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작가로 가는 등용문 기량 í–¥ìƒì˜ 지름길

민화 작가로 가는 등용문 기량 í–¥ìƒì˜ 지름길
ì „êµ­ 규모 민화공모전 완벽 ê°€ì´ë“œ

ë¯¼í™”ê³µëª¨ì „ì€ ë¯¼í™”ìž‘ê°€ë“¤ì—게 작품활ë™ì˜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주고, 기량 í–¥ìƒì˜ 통로ì´ìž ì‹ ì¸ë“¤ì˜ 등용문 역할까지 하는 ì¢‹ì€ ì œë„ì´ë‹¤. 현재 실시ë˜ê³  있는 민화계 ê³µëª¨ì „ì˜ ë‚´ìš©ì„ í•˜ë‚˜í•˜ë‚˜ ìžì„¸ížˆ 살펴보고, 민화 ê³µëª¨ì „ì˜ í˜„ì£¼ì†Œ, 나아가 ì•žìœ¼ë¡œì˜ ë¹„ì „ê¹Œì§€ë¥¼ 살펴보려고 한다. 민화 ê³µëª¨ì „ì— ëŒ€í•œ 종합ì ì´ê³  ìžì„¸í•œ ê°€ì´ë“œëŠ” ê³µëª¨ì „ì„ í†µí•´ ìžì‹ ì˜ ê¸°ëŸ‰ì„ í™•ì¸í•˜ê³  보다 치열하고 활발한 작품 활ë™ì˜ 계기로 삼으려는 ë§Žì€ ë¯¼í™”ìž‘ê°€ë“¤ì—게 ì¢‹ì€ ì •ë³´ê°€ ë  ê²ƒì´ë‹¤.

