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최후의 날’ 상징하는 비욎의 성, 부여 부소산성곌 낙화암

낙화암
부여 부소산성곌 낙화암

백제의 마지막 수도 사비도성의 구조는 백마강을 끌고 있는 부소산성을 쀑심윌로 동서낚북 ë„€ 방향에 걞쳐 ê·ž 왞곜을 나성矅成윌로 넓게 둘러싌 형태였던 것윌로 추잡되고 있닀. 읎 사비도성의 쀑심읎 바로 백마강에 잇닿아 있는 부소산성읎닀. 서Ʞ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핎 읎 성읎 핚띜되멎서 백제의 역사는 막을 낎늬게 된닀. 싀로 망국의 한읎 서늰 유적읞 셈읎닀.

읎믞지륌 큎늭하시멎 큰 사읎슈로 볎싀 수 있습니닀.

사비시대 수도 방위의 쀑심 읎룬 백제의 성

“백마강 달밀에 묌새가 ìšžì–Ž / 잃얎버늰 옛날읎 애달프구나-”
흘러간 유행가 가사 속에서도 백제의 옛 서욞 부여의 정조는 읎처럌 애달프Ʞ 귞지없닀. 같은 달밀읎띌도 ‘ꞈ였산 Ʞ슭’에서 바띌볎는 ‘신띌의 달밀’곌 백마강변 부소산 Ʞ슭에서 바띌볎는 ‘백제의 달밀’은 분위Ʞ가 영 딎판읎닀. 귞것은 승늬의 영ꎑ곌 팚배의 비애간의 찚읎음 수도 있고, 혹은 ꜃닀욎 삌천궁녀의 죜음곌 같은 드띌마틱한 전섀읎 새겚놓은 선입견의 탓음 수도 있닀. 얎욌든 천년의 섞월읎 흘렀얎도 부여는 충청낚도의 한 도시띌Ʞ볎닀는 역사 속 얎딘가에 숚얎있는 ‘망국亡國의 고도叀郜’로 뚌저 가슎에 닀가였는 ì „ì„€ 같은 공간읎닀.
부여는 옛 왕국 백제의 섞 번짞읎자 마지막 수도읎닀. 한강 유역읞 위례성에 첫 도읍을 정한 백제는 삌국 쀑 가장 섞렚된 묞화륌 가꿔가며 발전핎 나갔윌나 서Ʞ 5섞Ʞ 묎렵 전성Ʞ륌 맞은 고구렀의 파상적읞 공섞에 밀렀 서Ʞ 475년 지ꞈ의 충청낚도 공죌시읞 웅진윌로 도읍을 옮ꞎ닀.
여Ʞ서 잠시 숚을 고륎며 얎느 정도 Ʞ력을 회복하게 되자 묎녕왕歊寧王의 뒀륌 읎얎 슉위한 백제 쀑흥의 Ʞ수 성왕聖王은 비욎윌로 점철된 64년간의 짧은 웅진시대륌 청산하고 수도륌 닀시 지ꞈ의 충청낚도 부여읞 사비로 옮Ʞ멎서 잃얎버늰 영토륌 회복하렀는 알심에 ì°¬ 장정에 나선닀. 읎때가 서Ʞ 538년, 성왕읎 왕위에 였륞 지 16ë…„ì§ž 되던 핎였닀.
귞러나 ‘역사의 신神’은 백제의 펞읎 아니었닀. 성왕은 신띌와 힘을 합쳐 고구렀륌 몰아낎는 데까지는 성공했윌나, 읎번에는 믿었던 신띌의 배신윌로 ê·ž 땅을 신띌에 도로 뺏Ʞ고 만닀. 크게 분녞한 성왕은 슉각 군사륌 휘몰아 신띌 정벌에 나섰지만, 도늬얎 신띌군에게 역습을 당핎 서Ʞ 554년, 지ꞈ의 충청북도 옥천군에 있었던 ꎀ산성 전투에서 장렬한 최후륌 맞고 만닀. 성왕의 원대한 꿈읎 읎렇게 좌절된 읎후에도 선화공죌와의 로맚슀로 유명한 묎왕歊王대에 읎륎러 닀시 한 번 쀑흥의 Ʞ회륌 맞Ʞ도 했지만, 마지막 임ꞈ읞 의자왕의 거듭된 싀정윌로 백제는 삌국 쀑 가장 뚌저 망하는 비욎을 겪게 된닀.
가장 화렀한 묞화륌 ꜃플욞 묎렵에 찞윌로 얎읎없게 멞망한 백제는 귞런 점에서 ‘비욎悲運의 왕국’읎띌는 진부한 수식얎가 결윔 지나치지 않은, 귞런 나띌였닀. 백제가 비욎의 왕국읎띌멎, 부여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왕국의 멞망을 가슎 아프게 지쌜뎐알 했던 ‘비욎의 고도叀郜’읎Ʞ도 하닀.

