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ì˜ë‚¨ ìž‘ê°€ì˜ ì±„ìƒ‰í™”-ë¯¼í™”ì— ì²œì—°ì—¼ìƒ‰ë²•ì„ ì‘용하다

40여년 ì´ìƒì„ 작품활ë™ì— 매진해온 채운 ë°°ì˜ë‚¨ 작가는 전통채색화 ê¸°ë²•ì„ ë³€ìš©í•˜ê³  천연염색 기법 ë“±ì„ ë¯¼í™”ì— ì ìš©í•´ 개성있는 ìž‘í’ˆì„ ì„ ë³´ì¸ë‹¤. ë°°ì˜ë‚¨ ìž‘ê°€ì˜ ìž‘í’ˆì„¸ê³„ì™€ ìž‘í’ˆì— ë‹´ê¸´ ì˜ë¯¸, 작업과정 ë“±ì„ ë°°ì˜ë‚¨ ìž‘ê°€ì˜ ìƒìƒí•œ 목소리로 들어보ë„ë¡ í•˜ìž. (편집ìžì£¼)


ì–´ëŠ ì˜ˆìˆ ìž¥ë¥´ë‚˜ 마찬가지겠지만, ìžì‹ ë§Œì˜ ì°½ì˜ì„±ì„ 발휘하는 ì¼ì€ 무척 중요하다. 그러나 처ìŒë¶€í„° ì°½ì˜ì ì¸ ì‚¬ëžŒì€ ì—†ë‹¤. â€œëª¨ë°©ì€ ì°½ì¡°ì˜ ì–´ë¨¸ë‹ˆâ€ë¼ëŠ” ë§ì²˜ëŸ¼, ëª¨ë°©ì„ í†µí•´ 기본기를 충분히 ìµí˜”ì„ ë•Œ ì°½ì˜ì„±ì€ 비로소 ë¹›ì„ ë°œí•œë‹¤. ë¯¼í™”ë„ ë‹¤ë¥´ì§€ 않다. í•„ìžëŠ” ë¯¼í™”ì˜ ê¸°ë³¸ì„ ì¶©ì‹¤ížˆ ìµížˆê¸° 위해 <ì¡°ì¼ì„ ê´€ë„>, <호피장막ë„>, <삼국지ë„> ë“±ì˜ ì „í†µë¯¼í™”ë¥¼ 모사했다. 특히 í•œêµ­ì±„ìƒ‰í™”ì˜ ì±„ìƒ‰ê¸°ë²•ì— ì§‘ì¤‘í•´ í™”ë©´ì´ ê²¬ê³ í•´ì§€ë„ë¡ ìƒ‰ì¸µì„ ë°˜ë³µí•´ì„œ 올리는 기술 ë“±ì„ ìµížˆëŠ” ë°ì— 오랜 ì‹œê°„ì„ ë³´ëƒˆë‹¤. ë˜í•œ ë¯¼í™”ì˜ ì œìž‘ì€ ê° ìž¬ë£Œë“¤ì˜ ë¬¼ë¦¬ì  ì„±ì§ˆì— ëŒ€í•œ ì´í•´ë¥¼ 바탕으로 최ì ì˜ 안료顔料를 찾는 ì¼ì—서 시작하는 ë§Œí¼, ìƒ‰ì¸µì„ ì—¬ëŸ¬ ê²¹ ì˜¬ë ¤ë„ ë³¸ì—°ì˜ ìƒ‰ì„ ìžƒì§€ ì•Šì„ ìˆ˜ 있ë„ë¡ ë¶„ì±„ì™€ ì„ì±„ì˜ ë¬¼ë¦¬ì  ì„±ì§ˆì— ëŒ€í•´ 연구했고, ëŒ€ê¸°ì˜ ìŠµë„와 온ë„ì°¨ì— ë”°ë¼ ê°€ê°åŠ æ¸›í•˜ì—¬ 사용하는 ì•„êµì˜ ì„±ì§ˆì„ ê³µë¶€í–ˆìœ¼ë©°, ìƒ‰ì˜ ì¤‘ì²©ì„ ê²¬ëŽŒì•¼ 하는 순지 ë“±ì— ëŒ€í•´ì„œë„ ì—°êµ¬í–ˆë‹¤. ì´ì²˜ëŸ¼ ë¯¼í™”ì˜ ê¸°ë³¸ê¸°ë¥¼ 나름대로 열심히 연구하고 학습한 후ì—, í•„ìžëŠ” 비로소 ë¯¼í™”ì˜ ë³€ìš©ì„ ì ê·¹ 고민하기 시작했다.

