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ë‹«ì´ ì²« 번째 ì´ì•¼ê¸° – 조선시대 반닫ì´ì˜ 숨겨진 매력

â–² 박천반닫ì´. 82x41x72cm, ì¡°ì„ 

ë°˜ë‹«ì´ ì²« 번째 ì´ì•¼ê¸°
조선시대 반닫ì´ì˜ 숨겨진 매력

“강화반닫ì´ëŠ” 억대가 넘는 비싼 ê°€ê²©ì— ê°ížˆ ì—„ë‘ë„ ëª» ë‚´ê² ê³ , 여유가 ë˜ë©´ 수수하고 구수한 ë§›ì´ ë„˜ì³ ë‚˜ëŠ” ë‚˜ì£¼ë°˜ë‹«ì´ í•˜ë‚˜ 모셔다가 ë§¤ì¼ ë§¤ì¼ ë¬¸ì§€ë¥´ê³  닦고 ì¦ê¸°ë©´ 얼마나 좋ì„까 하는 ìƒê°ì„ 해본다. ê·¸ ì†ì— 철지난 ì˜·ì„ ë„£ì–´ì–´ê³  ì±…ë„ ë„£ê³  ì¼ê¸°ìž¥ë„ 거기다 집어넣고 í¼ì§€ë§‰í•œ 무쇠 ìžë¬¼í†µë„ 채우고…. ë°˜ë‹«ì´ ìœ„ì—는 지난 ì¼ìš”ì¼ ì•„ì¹¨ í’물시장ì—서 ìš´ 좋게 건져온 ì²­í™”ë°±ìž í•­ì•„ë¦¬ë¥¼ 떡하니 올려놓고 ê·¸ ì•žì— íŒ”ì„ ê´´ê³  비스듬히 누워 ë³´ë©´ 어떨까.†박주열 대표가 들려주는 ë°˜ë‹«ì´ ê·¸ 소박한 ì•„ë¦„ë‹¤ì›€ì— ëŒ€í•œ ì´ì•¼ê¸°.

