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œì£¼í¬ ë¬¸í™”ìºìŠ¤í„°ê°€ 전하는 ì „ìŠ¹ê³µì˜ˆì˜ ê°€ì¹˜ ㉒
한국 현대공예êµìœ¡ì˜ 선구ìž, 금ì†ê³µì˜ˆìž‘ê°€ 유리지

한국 현대 금ì†ê³µì˜ˆ ë°œì „ì— í—Œì‹ í•œ 故유리지를 만나다

ìš°ë¦¬ë‚˜ë¼ í˜„ëŒ€ 금ì†ê³µì˜ˆ ë°œì „ì— í—Œì‹ í•œ 우리나ë¼ë¥¼ 대표하는 금ì†ê³µì˜ˆìž‘ê°€ 유리지(1945-2013)를 기리는 전시가 서울 공예박물관ì—서 열리고 있다. ê·¸ ê°€ìš´ë° ìœ ë¦¬ì§€ ìž‘ê°€ì˜ ì—¬ë™ìƒì¸ 유ìžì•¼(ç¾ ìœ ë¦¬ì§€ 공예관 관장) 씨와 ê·¸ì˜ ì œìžì˜€ë˜ ì„œìš¸ê³µì˜ˆë°•ë¬¼ê´€ì˜ ì´ì†Œí˜„ 학예연구사와 함께 유리지 ìž‘ê°€ì˜ ì‚¶ê³¼ 작품세계를 반추하는 ì‹œê°„ì„ ê°€ì¡Œë‹¤.

글 ì„œì£¼í¬ (문화ìºìŠ¤í„°) 사진 서울공예박물관 제공


ì´ë¦„ 명å, 기릴 예譽. 누군가를 기린다는 ê²ƒì€ ê·¸ë§Œí¼ ê·¸ ì‚¬ëžŒì´ ìš°ë¦¬ì—게 주는 ì˜ë¯¸ê°€ í¬ë‹¤ëŠ” 뜻ì´ë‹¤. â€˜ëˆ„êµ°ê°€ì˜ ì´ë¦„ì„ ê¸°ë¦°ë‹¤â€™ëŠ” ë§ì€ 사람과 사람 사ì´ì˜ 관계를 표현한다.
누가 ëˆ„êµ¬ì˜ ì´ë¦„ì„, 어떠한 ìƒí™©ì—서, 어떠한 ë°©ì‹ìœ¼ë¡œ 기리는가. ê°•ë¬¼ì´ í르면 ê°•ê¸°ìŠ­ì˜ í˜•ìƒì´ 변화하는 것처럼 ì‚¬ëžŒì˜ ì´ë¦„ì„ ê¸°ë¦¬ëŠ” ‘명예’ë¼ëŠ” 가치 ë˜í•œ 시대 ì¸ì‹ì˜ ë³€í™”ì— ë”°ë¼ ëŠìž„ì—†ì´ ê·¸ ì˜ë¯¸ê°€ 달ë¼ì§„다. 다시 ë§í•´, 명예는 ê³ ì •ëœ ê°€ì¹˜ê°€ 아닌 것ì´ë‹¤. ìš°ë¦¬ë‚˜ë¼ í˜„ëŒ€ 금ì†ê³µì˜ˆ ë°œì „ì— í—Œì‹ í•œ 우리나ë¼ë¥¼ 대표하는 금ì†ê³µì˜ˆìž‘ê°€ 유리지(1945-2013)를 기리는 전시가 서울 공예박물관ì—서 열리고 있다.
유리지 작가는 한국 현대공예를 대표하는 1세대 작가로서 1970년대 미국 유학 ì´í›„ ìš°ë¦¬ë‚˜ë¼ í˜„ëŒ€ 금ì†ê³µì˜ˆì˜ 성립과 발전 ê³¼ì •ì— í¬ê²Œ 기여한 공예가ì´ìž êµìœ¡ìž, 미술관 ì¸ìœ¼ë¡œ 한국 ì¶”ìƒë¯¸ìˆ ì˜ 선구ìžì¸ 유ì˜êµ­(1916-2002) í™”ë°±ì˜ ìž¥ë…€ì´ê¸°ë„ 하다.
2013ë…„ 급성 백혈병으로 세ìƒì„ 떠난 그를 기리기 위해 ê·¸ì˜ ìœ ì¡±ì€ ìˆ™ê³  ëì— ì´ 126ê±´ 327ì (37ì–µ 28ë°±ë§Œì› ìƒë‹¹)ì— ì´ë¥´ëŠ” ìž‘í’ˆì„ ì„œìš¸ê³µì˜ˆë°•ë¬¼ê´€ì— ê¸°ì¦í•¨ê³¼ ë™ì‹œì— ê¸°ì¦ íŠ¹ë³„ì „ì„ ê°œìµœí•˜ê²Œ ë˜ì—ˆë‹¤. ì´ë²ˆ ê¸°ì¦ íŠ¹ë³„ì „ì€ ìœ ë¦¬ì§€ ìž‘ê°€ì˜ ìœ„ìƒê³¼ 그가 남긴 여러 작품과 ìžë£Œì˜ ê°€ì¹˜ì— ì£¼ëª©í•´ì˜¨ 유족과 여러 관계ìžì˜ ë…¸ë ¥ì´ ìžˆì—ˆë‹¤.
ê·¸ ê°€ìš´ë° ìœ ë¦¬ì§€ ìž‘ê°€ì˜ ì—¬ë™ìƒì¸ 유ìžì•¼(ç¾ ìœ ë¦¬ì§€ 공예관 관장) 씨와 ê·¸ì˜ ì œìžì˜€ë˜ ì„œìš¸ê³µì˜ˆë°•ë¬¼ê´€ì˜ ì´ì†Œí˜„ 학예연구사와 함께 유리지 ìž‘ê°€ì˜ ì‚¶ê³¼ 작품세계를 반추하는 ì‹œê°„ì„ ê°€ì¡Œë‹¤.


