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ë„å››ç¸åœ–ì˜ ë°±í˜¸ç™½è™Žì™€ 민화 호랑ì´

ë„ 3. 《선조목릉 천봉ë„ê°ì˜ê¶¤ã€‹(1630) 백호

현존하는 36ì¢…ì˜ ã€Šì‚°ë¦‰ë„ê°ì˜ê¶¤ã€‹ì˜ 사수ë„ì—는 ì‹œê°„ì— ë”°ë¥¸ ë„ìƒì˜ 변화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리고 ì´ ë³€í™”ì˜ íŒ¨í„´ì€ ì¡°ì„ í›„ê¸°ì˜ ë¯¼í™”ì—ì„œë„ ì°¾ì•„ë³¼ 수 있다. 백호와 민화 í˜¸ëž‘ì´ ê·¸ë¦¼ì´ ì´ë¥¼ 확ì¸í•˜ëŠ” í•˜ë‚˜ì˜ ë‹¨ì„œê°€ ë˜ì—ˆë‹¤. ì¡°ì„  중·후기 í˜¸ëž‘ì´ ê·¸ë¦¼ì˜ ë³€í™”ìƒì„ 알기 위해 사수ë„ì˜ ëª¨í‹°í”„ì— ìƒˆì‚¼ ê´€ì‹¬ì„ ë‘어야 하는 ì´ìœ ê°€ ì—¬ê¸°ì— ìžˆë‹¤.

ì¡°ì„ ì˜ ì™•ì‹¤ì—서는 ê³µì‹ì ì¸ 주요 행사를 치르고 나면, ê·¸ ê³¼ì •ì„ ìžì„¸ížˆ 기ë¡í•œ ‘ì˜ê¶¤å„€è»Œâ€™ë¥¼ 만들었다. ì˜ê¶¤ëŠ” 조선왕조 기ë¡ë¬¸í™”ì˜ ê½ƒì´ë¼ 부를 ë§Œí¼ ì² ì €í•œ 기ë¡ì •ì‹ ì´ ë°°ì–´ 있는 ì¢…í•©ë³´ê³ ì„œì¸ ì…ˆì´ë‹¤. ê·¸ ì¤‘ì˜ í•œ 사례가 ì´ ê¸€ì—서 살펴 ë³¼ 《산릉ë„ê°ì˜ê¶¤å±±é™µéƒ½ç›£å„€è»Œã€‹ì´ë‹¤. ì´ ì˜ê¶¤ëŠ” ëŒì•„가신 왕ì´ë‚˜ ì™•í›„ì˜ êµ­ìž¥åœ‹è‘¬ í–‰ì‚¬ì— ìžˆì–´ ì™•ë¦‰ì˜ ì¡°ì„±ê³¼ ê´€ë ¨ëœ ì „ ê³¼ì •ì„ ê¸°ë¡í•œ 것ì´ë‹¤. ê·¸ëŸ°ë° ì´ ì‚°ë¦‰ë„ê°ì˜ê¶¤ì—는 다른 ê³³ì—서 ë³¼ 수 없는 사수ë„å››ç¸åœ–ë¼ëŠ” ë…특한 ê·¸ë¦¼ì´ ë“±ìž¥í•œë‹¤. ìƒìƒì˜ ë™ë¬¼ì¸ 청룡·주작·현무·백호가 산릉ë„ê°ì˜ê¶¤ì˜ ì•žìª½ì— ì‹¤ë ¸ë‹¤. 사수는 현존하지 않는 ìƒìƒì˜ ë™ë¬¼ì´ì§€ë§Œ, 백호白虎가 ì¼ë°˜ì ì¸ 호랑ì´ì™€ ìƒê¹€ìƒˆê°€ 가장 ê°€ê¹ë‹¤. ë”°ë¼ì„œ 백호는 조선후기 민화民畵 ì†ì˜ 호랑ì´ì™€ë„ 밀접한 ì—°ê´€ì„ ì§€ë‹Œ ë„ìƒìœ¼ë¡œ ì½ížŒë‹¤. ë˜í•œ ì˜ê¶¤ì˜ 제작 시기가 ê³§ 사수ë„를 그린 시기가 ë˜ë¯€ë¡œ 백호 ê·¸ë¦¼ì€ ëŒ€ë¶€ë¶„ ê¸°ë…„ìž‘ì´ ëœë‹¤. ë”°ë¼ì„œ 사수ë„는 제작 시기를 알 수 없는 민화 í˜¸ëž‘ì´ ê·¸ë¦¼ê³¼ 비êµí•˜ì—¬ ê·¸ ë³€í™”ì˜ ê³¼ì •ì„ ì‚´í•„ 수 있는 ê¸°ì¤€ì´ ë˜ëŠ” ìžë£Œì´ë‹¤.
