 회장 윤ì¸ìˆ˜)ê°€ 주최하는 ì œ9회 전국공모전 접수가 코로나19 여파로 7ì›”ì´ ì•„ë‹Œ 9ì›”ì— ì§„í–‰ë으며, 11ì›” 15ì¼ë¶€í„° 11ì›” 19ì¼ê¹Œì§€ 청주예술ì˜ì „당 대전시실ì—서 수ìƒìž‘ 전시가 개최ë다. 올해 공모전ì—는 매년 400ì—¬ì  ì •ë„ ì ‘ìˆ˜ëœ í‰ê· ì ì¸ 출품수보다 조금 ë°‘ë„는 376ì ì´ 출품ë으며, 전통민화가 ì••ë„ì ì¸ ë¹„ì¤‘ì„ ì°¨ì§€í–ˆë‹¤. ì´ 259ì (ëŒ€ìƒ 1ì , ìµœìš°ìˆ˜ìƒ 2ì , ìš°ìˆ˜ìƒ 4ì , ìž¥ë ¤ìƒ 5ì , ëŒ€íšŒìž¥ìƒ 10ì , 특선 107ì , ìž…ì„  130ì )ì´ ìˆ˜ìƒìž‘으로 ì„ ì •ë으며, 대ìƒì€ 국립고ê¶ë°•ë¬¼ê´€ì— ì†Œìž¥ëœ ì›ìž‘ì„ ì¶©ì‹¤í•˜ê²Œ 재현한 김보연 ìž‘ê°€ì˜ <ì±…ê°€ë„ 10í­ ë³‘í’>으로 ì„ ì •ë다.


(사)한국민화협회 주최 제13회 대한민국민화공모대전

김선미, <수렵ë„>

(사)한국민화협회(회장 박진명)ê°€ 주최하고 (사)한국민화협회 공모전운ì˜ìœ„ì›íšŒê°€ 주관하는 ì œ13회 ëŒ€í•œë¯¼êµ­ë¯¼í™”ê³µëª¨ì „ì´ ê³µëª¨ë¶„ì•¼ë¥¼ ìžìœ  ì£¼ì œì˜ ì „í†µë¯¼í™” ë° ì°½ìž‘ë¯¼í™”ë¥¼ 출품하는 part1ê³¼ ‘新수복ë„’를 주제로 ë¯¸ê³µê°œìž‘ì„ ì¶œí’ˆí•˜ëŠ” part2로 나누어 10ì›”ì— ì§„í–‰ë다. 수ìƒìž‘ 전시는 매해 전시가 ê°œìµœëœ ì„œìš¸ë©”íŠ¸ë¡œë¯¸ìˆ ê´€ì´ ì½”ë¡œë‚˜19로 íœ´ê´€í•¨ì— ë”°ë¼ ì˜¨ë¼ì¸ìœ¼ë¡œ 전환ë으며, 11ì›” 25ì¼ë¶€í„° 11ì›” 28ì¼ê¹Œì§€ 홈페ì´ì§€, ì¸ìŠ¤íƒ€ê·¸ëž¨, 유튜브를 통해 선보였다. 올해 공모전ì—는 작년보다 ì†Œí­ ê°ì†Œí•œ 450ì ì´ 출품ë으며, 343ì ì˜ 수ìƒìž‘ 중 대ìƒì€ ì›ìž‘ì„ ë…특한 색ê°ìœ¼ë¡œ 재해ì„한 김선미 ìž‘ê°€ì˜ <수렵ë„>로 ì„ ì •ë다.