w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약 2ê°œì›”ì— ê±¸ì³ í˜¸ë¦¼ë°•ë¬¼ê´€ì—서 조선시대 ë°˜ë‹«ì´ ì „ì‹œíšŒê°€ 열렸다. 우리 ì¡°ì„ ì˜ ì „í†µ 반닫ì´, ë”ìš±ì´ ë‚¨ë¶ì„ ë§ë¼í•˜ëŠ” ì¡°ì„  팔ë„ì˜ ê°ì¢… 반닫ì´ë¥¼ 한곳ì—서 ë³¼ 수 있어 매우 유ìµí•˜ê³  뜻 ê¹Šì€ ì „ì‹œíšŒì˜€ë‹¤. ì•žìœ¼ë¡œë„ ì´ëŸ¬í•œ ìœ í˜•ì˜ ê³ ë¯¸ìˆ  관련 전시회가 ë§Žì´ ìžˆìœ¼ë©´ 얼마나 좋ì„까 하는 ìƒê°ì„ 해본다. 물론 êµ­ê°€ ë˜ëŠ” í•™êµ ê¸°ê´€ì—서 ìš´ì˜í•˜ëŠ” ë°•ë¬¼ê´€ì´ ë§Žì´ ìžˆê¸°ì— ìš°ë¦¬ì˜ ì†Œì¤‘í•œ ê³ ë¯¸ìˆ í’ˆì„ ì´í•´í•˜ê³  ê°ìƒí•  수 있는 기회가 ë§Žì´ ìžˆê¸°ëŠ” 하지만 ì´ë²ˆ ë°˜ë‹«ì´ ì „ì‹œíšŒì™€ ê°™ì´ ë‹¨í’ˆ ìœ„ì£¼ì˜ ê¹Šì´ ìžˆê³  기íšì ì¸ 고미술품 전시회를 접하기는 쉽지 ì•Šì€ ë“¯í•˜ë‹¤. 좀 ë” ë§Žì€ í™ë³´ë¥¼ 하여 관심 있는 ì‚¬ëžŒë“¤ì´ ê³µìœ í•˜ê³  ì†Œì¤‘í•¨ì„ ë‚˜ëˆŒ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ì´ë‹¤.
ì£¼ë³€ì˜ ì—¬ëŸ¬ 사람들과 ì´ì•¼ê¸°ë¥¼ 나누다보면 ìš°ë¦¬ì˜ ê³ ë¯¸ìˆ í’ˆì„ ë§¤ìž…í•˜ì—¬ 소장하고 ì‹¶ì€ ì´ë“¤ì´ 많지만, ë§‰ìƒ ì–´ëŠ ê²ƒì„ ì†Œìž¥í•´ì•¼ í• ì§€ 몰ë¼ì„œ ë§ì„¤ì´ëŠ” 경우가 ë§ŽìŒì„ 알 수 있다. ì„¸ìƒ ëª¨ë“  ê²ƒì´ ê·¸ëŸ¬í•˜ë“¯ì´ ì´ ë¶„ì•¼ ë˜í•œ ë§Žì´ ì ‘í•˜ê³  ê³µë¶€ë„ ì—´ì‹¬ížˆ 해야 ì¢‹ì€ ìœ ë¬¼ì„ ì†Œìž¥í•˜ê¸°ë„ í•˜ê³  ì¦ê¸¸ ìˆ˜ë„ ìžˆìœ¼ë¦¬ë¼ ìƒê°ëœë‹¤.
ì´ë²ˆì—는 우리가 ì „êµ­ ì–´ëŠ ê³ ë¯¸ìˆ í’ˆì ì— ë“¤ì–´ê°€ë„ ì‰½ê²Œ ë³¼ 수 있는 반닫ì´ì— 대하여 ë‘ ë²ˆìœ¼ë¡œ 나누어 ì´ì•¼ê¸°í•˜ê¸°ë¡œ 한다. 6월호ì—서는 반닫ì´ì— 대한 ì „ë°˜ì ì¸ ê²ƒë“¤ì„ ì•Œì•„ë³´ê³ , ë‹¤ìŒ ë‹¬ì—는 ê° ì§€ì—­ë³„ 반닫ì´ì˜ 특성, 형태 ë“±ì„ ì´ì•¼ê¸°í•˜ì—¬ 앞으로 우리가 반닫ì´ë¥¼ í¬í•¨í•œ 우리전통 ê³ ë¯¸ìˆ í’ˆì„ ì„ ë³„í•˜ê³  ì†Œìž¥í•˜ëŠ”ë° ì¡°ê¸ˆì´ë‚˜ë§ˆ ë„ì›€ì´ ë˜ê¸°ë¥¼ 바란다.