그런ë°, ì´ ì˜ê¶¤ ì†ì˜ 사수ë„ê°€ ì›ëž˜ 붙어 ìžˆë˜ ê³³ì€ ì°¬ê¶æ”¢å®®ì´ë¼ëŠ” ìƒìž 안ì´ë‹¤. êµ­ì™•ì´ ì‚¬ë§í•˜ë©´ 가래나무로 만든 ê´€ì— ì‹œì‹ ì„ ì•ˆì¹˜í•˜ì˜€ê³ , ì´ì™€ 별ë„로 종ì´ì™€ 나무로 ì°¬ê¶ì´ë¼ëŠ” í° ìƒìžë¥¼ 만들었다. 장례ì¼ì´ 임박하여 왕릉으로 ì™•ì˜ ê´€ì´ ë„착하면, ì°¬ê¶ ì•ˆì— ìž„ì‹œë¡œ 안치해ë‘었다. 그리고 í™”ì›ç•µå“¡ë“¤ì´ 그린 사수ë„를 ì°¬ê¶ì˜ 안쪽 ë™ì„œë‚¨ë¶ 네 ë©´ì— ë¶™ì˜€ë‹¤. 다분히 ì‚¬ìžæ­»è€…ì˜ ê³µê°„ì„ ë³´í˜¸í•œë‹¤ëŠ” ì˜ë¯¸ë¥¼ 지닌 그림 으로 활용ë˜ì—ˆë‹¤. ì°¬ê¶ì—서 ê´€ì„ êº¼ë‚´ 하관下官한 ë’¤ì—는 ì°¬ê¶ì„ 태워버리므로 사수ë„ë„ ì˜¨ì „í•˜ì§€ 못했지만, ì˜ê¶¤ì˜ ì•žë©´ì— ì´ë¥¼ 다시 그려 넣었다. ì´ê²ƒì´ 산릉ë„ê°ì˜ê¶¤ì— 실려 있는 사수ë„ì´ë‹¤. 현존하는 산릉ë„ê°ì˜ê¶¤ëŠ” 1630ë…„(ì¸ì¡° 8)부터 1926년까지 ì œìž‘ëœ 36ì¢…ì´ ì „í•˜ê³  있어 ì—¬ê¸°ì— ì‹¤ë¦° 백호는 ì¡°ì„ í›„ê¸°ì˜ ëª¨ë“  민화 í˜¸ëž‘ì´ ê·¸ë¦¼ê³¼ 비êµì˜ 대ìƒì´ ëœë‹¤.