신란ìž, <과거 현재, ë¯¸ëž˜ì˜ ì—¬ë§ì„ 공유하다>

ì¡°ìžìš©ê¸°ë…사업회 주최 ì œ8회 현대민화공모전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ê°€ 주최하고 가나문화재단과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ê³µë™ì£¼ê´€í•˜ëŠ” êµ­ë‚´ 유ì¼ì˜ 창작민화 ê³µëª¨ì „ì¸ í˜„ëŒ€ë¯¼í™”ê³µëª¨ì „ì´ 8회째를 ë§žì´í•œë‹¤. 11ì›”ì— ì ‘ìˆ˜ëœ ìž‘í’ˆì˜ ì‹¬ì‚¬ 결과는 12ì›” 9ì¼ì— 발표ë˜ë©°, 시ìƒì‹ê³¼ 수ìƒìž‘ 전시는 ë‚´ë…„ 1ì›” 대갈문화축제 ê¸°ê°„ì— ì§„í–‰ë  ì˜ˆì •ì´ë‹¤. 한편, 예년과 달리 장려ìƒì´ 제외ë˜ê¸° 시작한 ì œ7회 현대민화공모전ì—는 ì´ 94ì ì˜ 출품작 중 61ì ì´ 수ìƒìž‘으로 ì„ ì •ë으며, 작년보다 다소 줄어든 ì¶œí’ˆìˆ˜ì— ë¹„í•´ 수ìƒìž‘ì˜ ìˆ˜ëŠ” 늘었다. 대ìƒì€ ë¹…ë°ì´í„° ëª¨í˜•ì„ ì±…ê±°ë¦¬ì— ì ‘ëª©í•œ ì‹ ëž€ìž ìž‘ê°€ì˜ <과거 현재, ë¯¸ëž˜ì˜ ì—¬ë§ì„ 공유하다>로 ì„ ì •ë다


2020 주요 민화 공모전 요약 정보

(사)한국민화진í¥í˜‘회

제4회 전국민화공모대전

공모분야 재현작(전통), 창작
공모기간 2020ë…„ 4ì›” 17ì¼(금) ~ 4ì›” 20ì¼(ì›”)
전시기간 2020ë…„ 5ì›” 13ì¼(수) ~ 5ì›” 19ì¼(í™”)
전시장소 서울 ì¸ì‚¬ë™ 한국미술관
수 ìƒ ìž‘ ëŒ€ìƒ ë¬¸ìˆ˜í˜„ <만복ë„>

한국민화뮤지엄 주관

제6회 대한민국민화대전

공모분야 민화(전통, 창작) ë˜ëŠ” 민화를 활용한 공예품
공모기간 2020ë…„ 6ì›” 23ì¼(í™”) ~ 7ì›” 3ì¼(금)
전시기간 2020ë…„ 10ì›” 6ì¼(í™”) ~ 2021ë…„ 2ì›” 28ì¼(ì¼)
전시장소 한국민화뮤지엄 기íšì „시실
수 ìƒ ìž‘ ëŒ€ìƒ ê¹€ì„ í¬ <í¬ì›(希願)>

조선민화박물관 주관

제23회 김삿갓문화제 전국민화공모전

공모분야 민화(전통, 창작) ë° ë¯¼í™”ê³µì˜ˆí’ˆ
공모기간 2020ë…„ 8ì›” 1ì¼(토) ~ 8ì›” 17ì¼(ì›”)
전시기간 2020ë…„ 9ì›” 26ì¼(토) ~ 12ì›” 31ì¼(목)
전시장소 조선민화박물관 ì¼ì›”곤륜관
수 ìƒ ìž‘ ëŒ€ìƒ ê°•ìˆ˜ì§„ <사현파진백만대병ë„>

(사)한국전통민화협회 주최

제9회 전국공모전

공모분야 창작민화, 전통민화
공모기간 2020ë…„ 9ì›” 10ì¼(목) ~ 9ì›” 18ì¼(금)
전시기간 2020ë…„ 11ì›” 15ì¼(ì¼) ~ 11ì›” 19ì¼(목)
전시장소 청주예술ì˜ì „당 대전시실(2층)
수 ìƒ ìž‘ ëŒ€ìƒ ê¹€ë³´ì—° <ì±…ê°€ë„ 10í­ ë³‘í’>

(사)한국민화협회 주최

제13회 대한민국민화공모대전

공모분야 part1 ìžìœ  ì£¼ì œì˜ ì „í†µë¯¼í™”, 창작민화
        part2 2020 新수복ë„(가로 130㎠ì´ë‚´)
공모기간 2020ë…„ 10ì›” 5ì¼(ì›”) ~ 10ì›” 8ì¼(목)
전시기간 2020ë…„ 11ì›” 25ì¼(수) ~ 11ì›” 28ì¼(토)
온ë¼ì¸ì „시 홈페ì´ì§€, ì¸ìŠ¤íƒ€ê·¸ëž¨, 유튜브
수 ìƒ ìž‘ 대ìƒ(국회ì˜ìž¥ìƒ) 김선미 <수렵ë„>

