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ì½ëŠ” 명품 민화 히스토리 â‘¡ ì‚¬ì°°ì— ê·¸ë ¤ì§„ 민화 호랑ì´

ë„1 통ë„사 명부전 좌측 <호작ë„>, 1890ë…„ Ⓒ통ë„사성보박물관

보통 민화 까치호랑ì´ëŠ” 19ì„¸ê¸°ì— ë“±ìž¥í•œë‹¤ê³  알려져 있다. 그러나 1798ë…„ 18세기 ë§ í˜•ì‹í™”ëœ ê¹Œì¹˜í˜¸ëž‘ì´ ë„ìƒì´ ìž¥ê²½ê° ì‚¬ì°°ë²½í™”ì— ë“±ìž¥í–ˆê³  18세기경 ì œìž‘ëœ ì¡°ì„  ë„ìžê¸° ë¬¸ì–‘ì— í‘œí˜„ë˜ì–´ 주목ëœë‹¤. êµ­ê°€ 주ë„ì˜ ê´€ìš”ì—서 ìƒì‚°ëœ ë„ìžê¸°ëŠ” 주로 왕실ì—서 사용ëê¸°ì— 18세기 관요 ë„ìžê¸°ì— 그려진 ê¹Œì¹˜í˜¸ëž‘ì´ ë¬¸ì–‘ì€ ì™•ì‹¤ ê°™ì€ ìµœìƒë¥˜ì¸µì—서 애호ë˜ì—ˆë˜ 길ìƒì  ë„ìƒìž„ì„ ì•Œ 수 있다. 서민ë¿ë§Œ ì•„ë‹ˆë¼ ì™•ì‹¤ì—ì„œë„ ì• í˜¸í•œ ê¹Œì¹˜í˜¸ëž‘ì´ ë¬¸ì–‘ì„ ì‚´íŽ´ë³¸ë‹¤.

글 ê°•ì˜ì£¼ (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


까치호랑ì´, 서수ì—서 길ìƒë²½ì‚¬ë¡œ

í°ìƒ‰ í˜¸ëž‘ì´ â€˜ë°±í˜¸â€™ëŠ” 불법수호신ì´ë©´ì„œ 신령함과 ì˜í—˜í•¨ì„ ê°–ì¶° ì„±êµ°ì˜ ì¶œí˜„ì„ ì˜ˆì‹œí•˜ê³  사악함으로부터 ì™•ì‹¤ì„ ë¹„í˜¸í•˜ëŠ” 서수瑞ç¸ì´ë‹¤. 까치를 비롯해 장수와 ë³µë½ì„ ìƒì§•하는 ê°ì¢… 길ìƒì˜ ë™ì‹ë¬¼ì„ 대ë™í•˜ê³  화려하게 í‘œí˜„ëœ ë¯¼í™”í˜• 백호는 ì¸ê°„ì˜ ì„¸ì†ì  ìš•ë§ì„ 구현해줄 기복 대ìƒì´ê¸°ë„ 하다. 대표ì ì¸ 사찰벽화가 1890ë…„ ì–‘ì‚° 통ë„사 명부전 ë‚´ë²½ì— ê·¸ë ¤ì§„ <까치호랑ì´>(ë„1)와 1886ë…„ ì•ˆë™ ë´‰ì •ì‚¬ ì˜ì‚°ì•” ì‘ì§„ì „ 좌측 ì™¸ë²½ì— ê·¸ë ¤ì§„ <까치호 ì•„ ì¹˜ì„±ì„ ë“œë¦°ë‹¤. ì´ì²˜ëŸ¼ ì´ìŠ¹ê³¼ ì €ìŠ¹ì˜ ëª¨ë“  중ìƒì„ 보호하고 ë³µì„ ê°€ì ¸ë‹¤ì£¼ëŠ” 호랑ì´ëŠ” 다양한 ê¸¸ìƒ ìƒì§•물과 함께 등장한다. 백호는 부리부리한 í° ëˆˆì„ ì¹˜ì¼œëœ¨ê³  날카로운 ì´ë¥¼ 드러내고 ëª¸ì§‘ì— ë¹„í•´ ë‘툼하고 í° ë°œë¡œ ë•…ì„ ë”›ê³  있다. í° í„¸ì— ëì´ ë‚ ì¹´ë¡­ê³  뾰족한 ê²€ì€ ì¤„ë¬´ëŠ¬ë¥¼ 묘사해 사나운 기세를 ë¶€ê°ì‹œì¼°ë‹¤. í˜¸ëž‘ì´ ë’¤íŽ¸ì—는 소나무 ë‘ ê·¸ë£¨ê°€ 꽈배기처럼 꼬여 있는 ì—°ë¦¬ëª©é€£ç†æœ¨ì„ 배치했다. 전통회화ì—서 소나무 ë‘ ê·¸ë£¨ 즉 ìŒì†¡ì€ ë‘ ë°°ë¡œ 청정하며 지극한 ë•å¾·ì„ ëœ»í•˜ê³  장수를 ì˜ë¯¸í•œë‹¤. ì´ì™€ 달리 ì—°ë¦¬ëª©ì€ ê°ìž 다른 뿌리를 가진 ë‘ ë‚˜ë¬´ê°€ ìžë¼ë©´ì„œ 마치 한 ë‚˜ë¬´ì˜ í˜•ìƒì²˜ëŸ¼ 서로 하나가 ë˜ëŠ” ìƒíƒœì  íŠ¹ì„±ìƒ â€˜ì˜ì›í•œ 사랑’, ‘화목한 부부’ ë˜ëŠ” â€˜ë‚¨ë…€ì˜ ì‚¬ì´â€™ë¥¼ 뜻한다. ë˜‘ê°™ì´ ìƒê¸´ ë‘ ë§ˆë¦¬ì˜ ê¹Œì¹˜ëŠ” ë‘ ë°°ì˜ ê¸°ì¨, 불변하는 ì†ì„±ì„ 가진 바위는 장수, í드러지게 피어있는 난초는 ìžì†ë²ˆì°½ì„ ì˜ë¯¸í•œë‹¤. 대개 난초는 지조와 절개를 지닌 ì¶©ì‹ ê³¼ ì—´ë…€ ë“±ì„ ìƒì§•하지만 뿌리로 빠르게 번ì‹í•˜ëŠ” ìƒíƒœì™€ 길고 뾰족한 ì´íŒŒë¦¬ëŠ” 새ë¼ë¥¼ ë§Žì´ ë‚³ëŠ” ì¥ê¼¬ë¦¬[é¼ å°¾] ëª¨ì–‘ì„ ë‹®ì•„ì„œ 다ìžë‹¤ì† 즉 ìžì†ë²ˆì°½ì˜ ìƒì§•ì´ ë˜ì—ˆë‹¤. ê·¸ 외 까치호랑ì´ì™€ ê°™ì€ ë²½ë©´ì— ê·¸ë ¤ì§„ 매화 ëž‘ì´>(ë„3) 등ì´ë‹¤. ì´ë“¤ì€ ëª¨ë‘ 1871ë…„ 부산 범어사 대웅전 ìš°ì¸¡ë²½ì— ê·¸ë ¤ì§„ 백호(ë„2)처럼 소나무 아래서 울부짖고 있다.