유ìžì•¼(ç¾ ìœ ë¦¬ì§€ 공예관 관장, ì—¬ë™ìƒ), 서울공예박물관 ì´ì†Œí˜„ 학예연구사 ⓒ서주í¬


사랑하는 언니를 기리며 ë™ìƒ ìžì•¼ê°€

“작업ì—ë§Œ 몰ë‘í–ˆë˜ ì–¸ë‹ˆê°€ 안타까워서 그런 ì–¸ë‹ˆì˜ ë…¸ë ¥ì´ ì˜êµ¬ì ìœ¼ë¡œ ë³´ì¡´ë˜ê³ , ì˜ˆìˆ ë¡œì„œì˜ ê³µì˜ˆê°€ 아닌 ìƒí™œë¡œì„œì˜ 공예로 어떻게 ì‘ìš©ë˜ì—ˆëŠ”ì§€â€¦ 사례 ì°¨ì›ì—서 알려지고 연구ë˜ì—ˆìœ¼ë©´ 좋겠다고 ìƒê°í•´ì„œ 기ì¦í•˜ê²Œ ë˜ì—ˆì–´ìš”.â€

사랑하는 언니ì—게 ë™ìƒ ìžì•¼ê°€ 언니를 기리며, 1977ë…„, 프랑스 파리ì—서

유리지(1945-2013)는 금ì†ê³µì˜ˆê°€ì´ìž êµìœ¡ìžë¡œ 활ë™í•˜ë©° ìš°ë¦¬ë‚˜ë¼ í˜„ëŒ€ 금ì†ê³µì˜ˆì˜ ì €ë³€ì„ ë„“ížŒ ì¸ë¬¼ì´ë‹¤. ìš°ë¦¬ë‚˜ë¼ 1세대 ì¶”ìƒí™”ê°€ 유ì˜êµ­ í™”ë°±ì˜ ìž¥ë…€ë¡œ ê´‘ë³µë˜ë˜ í•´ì— ê²½ë¶ ìš¸ì§„ì—서 태어났다. ë¶€ì¹œì˜ ì˜í–¥ìœ¼ë¡œ ë¯¸ìˆ ì— ê´€ì‹¬ì„ ê°€ì§„ 그는 1964ë…„ ì„œìš¸ëŒ€í•™êµ ì‘ìš©ë¯¸ìˆ ê³¼ì— ì§„í•™í•´ ë™ ëŒ€í•™ì›ì„ 졸업한 ë’¤, 미국 í…œí”ŒëŒ€í•™êµ íƒ€ì¼ëŸ¬ 미술대학(Tyler School of Art, Temple University) 대학ì›ì—서 금ì†ê³µì˜ˆë¥¼ ë°°ìš°ê³  ëŒì•„와 선구ì ì¸ 금ì†ê³µì˜ˆ ìž‘í’ˆë“¤ì„ ì„ ë³´ì˜€ë‹¤. ë˜í•œ 서울대학êµì—서 30ì—¬ ë…„ ë™ì•ˆ í›„í•™ì„ ì–‘ì„±í–ˆê³  ë§ë…„ì—는 êµ­ë‚´ 최초로 현대 금ì†ê³µì˜ˆë¥¼ 소개하는 치우금ì†ê³µì˜ˆê´€(ç¾ ìœ ë¦¬ì§€ê³µì˜ˆê´€)ì„ ì„¤ë¦½í•˜ì—¬ 공예문화 í™•ì‚°ì— ì´ë°”지했다. ìš°ë¦¬ë‚˜ë¼ ëŒ€í•™ 공예êµìœ¡ì—서 유리지ë¼ëŠ” ì¸ë¬¼ì´ 갖는 ì˜ë¯¸ë¥¼ ê²°ì½” 작지 않다.