w1

조선시대 반닫ì´ì˜ 특징

반닫ì´ëŠ” 안방, 사랑방, 대청 ë˜ëŠ” ê´‘ì´ë‚˜ ë‹¤ë½ ë“± ë§Žì€ ì£¼ê±° 공간ì—서 다양하게 ì“°ì¸ ìˆ˜ìž¥ê°€êµ¬ì´ë©° ê¸€ìž ê·¸ëŒ€ë¡œ ë³´ë©´ ê°€êµ¬ì˜ ë°˜ìª½ì„ ì—¬ë‹«ëŠ”ë‹¤ 해서 붙여진 ì´ë¦„으로 ìš°ë¦¬ë‚˜ë¼ ì‚¬ëžŒì´ë©´ 누구나가 한 ë²ˆì¯¤ì€ ë“¤ì–´ë³¸ 어딘지 모르게 친근ê°ì´ ëŠê»´ì§€ëŠ” 그러한 단어ì´ë‹¤.
국어사전ì—서 반닫ì´ì˜ ì‚¬ì „ì  ì˜ë¯¸ë¡œ 찾아보면 â€œì•žì˜ ìœ„ìª½ ì ˆë°˜ì´ ë¬¸ì§ìœ¼ë¡œ ë˜ì–´ 아래로 젖혀 여닫게 ëœ ê¶¤ ëª¨ì–‘ì˜ ê°€êµ¬â€ë¼ê³  ì •ì˜í•˜ê³  있으며 ë°œìŒìƒìœ¼ë¡œëŠ” 구개ìŒí™”ë˜ì–´ 『반Ë다지ã€ë¡œ 하지만 올바른 표기는 『반닫ì´ã€ë¡œ 하고 외래어로는 『Bandajiã€ë¼ê³  쓴다.
ì´ëŸ¬í•œ 반닫ì´ëŠ” ê¶¤ì˜ í•œ ì¢…ë¥˜ì— ì†í•˜ëŠ”ë° ê¶¤ë¥¼ 살펴보면 í¬ê²Œ ë‘ ê°€ì§€ì˜ í˜•íƒœê°€ 있ìŒì„ 알 수 있다. 즉 ê°™ì€ ì‚¬ê° ìƒìž ëª¨ì–‘ì˜ ë°˜ë‹«ì´ í˜•íƒœì˜ ê¶¤ì´ì§€ë§Œ 하나는 ìƒë¶€ì˜ 천íŒì´ ë‘면으로 í¬ê²Œ 나뉘어져 ì•žìª½ì˜ ë©´ì„ ìœ„ë¡œ 들어 올려 ì—´ê³  ë‹«ë„ë¡ êµ¬ì„±ëœ ìœ„ë‹«ì´ê°€ 있고, 다른 하나는 ì•žë©´ì˜ ë°˜ì„ ë‚˜ëˆ„ì–´ 위쪽 ë°˜ì„ ì•žìœ¼ë¡œ 당겨 여닫는 ì•žë‹«ì´ í˜•íƒœê°€ 있다.
다시 정리하면 궤를 ì•žì— ë†“ê³  ë³´ì´ëŠ” 그대로 볼때, ì›ì¹™ì ìœ¼ë¡œëŠ” ìƒíŒì¤‘ 앞쪽 ë°˜ì„ ë“¤ì–´ 올려 ì—´ê³  ë‹«ë„ë¡ ì œìž‘ëœ ê¶¤ë¥¼ 『위닫ì´ê¶¤ã€ë¼ 부르게 ë˜ê³ , ì•žì˜ ìœ„ìª½ ë°˜ì„ ì•žìª½ìœ¼ë¡œ 당겨 ì—´ê³  ë‹«ë„ë¡ ì œìž‘ëœ ê¶¤ë¥¼ 『앞닫ì´ê¶¤ã€ë¼ 부른다. 그러나 ì´ ì¤‘ 우리가 보통 궤ë¼ê³  부르는 ê²ƒì€ ìœ„ë‹«ì´ê¶¤ë¥¼ ë§í•˜ë©° ì´ë²ˆì— ì´ì•¼ê¸°í•˜ëŠ” 반닫ì´ëŠ” 앞닫ì´ê¶¤ì— 해당한다.

w1

í”한 ê°€êµ¬ì˜€ë˜ ë°˜ë‹«ì´ì˜ 주요한 ìš©ë„

w2

ì¡°ì„ ì‹œëŒ€ì— ë°˜ë‹«ì´ëŠ” ì–‘ë°˜ì´ê±´ ìƒë¯¼ì´ê±´ í•  것 ì—†ì´ ê°€ìž¥ ë§Žì´ ì‚¬ìš©í•˜ë˜ ê°€êµ¬ 중 하나ì´ë©° ê° ê°€ì •ì— ì´ ë°˜ë‹«ì´ í•œë‘ ê°œì¯¤ì€ ê°–ê³  있었다. 주로 ì˜ë³µ, ì±…, 제기 ë“±ì„ ê°„ìˆ˜í•˜ì˜€ëŠ”ë° ì¡°ì„ ì‹œëŒ€ì—는 ì‹ ë¶„ 계층, 주íƒë‚´ì˜ 수장위치 ë˜ëŠ” í¬ê²ŒëŠ” ì§€ì—­ì— ë”°ë¼ ê·¸ 사용 ìš©ë„ê°€ 서로 달ëžë‹¤.
살림 꽤나 í•˜ë˜ ì§‘ì•ˆì—서는 ë°˜ë‹«ì´ ì†ì— ì±…ì´ë‚˜ 귀중문서를 따로 보관하거나 제기 등 ìƒí™œìš©í’ˆì„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ë„ë¡ íŠ¹ë³„í•œ ìš©ë„로
제작하였고, ì¼ë°˜ 서민 가정ì—서는 장·ë†ì„ 대신하여 ì•ˆë°©ì— ì˜ë³µ ë“±ì„ ìˆ˜ë‚©í•˜ëŠ” 수장가구로 쓰였으며 반닫ì´ìœ„ì— ì´ë¶ˆì´ë‚˜ 함, 항아리 등 ìƒí™œ ìš©êµ¬ë“¤ì„ ì˜¬ë ¤ë†“ê³  ì‚¬ìš©í•˜ê¸°ë„ í•˜ì˜€ë‹¤. 간혹 청빈한 ì„ ë¹„ì˜ ì‚¬ëž‘ë°©ì—는 ì±… ë“±ì„ ë³´ê´€í•˜ê¸° 위한 í­ì´ ì¢ê³  무늬가 화려하지 않으나 ê¸°í’ˆì´ ìžˆì–´ ë³´ì´ëŠ” 반닫ì´ê°€ 있었다.