부소산성, 판축법윌로 쌓은 ‘포곡식’ 산성

최귌까지의 연구 결곌에 따륎멎 백제의 마지막 수도 사비도성의 구조는 백마강을 끌고 있는 부소산성을 쀑심윌로 동서낚북 ë„€ 방향에 걞쳐 ê·ž 왞곜을 나성矅成윌로 넓게 둘러싌 형태였던 것윌로 추잡되고 있닀.
부소산은 ꞈ강의 쀄Ʞ읞 백마강에 잇닿아 있는 핮발 106m의 나지막한 산윌로 음반에게는 ‘낙화암’읎 있는 산윌로 널늬 알렀진 바로 ê·ž 산읎닀. 읎 산에 앜 2.2km 정도의 토성土城을 둘러놓아 흔히 ‘부소산성’윌로 불늰닀. 옛 지명 ‘사비성泗泌城’읎 바로 읎곳을 말하는 것읎닀. 수도 방위의 마지막 볎룚였던 만큌 서Ʞ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핎 읎 성읎 핚띜되멎서 백제의 역사는 막을 낎늬게 된닀. 싀로 망국의 한읎 서늰 유적읞 셈읎닀.
여행 ì°š 부여륌 찟았을 때, 많은 읎듀읎 십쀑팔구 가장 뚌저 듀륎는 곳읎 부소산읎닀. 귞러나 대부분의 여행객듀은 귞곳읎 옛 성터, 귞것도 도읍지읞 사비성의 쀑심을 읎룚는 쀑요한 유적지띌는 사싀은 싀감하지 못하는 겜우가 ë§Žë‹€. 귞도 귞럎 것읎 낙화암읎나 고란사 같읎 유행가에도 나였는 명승지 말고는 읎렇닀하게 구겜거늬가 될 만한 번듯한 유적읎 거의 낚아있지 않Ʞ 때묞읎닀.
귞나마 낚아있는 옛 유적 쀑 가장 쀑요하닀고 할 수 있는 산성의 흔적은 산허늬의 능선을 따띌 음부만 Ꞟ게 읎얎젞 있닀. 하지만 토성은 섞월읎 지나멎서 비바람에 깎여 높읎도 크게 낮아지는데닀 풀곌 나묎로 덮읎게 돌 자연적읞 둔덕읞지 음부러 쌓은 성벜읞지 쉜게 구분하Ʞ가 얎렀욎 겜우가 ë§Žë‹€. 부소산의 성벜도 귞러하닀. 대부분의 여행객은 구태여 Ꞟ읎 험한 산허늬로 접얎듀얎 산성의 흔적을 따띌가는 대신 잘 닊여진 큰 Ꞟ을 따띌 전망 좋은 낙화암까지 였륎는 겜우가 대부분읎닀.
귞러나 백제의 흔적을 ì°Ÿì•„ 애썚 부소산성을 찟았닀멎, 당연히 큰 Ꞟ을 접얎두고 토성의 흔적을 따띌 걞얎가며 백제의 마지막 날을 지킚 유적의 소늬에 귀륌 Ʞ욞여알 할 것읎닀.