ì¡°ìžìš©ê¸°ë…사업회 주최

제8회 현대민화공모전

공모분야 창작민화
공모기간 2020ë…„ 11ì›” 13ì¼(금) ~ 11ì›” 27ì¼(금)
전시기간 2021년 1월 초 제8회 대갈문화축제 기간 중
전시장소 서울 ì¸ì‚¬ë™ ì¸ì‚¬ì•„트센터
수 ìƒ ìž‘ 2020ë…„ 12ì›” 9ì¼(수) 심사결과 발표

PART 5. 2020 민화축제 ë° í•™ìˆ í–‰ì‚¬


코로나19로 êµ­ê°€ ê°„ ì´ë™ ì œí•œì€ ë¬¼ë¡ , ì‚¬íšŒì  ê±°ë¦¬ë‘기가 ì „êµ­ì ìœ¼ë¡œ
시행ë˜ë©´ì„œ ì°¸ì„ ì¸ì›ì´ ë§Žì€ ë¯¼í™”ê³„ 대규모 주요 행사는 유례없는 ì§ê²©íƒ„ì„ ë§žì•˜ë‹¤.
ìƒë°˜ê¸°ë¶€í„° 경주국제민화í¬ëŸ¼, 민화ì¸ì˜ ë‚ ,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 해외학술답사, 한국민화뮤지엄
í¬ëŸ¼ ê°™ì€ êµµì§í•œ 축제와 행사가 취소ë으며, 학술세미나는 비대면 í™”ìƒíšŒì˜ ë°©ì‹ìœ¼ë¡œ ì§„í–‰ë다.
2020ë…„ 한 í•´ ë™ì•ˆ 민화단체ì—서 추진한 민화축제 ë° í•™ìˆ í–‰ì‚¬ë¥¼ ë˜ì§šì–´ë³¸ë‹¤.(순서는 개최순)

ì¡°ìžìš©ê¸°ë…사업회 주최 ì œ7회 대갈문화축제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와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ì£¼ìµœí•˜ëŠ” ì œ7회 대갈문화축제가 2020ë…„ ê²½ìžë…„庚å­å¹´ 새해를 ì—´ë©° 성대하게 열렸다. 1ì›” 1ì¼ë¶€í„° 1ì›” 5ì¼ê¹Œì§€ 서울 ì¸ì‚¬ì•„트센터ì—서 ê°œìµœëœ ì´ë²ˆ ì¶•ì œì—서는 ì‹ì „ 전통공연과 학술세미나가 없어 아쉬웠지만, ë¯¼í™”ì˜ í˜„ì£¼ì†Œë¥¼ 살펴볼 수 있는 ì œ7회 현대민화공모전 수ìƒìž‘ì „, ì œ8회 가회민화아카ë°ë¯¸ 회ì›ì „, ì œ8회 대갈화사 회ì›ì „ 등 수준 높고 다양한 전시를 ì„ ë³´ì—¬ 관람ê°ë“¤ì˜ ëˆˆê¸¸ì„ ëŒì—ˆë‹¤. 개막ì‹ì—서는 현대민화공모전과 ì¡°ìžìš©ë¬¸í™”ìƒ ê³µë¡œìƒ ì‹œìƒì‹ì´ ì§„í–‰ë으며, ì¡°ìžìš© ì„ ìƒ 19주기 제례를 봉행하는 것으로 í–‰ì‚¬ì˜ ë§‰ì„ ë‚´ë ¸ë‹¤.