사수ë„ì˜ ê¸°ì›ê³¼ 전통

산릉ë„ê°ì˜ê¶¤ì— 그려진 사수ë„ì˜ ê¸°ì›ì€ 6~7세기 고구려 ê³ ë¶„ë²½í™”ì— ê·¸ë ¤ì§„ 사신ë„四神圖ì—서 ì°¾ì„ ìˆ˜ 있다. ì´ ì‹œê¸°ì—는 ì‚¬ì‹ å››ç¥žì´ ê³ ë¶„ì˜ ë²½ë©´ì— ë…ë¦½ëœ ì£¼ì œë¡œ 그려졌다. ì´ëŸ¬í•œ ì‚¬ì‹ ì˜ í˜•ìƒì€ 고려시대로 ì´ì–´ì¡Œìœ¼ë‚˜ ë¬˜ì œå¢“åˆ¶ì˜ ë³€í™”ì— ë”°ë¼ ë²½í™”ë¥¼ 그리는 ê²ƒì´ ë¶ˆê°€ëŠ¥í–ˆë‹¤. 대신 ê³ ë ¤ì‹œëŒ€ì˜ ì‚¬ì‹ ì€ ë¬˜ì§€ëª…å¢“èªŒéŠ˜ì„ ë‹´ì€ ì„ê´€çŸ³æ£ºì— ìƒˆê²¨ì§„ 형태로 전승ë˜ì—ˆë‹¤. ì´í›„ ê·¸ ì „í†µì€ ì¡°ì„ ì‹œëŒ€ë¡œ 다시 ì´ì–´ì ¸ ‘사수四ç¸â€™ë¡œ 기ë¡ë˜ì—ˆë‹¤. ì´ë¥¼ 실ì¦í•´ 주는 사례가 바로 산릉ë„ê°ì˜ê¶¤ì˜ 사수ë„ì´ë‹¤. 사수ë„는 삼국시대부터 ë¹„ë¡¯ëœ ì‚¬ì‹ ì— ëŒ€í•œ 사ìƒì´ 고려시대를 ê±°ì³ ì¡°ì„ ìœ¼ë¡œ ì´ì–´ì¡ŒìŒì„ 알려주는 단서다.
그렇다면, 사신ë„ì˜ ì „ìŠ¹ 형태를 백호ë„를 중심으로 살펴보ìž. 고구려 ê°•ì„œëŒ€ë¬˜æ±Ÿè¥¿å¤§å¢“ì— ê·¸ë ¤ì§„ <백호>는 í™”ì—¼ë¬¸ì— íœ©ì‹¸ì¸ ì—­ë™ê° 넘치는 ë¹„í˜¸é£›è™Žì˜ í˜•íƒœë¡œ ëª¨ìŠµì„ ë“œëŸ¬ë‚¸ë‹¤.(ë„ 1) 다분히 ë„êµé“æ•Žì˜ ì„±í–‰ê³¼ ê´€ë ¨ëœ ê·¸ë¦¼ìœ¼ë¡œ í•´ì„ë˜ê³  있다. 고려시대 묘지명 ì„ê´€ì˜ ë°±í˜¸ë„ ì¤„ë¬´ëŠ¬, 화염문ç«ç„°æ–‡, ëª¸ì²´ì˜ ë¹„ë¡€ 등ì—서 고구려 ë°±í˜¸ì˜ ë„ìƒê³¼ ê³µí†µëœ íŠ¹ì§•ì„ ê°–ê³  있다.(ë„ 2) ì¡°ì„ ì‹œëŒ€ì˜ ë°±í˜¸ëŠ” 1630ë…„ì˜ ã€Šì„ ì¡°ëª©ë¦‰ 천봉ë„ê°ì˜ê¶¤ 宣祖穆陵 é·å¥‰éƒ½ç›£å„€è»Œã€‹ì—서 만나게 ëœë‹¤.(ë„ 3) ì´ ì˜ê¶¤ëŠ” 사수가 등장하는 현존하는 ì˜ê¶¤ ê°€ìš´ë° ê°€ìž¥ 시기가 올ë¼ê°„다. ì´ ì˜ê¶¤ì˜ <백호>는 형태가 조금 현실화ë˜ì—ˆìœ¼ë‚˜ 여전히 í™”ì—¼ë¬¸ì„ ë‹¬ê³  있다. 표현방ì‹ì€ ì‹œëŒ€ì— ë”°ë¼ ì°¨ì´ê°€ 있지만, ì‚¬ìžæ­»è€…ì˜ ê³µê°„ì„ ë³´í˜¸í•œë‹¤ëŠ” ê·¸ë¦¼ì˜ ì›ëž˜ 기능과 ì„±ê²©ì€ ë³€í•˜ì§€ ì•Šì€ ë“¯í•˜ë‹¤. 