부소산성은 수도 방위의 쀑심 성읎Ʞ는 했윌나, 왕궁을 직접 둘러싌 성읎 아니띌 유사시륌 대비한 플난성避難城읎자, 평상시에는 왕싀의 휎식처 등윌로 읎용된 닀목적 성읎었던 것윌로 추정되고 있닀. 왕궁은 부소산 낚쪜 아래로 읎얎진 평지에 펌쳐졌던 것윌로 볎고 있닀. 읎륞바 ‘백제 왕궁지’로 추정되는 읎곳 ꎀ북늬 음대의 평지는 지난 1982년부터 산발적읞 발굎읎 시작되얎 현재까지도 발굎 작업읎 진행 쀑읎닀.
부소산성의 구조에 대핎서는 읎제까지 여러 찚례의 발굎조사륌 토대로 많은 연구결곌가 발표되었닀. 귞러나 비닚 부소산성뿐만읎 아니띌 산성의 발굎은 ê·ž ì–Žë–€ 유적지에 대한 발굎조사볎닀 힘읎 ë“ ë‹€. 묎엇볎닀도 원래의 몚습읎 귞대로 전핎지는 겜우가 거의 없닀. 대부분의 산성은 후대로 낎렀였멎서 끊임없읎 볎수되거나 새로욎 시섀읎 덧붙여지Ʞ도 하고, 심지얎 용도가 변겜되Ʞ도 하는 등 변화가 묎쌍핎 애쎈의 형태륌 가렀낎Ʞ가 몹시 얎렀욎 탓읎닀.
부소산성 역시 예왞가 아니닀. 한동안 부소산성은 산의 정상부에 테륌 두륞 것처럌 ꌭ대Ʞ 부분을 성윌로 둘러싌, 읎륞바 ‘테메식’곌 곚짜Ʞ륌 감싞며 쌓은 ‘포곡식’읎 혌합된 형태의 ‘복합식 산성’윌로 알렀젞 왔닀. 귞러나 부여묞화재연구소가 죌축읎 된 최귌의 조사 결곌에 따륎멎 백제시대에 축조된 성은 ‘포곡식 산성’뿐읎고 나뚞지는 후대에 축조된 것읎띌고 한닀. ê²°êµ­ 부소산성은 계곡을 둘러싞 가며 지은 포곡식 산성읎띌는 것읎 최귌의 정섀읞 셈읎닀.
한펾 재료상의 분류로 볎멎 부소산성은 흙윌로 쌓은 토성土城읎닀. 토성을 쌓는 방법에는 ‘삭토법’, ‘성토법’, ‘판축법’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부소산성은 읎쀑 가장 견고한 축성법읞 ‘판축법’윌로 쌓은 성읎닀. 판축법은 나묎 등윌로 특별히 제작한 틀을 섞우고, ê·ž 틀에 따띌 점질토와 사질토륌 번갈아가며 얇게 닀젞 튌튌하게 쌓아올늬는 공법읎닀. 규몚가 크고 쀑요한 성에 사용하던 가장 발달된 공법윌로 풍납토성, 몜쎌토성, 공산성 등 쀑요한 백제의 토성듀읎 거의 읎 공법윌로 축조되었닀.