1960ë…„ì„ ì „í›„í•˜ì—¬ ì„œì–‘ì˜ ê³µì˜ˆêµìœ¡ì„ ì§ê°„ì ‘ì ìœ¼ë¡œ 경험한 ë„ìžê³µì˜ˆ êµìœ¡ìžë“¤ì„ 주축으로 ìš°ë¦¬ë‚˜ë¼ ëŒ€í•™ì˜ í˜„ëŒ€ 공예êµìœ¡ì´ 시작ë˜ì—ˆë‹¤. 그가 ëŒ€í•™ì— ìž…í•™í•  무렵 서울대학êµì˜ 공예êµìœ¡ì€ 겨우 제작 ê°œë…ì„ ë„입했으나, ì‹¤ìƒ ì œìž‘ 실습êµìœ¡ì€ 활발히 ì´ë£¨ì–´ì§€ì§€ 못하는 ìƒí™©ì´ì—ˆë‹¤. 유리지는 ì‘용미술과 ì•ˆì— ê³µì˜ˆì™€ ë””ìžì¸ ê°œë…ì´ í˜¼ìž¬ëœ ìƒí™©ì—서 금ì†ê³µì˜ˆë¥¼ 배웠으며, êµê³¼ê³¼ì •ì„ í†µí•´ 경험한 공예 ê¸°ìˆ ì€ ê·¹ížˆ 제한ì ì´ì—ˆê³  주로 ì™¸ë¶€ì— ì œìž‘ì„ ì˜ë¢°í•˜ëŠ” ‘발주공예’ ë°©ì‹ìœ¼ë¡œ ìž‘í’ˆì„ ì™„ì„±í–ˆë‹¤.
당시 미국 ëŒ€í•™ì˜ ê³µì˜ˆêµìœ¡ì€ 1940년대 제대군ì¸ì›í˜¸ë²•ì˜ ì œì •ì— íž˜ìž…ì–´ 빠르게 ìžë¦¬ 잡았고, ëŒ€í•™ì— ì •ì°©í•œ ê³µì˜ˆê°€ë“¤ì€ ìˆœìˆ˜ë¯¸ìˆ ì„ í–¥í•œ 작가ì˜ì‹ì„ ë°œë™ì‹œì¼°ë‹¤ê³  전해진다. 그가 유학한 í…œí”ŒëŒ€í•™êµ íƒ€ì¼ëŸ¬ë¯¸ìˆ ëŒ€í•™ì˜ 금ì†ê³µì˜ˆêµìœ¡ì€ 스탠리 ë ˆì¹œì´ ì´ëŒì—ˆëŠ”ë°, 그는 기술 중심êµìœ¡ì„ 추구하는 엄격한 êµìœ¡ìžì˜€ë‹¤. ë¯¸êµ­ì˜ ëŒ€í•™ì›ì— 입학해서야 비로소 재료와 ê¸°ìˆ ì„ ëŒ€ë©´í•œ 유리지는 체계ì ì¸ êµìœ¡ì„ 받으며 ì œìž‘ê¸°ë²•ì„ ìµížˆê³  ì‚¬ë¬¼ì— ëŒ€í•œ 시야를 넓혔다. 