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과 ì„±í–¥ì„ ë‹´ì€ ê·¸ë¦¼ì˜ ê½ƒ, ì¸ë¬¼ 그리기

민화 ì¸ë¬¼ 그리기

그림 중ì—는 ì¸ë¬¼ì´ 그려지지 않는 ê·¸ë¦¼ë„ ìžˆë‹¤. 하지만 ë§‰ìƒ ì¸ë¬¼ì´ ê·¸ë ¤ì¡Œì„ ë•ŒëŠ” 아무리 작게 그려졌다고 í• ì§€ë¼ë„ ê·¸ ì˜í–¥ë ¥ì´ í¬ë‹¤. ê°™ì€ ì‚°ìˆ˜ë¥¼ ê·¸ë ¤ë„ ì¸ë¬¼ì´ 있는 경우와 없는 ê²½ìš°ì˜ ì„œì‚¬êµ¬ì¡°ëŠ” í° ì°¨ì´ê°€ 있다. ì¸ë¬¼í™”ê°€ 다른 í™”ëª©ì— ë¹„í•´ ì–´ë µê³ ë„ ì¤‘ìš”í•œ ì´ìœ ë‹¤. ì¸ë¬¼ì— 대한 관심과 íƒêµ¬ì‹¬, 꾸준한 연습으로 ì¸ë¬¼í™”ì˜ ì™„ì„±ë„를 ë†’ì¼ ìˆ˜ 있다.

ì´ëª©êµ¬ë¹„(耳目å£é¼») 그리기

ì¸ë¬¼ì˜ ì¸ìƒì„ 결정짓는 ì´ëª©êµ¬ë¹„. ì´ë¥¼ 어떻게 그리ëŠëƒì— ë”°ë¼ ê·¸ ì‚¬ëžŒì˜ ì„±ê²©ì´ ë³´ì¸ë‹¤. ì‚´ì§‘ì´ ë‘둑하고 ë¯¸ê°„ì´ ë„“ì€ ì‚¬ëžŒ, í„±ì´ ë¾°ì¡±í•˜ê³  눈매가 날카로운 ì‚¬ëžŒì˜ ì¸ìƒì€ 서로 다를 ìˆ˜ë°–ì— ì—†ë‹¤. 특히 ê·¸ë¦¼ì€ ì™¸í˜•ì„ ê·¸ë ¤ ê·¸ ì¸ë¬¼ì˜ ìºë¦­í„°ê¹Œì§€ ì§ìž‘í•  수 있어야 한다. í•„ìžì˜ 경우는 ì¸ë¬¼ì˜ ì„±ê²©ì„ ê·¸ë¦¼ì— ìž˜ 담아내기 위해 따로 ê´€ìƒí•™ì„ ì—°êµ¬í•˜ê¸°ë„ í–ˆë‹¤. 우리 ì„ ì¡°ë“¤ì€ ì–¼êµ´ì˜ êµ¬ì„±ìš”ì†Œì¸ ëˆˆ, ì½”, ìž…, ê·€, 눈ì¹, ì–¼êµ´í˜•ë“¤ì„ ì—°êµ¬Â·ë¶„ì„í•´ ê´€ìƒí•™ìœ¼ë¡œ 정리해놓았다. ìƒê¹€ë§Œìœ¼ë¡œ ì‚¬ëžŒì˜ ë¨ë¨ì´ë¥¼ ì†ë‹¨í•´ì„œëŠ” 안 ë˜ì§€ë§Œ, ì¸ìƒì´ ì„±ê²©ì„ ë‹´ê³  있다는 ì ì—서 참고할 만하다. í•­ìƒ ì›ƒê³  ë‚¯ë¹›ì´ ë°ì€ ì‚¬ëžŒì´ ìš°ìš¸í•˜ê³  찡그린 사람보다 ì„±ê²©ì´ ì¢‹ì„ í™•ë¥ ì´ ë†’ë‹¤ëŠ” ê²ƒì€ ë¯¸ì‹ ì´ ì•„ë‹Œ 오랜 ê²½í—˜ì— ì˜í•œ 것ì´ê¸° 때문ì´ë‹¤. 잘 그린 ì¸ë¬¼í™”는 단순히 ì„ ê³¼ ì±„ìƒ‰ì„ ìž˜ 마무리한 ê²ƒì´ ì•„ë‹ˆë¼, ì¸ë¬¼ì˜ 성격과 ë‚´ë©´ì„ ì§ìž‘하게 하는 그림ì´ë‹¤. ë”°ë¼ì„œ 기술ì ì¸ 완성ë„를 높ì´ê¸° 위한 꾸준한 ì—°ìŠµì— ì¸ë¬¼ì— 대한 íƒêµ¬ê°€ ë”해져야 ì¸ë¬¼í™”를 잘 그릴 수 있다. ì´ë²ˆ 지면ì—서는 ì¸ë¬¼í™”를 잘 그리기 위한 실기ì ì¸ ë°©ë²•ë¡ ì„ ë…¼í•˜ì§€ë§Œ, 작가 스스로 ì¸ë¬¼ì— 대한 관심과 ì• ì •ì„ ê°–ê³  관찰하는 ì¼ì„ 게ì„리 하지 않아야 ë”ìš± ì¢‹ì€ ê·¸ë¦¼ì„ ê·¸ë¦´ 수 ìžˆì„ ê²ƒì´ë‹¤.

