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œë¯¼ìž ìž‘ê°€ì™€ 함께하는 초충ë„è‰èŸ²åœ– 그리기Ⅲ

ì–´ëŠë§ â€˜ê²¸ìž¬ì •ì„ ì˜ <화훼초충> 그리기’ 마지막 시간ì´ë‹¤. 아는 ë§Œí¼ ë³´ì´ëŠ” 법! 서 작가가 설명하는 ê²¸ìž¬ì •ì„ ì˜ ê·¸ë¦¼ ì´ì•¼ê¸°ë¥¼ 눈여겨 보다보면, 초충ë„ì˜ ìƒˆë¡œìš´ ë§¤ë ¥ì— í‘¹ 빠지게 ë  ê²ƒì´ë‹¤.


<ì¶”ì¼í•œë¬˜ç§‹æ—¥é–‘猫>ì—서는 ê°€ì„ë³•ì´ ë‚´ë¦¬ì¬ëŠ” 뜨ë½ì— ìžë¦¬ìž¡ì€ ê³ ì–‘ì´ê°€ 어디선가 날아온 방아깨비를 주시하는 ëª¨ìŠµì´ ë¬˜ì‚¬ë다. ê³ ì–‘ì´ì˜ 호기심 어린 표정, ë°©ì•„ê¹¨ë¹„ì˜ ì²œì—°ë•스런 ìžì„¸, 소담한 국화꽃 ë“±ì´ ì„¸ë°€ížˆ 표현ë다.
<í™ë£Œì¶”선紅蓼秋蟬>ì—는 여뀌 줄기 ìœ„ì— ê°€ì„ ë§¤ë¯¸ê°€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ëª¨ìŠµì´ ê·¸ë ¤ì¡Œë‹¤. ì—¬ë€Œì˜ ë¶‰ì€ ë¹›ê¹”ì„ ë¨¸ê¸ˆì€ ì¤„ê¸°ì™€ ë‚˜ë­‡ìžŽì´ ê·¸ë¦¼ì— ì€ì€í•œ 정취를 ë”하고 있으며, 찌르르하는 울ìŒì†Œë¦¬ê°€ 금방ì´ë¼ë„ 들려올 듯 사실ì ìœ¼ë¡œ 그려진 매미가 ì¸ìƒì ì´ë‹¤.

‘가장 나다운’ 책거리로 사랑받다

â‘  ìž‘ì€ íŠ¹ì§•ë„ ë†“ì¹˜ì§€ ë§ìž
ê²¸ìž¬ì •ì„ ì€ êµ­í™”ìžŽ 한 ìž¥ë„ ê·¸ëƒ¥ 그리지 않았다. ìžŽì´ ë‚¡ì•„ 너ëœë„ˆëœí•´ì§„ 모습까지 세밀하게 í‘œí˜„í–ˆì„ ì •ë„로 ì‚¬ë¬¼ì— ëŒ€í•œ íŠ¹ì§•ì„ ì˜ˆë¦¬í•˜ê²Œ í¬ì°©í•´ 그렸다. ë˜í•œ 그는 ë™ë¬¼ì€ 물론 ê³¤ì¶©ì˜ ìž‘ì€ ì†œí„¸ í•˜ë‚˜ë„ í—ˆíˆ¬ë£¨ 지나치지 않았다. ê³ ì–‘ì´ì˜ ì•‰ì€ ìžì„¸ì— ë”°ë¼ í„¸ ë°©í–¥ì´ ë‹¬ë¼ì§„ ë¶€ë¶„ê¹Œì§€ë„ ì„¸ë°€ížˆ 표현했으며 투명한 ë‚ ê°œ 사ì´ë¡œ 비치는 ë§¤ë¯¸ì˜ íˆ¬ëª…í•œ ëª¸í†µë„ ìž˜ 그려냈다.