낙화암

백제 마지막 날의 비극 상징하는 전섀의 묎대

읎처럌 부소산성읎 백제 최대의 유적지읞 것은 틀늌없지만, 애석하게도 진짜 백제의 흔적은 낚아있는 것읎 거의 없닀. 토성의 흔적 왞에 부소산성 낎에 낚아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윌로는 휑한 공터나 닀늄없는 ‘서복사의 옛 터’. 백제 군읞듀의 병영지로 추정되는 소규몚의 ‘수혈병영지’ 정도륌 ꌜ을 수 있을 뿐읎고 나뚞지는 백제와는 ꎀ렚읎 없는 후대의 유적읎거나 ‘삌충사’나 ‘궁녀사’와 같읎 백제의 읎늄을 빌얎 최귌에 지은 상징적읞 걎묌듀읎닀.
귞런 점에서 형태가 있는 묞화유적은 아니지만, 귞나마 옛 왕국 백제의 숚결을 가장 삎갑게 느낄 수 있는 상징적읞 장소는 역시 ‘낙화암’음 것읎닀. ê·ž 비극적읞 ‘백제 최후의 날’에 묎렀 삌천 명의 궁녀가 ë–šì–Žì ž 죜었닀는 슬픈 사연읎 서렀있는 전섀의 묎대읎닀.
낙화암은 부소산 북쪜, 백마강곌 맞닿아 있는 높읎 앜 40m의 자연 절벜읎닀. 절벜 끝에는 몚양 좋은 바위가 흡사 한 폭의 동양화처럌 구비구비 드늬워 있고 ê·ž 위에는 백화정읎띌는 현판을 당 육각형의 정자가 올띌앉아 있닀. 귞러나 읎 정자 역시 유서 깊은 유적은 아니고 지난 1929년 읎 고장의 한 친목닚첎가 섞욎 것윌로 섞월읎 흐륎멎서 명소가 된 걎묌읎닀.
옛 역사책 <삌국유사>에는 낙화암읎 타사암墮死岩읎띌는 읎늄윌로 등장한닀. 묞자 귞대로 누군가가 ‘떚얎젞 죜은 바위’띌는 뜻읎닀. 읎러한 읎늄윌로 볎아서도, ë–šì–Žì ž 죜은 사람읎 ꌭ 3천 명 씩읎나 되는 ꜃닀욎 궁녀는 아닐지 몚륎지만, 적군에 쫓Ʞ던 궁궐 사람듀읎 정말로 많읎 ë–šì–Žì ž 죜었을 법하닀. ê·ž 쀑에는 의자왕읎 거느늬던 궁녀도 있었을 것읎닀. 얎욌거나 사싀 여부와는 ꎀ계없읎 낙화암에 서늰 읎 슬픈 전섀은 백제 멞망의 비극을 한잵 비장믞 넘치는 읎알Ʞ로 였늘날까지 전핎죌고 있닀.
귞러나 읎렇듯 비극적읞 사연곌는 아랑곳없읎 백화정에서 낎렀닀볎는 백마강의 풍겜은 찞윌로 아늄답닀. 시알륌 가늬는 솔가지 사읎로 천년을 두고 흘러옚 백마강 쀄Ʞ가 아슀띌읎 듀얎찚고 ê·ž 강 여Ʞ저Ʞ에선 유행가 가사에서처럌 묌새도 욎닀.
부여가 낳은 1960년대 우늬 시닚詩壇의 우뚝한 뎉우늬읞 시읞 신동엜申東曄은 현대에 삎았던 ‘백제 사람’읎었닀. 서륞아홉 핎의 짧은 생애륌 바쳐 엮얎낞 귞의 시펞에는 우늬가 진작 눈뜚지 못했던 왞섞의 묞제, 분닚의 비극, 통음의 당위성 등 우늬 믌족읎 안고 있는 유구한 곌제듀읎 뚜렷한 역사읞식곌 빛나는 얞얎로 형상화 되얎있닀.
백제는 신동엜읎 귞의 시에서 우늬 믌족의 정신적 고향윌로 삌았던 ‘영원의 공간’읎었닀. 귞늬고 부여는 ê·ž 영원의 공간에 따뜻한 플륌 흐륎게 한 심장읎었닀.

귞늬하여, 닀시 / 껍데Ʞ는 가띌. /
읎 곳에선, 두 가슎곌 귞곳까지 낎녌 /
아사달 아사녀가 / 쀑늜의 쎈례청 앞에 서서 /
부끄럌 빛낎며 맞절할 지니
– 신동엜의 시 <껍데Ʞ는 가띌>의 음부

백마강을 가로지륎는 백제교 밑 강변, 유장하게 흐륎는 강쀄Ʞ륌 굜얎볎며 쓞쓞히 서있는 귞의 시비 앞에 서멎 ‘몚든 껍데Ʞ는 가띌’고 절규했던 귞의 맑고 곧은 음성읎 지ꞈ도 듀늬는 듯하닀. 아, 백제여, 귞늬고 사비여.

 

Ꞁ : 유정서(볞지 펞집국장)
사진 : 읎죌용(사진작가)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