â€˜ë‚˜ë§Œì˜ ë¯¼í™”â€™ë¥¼ 위해 다양한 재료를 ì´ìš©í•˜ë‹¤


í•„ìžê°€ 머무는 안ë™ì€ ì²œì—°ì—¼ìƒ‰ì´ ë¬´ì²™ 활성화 ë˜ì–´ 있다. ì²œì—°ì˜ ìƒ‰ì´ ì£¼ëŠ” 미묘한 ì•„ë¦„ë‹¤ì›€ì— ë§¤ë£Œëœ í•„ìžëŠ” 순지 ëŒ€ì‹ ì— ë©´, 광목, ì¸ê²¬, 비단 ë“±ì„ ë°”íƒ•ì§€ë¡œ 활용하는 시ë„를 했다. 다양한 질ê°ì˜ ì²œì— ê°ì—¼, 먹염, 애기똥풀염, 소목염, 황토염, 호ë‘ê»ì§ˆì—¼, 쪽염, ê°ì—¼ ë“±ì„ í•˜ê³ , ì—¼ìƒ‰ëœ ì²œì„ ì†Œê¸ˆë¿Œë¦¬ê¸°, 비틀어 먹물 뿌리기, ë†ë‹´ì„ 달리한 ë¨¹ë¬¼ì— ì°¨ë¡€ëŒ€ë¡œ 담그기 등으로 재차 염색한 다ìŒì— â€˜ë‚˜ë§Œì˜ ë¯¼í™”â€™ë¥¼ 제작했다.
그렇게 태어난 작품 중 하나가 <미ì¸ë„>(ë„1)다. 안ë™ì˜ 전통 미ì¸ìƒì„ 현대ì ìœ¼ë¡œ 표현한 것으로, 앞면 채색ì—는 중색é‡è‰² 효과를 줬고, ìƒ‰ì˜ ì„ ëª…ë„를 높ì´ê¸° 위해 ë¹„ë‹¨ì˜ ë’·ë©´ë„ ì±„ìƒ‰í–ˆë‹¤. 그리고 í™”ë©´ì˜ ë³€ìƒ‰ê³¼ ì–¼ë£©ì´ ì§€ëŠ” ê²ƒì„ ì§€ì—°ì‹œí‚¤ê¸° 위해 ìƒ‰ì¸µì„ ë°˜ë³µí•´ì„œ 올렸다.