r1

반닫ì´ë¥¼ ì´ë£¨ê³  있는 구성 요소

fd

외형ì ìœ¼ë¡œëŠ” í¬ê²Œ 몸체와 ì´ë¥¼ 지탱하여 주는 다리 ë¶€ë¶„ì´ ìžˆê³ , ë‚´ë¶€ì—는 ê°ì¢… 수납 장치를 한 ê²ƒë“¤ì´ ìžˆë‹¤.
â‘  몸체 부분 중ì—서는 반닫ì´ì˜ ì–¼êµ´ì— í•´ë‹¹í•˜ëŠ” ì „ë©´(문íŒê³¼ 앞ë„)ì´ ìžˆê³ , 몸체(천íŒ, 측ë„, ë’·ë„, ì•„ëž«ë„)로 구분할 수 있다. 언뜻 ë³´ì´ê¸°
로는 반닫ì´ê°€ 단순하게 ì§œì¸ êµ¬ì¡°ë¡œ ë³´ì´ë‚˜ ê° íŒë“¤ì˜ ë¬¼ë¦¼ì„ ì£¼ë„하는 결구 기법 ë“±ì€ ë§¤ìš° 견고하게 짜여 있ìŒì„ 알 수 있다.
천íŒê³¼ 측ë„ì˜ ì§œìž„ìƒˆëŠ” ëª©ìž¬ì˜ ì“°ìž„ì— ë”°ë¼ì„œ 달리 ë˜ì—ˆëŠ”ë° ê°€ë ¹ íŒìž¬ë¥¼ 가로로 ì‚¬ìš©í–ˆì„ ë•Œì—는 앞íŒê³¼ 측ë„, 측ë„ê³¼ ë’·ë„ì„ ì‚¬ê°œì§œìž„ì´ë‚˜ ì£¼ë¨¹ìž¥ì‚¬ê°œì§œìž„ì„ í•œ 후 ê°ìž¡ì´ë¡œ ì´ë¥¼ 한 번 ë” ë³´ê°•í•œ ê²ƒì´ ëŒ€ë¶€ë¶„ì´ë©°, 천íŒê³¼ 측ë„ì„ ë§žì§œìž„ìœ¼ë¡œ ì•„êµë¡œ 붙여 고정하거나 ê°ìž¡ì´ë¡œ ë³´ê°•í•˜ê¸°ë„ í•˜ì˜€ë‹¤.
목재를 세로로 ì‚¬ìš©í–ˆì„ ë•Œì—는 천íŒê³¼ 측ë„, 측ë„ê³¼ ì•„ëž«ë„ì„ ì‚¬ê°œì§œìž„í•˜ê³  ë§žì§œìž„ì„ í•˜ì—¬ ê°ìž¡ì´ë¡œ 보강하거나 나무못으로 ë°•ì•„ ê³ ì •í•˜ê¸°ë„ í•˜ì˜€ëŠ”ë° ì´ëŠ” ë‚˜ë¬´ì˜ ëª©ë¦¬ê°€ ì¼ì •한 방향으로 수축ë˜ë©´ì„œ 가구가 뒤틀어지는 ê²ƒì„ ë°©ì§€í•˜ê³ ìž í•˜ëŠ” ì„ ì¡°ë“¤ì˜ ì„¸ì‹¬í•œ 배려와 지혜를 ë³¼ 수 있다.
ëŒ€ë¶€ë¶„ì˜ ë°˜ë‹«ì´ ê²½ìš° 외부ì ìœ¼ë¡œ ë³¼ 때 앞면 ìœ„ìª½ì˜ ê°œíê¸°ëŠ¥ì„ í•˜ëŠ” ì•žë‹«ì´ í˜•íƒœì— ì¶”ê°€ì ìœ¼ë¡œ ì™¸ë¶€ì— ì„œëž ë“± 부수ì ì¸ 수납 장치를 추가하여 ì œìž‘ëœ ë°˜ë‹«ì´ë„ 간혹 있으나 ì¼ë°˜ì ìœ¼ë¡œëŠ” 단순한 ê¸°ëŠ¥ë§Œì„ í•˜ê³  있다.