한국민화학회 ì œ13회 온ë¼ì¸ 학술대회

코로나19ê°€ 장기화ë˜ë©´ì„œ 민화계 유ì¼í•œ í•™íšŒì¸ í•œêµ­ë¯¼í™”í•™íšŒ(회장 유미나)ê°€ ì œ13회 학술대회를 í™”ìƒíšŒì˜ ë°©ì‹ì„ ì´ìš©í•´ 온ë¼ì¸ìœ¼ë¡œ 개최했다. 지난 9ì›” 5ì¼ â€˜ë‹¤ì±„ë¡œìš´ 회화기법과 민화’ë¼ëŠ”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ì—서는 한선학(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장), 서ë™ì§„(í˜í•„ê°€), ì´ìƒí˜„(한국전통문화대 êµìˆ˜), 전경미(예ì›ì˜ˆëŒ€ êµìˆ˜), 양수정(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 ì´ 5ëª…ì˜ ë°œí‘œë¥¼ 통해 전통ì ì¸ 미ì˜ì‹ê³¼ ë…특한 ì°½ìž‘ê¸°ë²•ì„ ì¡°ëª…í–ˆë‹¤. 올해 학술대회는 íŒí™”, í˜í•„í™”, ì§ì¡°í™”, ìžìˆ˜ 등 민화와 ì—°ê´€ì´ ê¹Šì€ íšŒí™”ì˜ ì œìž‘ ê¸°ë²•ì— ëŒ€í•œ ì‹¬ë„ ìžˆëŠ” 연구로 ë¯¼í™”ì˜ ë…창성과 ë°©ë²•ë¡ ì„ ëª¨ìƒ‰í•  수 있는 ìžë¦¬ì˜€ë‹¤.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 ì œ12회 온ë¼ì¸ 학술세미나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소장 권정순)ê°€ 지난 11ì›” 27ì¼ ì¤Œ(ZOOM)ì„ ì´ìš©í•´ ì œ12회 온ë¼ì¸ 학술세미나 <‘민화란 무엇ì¸ê°€?’ ê·¸ ì´í›„>를 개최했다. ì´ë²ˆ 세미나는 민화 학계와 화단ì—서 ‘민화란 무엇ì¸ê°€â€™ë¼ëŠ” í™”ë‘ ì•„ëž˜ ì—´ë¤ ë…¼ì˜ë¥¼ 진행한지 10ë…„ì´ ì§€ë‚œ 지금, 급ì†í•œ 변화를 겪는 민화계 í˜„ì‹¤ì„ ì§ì‹œí•˜ë©° 다시 한 번 ë¯¼í™”ì˜ ì •ì²´ì„±ì„ ì°¾ê³ ìž ë§ˆë ¨ëœ ì‹œê°„ì´ì—ˆë‹¤. ì´ë²ˆ 학술세미나ì—서는 정병모(경주대 êµìˆ˜), 윤진ì˜(한국학중앙연구ì›), ì¡°ì€ì •(고려대 êµìˆ˜), 유정서(월간민화대표) ì´ 4ëª…ì˜ ë°œí‘œë¥¼ 통해 ë¯¼í™”ì˜ ì—°êµ¬ 성과를 검토하고 í˜„ëŒ€ë¯¼í™”ì˜ í˜„ì£¼ì†Œë¥¼ 가늠해볼 수 있었다.


2020 민화축제 & 학술행사 요약 정보

제7회 대갈문화축제

주 최 ì¡°ìžìš©ê¸°ë…사업회, 가회민화박물관
장 소 서울 ì¸ì‚¬ì•„트센터
기 ê°„ 2020ë…„ 1ì›” 1ì¼ ~ 1ì›” 5ì¼

한국민화학회 제13회 정기학술대회

주 최 한국민화학회
주 최 한국민화학회
온ë¼ì¸ í™”ìƒíšŒì˜ í”Œëž«í¼ ì¤Œ(ZOOM)
주 제 다채로운 회화기법과 민화
기 ê°„ 2020ë…„ 9ì›” 5ì¼
발표ìž
한선학(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장), 서ë™ì§„(í˜í•„ê°€), ì´ìƒí˜„(한국전통문화대 êµìˆ˜),
전경미(예ì›ì˜ˆëŒ€ êµìˆ˜), 양수정(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

한국민화연구소 제12회 학술세미나

주 최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
온ë¼ì¸ í™”ìƒíšŒì˜ í”Œëž«í¼ ì¤Œ(ZOOM)
주 ì œ 민화란 무엇ì¸ê°€?’ ê·¸ ì´í›„
기 ê°„ 2020ë…„ 11ì›” 27ì¼
발표ìž
정병모(경주대 êµìˆ˜), 윤진ì˜(한국학중앙연구ì›), ì¡°ì€ì •(고려대 êµìˆ˜), 유정서(월간민화 대표)
토론ìž
김수진 (성균관대 초빙êµìˆ˜), ì´ìƒêµ­ (ì „ 한국민화센터 ì´ì‚¬ìž¥),
박본수 (경기ë„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송창수 (ë™ë•여대 겸임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