ë„2 부산 범어사 대웅전 우측벽 <백호ë„>, <매학ë„>, <송ë¡ë„>, 1871ë…„ Ⓒ범어사성보박물관

통ë„사 ëª…ë¶€ì „ì— ê·¸ë ¤ì§„ <호작ë„>는 백호와 ì†Œë‚˜ë¬´ì— ì•‰ì€ ê¹Œì¹˜ë¡œ 구성ë˜ì–´ 있다. ëª…ë¶€ì „ì€ ì£½ì€ ìžë¥¼ 심íŒí•˜ëŠ” 시왕과 지옥ì—ì„œì˜ êµ¬ì œë¥¼ 담당하는 비로ìžë‚˜ë¶ˆì„ 모시는 ê³³ì´ë‹¤. 백호는 ì´ë“¤ì„ 엄호하는 신령스런 신으로 묘사ë˜ì—ˆë‹¤. ëŒ€ì¤‘ë“¤ì€ ì‹¬íŒë‚ ë§ˆë‹¤ 재齋를 올리면 ì£½ì€ ì‚¬ëžŒì´ ì¢‹ì€ ê³³ì— ê°ˆ 수 있다는 믿ìŒìœ¼ë¡œ ì´ê³³ ëª…ë¶€ì „ì„ ì°¾ì™€ í•™, 사슴과 ì˜ì§€, í† ë¼ ë“±ì€ ì‹ ì„±í•¨ì´ë‚˜ 품격 ë“±ì˜ ë©´ëª¨ë³´ë‹¤ëŠ” 장수복ë½, 다ìžë‹¤ì†, 부부화목 등 ì¸ê°„ì˜ ì„¸ì†ì  ìš•ë§ì„ ê³ ìƒí•˜ê²Œ 표현한 것으로 ë³¼ 수 있다(ë„2, ë„3).