â‘¡ 반닫ì´ì˜ 다리는 몸체를 지탱하여 주며 안정과 ê· í˜•ì„ ì´ë£¨ëŠ” 효과와 방습, ë°©ì¶©ì˜ ì—­í• ì„ í•˜ëŠ” 중요한 기능 ë“±ì„ í•œë‹¤.
í¬ê²Œ 3가지로 분류해 ë³¼ 수 ìžˆëŠ”ë° í˜„ì¡´ 전래ë˜ëŠ” 반닫ì´ì˜ 다리 형태 중 가장 ë§Žì´ ì ‘í•  수 있는 ì¼ë°˜ì ì¸ 형태는 족대형으로 나무 ê°ìž¬ë¥¼ 몸통 í•˜ë‹¨ì— ë¶€ì°©í•˜ì—¬ 반닫ì´ë¥¼ 지탱하ë„ë¡ í•˜ì—¬ 마치 ì°ë§¤ë¥¼ ì—°ìƒì¼€ 하는 형태ì´ë‹¤.
다ìŒìœ¼ë¡œëŠ” 간혹 ê°•í™”ë°˜ë‹«ì´ ë“±ì—서 ë³¼ 수 있는 다리 모양ì¸ë° 몸체를 받치고 있는 형태가 매우 안정ì ìœ¼ë¡œ ë³´ì´ëŠ” ë§ˆëŒ€í˜•ì´ ìžˆë‹¤. ì´ëŠ” ìž¥ë¡±ì˜ ë‹¤ë¦¬ë¶€ë¶„ê³¼ ê±°ì˜ í¡ì‚¬í•œ 형태ì´ë‹¤.
마지막으로 분류한 ê²ƒì€ ì¼ì²´í˜•ì¸ë° ì „í›„ì¢Œìš°ì˜ íŒìž¬ê°€ 바닥면까지 ì´ì–´ì ¸ 다리와 하나로 ì´ë£¨ì–´ì§„ 형태를 ë§í•œë‹¤.
â‘¢ ë‚´ë¶€ 구조를 살펴보면 ë°˜ë‹«ì´ ì£¼ì¸ì˜ 취향 ë˜ëŠ” 지역ì ì¸ 특수성 등으로 ë°˜ë‹«ì´ ë‚´ë¶€ì— ë³„ë„로 수납 장치를 구비한 경우를 ë³¼ 수 있다.
분류해 ë³´ë©´, ëŒ€ë¶€ë¶„ì˜ ê²½ìš° 반닫ì´ì˜ ë¬¸ì„ ì—´ì—ˆì„ ë•Œ 특별한 ë‚´ë¶€ ê¸°ëŠ¥ì´ ì—†ì´ ë‚´ë¶€ ê³µê°„ì„ ì „ì²´ì ìœ¼ë¡œ 사용할 수 있ë„ë¡ ë§Œë“  공간형, ë‚´ë¶€ì— ë„ì„ ì„¤ì¹˜í•˜ì—¬ 선반처럼 사용하게 만든 선반형, ì±… ë“±ì„ ë³´ê´€í•  수 있ë„ë¡ ë§ˆì¹˜ ìš”ì¦˜ì˜ ì±…ê½‚ì´ í˜•íƒœì™€ 비슷하게 만든 íƒìží˜•, 서ëžì„ 만들어 ë„£ì€ ì„œëží˜• ë˜ëŠ” 문갑형 등 다양하다.