ì „êµ­ 규모 민화공모전 완벽 ê°€ì´ë“œ

‘공모전’ì´ëž€ ë¬¸ìž ê·¸ëŒ€ë¡œ ‘공개 모집한 ìž‘í’ˆì„ ê²½í•©ì‹œì¼œ ìž…ìƒìž‘ì„ ì„ ì •í•˜ê³  ì´ë¥¼ 전시하는 전시회’를 ë§í•œë‹¤. ê³µëª¨ì „ì€ ìž‘ê°€ë“¤ì˜ ì°½ìž‘ ì˜ìš•ì„ ë¶ë‹ìš°ê³  실력향ìƒì— 기여하는가 하면 참신한 ì‹ ì¸ ë°œêµ´ì˜ ê¸°íšŒë¥¼ 마련하는 등 여러 ê¸ì •ì ì¸ ê¸°ëŠ¥ì„ ì§€ë‹Œ ì œë„다. 장르를 막론하고 ì˜ˆìˆ ì˜ ì–´ëŠ ë¶„ì•¼ë“  ê³µëª¨ì „ì´ ìžˆëŠ” ê²ƒì€ ë°”ë¡œ ì´ëŸ¬í•œ ì´ìœ  때문ì´ë‹¤.
당연히 우리 민화계ì—ë„ ì´ë¯¸ 서너 ê°œì˜ êµµì§í•œ ê³µëª¨ì „ì´ ë§¤ë…„ 개최ë˜ê³  있다. ê·¸ 중ì—는 10ë…„ì„ ë„˜ì–´ì„œëŠ” ì—°ë¥œì„ ìžëž‘하는 ê³µëª¨ì „ë„ ìžˆê³  새롭게 탄ìƒí•œ ê³µëª¨ì „ë„ ìžˆë‹¤. ê³µëª¨ì „ì˜ ì—´ê¸° ë˜í•œ ë‚˜ë‚ ì´ ëœ¨ê±°ì›Œê°€ê³  있다.
다 알고 있는 사실ì´ì§€ë§Œ, ê³µëª¨ì „ì´ ì„±ë¦½ë˜ë ¤ë©´ 몇 가지 ì¡°ê±´ì´ ì¶©ì¡±ë¼ì•¼ 한다. ìš°ì„  â€˜ê³µê°œëª¨ì§‘â€™ì´ ê°€ëŠ¥í•  ë§Œí¼ ì €ë³€ì´ ë„“ì–´ì•¼ 하고 ‘경ìŸì„ 통한 ì„ ì •â€™ì´ ì˜ë¯¸ê°€ ìžˆì„ ë§Œí¼ ìž‘ê°€ì˜ ê¸°ëŸ‰ì´ ì¼ì • ìˆ˜ì¤€ì— ì˜¬ë¼ ìžˆì–´ì•¼ 한다. 다시 ë§í•˜ìžë©´ ìž‘ê°€ì˜ ìˆ˜ê°€ 충분히 확보ë¼ì•¼ 하고 치열한 ê²½ìŸì´ ì´ë£¨ì–´ì§ˆ ë§Œí¼ ìž‘í’ˆì˜ ì „ë°˜ì ì¸ 수준 ë˜í•œ 뛰어나야 한다는 ë§ì´ë‹¤.
ë¯¼í™”ê³„ì— ì„œë„ˆ ê°œì˜ ê³µëª¨ì „ì´ ì¡´ìž¬í•˜ê³  ëª¨ë‘ ëœ¨ê±°ìš´ 열기 ì†ì—서 개최ë˜ê³  있다는 ê²ƒì€ ë¯¼í™”ê³„ê°€ ì´ëŸ¬í•œ ì¡°ê±´ì„ ì´ë¯¸ 충분히 충족시키고 있ìŒì„ 뜻한다. 최근 들어 민화 ì¸êµ¬ê°€ 급ì†ížˆ ì¦ê°€í•˜ê³  ë¯¼í™”ê³„ì˜ ì™¸ì—°ì´ í¬ê²Œ 넓어지고 있다는 ì¦ê±°ëŠ” 여러 ê³³ì—서 ì°¾ì„ ìˆ˜ 있지만, 공모전ì´ì•¼ë§ë¡œ 그러한 ì‚¬ì‹¤ì„ í™•ì¸ì‹œì¼œ 주는 가장 í™•ì‹¤í•˜ë©´ì„œë„ ì¤‘ìš”í•œ ì¦ê±°ë¼ê³  í•  수 있다.
ì´ë²ˆí˜¸ì—서는 현재 실시ë˜ê³  있는 ë¯¼í™”ê³„ì˜ ê³µëª¨ì „ì˜ ë‚´ìš©ì„ í•˜ë‚˜í•˜ë‚˜ ìžì„¸ížˆ 살펴보고, 민화 ê³µëª¨ì „ì˜ í˜„ì£¼ì†Œ, 나아가 ì•žìœ¼ë¡œì˜ ë¹„ì „ê¹Œì§€ë¥¼ 살펴보려고 한다. 무엇보다 민화 ê³µëª¨ì „ì— ëŒ€í•œ ì´ì²˜ëŸ¼ 종합ì ì´ê³  ìžì„¸í•œ ê°€ì´ë“œëŠ” ê³µëª¨ì „ì„ í†µí•´ ìžì‹ ì˜ ê¸°ëŸ‰ì„ í™•ì¸í•˜ê³  보다 치열하고 활발한 작품 활ë™ì˜ 계기로 삼으려는 ë§Žì€ ë¯¼í™”ìž‘ê°€ë“¤ì—게 ì¢‹ì€ ì •ë³´ê°€ ë  ê²ƒì´ë‹¤.
현재 ë¯¼í™”ê³„ì˜ ëŒ€í‘œì ì¸ 공모전으로는 조선민화박물관(관장 오ì„환)ì´ ì£¼ìµœí•˜ëŠ” ‘김삿갓문화제전국민화공모전’, (사)한국민화협회(회장 ì‹ ë™ì‹)ê°€ 주최하는 ‘전국민화공모전’. 한국전통민화협회(회장 윤ì¸ìˆ˜, ì´ì‚¬ìž¥ ì‹ ì˜ìˆ™)ê°€ 주최하는 ‘한국전통민화협회전국공모전’ 그리고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ê°€ 주최하는 â€˜ëŒ€ê°ˆë¬¸í™”ì¶•ì œí˜„ëŒ€ë¯¼í™”ê³µëª¨ì „â€™ì„ ê¼½ì„ ìˆ˜ 있다. ì´ì¤‘ 김삿갓문화제전국민화공모전과 í•œêµ­ë¯¼í™”í˜‘íšŒì „êµ­ë¯¼í™”ê³µëª¨ì „ì€ ë¹„êµì  ì—°ë¥œì´ ì˜¤ëžœ 공모전ì´ê³  전통민화협회전국공모전과 ëŒ€ê°ˆë¬¸í™”ì¶•ì œí˜„ëŒ€ë¯¼í™”ê³µëª¨ì „ì€ 3ë…„ ë¯¸ë§Œì˜ ì‹ ìƒ ê³µëª¨ì „ì´ë‹¤. ì´ë“¤ ë¯¼í™”ê³µëª¨ì „ì€ ì£¼ìµœ ë‹¨ì²´ì˜ ì„±ê²©ì— ë”°ë¼ ê°ê¸° 개성있는 ë°©ì‹ìœ¼ë¡œ ìš´ì˜ë˜ë©° ë¯¼í™”í™”ë‹¨ì˜ ë°œì „ì— ê¸°ì—¬í•˜ê³  있다. ì´ë“¤ ë¯¼í™”ê³µëª¨ì „ì˜ ë‚´ìš©ì„ í•˜ë‚˜ 하나 살펴보기로 한다. 소개 순서는 ì—°ë¥œì— ë”°ë¥´ë„ë¡ í•œë‹¤.