ë„3 ì•ˆë™ ë´‰ì •ì‚¬ ì˜ì‚°ì•” ì‘ì§„ì „ 좌측벽 <호작ë„>, <송학ë„>, <송ë¡ë„>, 1886ë…„
â’¸í•„ìž ì´¬ì˜

ì•ˆë™ ë´‰ì •ì‚¬ ì˜ì‚°ì•” ì‘ì§„ì „ ì™¸ë²½ì— ë¬˜ì‚¬ëœ ê¹Œì¹˜í˜¸ëž‘ì´ë„ 살펴보ìž(ë„3). ‘ì‘진應眞’ì´ëž€ 존경받고 ê³µê²½ë°›ì„ ë§Œí•˜ë‹¤ëŠ” 뜻으로 나한전ì´ë¼ê³ ë„ 불리며, ì´ê³³ì— ì„가삼존불과 16나한ìƒì„ 봉안하고 있다. 16ë‚˜í•œì€ ìˆ˜í–‰ì„ í†µí•´ 모든 í—ˆë¬¼ì´ ì‚¬ë¼ì§€ê³  번뇌가 ì—†ì´ ìžìœ ë¡œìš´ 마ìŒì„ 가진 분으로, ë¯¸ë¥µë³´ì‚´ì´ ë‹¤ì‹œ ì´ ì„¸ìƒì— 오기 전까지 ì´ê³³ì— 머물면서 ë¶ˆë²•ì„ í˜¸ì†Œí•˜ê³  불ìžë¥¼ 구제하ë¼ëŠ” ë¶€ì²˜ë‹˜ì˜ ëª…ì„ ë°›ë“¤ì–´ ì•„ì§ ì´ ë•…ì— í˜„ì¡´í•œë‹¤ê³  한다. ì˜ì‚°ì•” ì‘ì§„ì „ì€ í†µë„사 명부전처럼 건물 내부와 외부 구ì„구ì„ì— ê¸¸ìƒë²½ì‚¬ì˜ ìƒì§•ë¬¼ë“¤ì´ ê°€ë“ ê·¸ë ¤ì ¸ 있어 마치 민화 ì „ì‹œìž¥ì„ ë°©ë¶ˆì¼€ 한다. ì‘ì§„ì „ 외벽ì—는 백호와 소나무, 3ë§ˆë¦¬ì˜ ê¹Œì¹˜ë¡œ êµ¬ì„±ëœ ê¹Œì¹˜í˜¸ëž‘ì´ê°€ 묘사ë˜ì–´ 있다. ì´ ì™¸ì— í•™, 사슴, 토ë¼, 매 등 다양한 길ìƒë²½ì‚¬ì˜ ìƒì§•ë¬¼ì´ ë²½ë©´ì„ ê°€ë“ ì±„ìš°ê³  있다. 그중 까치호랑ì´ë¥¼ 가장 거대하고 기운차게 그렸다(ë„3). ì§€ê¸ˆì€ ë²½í™”ê°€ 탈ë½ë˜ì–´ í¬ë¯¸í•˜ê²Œ ë³´ì´ì§€ë§Œ ë°±í˜¸ì˜ ìœ„ìš©ì„ ì§ìž‘하기ì—는 충분하다. 소나무를 등지고 í¬íš¨í•˜ëŠ” 호랑ì´ì™€ ê·¸ ì†Œë¦¬ì— ê¹œì§ ë†€ë¼ ë‚ ì•„ì˜¤ë¥´ëŠ” 까치를 ìƒë™ê° 있게 묘사했다. 다만 소나무는 ê±°ì¹ ê³  ì—‰ì„±í•˜ë©´ì„œë„ ì›ê·¼ê° ì—†ì´ ê·¸ë ¤ í‰ë©´ì ìœ¼ë¡œ ë³´ì¸ë‹¤. ê°ˆìƒ‰ì˜ ë‚˜ë¬´ë“¤ì€ ê°€ì§€ë‚˜ ì´íŒŒë¦¬, 거친 ê»ì§ˆì´ë‚˜ 움푹한 ì˜¹ì´ í‘œí˜„ ì—†ì´ ëª¸í†µë§Œ 엉성하게 채색ë˜ì–´ 미완성으로 ë³´ì¸ë‹¤. 그리다 ë§Œ 듯한 ë‚˜ë¬´ì˜ í˜•íƒœì™€ ì±„ìƒ‰ì€ ë²”ì–´ì‚¬ì™€ 봉정사 벽화가 비슷하다. ê·¸ ë•Œë¬¸ì— ì´ë“¤ ë²½í™”ì˜ ë„ìƒì´ë‚˜ ì–‘ì‹ì€ 학술ì ìœ¼ë¡œë„ ì˜ë¯¸ê°€ 있다. 먼저 부산 범어사, ì•ˆë™ ë´‰ì •ì‚¬, ì–‘ì‚° 통ë„ì‚¬ì˜ ê¹Œì¹˜í˜¸ëž‘ì´ ë²½í™”ëŠ” ê°™ì€ ì£¼ì œì™€ ì–‘ì‹ì„ 갖추고 있다. ê²½ìƒë„ì— ìœ„ì¹˜í•œ ì ˆì˜ ë²½í™”ë¼ëŠ” ì ì—서 지역ì ìœ¼ë¡œë„ 유사하다. 특히 제작 ì‹œê¸°ë„ 1871ë…„(범어사 대웅전), 1886ë…„(봉정사 ì‘ì§„ì „), 1890ë…„(통ë„사 명부전)으로 비슷하여 ê°™ì€ ì‹œê¸°ì— í™œë™í–ˆë˜ ë™ì¼ í™”ê°€êµ°ì˜ ìž‘í’ˆìœ¼ë¡œ 추정ëœë‹¤. ì´ëŠ” 19세기 ë§ ê²½ìƒë„ ì§€ì—­ì„ ì¤‘ì‹¬ìœ¼ë¡œ 활ë™í•œ í™”ìŠ¹ë“¤ì´ ë¯¼ê°„ì—서 유행한 까치호랑ì´ì˜ 제작ìžì¼ ê°€ëŠ¥ì„±ì´ ìžˆìŒì„ 시사하는 것ì´ë‹¤.