â‘¡ ê·¸ë¦¼ì— ë³€í™”ë¥¼ 주어 ìƒë™ê°ì„ 부여하기
ê°™ì€ ì‚¬ë¬¼ì´ë¼ë„ ë˜‘ê°™ì´ ê·¸ë¦¬ê³  채색하는 ê²ƒì´ ì•„ë‹ˆë¼, 색ê°ì— 변화를 ì¤Œìœ¼ë¡œì¨ ê·¸ë¦¼ì„ ë‹¤ì±„ë¡­ê²Œ 표현하면 한층 ìƒë™ê° 있는 ê·¸ë¦¼ì„ ì™„ì„±í•  수 있다. ì¼ë¡€ë¡œ ì—¬ë€Œê½ƒì˜ ê²½ìš° 잎 가까ì´ì—는 진하게, 잎ì—서 먼 ë¶€ë¶„ì€ ì—¬ë¦°ìƒ‰ìœ¼ë¡œ ì¹ í•˜ëŠ”ë° ì´ë•Œ 여린 ìƒ‰ì€ ì ìƒ‰ì— í˜¸ë¶„ì„ ì„žì–´ 표현했다.

ì¶”ì¼í•œë¬˜ 그리기

â‘  세밀한 ë¬˜ì‚¬ì— ìœ ì˜í•˜ì—¬ ë³¸ì„ ê·¸ë¦° ë’¤ 국화꽃, ê³ ì–‘ì´ì˜ 코·입·배 부분,
방아깨비 ë°°, 벌 ë‚ ê°œì— í˜¸ë¶„ì„ ì¹ í•œë‹¤.

â‘¡ 국화꽃 ìžŽì€ 1차색으로 봉채 황색과 ë…¹ì²­ìƒ‰ì„ ì„žì–´ 몰골법으로 칠한다.
낡아서 너ëœë„ˆëœí•´ì§„ ìžŽì˜ íŠ¹ì§•ì„ ìž˜ ì‚´ë ¤ 그린다.

â‘¢ ë…¹ì²­ìƒ‰ì— ë¨¹ì„ ì„žì–´ ìžŽë§¥ì„ í‘œí˜„í•œë‹¤.

â‘£ êµ­í™”ê½ƒì€ 1차색 호분 ìœ„ì— ë´‰ì±„ ì ìƒ‰ìœ¼ë¡œ 바림한다. 뒤쪽 꽃 한 송ì´ëŠ”
조금 ë” ì§„í•˜ê²Œ 바림하여 ê·¸ë¦¼ì— ë³€í™”ë¥¼ 준다.

⑤ ê³ ì–‘ì´ì˜ 얼굴과 ëª¸í†µì€ ë¨¹ìœ¼ë¡œ 바림해 준다.

â‘¥ 세밀한 묘사를 위해 ê³ ì–‘ì´ì˜ í„¸ì„ í‘œí˜„í•œë‹¤.

⑦ ê³ ì–‘ì´ì˜ ëˆˆì„ í‘œí˜„í•  때 ë¹›ì— ë”°ë¼ ë³€í™”í•˜ëŠ” ê³ ì–‘ì´ì˜ 눈ë™ìžì˜ 특징ì„
ì‚´ë¦¬ëŠ”ë° ìœ ì˜í•œë‹¤.

â‘§ ê°•ì•„ì§€í’€ì„ í‘œí˜„í•˜ê¸° 위해 봉채 녹청색과 í™©ìƒ‰ì„ ì¡°ìƒ‰í•´ 몰골법으로 바탕
ì„ ê·¸ë ¤ì¤€ ë’¤ ë…¹ì²­ìƒ‰ì— ë´‰ì±„ ê°ìƒ‰ì„ 조색하여 ê°•ì•„ì§€í’€ì˜ ë¯¸ì„¸í•œ í„¸ì„ ì„¸ë°€
하게 표현한다.