<모란과 ë…¸ë‹ë‹¤>(ë„2)ì—서는 ì¸ê²¬ì— ë¨¹ì—¼ì„ í•´ ëª¨ëž€ì´ í©ë‚ ë¦¬ëŠ” 공룡시대를 표현했다. ì˜í™” 등 ë¯¸ë””ì–´ì˜ ì˜í–¥íƒ“ì— ë°±ì•…ê¸° 하면 í”히들 난í­í•œ ê³µë£¡ì´ ì—¬ê¸°ì €ê¸°ì— ìžˆì–´ 다소 í­ë ¥ì ì´ë©° 혼란한 ëª¨ìŠµì„ ë– ì˜¬ë¦°ë‹¤. ì´ ìž‘í’ˆì€ â€˜ìš°ë¦¬ì˜ íŽ¸ê²¬ì´ë‚˜ ìƒìƒê³¼ëŠ” 달리, 백악기는 사실 í‰í™”ë¡­ì§€ 않았ì„까?’ 하는 ë°œìƒì—서 비롯ë다. í•„ìžëŠ” ì´ëŸ¬í•œ ë°œìƒì„ 토대로 물질문명과 ë¶„ë¦¬ëœ ë˜ ë‹¤ë¥¸ í˜•íƒœì˜ â€˜íƒœí‰ì„±ëŒ€â€™ë¥¼ ìƒìƒí•˜ë©° 공룡과 ë¶€ê·€ì˜ ìƒì§•ì¸ ëª¨ëž€ì„ ì ‘ëª©í–ˆë‹¤. 먼저 ê³µë£¡ì´ ì‚´ë˜ ì‹œê¸°ì˜ ë°°ê²½ì„ ìƒìƒí–ˆê³ , ì´ë¥¼ 표현하기 위해 ë¶ˆìˆœë¬¼ì„ ëº€ ì¸ê²¬ì„ ë¬¼ì— ì ì‹  후 비틀어 ë¨¹ë¬¼ì„ ë¶“ê³  6ê°œì›”ì„ ë§ë ¸ë‹¤. ê·¸ ë‹¤ìŒ í™”ë©´ì˜ êµ¬ë„를 ìƒê°í•˜ë©´ì„œ ë¨¹ë¬¼ì„ ë¶€ë¶„ì ìœ¼ë¡œ 여러 번 수세水洗해 ë°”íƒ•ì„ ê·¸ë ¸ë‹¤. 물ê°ì€ ë‘께ê°ì„ 전달하기 위해 주로 분채를 사용했다.
<초충ë„>(ë„3)는 베란다 ë°©ì¶©ë§ì— ë¶™ì–´ìžˆë˜ ì‚¬ë§ˆê·€ë¥¼ ë³´ê³  ì˜ê°ì„ 받아 제작했다. ì˜¤ëž˜ëœ ê³ ëª©ì˜ ê±°ì¹œ ê»ì§ˆì„ 표현하기 위해 먼저 ì¸ê²¬ì„ ê°ë¬¼ë¡œ 염색하고, ê°ìƒ‰ì´ 깊어진 í›„ì— ì²œì„ êµ¬ê¸°ê³  ìª½ì—¼ì„ ë”í•´ ë¶‰ì€ ëª¨ëž€ê³¼ 함께 배치했다. 사마귀 등ê»ì§ˆì—는 분채와 금분으로 ëª¨ëž€ë¬¸ì–‘ì„ ë„£ì–´ 통ì¼ê°ì„ ì£¼ê³ ìž í–ˆë‹¤.
<초충ë„>(ë„4)는 무당벌레 떼가 í©ë‚ ë¦¬ê³  있는 꽃가루를 향해 모여드는 ìž¥ë©´ì„ í‘œí˜„í•œ 것ì´ë‹¤. 무당벌레는 민화ì—서 í”히 ì´ìš©ë˜ëŠ” ê³¤ì¶©ì€ ì•„ë‹ˆë‹¤. 그러나 실제 ìžì—°ì—서 무당벌레는 꽃ì´ë‚˜ í’€ 등ì—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ë˜í•œ 꽃만í¼ì´ë‚˜ 예ì˜ê¸° ë•Œë¬¸ì— ì†Œìž¬ë¡œ ì‚¼ì•„ë³´ê³ ìž í–ˆë‹¤. 먼저 ë©´ì— ê°ë¬¼ì— ì –ì€ ì²œì„ êµ¬ê¸°ê³  비틀었다. ë‹¤ìŒ êµ¬ê²¨ì§„ ì²œì— ë¨¹ë¬¼ì„ ë¿Œë¦¬ê³  다림질한 후 분채로 채색했다. ë©´ì€ ë‘께가 얇아 다루기 힘들며, 특히 물ê°ì´ 쉽게 번지기 ë•Œë¬¸ì— ì±„ìƒ‰ì´ ê¹Œë‹¤ë¡­ë‹¤. 그러므로 면으로 작업할 경우ì—는 í‰ì†Œë³´ë‹¤ 빠르게 ë¶“ì§ˆì„ í•˜ê³ , ë¶“ì— ë¬¼ë„ ì ê²Œ 먹여야 한다.
<모란ë„>(ë„5)ì—서는 형ì‹ì— 구애받지 않고 화면과 색채를 ìžìœ ë¡­ê²Œ 구성하려 노력했다. í•˜ëŠ˜ì„ í–¥í•´ 위로 올ë¼ê°€ëŠ” ì‹ë¬¼ì˜ íŠ¹ì„±ì„ ë°˜ì˜í•˜ê¸° 위해 í™”ë©´ì„ ëˆ•í˜”ë‹¤. í™”ë©´ì˜ ìƒë‹¨ì„ ìž˜ë¼ ìž‘í’ˆì— ê¸´ìž¥ê°ì„ 주었고, 반대로 화면 하단ì—는 ì—¬ë°±ì„ ë‘ì–´ ì‹œì„ ì´ ì¤‘ì‹¬ì„ í–¥í•˜ë„ë¡ ì˜ë„했다. 색채는 보다 ë°ê³  명쾌하게 구성하기 위해 ì˜¤ë°©ìƒ‰ì„ ì¤‘ì‹¬ìœ¼ë¡œ 다양한 ìƒ‰ì„ ë°°í•©í–ˆë‹¤.