장구한 시간ì—ë„ ë¶ˆêµ¬í•˜ê³  삼국시대 ê·¸ë¦¼ì˜ ì‚¬ìƒê³¼ 모티프가 í•˜ë‚˜ì˜ ì „í†µì„ ì´ë£¨ì–´ ì¡°ì„  ë§ê¸°ê¹Œì§€ ì§€ì†ëœ 현ìƒì€ 매우 귀중한 ë¬¸í™”ì‚¬ì  ê¶¤ì ì´ ì•„ë‹ ìˆ˜ 없다.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18세기 ì˜ê¶¤ 백호ë„ì˜ ì „í˜•

산릉ë„ê°ì˜ê¶¤ì˜ ì‚¬ìˆ˜ë„ ê°€ìš´ë° ã€Šìˆ™ì¢…ëª…ë¦‰ 산릉ë„ê°ì˜ê¶¤ 肅宗明陵 山陵都監儀軌》(1720ë…„)ì˜ <백호>(ë„ 4)는 18세기 백호ë„ì˜ ì „í˜•ì„ ë³´ì—¬ì¤€ë‹¤. ì´ì „ ì‹œê¸°ì— ì¸¡ë©´ì˜ ëª¨ìŠµìœ¼ë¡œ 소략하게 그려진 백호와 달리 머리와 ì•žë°œì´ í™”ë©´ì˜ ì•ž 공간으로 나왔고, 몸체와 뒷다리가 ì‚¬ì„ æ–œç·šì„ ì´ë£¨ë©° 뒤쪽 ê³µê°„ì„ ì ìœ í•œ ë™ì„¸ë¡œ 그려졌다. ì´ëŸ¬í•œ 형ì‹ì˜ ë„ìƒì€ 《숙종명릉 산릉ë„ê°ì˜ê¶¤ã€‹ì˜ <백호>ì— ì²˜ìŒ ë‚˜íƒ€ë‚˜ëŠ”ë°, 18세기 ì´í›„ 약 200ë…„ê°„ ì§€ì†ì ìœ¼ë¡œ 그려진 형ì‹ìœ¼ë¡œ ìžë¦¬ìž¡ê²Œ ëœë‹¤.
호랑ì´ì˜ í‘œí˜„ì— í‰ë©´ì  êµ¬ì„±ì´ ì•„ë‹Œ ë‹¨ì¶•ë²•çŸ­ç¸®æ³•ì´ ì ìš©ëœ ê²ƒë„ ëˆˆì—¬ê²¨ 볼만한 ì ì´ë‹¤. 앞 ì‹œê¸°ì˜ ê·¸ë¦¼ë³´ë‹¤ 표현 ìˆ˜ì¤€ì´ ë†’ê³ , 백호가 ê³µê°„ì„ ì ê·¹ì ìœ¼ë¡œ ì ìœ í•˜ë©° 그려진 ì ì´ 특징ì´ë‹¤. 어깨와 뒤쪽 ë‹¤ë¦¬ì— ë¶‰ì€ìƒ‰ í™”ì—¼ë¬¸ì´ ë‹¤ì‹œ 들어가 있어, 신비ê°ì„ 지닌 ë°±í˜¸ì˜ ì´ë¯¸ì§€ë¥¼ 강조하였다.
ê·¸ ë‹¤ìŒ ë‹¨ê³„ì— ì˜¤ëŠ” 1757ë…„(ì˜ì¡° 33) 《정성왕후 산릉ë„ê°ì˜ê¶¤ 貞è–çŽ‹åŽ å±±é™µéƒ½ç›£å„€è»Œã€‹ì˜ <백호>(ë„ 5)는 ì•žì˜ <백호>와 달리 화염과 ê°™ì€ ì‹ ë¹„ì ì´ê³  비현실ì ì¸ 요소를 ëª¨ë‘ ë–¨ì³ë²„렸다. ë”°ë¼ì„œ ë”ìš± í˜„ì‹¤ê° ìžˆëŠ” ì¼ë°˜ 호랑ì´ì˜ ëª¨ìŠµì„ ë³´ì—¬ì¤€ë‹¤. ì´ëŠ” 사수를 현실ì ì¸ 시ê°ì—서 ì´í•´í•˜ê³ ìží•œ 당시 조형ì˜ì‹ì˜ ë°˜ì˜ì´ìž, 18세기 후반기 íšŒí™”ì˜ ì‹œê°ì  사실성과 ê´€ë ¨ëœ ê²°ê³¼ë¡œ í•´ì„í•  수 있다.