01. 김삿갓문화제 전국민화공모전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ê¹€ì‚¿ê°“ë¬¸í™”ì œì „êµ­ë¯¼í™”ê³µëª¨ì „ì€ ì˜ì›”ì˜ ì¡°ì„ ë¯¼í™”ë°•ë¬¼ê´€(관장 오ì„환)ì´ ì£¼ìµœí•˜ëŠ” 민화공모전ì´ë‹¤. 지난 2000ë…„ 첫 회 행사를 치른 ì´ëž˜ 지난해까지 한 í•´ë„ ê±°ë¥´ì§€ 않고 개최ë˜ì–´ 올해로 15회째를 맞게 ë˜ëŠ” ê´€ë¡ì˜ 공모전으로서 민화계를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공모전ì´ë¼ê³  í•  수 있다. ì´ ê³µëª¨ì „ì€ ì´ë¯¸ 2000년대 ì´ˆì— ë¯¼í™”ê³„ì˜ ê¸‰ê²©í•œ ë°œì „ì„ ì˜ˆê²¬í•œ 오ì„환 ê´€ìž¥ì˜ í˜œì•ˆì´ ë§Œë“¤ì–´ë‚¸ ‘작품’ì´ë¼ê³  í•  수 있다.
오 ê´€ìž¥ì€ 2000ë…„ 7ì›” 박물관 개관과 함께 바로 ì´ ê³µëª¨ì „ì„ ì‹¤ì‹œí•¨ìœ¼ë¡œì¨ ê³µëª¨ì „ì„ ì¡°ì„ ë¯¼í™”ë°•ë¬¼ê´€ì˜ íŠ¸ë ˆì´ë“œ 마í¬ë¡œ ì‚¼ê³ ìž í–ˆë˜ ê²ƒì´ë‹¤. ì´ëŸ° ì ì—서 ë¯¼í™”ê³µëª¨ì „ì˜ ì„ êµ¬ë¥¼ ì´ë£¬ 공모전ì´ë¼ê³ ë„ í•  수 있다.
ê³µëª¨ì „ì€ ì²« 회부터 민화계 ì•ˆíŒŽì˜ í° ê´€ì‹¬ì„ ëŒë©° ë°œì „ì— ë°œì „ì„ ê±°ë“­í•˜ë©´ì„œ ì˜¤ëŠ˜ì— ì´ë¥´ë €ë‹¤. ì²˜ìŒ ì‹œìž‘ 단계ì—서는 지방 박물관 í–‰ì‚¬ì˜ í•˜ë‚˜ë¡œ ì¡°ì´í•˜ê²Œ 시작ë˜ì—ˆìœ¼ë‚˜ 회를 거듭하면서 권위를 ë”í•´ ì´í›„ ì˜ì›”êµ°ì˜ ì ê·¹ì ì¸ 후ì›ì— 힘입어 ì˜ì›”ì„ ëŒ€í‘œí•˜ëŠ” ì¶•ì œì¸ â€˜ê¹€ì‚¿ê°“ë¬¸í™”ì œâ€™ì˜ ì¤‘ìš”í•œ í–‰ì‚¬ì˜ í•˜ë‚˜ë¡œ ìžë¦¬ 잡게 ë˜ì—ˆë‹¤. í˜„ìž¬ì˜ ì •ì‹ëª…ì¹­ì¸ â€˜ê¹€ì‚¿ê°“ë¬¸í™”ì œì „êµ­ë¯¼í™”ê³µëª¨ì „â€™ì´ ì´ëŸ¬í•œ ë‚´ë ¥ì„ ìž˜ ë§í•´ì£¼ê³  있다. 대ìƒì˜ ìƒê²©ë„ 처ìŒì˜ ‘ì˜ì›”군수ìƒâ€™ì—서 ì œ4회 대회 때부터는 ‘강ì›ë„지사ìƒâ€™ìœ¼ë¡œ, ì œ6회 대회 때부터는 ‘문화체육부장관ìƒâ€™ìœ¼ë¡œ 바뀌었다.
ìƒê¸ˆì˜ 규모 ë˜í•œ 급격히 커져 ì œ1회 대회 때 ëŒ€ìƒ ìƒê¸ˆì€ 1백만 ì›ì´ì—ˆìœ¼ë‚˜ ì´í›„ ê±°ì˜ ë§¤ë…„ ì¸ìƒì„ ê±°ë“­í•´ ì§€ë‚œí•´ì¸ 2013ë…„ì˜ ê²½ìš° ëŒ€ìƒ ìƒê¸ˆì€ 무려 1천5백만 ì›ì„ 기ë¡í–ˆë‹¤. ì´ê°™ì€ ìƒê¸ˆ 규모는 현재 시행ë˜ê³  있는 민화공모전 중 단연 최다액ì´ë‹¤.