ì´ëª©êµ¬ë¹„ 그리기

▲관ìƒí•™ 참고ìžë£Œ

마ìŒì˜ 창窓, 눈(ç›®)

눈 그리는 방법 : ì–¼êµ´ì— ê°€ë¡œì™€ ì„¸ë¡œì˜ ì¤‘ì•™ì„ ì„ ê·¸ë ¤ 기준으로 ì‚¼ì•˜ì„ ë•Œ, 어린아ì´ì˜ ëˆˆì€ ê°€ë¡œ 선보다 ì•„ëž˜ìª½ì— ê·¸ë¦¬ê³ , ì–´ë¥¸ì˜ ëˆˆì€ ê°€ë¡œ ì„ ê³¼ ì¼ì¹˜ì‹œí‚¨ë‹¤. ì–´ë¥¸ì˜ ì–¼êµ´ì´ ì•„ì´ë³´ë‹¤ 길기 때문ì´ë‹¤. ëˆˆì„ ì•„ëž˜ìª½ì— ê·¸ë¦¬ë©´ ì–´ë ¤ ë³´ì¸ë‹¤. ì´ë ‡ê²Œ ìƒí•˜ì¢Œìš°ì˜ 위치를 정하여 윗변ì—는 ê³¡ì„ ì„ ê¸‹ê³  아래를 향하는 ê³¡ì„ ì€ ëŠìŠ¨í•˜ê²Œ 긋는다. ëˆˆì€ ë³¼ë¡í•˜ê²Œ 튀어나온 ìž…ì²´ê°ì„ 살려서 그려야한다. ê³¡ì„ ì„ í†µí•´ ë³¼ë¡í•œ 안구를 표현하면서 ëˆˆêº¼í’€ì„ ê·¸ë¦¬ê³ , 눈ìžìœ„와 눈초리를 정확하게 ì„ ì„ ê·¸ë¦°ë‹¤. ë™ê³µì—ë„ ëŠë‚Œì„ 주고 세밀한 ë¶€ë¶„ì„ í™•ì‹¤í•˜ê²Œ 그린다. ëˆˆì˜ ìŒì˜ì„ 그려 안구가 둥근 ê²ƒì„ ê°•ì¡°í•œë‹¤. ëˆˆì„ ëœ¬ 모습과 ê°ì•˜ì„ 때 여러 가지 í‘œì •ì´ ìƒê¸´ë‹¤.
간략하게 그릴 ë•Œë„ ë°”ë¼ë³´ëŠ” 방향과 ì•ˆêµ¬ì˜ ìž…ì²´ê°ì„ ì‚´ë ¤ 세밀한 필선으로 표현한다.

눈 그리기

ë§Žì€ ê²ƒì„ ë§í•˜ëŠ” ìž…(å£)