그는 미국ì—서 성취한 ë…¸ë ¥ì˜ ê²°ì‹¤ì„ ë°”íƒ•ìœ¼ë¡œ 서울대학êµì—서 공예êµìœ¡ì„ 담당해 신재료를 바탕으로 신기술 ì¤‘ì‹¬ì˜ ìˆ˜ì—…ì„ ì§„í–‰í•˜ëŠ” 한편 ë¯¸êµ­ì˜ í˜„ëŒ€ê³µì˜ˆë¥¼ 우리나ë¼ì— 소개했다. ìœ ë¦¬ì§€ì˜ ê·€êµ­ 전후로 미국과 유럽ì—서 기술êµìœ¡ì„ ë°›ì€ ìœ í•™ì„¸ëŒ€ê°€ ëŒ€í•™ì˜ êµíŽ¸ì„ ìž¡ëŠ” ì¼ì´ ì¦ê°€í•¨ì— ë”°ë¼ ìš°ë¦¬ë‚˜ë¼ ê¸ˆì†ê³µì˜ˆ 실기êµìœ¡ì´ ë”ìš± 본격ì ìœ¼ë¡œ ì§„í–‰ë  ìˆ˜ 있었다. ê·¸ë“¤ì˜ í™œì•½ì€ ë‹¹ì‹œ ìš°ë¦¬ë‚˜ë¼ ê³µì˜ˆë¶„ì•¼ì—서 화제를 불러ì¼ìœ¼ì¼°ê³  실기 ìˆ˜ì—…ì´ ë¯¸ë¹„í–ˆë˜ ëŒ€í•™ êµìœ¡ì„ ì„ ë„하는 ì—­í• ì„ ë‹´ë‹¹í–ˆë‹¤.
유리지 작가만í¼ì´ë‚˜ ê·¸ì˜ ë™ìƒ 유ìžì•¼(ç¾ ìœ ë¦¬ì§€ 공예관 관장) 역시 성신여대 ì˜ë¬¸ê³¼ë¥¼ 졸업하고 미국 파슨스 패션디ìžì¸ìŠ¤ì¿¨ì„ ê±°ì³ í”„ëž‘ìŠ¤ 파리 국립장ì‹ë¯¸ìˆ í•™êµì¸ 아르ë°ì½”(ENSAD)를 ìˆ˜ì„ ì¡¸ì—…í•œ 재ì›ìœ¼ë¡œ í•œêµ­ì— ëŒì•„와 êµì§ìƒí™œì„ ê±°ì³ ì–¸ë‹ˆ(유리지)ì˜ ê¶Œìœ ë¡œ ì€ê¸°ì œìž‘(3ë…„), ë³´ì„공예작업(å‰ê³ ì€ë³´ì„대표, 24ë…„)ì— í•¨ê»˜ 하면서 금ì†ê³µì˜ˆì˜ ì €ë³€ì„ ë„“í˜€ë‚˜ê°”ë‹¤.
â€œë¶€ëª¨ë‹˜ì˜ í—Œì‹ ê³¼ ì‚¬ëž‘ì´ ì—†ì—ˆë‹¤ë©´ 언니와 ì €, 둘 다 유학ìƒí™œì€ ê¿ˆë„ ëª» ê¿¨ì„ ê±°ì˜ˆìš”. ì•„ë²„ì§€ë„ ìž‘í’ˆì´ íŒ”ë¦¬ê¸° 시작한 때가 80년대부터였거든요. 그전까지는 울진ì—서 ë‘ ë¶„ì´ ì–‘ì¡°ìž¥ì„ ê²½ì˜í•˜ë©° ì‚´ë¦¼ì„ ê¾¸ë ¤ë‚˜ê°€ì…¨ì£ .â€