ë„4 <까치호랑ì´>, 종ì´ì— 담채, 134.6×80.6㎠Ⓒ국립중앙박물관(ë™ì›2613)

새해 ê¸°ìœ ì†Œì‹ì„ 전하는 까치호랑ì´

근대기 사찰 벽화로 그려진 까치호랑ì´ëŠ” ë¶ˆë²•ì„ ìˆ˜í˜¸í•˜ëŠ” ì—­í• ì„ í–ˆë‹¤. ì‚¬ì°°ì„ ì°¾ì•„ ë¶€ì²˜ë‹˜ì˜ ê°€í˜¸ì™€ ë³µë½ì„ 기ì›í•˜ëŠ” ì‹ ìžë“¤ì˜ 예배대ìƒì´ê¸°ë„ 했다. 반면 관아나 민간ì—서는 ëŒ€ë¬¸ì— ë¶™ì—¬ 집안으로 들어오는 잡귀나 질병 등 ìž¬ì•™ì„ ë§‰ì•„ë‚´ê¸° 위해 벽사용 그림으로 세화나 문배로 사용했다. ë•Œë¬¸ì— ê¹Œì¹˜í˜¸ëž‘ì´ ë„ìƒì´ ê°™ì€ ìƒì§•ì„±ê²©ì„ ì§€ë‹Œ ì¤‘êµ­ì˜ ë¯¼ê°„ì—°í™”ì—서 유래했다는 ì„¤ì´ ìžˆë‹¤.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ê¸ˆ ë” ìžì„¸ížˆ 살펴보ìž. 소나무는 ì¸ê²©í™”ëœ ì‹ë¬¼ë¡œ ë™ì–‘ì˜ ì´ìƒì ì¸ ì¸ê°„ìƒì¸ ‘군ìžâ€™ë¥¼ ìƒì§•하는 것 외ì—ë„ ìˆ˜ë ¹ì´ ê¸¸ì–´ ‘장수’를 ì˜ë¯¸í•˜ê³  새해 첫 ë‹¬ì¸ â€˜ì •ì›”æ­£æœˆâ€™ì„ ëœ»í•œë‹¤. 호랑ì´ì™€ 혼용해서 ì“°ì¸ í‘œë²”ì˜ â€˜í‘œè±¹â€™ìžê°€ 중국어로 ‘소ì‹ì„ 알린다’는 ‘보報’ìžì™€ ‘바오’로 ë°œìŒì´ 같아 ‘소나무와 호랑ì´[æ¾è™Ž]’는 â€˜ì •ì›”ì˜ ì†Œì‹â€™ì„ ëœ»í•˜ê¸°ë„ í•œë‹¤. ë˜í•œ 까치는 한ìžë¡œ ‘작鵲’ì¸ë° 보통 까치가 울면 ê¸°ìœ ì†Œì‹ì´ 온다고 해서 ‘기ì¨[å–œ]â€™ì„ ëœ»í•œë‹¤. ë‘ ë§ˆë¦¬ì˜ ê¹Œì¹˜ëŠ” ë‘ ë°°ì˜ ê¸°ì¨ì„ 기ì›í•œë‹¤í•˜ì—¬ ë‘ ë§ˆë¦¬ë¡œ ê³ ì°©ëœë‹¤. ë”°ë¼ì„œ ì´ë“¤ 한ìžë¥¼ 조합하면 â€˜ì‹ ë…„ë³´í¬æ–°å¹´å ±å–œâ€™, 즉 ‘새해를 ë§žì´í•˜ì—¬ ê¸°ìœ ì†Œì‹ì„ 알린다’ë¼ëŠ” ëœ»ì´ ëœë‹¤. ê·¸ ë•Œë¬¸ì— ì†Œë‚˜ë¬´ë¥¼ 배경으로 한 <까치호랑ì´> ê·¸ë¦¼ì´ ì¤‘êµ­ì˜ <ë³´í¬ë„>ì—서 유래했다고 ë³´ê¸°ë„ í•œë‹¤. 국립중앙박물관 ì†Œìž¥ì˜ <까치호랑ì´>는 ì„¸í™”ì˜ ì „í˜•ì ì¸ 예로 ë³´ì¸ë‹¤(ë„4). ì´ ìž‘í’ˆì€ ì œë²• í¬ë‹¤. 135ãŽëŠ” ì´ˆë“±í•™êµ ì €í•™ë…„ í•™ìƒì˜ 키 사ì´ì¦ˆì´ë‹¤. ìž‘í’ˆì„ ì§ì ‘ ë³´ë©´ 커다란 호랑ì´ê°€ 달려드는 것 같아 순간 멈칫하게 ë˜ì§€ë§Œ ë„ìƒì´ 형ì‹í™”, 단순화ë˜ì–´ ìƒë™ê°ê³¼ 활기는 없다. í™”ë©´ì„ ê½‰ 채운 êµ¬ì„±ì— í˜¸ëž‘ì´ê°€ ë’·ë°œì„ ë“¤ì–´ 소나무를 피하는 í¬ì¦ˆê°€ 마치 화면 ë°–ì˜ ì ì„ 막는 듯하다. 