ìž… 그리는 방법 : ìž…ì€ ìŒì‹ì„ 먹고, ìƒê°ì„ 표현하는 언어를 ë§í•˜ëŠ” 기관ì´ë‹¤. 눈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ê°ì •ì„ í‘œí˜„í•˜ëŠ” 기관ì´ë‹¤. ìž…ì„ ê·¸ë¦´ 때는 ì–¼êµ´ì˜ ì¤‘ì•™ì„  ì•„ëž˜ìª½ì— ìœ„ì¹˜ë¥¼ 정하여 ê°€ë¡œì„ ì„ í•˜ë‚˜ ë” ê·¸ë¦°ë‹¤. ì´ ê¸°ë³¸ì„ ì„ ì¤‘ì‹¬ìœ¼ë¡œ ìƒí•˜ì¢Œìš°ì— 입술 ì„ ì„ ê³¡ì„ ìœ¼ë¡œ ì´ì–´ ìž…ì˜ ìœ¤ê³½ì„ ê·¸ë¦°ë‹¤. ìž… 언저리와 ì¸ì¤‘ì€ ì§ì„ ì ì´ê³ , ìž…ì´ ë²Œì–´ì§€ëŠ” ë¶€ë¶„ì€ ì•½ê°„ 곡선으로 그린다. ìŒì˜ì„ 주어 ìž…ì²´ê°ì„ 주고 ì•„ëž«ìž…ìˆ ì€ ê¸°ë³¸ì ìœ¼ë¡œ 위를 향한다. ì–¼êµ´ì´ ì¢Œì¸¡ìœ¼ë¡œ 향할 경우 5시 ë°©í–¥ì— ìž…ìˆ ì„ ê·¸ë ¤ì•¼ 하고, 우측으로 ë³¼ 경우ì—는 7시 ë°©í–¥ì— ê·¸ë ¤ì•¼ 한다.

입 그리기

ì–¼êµ´ì˜ ê¸°ì¤€, ì½”(é¼»)

코를 그리는 방법 : 코는 얼굴 ì¤‘ì‹¬ì— ìžˆê¸° ë•Œë¬¸ì— ì–¼êµ´ì˜ ê¸°ì¤€ì´ ëœë‹¤. ë˜ ì½”ëŠ” 대체로 어떠한 표정ì´ë¼ë„ ê±°ì˜ ë³€í™”ê°€ 없다. 다만 콧구ë©ì€ ë³¼ ê·¼ìœ¡ì— ë”°ë¼ ìƒí•˜ë¡œ 움ì§ì¸ë‹¤.

ê°œì„±ì„ ë‹´ì€ ê·€(耳)

귀를 그리는 방법 : ê·€ì˜ ìœ„ì¹˜ëŠ” ë¨¸ë¦¬ì˜ ë°©í–¥ì„ ê²°ì •í•˜ëŠ” 중요한 요소다. 눈과 ì½” 관계ì—서 높ì´ë¥¼ 파악한다. 귀는 ê°ë„ì— ë”°ë¼ ë‹¬ë¼ ë³´ì¸ë‹¤. ì¸ë¬¼ë§ˆë‹¤ ê·€ì˜ í˜•íƒœê°€ 다르므로, 간략히 ê·¸ë ¤ë„ ê°ìžì˜ 특징과 ê°œì„±ì„ ë‹´ìœ¼ë©´ ê·¸ë¦¼ì´ ë‹¤ì±„ë¡œì›Œì§„ë‹¤.

코, 귀 그리기

얼굴형과 색 표현하기

얼굴 비율 그리는 ë²•ì–¼êµ´í˜•ì— ë”°ë¼ ì¸ë¬¼ì˜ ì¸ìƒì´ 달ë¼ì§„다. ë°”ë¼ë³´ëŠ” ê°ë„ì— ë”°ë¼ ì–¼êµ´ì˜ í˜•íƒœê°€ 달ë¼ì§€ë¯€ë¡œ, í‰ì†Œì— 잘 관찰하ë„ë¡ í•œë‹¤. ì–¼êµ´ì˜ í‘œí˜„ì—는 세밀한 í•„ì„ ì´ ìžì£¼ 사용ë˜ê¸° ë•Œë¬¸ì— ì„  ì—°ìŠµì€ í•„ìˆ˜ë‹¤. í•„ìžê°€ í•™ìƒë“¤ì„ 가르칠 때는 ì„  ì—°ìŠµì´ ì¶©ë¶„ížˆ ëœ ê²½ìš°ì—ë§Œ ì¸ë¬¼í™”를 시ë„하ë„ë¡ ì§€ë„한다. 그러나 ì¸ë¬¼í™”ì— ì§€ë ˆ ê²ì„ 먹고 행여 ë§ì¹˜ì§€ 않ì„까 하는 ë‘려움으로 ì¸ë¬¼í™”ì— ëŒ€í•œ 막연한 ê±°ë¶€ê°ì„ 가져서는 안 ëœë‹¤. ì„ ì„ ì–´ëŠ ì •ë„ ìžìœ ìžìž¬ë¡œ 그리는 ìˆ˜ì¤€ì— ë„달하면 ì¸ë¬¼í™”ì— ë„ì „í•  ê²ƒì„ ê¶Œí•œë‹¤. ì¸ì²´ì˜ 비율과 ê·¼ìœ¡ì˜ êµ¬ì¡°ë¥¼ ìµížˆëŠ” ê²ƒë„ ìžì—°ìŠ¤ëŸ¬ìš´ ì¸ë¬¼ì˜ í‘œí˜„ì— ë„ì›€ì´ ë˜ë¯€ë¡œ í‹ˆí‹ˆì´ ìµí˜€ë‘는 ê²ƒì´ ì¢‹ë‹¤.