1 유리지 작가가 아버지 유ì˜êµ­ í™”ë°±ì„ ìœ„í•´ 제작한 지팡ì´, 1977, ì€(92.5), 화류목, ë°ë¥¼ë¦°, 85×11×3.5ãŽ, 유ì˜êµ­ë¯¸ìˆ ë¬¸í™”재단 소장
2 향로와 ìž”, 1978–79, ì€(97), 향로-26×18×16ãŽ, ìž”-6×13.5×10ãŽ
3 십장ìƒê³¼ì˜ 여행-수·수(水·壽), 2007, ì€(92.5), 여산 ì„회ì„, 29.5×47.8×23.8ãŽ
4 황금잔, 1995, 금(22K)
5 유수(æµæ°´), 2010, ì€(92.5), 금부, 호ë‘나무, 옻칠, 접시-6×50.5×27, 6×54.2×28, 화병-18×17×15ãŽ
6 골호 (유리지 작가가 ì›ìˆ­ì´ ë ì¸ 어머니(김기순 여사, 올해 ë‚˜ì´ 103세)를 위해 제작), 2002, ì€(92.5), 여산 ì„회ì„, 23×23×32ãŽ
7 유리지와 유ìžì•¼ì˜ 합작품, 튤립 다기세트, 1988, ì€(99), ì¹ ë³´