장ì‹ì„±, ê¸°ëŠ¥ì„±ì˜ ë‘ ê°€ì§€ ì—­í•  하는 금ì†ìž¥ì„

장ì„ì€ ëª©ê°€êµ¬ì˜ ê¸°ëŠ¥ì ì¸ ë³´ê°• 목ì ê³¼ ë”불어 장ì‹ì ì¸ 효과를 유ë„하고 있다. 여기ì—는 우리 ì„ ì¡°ì˜ ë‹¨ìˆœ ì†Œë°•í•˜ë©´ì„œë„ ê¹Šì€ ìƒí™œì² í•™ê³¼ 조형ì ì¸ ì•„ë¦„ë‹¤ì›€ì´ ë‹´ê²¨ì ¸ 있으며 ëª©ìž¬ì˜ ìˆ˜ì¶• íŒ½ì°½ì„ ë§‰ìœ¼ë©´ì„œ íž˜ì˜ êµ¬ì‹¬ì„ ìž¡ì•„ì£¼ëŠ” ì—­í•™ì  êµ¬ì‹¤ê¹Œì§€ 함께 하고 있다. 특히 반닫ì´ëŠ” 문íŒì´ 무거워 견고한 ê²½ì²©ì„ í•„ìš”ë¡œ 하며 ë§Žì€ ë¬¼ê±´ì„ ë„£ì–´ ë‘ê¸°ì— ë‹¤ë¥¸ 가구들보다 금ì†ìž¥ì„ì´ ë°œë‹¬ëœ ê²ƒì´ íŠ¹ì§•ì´ë‹¤.
반닫ì´ì˜ 금ì†ìž¥ì„ì—는 뻗침대, 경첩, 들쇠, 고리, ìžë¬¼ì‡  ë“±ì˜ íŠ¹ì§•ì ì¸ 기능과 앞바탕, 귀장ì„, ê°ìž¡ì´, ê´‘ë‘ì •, ìžë¬¼ì‡  받침대, ë°°ê¼½ìž¥ì„ ë“±ì˜ ì—­í•™ì ì¸ ë³´ê°• ê¸°ëŠ¥ì´ ìžˆë‹¤. 장ì„ì€ ëª©ê°€êµ¬ì˜ ì´ìŒìƒˆì™€ ì§œìž„ìƒˆì˜ êµ¬ì¡°ì  ë³´ê°•ìž¥ì¹˜ë¡œì„œì˜ ê¸°ëŠ¥ ì´ì™¸ì—ë„ ëª©ê°€êµ¬ì˜ ì™„ì„±ë¯¸ë¥¼ ë‹ë³´ì´ê²Œ 하는 금ì†ì˜ 장ì‹ì ì¸ ê¸°ëŠ¥ë„ í° ë¹„ì¤‘ì„ ì°¨ì§€í•œë‹¤. ì´ê²ƒì€ ë‚˜ë¬´ê²°ì˜ ì•„ë¦„ë‹¤ì›€ê³¼ ë”불어 ì€ì€í•˜ê³  화사한 ì •ê°ì„ ëŠë¼ê²Œ í•˜ëŠ”ë° ê³µê°„ì˜ êµ¬ì„±ê³¼ ë©´ ë¶„í• ì´ ê°€ì ¸ì˜¤ëŠ” 조형ì ì¸ íŠ¹ì§ˆì„ ê³ ë ¤í•˜ì—¬ ì ìž¬ì ì†Œì— 장ì„ì„ ë°°ì¹˜í•œ ì„ ì¡°ë“¤ì˜ ì‹¬ë¯¸ì•ˆì— ê¸°ì¸í•œ 것ì´ë‹¤.