까치 ë‘ ë§ˆë¦¬ë„ ë„ì‹í™”ë˜ì—ˆë‹¤. ì´ ê°™ì€ ì„¸í™”ìš© 민화 까치호랑ì´ì—서는 백호보다 주로 황호가 그려진다. ì‚¬ì°°ë²½í™”ì— í‘œí˜„ëœ ë°±í˜¸ì™€ 황호는 다른 ì˜ë¯¸ë¥¼ 지녔ì„까? 결론부터 ë§í•˜ìžë©´ ‘명확히는 알 수 없다’ì´ë‹¤. 다만 현재 남아있는 ì‚¬ì°°ë²½í™”ì˜ ì¢…ë¥˜ì™€ 단편ì ì¸ 문헌기ë¡ì„ 통해 ì´ë¥¸ 시기 백호는 서수로 특수한 ê³µê°„ì„ ìž¥ì—„í•˜ê³  장ì‹ë˜ì–´ 종êµì™€ 정치ì ìœ¼ë¡œ ì´ìš©ëìŒì„ 알 수 ìžˆì„ ë¿ì´ë‹¤. 반면 민간ì—서 ì• ìš©ëœ í™©í˜¸ëŠ” 백호보다 뒤늦게 유행한다. 근대기 사찰벽화 ê¹Œì¹˜í˜¸ëž‘ì´ ë„ìƒ ëŒ€ë¶€ë¶„ì—서 황호가 백호보다 늦게 유행한 ì‚¬ì‹¤ì´ ì´ë¥¼ ë°©ì¦í•œë‹¤(ë„5). ì´ëŠ” 백호가 ìƒìƒì˜ ë™ë¬¼ì¸ ë° ë°˜í•´ 황호는 ì¼ì œê°•ì ê¸°ì— 빈번한 í˜¸ëž‘ì´ ì‚¬ëƒ¥ ë“±ì´ ë¬¸ì œê°€ ëì„ ì •ë„로 실제 ì ‘í•  수 있는 현실 ìƒí™œ ì†ì˜ ë™ë¬¼ì´ê¸° ë•Œë¬¸ì¸ ê²ƒìœ¼ë¡œ ë³´ì¸ë‹¤. ë˜í•œ 당시 ìœ í–‰í•˜ë˜ í˜¸ëž‘ì´ ê´€ë ¨ 설화나 전설, 민담 ë“±ì´ ë‹´ê¸´ ë™í™”ì±…ì´ ëŒ€ê±° ìœ í–‰í•˜ë˜ í˜„ìƒì´ 황호 작업으로 ì´ì–´ì§„ 것으로 ë³´ì¸ë‹¤. ì´ ì‹œê¸° ëŒ€ê°œì˜ í™©í˜¸ëŠ” 까치를 등지고 í¬íš¨í•˜ë©° 신령스럽거나 위엄 있는 ì„œìˆ˜ì˜ í˜•ìƒë³´ë‹¤ëŠ” ê³ ì–‘ì´ ê°™ì€ ë™ë¬¼ì²˜ëŸ¼ 귀엽고 우스ê½ìŠ¤ëŸ¬ìš´ 모습으로 까치와 조우하거나 애완묘처럼 재롱부리는 모습으로 묘사ë다. 통ë„사 í•´ìž¥ë³´ê° ì™¸ë²½ì— ê·¸ë ¤ì§„ 황호는 ê³ ì–‘ì´ì²˜ëŸ¼ ì•žë°œì„ êµ¬ë¶€ë ¤ ë•…ì— ëŒ€ê³  ì›…í¬ë¦° ìžì„¸ë¡œ ìž…ì„ í¬ê²Œ 벌려 날카로운 ì´ë¹¨ì„ 드러내고 있지만 ë™ê·¸ëž€ 얼굴과 노란 눈ìžìœ„는 사나워보ì´ì§€ 않고, ëª¸ì— ê¸°ê³„ì ìœ¼ë¡œ 그려진 줄무늬는 ë„ì‹ì ìœ¼ë¡œ ë³´ì¸ë‹¤. 소나무 ìœ„ì— ì•‰ì€ ê¹Œì¹˜ë¥¼ ë³´ê³  으르ë ëŒ€ì§€ë§Œ í˜¸ëž‘ì´ ì•žë’¤ë¡œ ë°°ì¹˜ëœ ê¹Œì¹˜ëŠ” 마치 호랑ì´ë¥¼ 골탕 먹ì´ëŠ” 모습으로 묘사ë˜ì—ˆë‹¤(ë„5).