작품으로 효ë„í–ˆë˜ ì–¸ë‹ˆ

ìš°ë¦¬ë‚˜ë¼ ì¶”ìƒë¯¸ìˆ ì˜ 선구ìžì¸ 유ì˜êµ­ í™”ë°±ì€ ë°©íƒ„ì†Œë…„ë‹¨ì˜ ë¦¬ë” â€˜RMâ€™ì´ íŠ¹ížˆ 좋아하는 작가ì´ìž æ•…ì´ê±´í¬ íšŒìž¥ì˜ ì»¬ë ‰ì…˜ì— ê·¸ì˜ ìž‘í’ˆì´ ë§Žì´ í¬í•¨ë¼ìžˆë‹¤ê³  알려졌다. 1916ë…„ ì¼ì œê°•ì ê¸°ì— 태어나 ì¼ë³¸ìœ¼ë¡œ 건너가 ì¶”ìƒë¯¸ìˆ ì„ 공부했고 í•´ë°© ì´í›„ì—는 ìžì‹ ì˜ ê³ í–¥ ê²½ë¶ ìš¸ì§„ì˜ ì•„ë¦„ë‹¤ìš´ ì‚°ê³¼ ìžì—°ì„ í™”í­ì— ë‹´ì•„ í•œêµ­ì˜ ì¶”ìƒí™”를 ì•Œë¦¬ê¸°ë„ í–ˆë‹¤. 무엇보다 í•´ë°© ì´í›„ì˜ ì‚¶ì´ ë…¹ë¡ì§€ 않았기 ë•Œë¬¸ì— ê°€ì •ì„ ì±…ìž„ì ¸ì•¼ 하는 ìƒí™©ì—서 그는 그림 대신 ê³ ê¸°ìž¡ì´ ì–´ì„ ì„ ëª°ê¸°ë„ í–ˆìœ¼ë©° 소주를 제조하는 ì–‘ì¡°ìž¥ì„ ê²½ì˜í•˜ê¸°ë„ 했다.
“아버지가 다시 ë¶“ì„ ìž¡ìœ¼ì‹œê²Œ ëœ ë•Œê°€ 48ì‚´ 무렵ì´ì—ìš”. ê°œì¸ì „ë„ í•˜ì…¨ê³ , 굉장히 ì ˆì œëœ ì‚¶ì„ ì‚¬ì…¨ì–´ìš”. 아버지 어머니 ë‘ ë¶„ 다요.â€
ìž‘ì—…ì— ëª°ë‘하는 언니를 대신해 ë¶€ëª¨ë‹˜ì„ ëŒë³´ëŠ” ì¼ì€ 늘 둘째 딸(유ìžì•¼)ì˜ ëª«ì´ì—ˆë‹¤.
“편찮으신 아버지, 어머니를 가까ì´ì—서 살피는 ì¼ì€ 늘 ì œ 몫ì´ì—ˆì–´ìš”. ê·¸ëŸ°ë° ì–´ëŠ ë‚ , 작업ì—ë§Œ 몰ë‘í–ˆë˜ ì–¸ë‹ˆê°€ 병ìƒì— 오래 누워계신 아버지를 위해 미국 유학시절 기숙사ì—서 ë°°ìš´ 요리ë¼ë©´ì„œ 살코기와 야채를 넣고 푹 ë“ì¸ ë¯¸êµ­ì‹ ë‹­ì£½ì„ ë§Œë“¤ì–´ 준 ì ì´ 있는ë°, ê·¸ ë§›ì´ ìƒê°ë‚˜ìš”.
언니는 ë¶€ëª¨ë‹˜ì„ ìœ„í•´ 작품으로 효ë„를 ë” ë§Žì´ í–ˆì–´ìš”.â€
그는 2000년대 초반 아버지 유ì˜êµ­ í™”ë°±ì˜ ì£½ìŒì„ 준비하며 장례ì˜ì‹ì„ 위한 다양한 ìž‘í’ˆì„ ë‚¨ê²¼ë‹¤. 아름다운 ì‚¶ì„ ìœ„í•´ 죽ìŒì˜ 아름다운 ì˜ë¯¸ë¥¼ 깨달아야 하고 거꾸로 죽ìŒì˜ ì˜ë¯¸ë¥¼ ë“¤ì—¬ë‹¤ë´¤ì„ ë•Œ ì¸ê°„ì˜ ì‚¶ì´ ë”ìš±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견해를 ê°–ê³  금ì†, ì„재, 목재 등 다양한 재료를 바탕으로 그는 유골함과 향로, 촛대, 사리함, ìƒì—¬ ë“±ì„ ì œìž‘í–ˆë‹¤.
“언니가 ì§ì ‘ ë””ìžì¸í•´ 소목장ì—게 ì˜ë¢°í•´ 제작한 ìƒì—¬ì˜ˆìš”. 실제 아버지 ëŒì•„ê°€ì…¨ì„ ë•Œ 사용했고요. 언니를 떠나보낼 ë•Œë„ ì´ ìƒì—¬ì— 실려 보냈죠.â€