ìœ„ì˜ ì‚¬ë¡€ì— ë¶€í•©ë˜ëŠ” í™”ì›í™”ê°€ì˜ ê·¸ë¦¼ìœ¼ë¡œëŠ” ê¹€ìµì£¼é‡‘翊冑(1684~?)ì˜ <호ë„虎圖>(ë„ 6)를 ê¼½ì„ ìˆ˜ 있다. ê¹€ìµì£¼ì˜ ìƒë…„으로 ë³¼ 때, ê·¸ì˜ <호ë„>는 18세기 전반기 작으로 추측ëœë‹¤. 《정성왕후 산릉ë„ê°ì˜ê¶¤ã€‹(1757ë…„)ì˜ <백호>와 비êµí•˜ë©´, 호랑ì´ì˜ ë™ì„¸ì™€ ë°œì˜ ìœ„ì¹˜, ê¼¬ë¦¬ì˜ ëª¨ì–‘ ë“±ì— ìžˆì–´ 형태가 매우 í¡ì‚¬í•˜ë‹¤. ê¹€ìµì£¼ì˜ <호ë„>는 ì´ëŸ¬í•œ 백호와 비êµì˜ 대ìƒìœ¼ë¡œ ì‚¼ì„ ìˆ˜ 있는 ë„ìƒì´ë¼ëŠ” ì ì´ 주목ëœë‹¤. ì´ì²˜ëŸ¼ í™”ì›í™”ê°€ì˜ í˜¸ëž‘ì´ ê·¸ë¦¼ì´ ì˜ê¶¤ì˜ 백호와 비슷한 형태로 그려진 ì ì€ ë‘ ì  ëª¨ë‘ ë‹¹ì‹œ í˜¸ëž‘ì´ ê·¸ë¦¼ì˜ ì‹œëŒ€ì–‘ì‹ì„ 공유하고 있다는 ì‚¬ì‹¤ì„ ì•Œë ¤ì¤€ë‹¤.
ì´ë²ˆì—는 <백호>ì˜ ëª¨ìŠµì„ ì´ˆìƒí™”ì˜ í‰ë°°èƒ¸èƒŒì— 그려진 호랑ì´ì™€ 비êµí•´ ë³´ìž. 《정성왕후 산릉ë„ê°ì˜ê¶¤ã€‹(1757ë…„)ì˜ <백호>는 1774ë…„(ì˜ì¡° 50)ì˜ ë“±ì¤€ì‹œç™»ä¿Šè©¦ 무과합격ìžë“¤ì˜ ì´ˆìƒí™”ì²©ì— ì‹¤ë¦° <안종규安宗奎 ì´ˆìƒ>ì˜ í‰ë°°(ë„ 7) ì† í˜¸ëž‘ì´ì™€ 매우 닮았다. 그런ë°, ë§¹í˜¸ì˜ ìœ„ìš©ì„ ê°–ì¶˜ 호랑ì´ì˜ ë™ì„¸ë¡œëŠ” 단조로운 ê°ì´ 없지 않다. ì˜ì¡°ëŠ” 1756ë…„(ì˜ì¡° 32) 2ì›”ì— ì‹ í•˜ë“¤ê³¼ í‰ë°°ì— 대한 대화를 나누면서 í‰ë°°ì˜ ‘호랑ì´â€™ê°€ 마치 ‘고양ì´â€™ ê°™ì´ í•´ê´´í•˜ë‹¤ê³  ì§€ì í•œ ë°” 있다. ì˜ì¡°ê°€ ì§€ì í•œ ê·¸ë¦¼ì€ ã€Šì •ì„±ì™•í›„ 산릉ë„ê°ì˜ê¶¤ã€‹ì˜ <백호>와 가까운 ë„ìƒìœ¼ë¡œ 여겨진다. 앞 ì‹œê¸°ì˜ ã€Šìˆ™ì¢…ëª…ë¦‰ 산릉ë„ê°ì˜ê¶¤ã€‹(1720ë…„)ì˜ <백호>와 비êµí•˜ë©´, 1774ë…„ì— ê·¸ë¦° ì´ˆìƒí™” í‰ë°°ì˜ 호랑ì´ëŠ” 왜소한 íŠ¹ì§•ì„ ë ê³  있다. í‰ë°°ì— 그려진 그림ì´ë¼ëŠ” í•œê³„ë„ ìžˆì§€ë§Œ, 1756ë…„(ì˜ì¡° 32) ì˜ì¡°ê°€ ì§€ì í•œ â€˜ê³ ì–‘ì´ ê°™ì€ í˜¸ëž‘ì´â€™ë¼ëŠ” ìž”ì˜ì„ 탈피하지 못 한 듯하다. 