ë„5 ì–‘ì‚° 통ë„사 í•´ìž¥ë³´ê° <까치호랑ì´>, 1900ë…„ Ⓒ통ë„사성보박물관

ì´ë ‡ê²Œ 까치호랑ì´ê°€ í•´í•™ì ì´ê³  우스ê½ìŠ¤ëŸ¬ìš´ 모습으로 ë³€ëª¨ëœ ê²ƒì€ ë‹¹ëŒ€ ì‚¬ì°°ì´ ì™•ì‹¤ê³¼ ìƒì¸µ ì§€ë°°ê³„ì¸µì˜ ê¸°ë„처로 ì“°ì´ë˜ ë°ì„œ ì¼ë°˜ ë°±ì„±ì˜ êµ¬ë³µì²˜ì™€ ê°™ì´ ë¯¼ì¤‘ì ì´ê³  대중ì ì¸ 장소로 변했다는 ê²ƒì„ ë³´ì—¬ì¤€ë‹¤. ì‚¬ì°°ì€ ë¶€ì²˜ë‹˜ì˜ ê°€í˜¸ë¥¼ 기ì›í•˜ëŠ” ë™ì‹œì— ë³µë½ì„ 기ì›í•˜ëŠ” êµ¬ë³µì‹ ì•™ì˜ ìž¥ì´ì—ˆìœ¼ë¯€ë¡œ ì¼ë°˜ 불ìžë“¤ì˜ 정서와 ì·¨í–¥ì„ ë°˜ì˜í•˜ì§€ ì•Šì„ ìˆ˜ ì—†ì—ˆì„ ê²ƒì´ë‹¤.

ì¡°ì„  ë°±ìž í˜¸ìž‘ë¬¸, 가장 ì˜¤ëž˜ëœ ê¹Œì¹˜í˜¸ëž‘ì´

ì´ì œê¹Œì§€ 사찰ì´ë‚˜ 왕실 ì›ë‹¹ì˜ 벽화로 ì œìž‘ëœ ê¹Œì¹˜í˜¸ëž‘ì´ë¥¼ 살펴보았다. 그러면 까치호랑ì´ëŠ” 벽화로만 제작ë˜ì—ˆì„까? 결론부터 ë§í•˜ìžë©´ ‘아니다’. 보통 민화 까치호랑ì´ëŠ” 19ì„¸ê¸°ì— ë“±ìž¥í–ˆë‹¤ê³  알려져 있다. 그러나 1798ë…„ 18세기 ë§ í˜•ì‹í™”ëœ ê¹Œì¹˜í˜¸ëž‘ì´ ë„ìƒì´ ìž¥ê²½ê° ì‚¬ì°°ë²½í™”ì— ë“±ìž¥í–ˆê³  ì´ë³´ë‹¤ ë” ì•žì„  ì‹œê¸°ì¸ 18세기경 ì œìž‘ëœ ì¡°ì„  ë„ìžê¸° ë¬¸ì–‘ì— í‘œí˜„ë˜ì–´ 주목ëœë‹¤. 바로 êµ­ê°€ì—서 ìš´ì˜í•˜ëŠ” ë„ìžê¸° ê°€ë§ˆí„°ì¸ ê´€ìš”ì—서 제작한 ë°±ìžì˜ 문양으로 등장한 것ì´ë‹¤. 까치호랑ì´ê°€ 그려진 ë°±ìžëŠ” 사찰벽화보다 ì´ë¥¸ ì‹œê¸°ì¸ 18ì„¸ê¸°ì— ì œìž‘ë˜ì–´ 현존하는 ê¹Œì¹˜í˜¸ëž‘ì´ ì¤‘ 가장 ì˜¤ëž˜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êµ­ê°€ 주ë„ì˜ ê´€ìš”ì—서 ìƒì‚°ëœ ë„ìžê¸°ëŠ” 주로 왕실ì—서 사용ëê¸°ì— 18세기 관요 ë„ìžê¸°ì— 그려진 ê¹Œì¹˜í˜¸ëž‘ì´ ë¬¸ì–‘ì€ ì™•ì‹¤ ê°™ì€ ìµœìƒë¥˜ì¸µì—서 애호ë˜ì—ˆë˜ 길ìƒì  ë„ìƒìž„ì„ ì•Œ 수 있다. ì´ëŠ”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스ê½ìŠ¤ëŸ½ê³  í•´í•™ì ì¸ 민화 까치호랑ì´ê°€ ì´ë¦„없는 í™”ê°€ë“¤ì˜ ìž‘í’ˆì´ë©° 민간ì—서만 사용ë다’는 ìž˜ëª»ëœ ë¯¿ìŒì„ ìžê°í•˜ê²Œ 한다.