ì–¼êµ´ì˜ ë¹„ìœ¨
ëˆˆì„ ìˆ˜ì¹˜ë¡œ 2ë¼ê³  한다면 눈과 눈 사ì´ë„ 2ê°€ ë˜ì–´ì•¼ 하고, 코는 세로가 4ê°€ ë˜ì–´ì•¼ 한다. 코와 입술 사ì´ëŠ” 1ì´ ë˜ì–´ì•¼ 하고, ì´ë§ˆëŠ” 가로로 4, ìž…ìˆ ì€ ê°€ë¡œë¡œ 2ê°€ ë˜ì–´ì•¼ 하고 귀는 세로로 4ê°€ ë˜ì–´ì•¼ 한다.

얼굴색
ì—¬ìžì˜ ì–¼êµ´ì€ ë°±ìƒ‰(90%)+황색(7%)+주색(3%)ì„ ì„žì€ ë‹¤ìŒ ì•„êµë¥¼ 섞어 칠한다. 남ìžì˜ ì–¼êµ´ì€ ë°±ìƒ‰(90%)+주색(6%)+황색(3%)+먹(1%)ì„ ì„žì€ ë‹¤ìŒ ì•„êµë¥¼ 섞어 칠한다. ì–¼êµ´ìƒ‰ì„ ì¹ í•œ ë‹¤ìŒ ì£¼(봉채)ìƒ‰ì„ í리게 타서 ì´ë§ˆì—서 ê·€ 쪽으로 ë°”ë¦¼ì„ í•œë‹¤. ë³¼ì€ ì½” 밑쪽으로 위로 올ë¼ê°€ì§€ 않게 한 ë‹¤ìŒ ì£¼(봉채)를 ë³¼ ì•ˆìª½ì— ë°”ë¦¼ì„ í•œë‹¤.

ë‚¨ë…€ì˜ ë¹„êµ
m20141016a7ì¸ë¬¼í™”를 그릴 때 남녀를 표현하는 ì„ ì´ ë‹¤ë¥´ë‹¤. ì‹ ì²´ì ì¸ ì°¨ì´ë¥¼ ë°˜ì˜í•´ì•¼ 하기 때문ì´ë‹¤. ì—¬ìžëŠ” 머리카ë½ì´ 부드럽고, 입술, 턱, ë³¼ 등 ì „ì²´ì ìœ¼ë¡œ 부드럽게 하며 둥그스름하게 표현한다. 얼굴ì—서 광대뼈가 ê°•ì¡°ë˜ì§€ 않는다. ëª©ì˜ ê°‘ìƒëŒê¸°ë„ 뚜렷하지 않다. ì—¬ì„±ì˜ ì–¼êµ´ì€ ë‘¥ê¸€ê³  ë°ì€ ë¹›ì„ ë ê³  있고 í”¼í•˜ì§€ë°©ì´ ë‘í…다. ê³¨ê²©ì´ ëšœë ·í•˜ì§€ 않기 때문ì´ë‹¤.
남ìžëŠ” 머리가 빳빳하다. 광대뼈가 야무져있다. í„±ë„ ì•¼ë¬´ì ¸ìžˆë‹¤. ëª©ì— íž˜ì¤„ì´ íŠ€ì–´ë‚˜ì™€ 있고 ëª©ì˜ ê°‘ìƒëŒê¸°ê°€ 나와 있다. ë‚¨ì„±ì€ íž˜ì„ ëšœë ·í•˜ê²Œ 그리고 í”¼í•˜ì§€ë°©ì´ ì ê¸° ë•Œë¬¸ì— ê³¨ê²©ì´ ë‘드러지고 íž˜ì¤„ì´ íŠ€ì–´ë‚˜ì™€ 있다.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