소중한 우리 민화, ê³„ì† ì—°êµ¬í•  것

우리 민화ì—는 중국화나 공필화(工筆畵, 세밀하고 ì •êµí•˜ê²Œ 그리는 ì¤‘êµ­ì˜ ì „í†µíšŒí™” 기법중 하나) í˜¹ì€ ì¼ë³¸í™”ì—서 ë³¼ 수 없는 ìš°ë¦¬ë§Œì˜ ìƒ‰ì´ ë‹´ê²¨ 있다. 한국 ë¯¼í™”ì˜ ì´ëŸ¬í•œ ë…창성과 ê³ ìœ ì„±ì€ ì•žìœ¼ë¡œë„ ìž˜ 보존해서 지켜나가야 í•  문화유산ì´ë‹¤. ë‹¤í–‰ížˆë„ ë§Žì€ ìž‘ê°€ì™€ í•™ìžë“¤ì´ 우리 ê³ ìœ ì˜ ìƒ‰ì— ë…¹ì•„ìžˆëŠ” ì •ì‹ ì˜ í•´ì„, ìƒì§•ì  ì˜ë¯¸ ë“±ì„ ë‹¤ì–‘í•˜ê²Œ 연구하고 있다. í•„ìžë„ 작품 활ë™ì„ 한 ì§€ ì–´ì–¸ 40ë…„ì´ ë다. ë…¹ë¡ì¹˜ë§Œì€ 않았지만, ìƒ‰ì˜ ì¤‘ì²©ìœ¼ë¡œ ì ì°¨ 견고해지는 í™”ë©´ì„ ë³´ë©° ê¸°ë‹¤ë¦¼ì„ ë°°ì› ê³ , 언제 ëë‚ ì§€ 모를 ë§Œí¼ ìˆ˜ë§Žì€ ë¶“ì§ˆì„ í•˜ë©´ì„œ í‰ì˜¨í•¨ì„ 알았다. 민족ì ìœ¼ë¡œë„, 그리고 ê°œì¸ì ìœ¼ë¡œë„ 소중한 ìš°ë¦¬ì˜ ì±„ìƒ‰í™”ê°€ í’성하게 꽃피울 수 있ë„ë¡ í•„ìžëŠ” 앞으로 ë” ê¹Šì€ ê´€ì‹¬ì„ ê°€ì§€ê³  민화 채색화를 ê³„ì† ì—°êµ¬í•  것ì´ë‹¤.


글·그림 ë°°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