그러나 ë°±í˜¸ì˜ ë™ì„¸ëŠ” 여전히 앞 ì‹œê¸°ì˜ ì „í†µì„ ë²—ì–´ë‚˜ì§€ 않았다. 18세기 ì¤‘ì—½ì˜ ã€Šì‚°ë¦‰ë„ê°ì˜ê¶¤ã€‹ì— 그려진 <백호>ì˜ ë„ìƒì´ ê°™ì€ ì‹œê¸° ì´ˆìƒí™”ì˜ í‰ë°°ì— ê±°ì˜ ë™ì¼í•œ 형ì‹ìœ¼ë¡œ 나타난 ì ì´ 매우 í¥ë¯¸ë¡­ë‹¤.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사수ë„ì˜ ë°±í˜¸ì™€ 민화 호랑ì´

산릉ë„ê°ì˜ê¶¤ì˜ 백호 ê°€ìš´ë° ê°€ìž¥ 현실ì ì´ë©´ì„œë„ 용맹한 ì´ë¯¸ì§€ëŠ” 《정조건릉 산릉ë„ê°ì˜ê¶¤ 正祖å¥é™µ 山陵都監儀軌》(1800ë…„)ì˜ <백호>(ë„ 8)ì¼ ê²ƒì´ë‹¤. ì´ ê·¸ë¦¼ì€ í˜¸ëž‘ì´ì˜ ë™ì„¸ì— 있어 í•˜ë‚˜ì˜ ê¸°ì¤€ì ì„ 마련해 준다. 즉 <백호>ì—는 민화 호랑ì´ì™€ ê°™ì€ ì‹œê¸°ì— ê·¸ë ¤ì§„ 그림으로서 공유한 ì–‘ì‹ì  íŠ¹ì§•ì´ ìž˜ 나타나 있다. 특히 머리와 ì•žë°œì´ ì•ž ê³µê°„ì— ë†“ì´ê³ , 몸체가 ì‚¬ì„ ë°©í–¥ì„ ì´ë£¨ë©° 뒷다리를 벌린 í¬ì¦ˆëŠ” 민화 호랑ì´ì—서 ì ì§€ 않게 ë³¼ 수 있는 특징ì´ë‹¤.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까치호랑ì´>(ë„ 9)ê°€ ì—¬ê¸°ì— í•´ë‹¹í•œë‹¤. 앞서 본 <백호>ì˜ ê¸°ë³¸ 형태를 ë”°ë¥´ë©´ì„œë„ ë¨¸ë¦¬ì˜ ìœ„ì¹˜ì™€ í‘œì •ì˜ ë³€í™”ê°€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ì´ëŸ¬í•œ 요소는 민간 í™”ê°€ë“¤ì˜ ì°½ì˜ì ì¸ 재능과 êµ¬ì„±ë ¥ì„ ì—¿ë³¼ 수 있는 중요한 부분ì´ë‹¤. 19ì„¸ê¸°ì˜ ë¯¼í™” 호랑ì´ëŠ” 호랑ì´ê°€ ìž¬ì•¡ì„ ì«“ëŠ” ë§¹ìˆ˜ì˜ ì´ë¯¸ì§€ì—서 기ì¨ì„ 가져다주는 ê¹Œì¹˜ì˜ ë“±ìž¥ê³¼ ë”불어 ë˜ ë‹¤ë¥¸ í’부한 ì´ì•¼ê¸°ì™€ ìƒì§•ì˜ ì„¸ê³„ë¡œ 넘어갔ìŒì„ 시사해준다.