44

반닫ì´ì˜ 재료가 ë˜ëŠ” 주요 목재

우리나ë¼ëŠ” 국토가 남ë¶ìœ¼ë¡œ 길게 ë»—ì–´ 있고 사계가 뚜렷하다. ë¶ìœ¼ë¡œë¶€í„° 남으로 ì´ì–´ì§€ëŠ” 지역 별 ê°ì¢… 침엽수 ë° í™œì—½ìˆ˜ ë“±ì´ ë‹¤ì–‘í•˜ê²Œ ë¶„í¬ë˜ì–´ ìžˆê¸°ì— ê³±ê³  아름다운 목리를 ì´ìš©í•œ 목가구를 ë§Žì´ ì œìž‘ í•  수 있었다. 특히 ë°˜ë‹«ì´ ì œìž‘ì— ë§Žì´ ì‚¬ìš©ëœ ëª©ìž¬ë¡œëŠ” 소나무, ëŠí‹°ë‚˜ë¬´, ì€í–‰ë‚˜ë¬´, 피나무, 오ë™ë‚˜ë¬´, ê°ë‚˜ë¬´, 배나무 ë“±ì„ ë“¤ 수 있다.
â‘  소나무는 ì „ ì§€ì—­ì„ í†µí•´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ì´ê¸°ì— ë§Žì´ ì‚¬ìš©ë˜ì—ˆë‹¤. 소나무는 마디가 ì ê³  비êµì  ë°€ë„ê°€ 좋아 마른 후ì—ë„ ìž˜ ê°ˆë¼ì§€ê±°ë‚˜ 트는 ì¼ì´ ì ì–´ 반닫ì´ë¥¼ ë§Œë“œëŠ”ë° ì•„ì£¼ 유용한 목재 중 하나ì´ë‹¤.
â‘¡ ëŠí‹°ë‚˜ë¬´ëŠ” 괴목ì´ë¼ê³ ë„ ë¶€ë¥´ëŠ”ë° ì´ëŠ” ëŠë¦…ë‚˜ë¬´ê³¼ì— ì†í•œë‹¤. ëŠí‹°ë‚˜ë¬´ëŠ” ëª©ì§ˆì´ ê³§ê³  단단하며 ë‚˜ë¬´ê²°ì´ ì•„ë¦„ë‹µê³  ìœ¤ì´ ë‚˜ëŠ” ì¢‹ì€ ëª©ìž¬ë¡œì„œ 반닫ì´ë¥¼ 제작하는 ë° ê³¨ìž¬ì™€ íŒìž¬ë¡œ 고루 ì“°ì¸ë‹¤. 주로 ì „ë¼ë„ ì§€ì—­ì˜ ë°˜ë‹«ì´ì—서 쉽게 ë³¼ 수 있다.
â‘¢ ì€í–‰ë‚˜ë¬´ëŠ” í”히 í–‰ìžëª©ì´ë¼ê³ ë„ ë¶€ë¥´ëŠ”ë° ìš°ë¦¬ë‚˜ë¼ ì „ ì§€ì—­ì— ê³ ë£¨ ë¶„í¬í•˜ëŠ” 편ì´ë‹¤. ê²½ê¸°ë„ ì§€ì—­ì´ ë‹¨ì—° ë§Žê³  ì¶©ì²­ê³¼ ì „ë¼ ì§€ì—­ì—ë„ ë§Žì´ ìžˆìœ¼ë©° 눈매가 좋아 반닫ì´ì˜ 재료로 ë§Žì´ ì“°ì¸ë‹¤.
â‘£ 피나무는 연한 í™©ê°ˆìƒ‰ì„ ë ëŠ” 백색 계통으로 목리가 별로 없고 ìž¬ì§ˆì´ ì—°í•˜ë‚˜ 잘 트지 않아 ë°˜ë‹«ì´ ìž¬ë£Œë¡œ 좋다. 주로 중부 ì´ë¶ ì§€ì—­ì˜ ì§€ì§ˆì— ì í•©í•˜ë©° ì´ë¶ì§€ì—­ 반닫ì´ì—서 ë§Žì´ ë³¼ 수 있다.
⑤ ê°ë‚˜ë¬´ 역시 ì „êµ­ ê°ì§€ì— ë¶„í¬í•˜ëŠ”ë° ì¶”ìœ„ì— ì•½í•˜ì—¬ 남쪽 지방ì—서 ë§Žì´ ìƒìœ¡í•œë‹¤.
ìž¬ì§ˆì´ ì—°í•˜ê³  치밀하며 ëˆˆì´ ì—†ì–´ 고급 가구재로 ë§Žì´ ì“°ì´ëŠ”ë° ê°„í˜¹ ì¶”ìƒí™”를 보는 듯한 먹ê°ë‚˜ë¬´ì˜ íŒìž¬ë¡œ ì œìž‘ëœ ë°˜ë‹«ì´ë¥¼ ë³¼ 수 있다.

 

글 : 박주열(나ë½ì‹¤ 갤러리 대표)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