유리지 작가가 ë¶€ëª¨ë‹˜ì„ ìœ„í•´ 제작한 ìƒì—¬. ë„ˆë„ ë°¤ë‚˜ë¬´, í™ì†¡, ì€í–‰ë‚˜ë¬´, ë°±ë™, 황ë™, 견, 단청, ì•„í¬ë¦´ 물ê°, 113(h)×240×6ãŽ, 아버지(유ì˜êµ­)와 유리지 작가, ëª¨ë‘ ì´ ìƒì—¬ë¡œ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차가운 금ì†ì— ì‚¶ì˜ í’ìš”ë¡œì›€ì„ ë”하다

í™”ê°€ì¸ ë¶€ì¹œì´ ê·¸ì—게 ë¯¸ìˆ ì„ ê¶Œìœ í•˜ë©´ì„œ 남긴 ë§ì€ â€œë¯¸ìˆ ì„ í•˜ë©´ì„œ ì‚¶ì„ í’요롭게 가꿔가ë¼â€ëŠ” ë§ì´ì—ˆë‹¤. 공예가로 살아오면서 그는 ê³µì˜ˆê°€ì˜ ì‚¬íšŒì  ì—­í• ì— ëŒ€í•œ 문제ì˜ì‹ì„ 놓치지 않으며 ì‚¶ì„ í•´ì„하는 ìž‘ì—…ì„ ê¾¸ì¤€ížˆ 해왔다. ê·¸ ê²°ê³¼ 장신구를 비롯해 기ë…패, 트로피 등 ìž‘ì€ ì¡°í˜•ë¬¼ë¶€í„° 환경조형물, 공공조형물까지 다양한 ìž‘í’ˆì„ ë‚¨ê²¼ë‹¤.
“유리지 ì„ ìƒë‹˜ì€ 매사 완벽한 ë¶„ì´ì…¨ì§€ë§Œ ì´ë©´ì—는 ë”°ëœ»í•¨ì„ ê°„ì§í•œ ë¶„ì´ì…¨ì–´ìš”. 학창시절 ì§„ë¡œì— ëŒ€í•´ ê³ ë¯¼í•˜ë˜ ë•Œê°€ ìžˆì—ˆëŠ”ë° ì„ ìƒë‹˜ ë•ë¶„ì— ë§ˆìŒì„ 다 ìž¡ì„ ìˆ˜ 있었고 지금 ì´ ìžë¦¬ì—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â€
서울공예박물관 전시기íšê³¼ì˜ ì´ì†Œí˜„ 학예연구사는 ì´ë²ˆ 기ì¦íŠ¹ë³„ì „ì„ ì¤€ë¹„í•˜ë©° “지난날 ìŠ¤ìŠ¹ë‹˜ê³¼ì˜ ì¶”ì–µì„ ë˜ìƒˆê¸¸ 수 있는 ëœ»ê¹Šì€ ì‹œê°„ì´ì—ˆë‹¤â€ê³  ë§í–ˆë‹¤.
í‰ìƒ í•˜ë‚˜ì˜ ìš°ë¬¼ì„ íŒŒê³  있는 ì‚¬ëžŒë§Œí¼ ì•„ë¦„ë‹¤ìš´ í’ê²½ì€ ì—†ë‹¤. ê·¸ í’ê²½ 안ì—는 ì‹œê°„ì˜ íë¦„ì„ ê²¬ëŽŒì˜¨ ìž‘ê°€ì˜ ê°•ì¸í•œ ìƒëª…ë ¥ì´ ë‹´ê²¨ ìžˆê¸°ì— ë¹„ë¡ ìš°ë¦¬ ê³ì— 그가 ì—†ì–´ë„ ê·¸ê°€ 남긴 아름다운 ìž‘í’ˆì´ ìžˆì–´ 잠시나마 ê·¸ì˜ ì†ê¸¸ì„ ëŠë‚„ 수 있ìŒì— ê°ì‚¬í•˜ë‹¤. 새로운 ë¬¸í™”ì˜ ì°½ì¡°ëŠ” 공예를 기반으로 해서 다양한 문화로 ê±°ë“­ 재현ë˜ëŠ” ê²ƒì´ ê°€ìž¥ í”하게 나타나는 ë¬¸í™”ì˜ ìƒˆë¡œìš´ 변형ì´ë‹¤. 그런 ì˜ë¯¸ì—서 작가는 존중ë˜ì–´ì•¼ 하고 공예는 ì§€ì† ë°œì „ë˜ì–´ì•¼ 한다. 지금 우리ì—게 무엇보다 중요한 ê²ƒì€ ìš°ë¦¬ ë¬¸í™”ì˜ ê¸°ì›, 즉 ì›í˜•ì„ ë§Œë“¤ê³  ì´ì–´ê°€ê³  있는 여러 ê³µì˜ˆê°€ë“¤ì— ëŒ€í•œ 존중과 ê·¸ë“¤ì— ëŒ€í•œ 새로운 시ê°ì´ë¼ëŠ” ê²ƒì„ í•œêµ­ 현대 금ì†ê³µì˜ˆì˜ ì„ êµ¬ìž ìœ ë¦¬ì§€ ìž‘ê°€ì˜ ì‚¶ì„ í†µí•´ 다시 한 번 깨닫게 ëœë‹¤.

ì„œì£¼í¬ | 문화ìºìŠ¤í„°/ë™ë•ì—¬ìžëŒ€í•™êµ 공연예술대학 겸임êµìˆ˜


ê³ ë ¤ëŒ€í•™êµ ëŒ€í•™ì› ë¬¸í™”ìœ ì‚°í•™ê³¼ ë°•ì‚¬ê³¼ì •ì„ ìˆ˜ë£Œí–ˆë‹¤.
2016년부터 국립무형유산ì›ì˜ 무형문화재 ëŒ€ë‹´í”„ë¡œê·¸ëž¨ì„ ê¸°íšÂ·ì§„행해왔으며
KBS World Radio(êµ­ì œ 방송)를 통해 í•´ì™¸ì— â€˜í•œêµ­ì˜ ì „í†µë¬¸í™”â€™ë¥¼ 알리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