19세기 ì¤‘ì—½ì˜ ì˜ê¶¤ì— 그려진 백호 그림 ê°€ìš´ë° ëª‡ëª‡ 사례는 ë¯¼í™”ì˜ ë¶„ìœ„ê¸°ë¥¼ ë‹´ê³  있어 ëˆˆê¸¸ì„ ëˆë‹¤. 《철종예릉 산릉ë„ê°ì˜ê¶¤ 哲宗ç¿é™µ å±±é™µéƒ½ç›£å„€è»Œã€‹ì— ê·¸ë ¤ì§„ <백호>(ë„ 10)를 주목해 ë³´ìž. ì´ ì˜ê¶¤ì˜ <백호>를 앞 ì‹œê¸°ì˜ ê·¸ë¦¼ê³¼ 비êµí•˜ë©´, í˜¸ëž‘ì´ ê·¸ë¦¼ìœ¼ë¡œì„œì˜ ìœ„ìš©ì´ ë“œëŸ¬ë‚˜ì§€ 않고 í™”ê²©ç•µæ ¼ë„ ë–¨ì–´ì§€ëŠ” ê²ƒì´ ì‚¬ì‹¤ì´ë‹¤. 그러나 ì¼ë©´ 민화를 그린 민간 í™”ê°€ì˜ ê·¸ë¦¼ê³¼ 매우 ì¹œì—°ì„±ì´ ìžˆì–´ ë³´ì¸ë‹¤. 맹수답지 ì•Šì€ í‘œì •, ëª¸ì²´ì˜ ë¶ˆê· í˜•, 어딘가 투박하고 공격ì ì´ì§€ ì•Šì€ ì´ë¯¸ì§€ê°€ 19세기 ì¤‘ì—½ì— ê·¸ë ¤ì§„ 민화 호랑ì´ì˜ ë„ìƒì„ ì—°ìƒí•˜ê²Œ 한다. 좀 ë” ë¶€ì—°í•˜ìžë©´, ì´ ì‚¬ìˆ˜ë„를 그린 í™”ì›í™”가가 민화 호랑ì´í’으로 그렸ìŒì„ 가정해 ë³¼ 수 있다. ë”°ë¼ì„œ í™”ê²©ì— ì´ˆì ì„ ë‘기보다 민간 í™”ê°€ì˜ ê·¸ë¦¼ì¼ ê°€ëŠ¥ì„±ì— ëŒ€í•œ 연구가 필요하다.