ë„6 <ë°±ìžë™í™”호작문호> 18세기, ë†’ì´ 28.7×í­13.6×바닥 13.5cm , ì¼ë³¸ æ°‘è—館
â’¸ì¼ë³¸ë¯¼ì˜ˆê´€ì†Œìž¥ 한국문화재Ⅱ(국외소재문화재단, 2017)

ë°±ìžë™í™”까치호랑ì´í•­ì•„리

ë„ìžê¸°ì˜ ì´ë¦„ì€ ì°¸ 복잡하지만 제목 순으로 ìƒì§•하는 바를 알면 한결 기억하기 쉬울 것ì´ë‹¤. 첫 번째ì—는 ì²­ìžÂ·ë°±ìžÂ·ë¶„청사기 ê°™ì€ ë„ìžê¸° 종류, ë‘ ë²ˆì§¸ì—는 ë„ìžê¸° 장ì‹ì— 사용한 안료와 장ì‹ê¸°ë²•, 세 번째ì—는 문양, 네 번째는 ë„ìžê¸°ì˜ 형태를 쓴다. ë•Œë¬¸ì— <ë°±ìžë™í™”까치호랑ì´í•­ì•„리>는 ‘백ìžì—다 ë™í™” 안료로 ê¹Œì¹˜í˜¸ëž‘ì´ ë¬¸ì–‘ì„ ê·¸ë ¤ ë„£ì€ í•­ì•„ë¦¬â€™ë¼ëŠ” 뜻ì´ë‹¤. í˜¸ëž‘ì´ ë¬¸ì–‘ë§Œ 나오는 ë„ìžê¸°ëŠ” 17세기부터 등장하지만 ê¹Œì¹˜í˜¸ëž‘ì´ ë¬¸ì–‘ì€ ì¼ë³¸ 민예관 소장 ìž‘í’ˆì´ ê°€ìž¥ 빠른 예ì´ë‹¤(ë„6). ì •ë©´ì— ë™í™”로 그려진 호랑ì´ëŠ” ì•žë°œì„ ëª¨ìœ¼ê³  앉아서 고개를 우측으로 ëŒë ¤ ì˜†ì„ ë°”ë¼ë³´ëŠ” 좌호ë„ìƒìœ¼ë¡œ 호랑ì´ì˜ 줄무늬가 안쪽으로 ì´ì–´ì§€ê³ , í‘œë²”ì˜ ë™ê·¸ëž€ ì ë¬´ëŠ¬ëŠ” 가슴과 ë°° ìª½ì— ë¬˜ì‚¬ë˜ì–´ 있다. ì´ì²˜ëŸ¼ 호랑ì´ì™€ 표범 ë¬¸ì–‘ì´ í˜¼í•©ëœ í‘œí˜¸ë¬¸ì€ ë‹¹ì‹œì˜ ë¬´ê´€ í‰ë°°ë‚˜ 효종ì˜ë¦‰ì‚°ë¦‰ë„ê°ì˜ê¶¤ì˜ í˜¸ëž‘ì´ ë¬¸ì–‘ê³¼ ì–‘ì‹ì ìœ¼ë¡œ 유사하여 비슷한 ì‹œê¸°ì— ì œìž‘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다만 ë°±ìž í›„ë©´ 구연부ì—서 â€˜ã„±â€™ìž ëª¨ì–‘ìœ¼ë¡œ 꺾여 사선으로 늘어진 소나무 가지 ìœ„ì— ì•‰ì•„ 있는 한 마리 ê¹Œì¹˜ì˜ ëª¨ìŠµì€ í˜¸ìž‘ë„ì˜ ì´ë¥¸ ë„ìƒìœ¼ë¡œ 여겨진다. 즉 초기 호작ë„는 í˜¸ëž‘ì´ 1마리와 소나무 1그루, ê·¸ ìœ„ì— ì•‰ì€ ê¹Œì¹˜ 1마리로 단순하게 구성ë˜ì—ˆìŒì„ 알 수 있다. ì´ëŠ” 사찰벽화 í˜¸ëž‘ì´ ê·¸ë¦¼ 중 현존하는 가장 ì´ë¥¸ ì‹œê¸°ì˜ ìž‘í’ˆìœ¼ë¡œ íŒë‹¨ë˜ëŠ” 선암사 ìž¥ê²½ê° ë‚´ë¶€ì— í‘œí˜„ëœ í˜¸ë„와 ê°™ì€ êµ¬ì„±ì´ë‹¤.