⑨ ë°©ì•„ê¹¨ë¹„ì˜ ë‚ ê°œ 1ì°¨ìƒ‰ì€ ë…¹ì²­ìƒ‰ê³¼ í™©ìƒ‰ì„ ì¡°ìƒ‰í•´ 칠한다. ì´í›„ 호분ì´
ì¹ í•´ì§„ ë°° 부분 ìœ„ì— ì ìƒ‰ìœ¼ë¡œ 바림한 ë’¤, ì ìƒ‰ìœ¼ë¡œ ì™¸ê³½ì„ ì„ ì¹ í•œë‹¤.
ë°©ì•„ê¹¨ë¹„ì˜ 2ì°¨ìƒ‰ì€ ë…¹ì²­ìƒ‰ë§Œ 조색해 칠한다. ë‚ ê°œì˜ ë§¥ë„ ë…¹ì²­ìœ¼ë¡œ 칠한다.

â‘© ë°”íƒ•ì˜ í’€ë°­ì€ ì•™ë‘ì ê³¼ 호초ì ìœ¼ë¡œ 표현해 마무리한다.

í™ë£Œì¶”ì„  그리기

â‘  세밀한 ë¬˜ì‚¬ì— ìœ ì˜í•˜ì—¬ ë³¸ì„ ê·¸ë¦° ë’¤ 매미는 호분칠하고 ì—¬ë€ŒìžŽì€ ëª°ê³¨ë²•
으로 표현한다. ì´ë•Œ ì—¬ë€ŒìžŽì€ ë´‰ì±„ë¡œ 녹청색과 í™©ìƒ‰ì„ ì„žì–´ 1ì°¨ìƒ‰ì„ ì¹ í•˜ê³ 
2차색으로 잎 절반만 ì ìƒ‰ì„ 바림한다. ê²¸ìž¬ì •ì„ ì˜ ìž‘í’ˆ ì›ë³¸ì„ 관찰해보면
ìžì¤ë¹›ì´ 머물고 있는 ìžŽì„ ëª°ê³¨ë²•ìœ¼ë¡œ 표현했ìŒì„ 알 수 있지만 ì´ë²ˆ 수업
ì—서는 ì´ë¥¼ 쉽고, 현대ì ìœ¼ë¡œ 표현하기 위해 ìžì£¼ìƒ‰ì„ 바림했다. 바랭ì´í’€ì€
ì‚°ìˆ˜í•„ì— í™©ì„ ë¨¼ì € ì ì‹ ë’¤ ë부분엔 녹청색과 ì ìƒ‰ì„ 머금게 한 후 몰골법으로
ë‚œì„ ì¹˜ë“¯ 삼전법으로 표현한다.

â‘¡ 여뀌잎 3차색으로 녹청색과 ê°ìƒ‰ì„ 섞어 밑부분만 바림한다. ìžŽë§¥ì€ ì ìƒ‰ê³¼
약한 ë¨¹ìƒ‰ì„ ì„žì–´ 그리는ë°, ì´ë•Œ ì„ ì€ í•„ë ¥ì´ ëŠê»´ì§€ë„ë¡ ì‹œìž‘ì€ ê°•í•˜ê²Œ ëì€
íž˜ì„ í’€ì–´ 그린다.

â‘¢ ë§¤ë¯¸ì˜ 2ì°¨ìƒ‰ì€ ë´‰ì±„ ê°ìƒ‰ê³¼ 대ìžë¥¼ 혼합하여 바림하ë˜, ì•žë¶€ë¶„ì˜ ë‚ ê°œì™€
겹치는 ë¶€ë¶„ì„ íˆ¬ëª…í•˜ê²Œ 표현한다.

â‘£ ì—¬ë€Œê½ƒì€ ì—°í•œ ì ìƒ‰ìœ¼ë¡œ ì „ì²´ ìœ¤ê³½ì„ ë§Œë“¤ë©° 잎 가까ì´ëŠ” 진하게, 잎ì—서
먼 ë¶€ë¶„ì€ ì—¬ë¦°ìƒ‰ìœ¼ë¡œ ì¹ í•˜ëŠ”ë° ì´ ë•Œ 여린 ìƒ‰ì€ ì ìƒ‰ì— í˜¸ë¶„ì„ ì„žì–´ 칠하여
완성한다.



정리 문지혜 ê¸°ìž ì‚¬ì§„ ë°•í•œí¬ ê¸°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