《철종예릉 산릉ë„ê°ì˜ê¶¤ã€‹ì—는 사수ë„를 그린 화가가 ì¡°ì„±ì†Œé€ æˆæ‰€ í™”ì›ç•µå“¡ì¸ ‘임우ì§ä»»å‹ç›´ 등 4명’ì´ë¼ëŠ” 기ë¡ì´ 있다. 산릉ë„ê°ì˜ 조성소는 왕릉조성 ê³¼ì •ì— í•„ìš”í•œ 기물ì´ë‚˜ 건물 ì¶•ì¡° ë“±ì„ ë‹´ë‹¹í•œ 국장ë„ê° ì†Œì†ì˜ 부서ì´ë‹¤. ë”°ë¼ì„œ ì°¬ê¶ë„ 조성소ì—서 제작하였고, ì°¬ê¶ ì•ˆì— ë¶™ì´ëŠ” ì‚¬ìˆ˜ë„ ì—­ì‹œ 조성소 í™”ì›ì´ ê·¸ë ¸ì„ ê°€ëŠ¥ì„±ì´ ë†’ë‹¤. ë”°ë¼ì„œ 《철종예릉 산릉ë„ê°ì˜ê¶¤ã€‹ 사수ë„는 임우ì§ä»»å‹ç›´ì„ 비롯한 네 ëª…ì˜ í™”ì› ê°€ìš´ë° ëˆ„êµ°ê°€ê°€ 그린 것으로 추측ëœë‹¤. ê·¸ëŸ°ë° ì‹¤ëª…ì„ ë°ížŒ 임우ì§ì€ í™”ì›ì´ë¼ê³  ë˜ì–´ 있으나 ì™•ì‹¤ì˜ í–‰ì‚¬ì™€ ê´€ë ¨ëœ ë‹¤ë¥¸ ì˜ê¶¤ì—는 전혀 ì´ë¦„ì´ ë‚˜ì˜¤ì§€ 않는다. ê¶ì¤‘ì˜ ì£¼ìš” 화역畵役ì—는 ê±°ì˜ ì°¸ì—¬í•˜ì§€ ì•Šì€ ì¸ë¬¼ë¡œ 추측ëœë‹¤. ì•„ë§ˆë„ ì¡°ì„±ì†ŒëŠ” ê·¸ë¦¼ì„ ì£¼ë¡œ 다루는 ê³³ì´ ì•„ë‹ˆì—ˆê¸°ì— ê¼­ ê¸°ëŸ‰ì´ ë›°ì–´ë‚œ í™”ì›ì„ 배치하지 ì•Šì•˜ì„ ìˆ˜ë„ ìžˆë‹¤. ë”°ë¼ì„œ 임우ì§ì´ë¼ëŠ” 화가는 혹시 민간ì—서 ë¶ˆëŸ¬ë“¤ì¸ ë¯¼ê°„ 화가가 아니었ì„까 추측해 보게 ëœë‹¤.
현존하는 36ì¢…ì˜ ã€Šì‚°ë¦‰ë„ê°ì˜ê¶¤ã€‹ì˜ 사수ë„ì—는 ì‹œê°„ì— ë”°ë¥¸ ë„ìƒì˜ 변화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리고 ì´ ë³€í™”ì˜ íŒ¨í„´ì€ ì¡°ì„ í›„ê¸°ì˜ ë¯¼í™”ì—ì„œë„ ì°¾ì•„ë³¼ 수 있다. 백호와 민화 í˜¸ëž‘ì´ ê·¸ë¦¼ì´ ì´ë¥¼ 확ì¸í•˜ëŠ” í•˜ë‚˜ì˜ ë‹¨ì„œê°€ ë˜ì—ˆë‹¤. ê°™ì€ ì‹œëŒ€ë¥¼ ì‚´ì•˜ë˜ í™”ì›ê³¼ 민간화가는 ê°™ì€ ì‹œëŒ€ì˜ ì–‘ì‹ ì•ˆì—서 ê°ìžì˜ 조형세계를 추구하였다. í™”ê°€ì˜ ê¸°ëŸ‰ì´ ë‹¤ë¥´ê³  ê·¸ë¦¼ì˜ í™”ê²©ì— ì°¨ì´ê°€ 있ì„ì§€ë¼ë„ í™”ì›ê³¼ ë¯¼ê°„í™”ê°€ì˜ ê·¸ë¦¼ì€ ê²°ì½” ë‹¨ì ˆëœ ì¡°í˜•ì„¸ê³„ë¡œ 존재할 수 없었다. ë¯¼í™”ì˜ ì—°êµ¬ì—서 사수ë„ì˜ ëª¨í‹°í”„ì— ìƒˆì‚¼ ê´€ì‹¬ì„ ë‘어야 하는 ì´ìœ ê°€ ì—¬ê¸°ì— ìžˆë‹¤.

 

글 : 윤진ì˜(í•œêµ­í•™ì¤‘ì•™ì—°êµ¬ì› ì±…ìž„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