ë„7 <ë°±ìžì²­í™”호작문호>, 18세기 후반~19세기 ì´ˆ, ë†’ì´ 42.5Ã—í­ 34.5×입 15.5×바닥 16.0ãŽ,
Ⓒ국립경주박물관

다ìŒì˜ <ë°±ìžì²­í™”까치호랑ì´í•­ì•„리>는 ì²­í™” 안료로 ì‹œë¬¸ëœ ê¹Œì¹˜í˜¸ëž‘ì´ë‹¤(ë„7). ì›í˜•ì˜ í•­ì•„ë¦¬ë¥¼ 네 부분으로 구성해 사방ì—서 까치호랑ì´ì˜ ê·¸ë¦¼ì„ ê°ìƒí•  수 있다. 앞면ì—는 너른 바위 ìœ„ì— ì•‰ì•„ 있는 í˜¸ëž‘ì´ 1마리와 소나무 가지 ìœ„ì— ì•‰ì•„ 있는 까치 2마리가 서로 조우하는 모습으로 시문ë˜ì–´ 있다. 후면ì—서는 소나무 ê°€ì§€ì— ë¹„ìƒí•˜ë ¤ëŠ” 까치 ë‘ ë§ˆë¦¬ë¥¼ ë³¼ 수 있다. 하단ì—는 ì‚¬ìž í•œ 마리를 배치했다. 호랑ì´ì™€ 사ìžê°€ 길ìƒë²½ì‚¬ì˜ ìƒì§•물ì´ê¸°ì— ë„ìžê¸°ì˜ 문양으로 표현ë˜ëŠ” 경우가 많았다. í¬ê²ŒëŠ” ì•žë©´ì— ê¹Œì¹˜ì™€ 호랑ì´ë¥¼ ë’·ë©´ì—는 까치와 사ìžë¥¼ 묘사했지만 측면ì—는 í•­ì•„ë¦¬ì˜ ìƒí•˜ë¥¼ 가로지르는 긴 소나무를 배치했고 반대쪽 구연부 바로 ì•„ëž˜ì— ë‘¥ê·¼ ë‹¬ì´ ì‹œë¬¸ë˜ì–´ 있다. 달 아래는 넓게 여백 처리하여 시ì›í•˜ê³  담백한 ê³µê°„ì„ ë‘ì—ˆëŠ”ë° ê·¸ê³³ì— ê¹Œì¹˜ 한 마리가 유유히 나는 ëª¨ìŠµì„ ì‹œë¬¸í•˜ì—¬ ì„œì •ì„±ì„ ë”하였다. 18세기 ê¹€í™ë„ì‹ ì†Œë‚˜ë¬´ëŠ” 하단ì—서 ìƒë‹¨ê¹Œì§€ ‘1ìžâ€™í˜•으로 곧게 올ë¼ê°€ë‹¤ê°€ 구연부 바로 아래ì—서 양쪽으로 가지를 뻗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반구형åŠçƒå½¢ì˜ ë°±ìžì— 그려진 ê·¸ë¦¼ì€ ì‚¬ë°©ì—서 ê°ìƒì´ 가능하기 ë•Œë¬¸ì— í˜¸ëž‘ì´ì™€ 사ìžë¥¼ 전후 í˜¹ì€ ì¢Œìš°ë¡œ ë‚˜ëˆ„ë©´ì„œë„ ê·¸ 사ì´ì˜ 나무만 ë³´ë©´ ì‚°ìˆ˜í™”ì˜ ì¼ë¶€ë¥¼ 보는듯한 ì°©ê°ì´ 든다. ì´ ë°±ìžëŠ” 사방으로 ì´ 4ë©´ì˜ ì£¼ì œê°€ ê°ê° 다르면서 서로 한 í­ìœ¼ë¡œ 조화를 ì´ë£¨ëŠ” ë„ìƒìœ¼ë¡œ ë„ìžì˜ 기형, 유색, 문양과 ë„ìƒ, ì–‘ì‹ê³¼ 화법ì—서 ì¼ë°˜íšŒí™”ì¸ 19세기 민화 호ë„ì˜ ì•žì„  사례로 ë³´ì¸ë‹¤. ë•Œë¬¸ì— ì´ ìž‘í’ˆì€ ì¡°ì„  후기 <ë°±ìžì²­í™”호작문호>ì˜ ê¸°ì¤€ìž‘ìœ¼ë¡œ ë³´ì•„ë„ ë  ê²ƒì´ë‹¤.


ê°•ì˜ì£¼ | 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
ê³ ë ¤ëŒ€í•™êµ ê³ ê³ ë¯¸ìˆ ì‚¬í•™ê³¼ì—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사연구소, 불êµë¬¸í™”재연구소 등ì—서 근무했고,
고려대·세종대·안ë™ëŒ€Â·ëª©ì›ëŒ€ 등ì—서 ê°•ì˜í–ˆë‹¤.
현재 문화재청 문화재ê°ì •위ì›ìœ¼ë¡œ ìž¬ì§ ì¤‘ì´ë©°
한국미술사연구소 ìš´ì˜ìœ„ì›, 한국민화학회 학술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