 

김삿갓문화제전국민화공모전 ì—°ë„별 수ìƒìž 명단
ë…„ë„심사위ì›ëŒ€ìƒìµœìš°ìˆ˜ìš°ìˆ˜
2000
(1회)
윤열수, 송기태,
김만í¬, 윤문ìž,
오ì„환
송창수/기호신선ë„조순옥/기호신선ë„박순선/기호신선ë„
2001
(2회)
ì´ì˜ìž, 서공임,
오ì„환
전혜숙/ 황룡ë„ì •ì˜í¬/ê´´ì„모란ë„
(4í­ë³‘)
서민ìž/초충ë„
2002
(3회)
안ì˜í˜œ, ì´ì •ë™,
오ì„환
박창순/화훼ë„
(8í­)
정정순/ì±…ê°€ë„
(가리개)
ì´ì„ ë¯¸/작호ë„
2003
(4회)
금광복, ì •ë³µì„,
박수학, ì´ì •옥,
오ì„환
서민ìž/호렵ë„조순옥/ì±…ê°€ë„김제민/êµ°ë´‰ë„
2004
(5회)
ë°•ê·¼ìž, 윤ì¸ìˆ˜,
안종í˜, ì´ì •옥,
오ì„환
오ì¸íš¨/호피장막ë„
(가리개)
ì´ì„ êµ¬/해학반ë„ë„ì´ì •순/십장ìƒë„
2005
(6회)
정병모, ì´í˜•기,
ì´ì •옥, 고광준,
오ì„환
김제민/효행ë„
(10í­ë³‘)
ë³‘í’ : 윤명섭/책거리ë„
(가리개)
ë³‘í’ : 강경숙/기명소과ë„
(4í­ë³‘)
ì•¡ìž : ê³ ì •ì• /ì¼ì›”오봉ë„
2006
(7회)
ê¹€ì˜ìž¬, 서경ì‹,
임정명, 박미향,
오ì„환
윤ì¼ìˆ˜/십장ìƒë„
(8í­ë³‘)
ë³‘í’ : ì›ì„±ëž€/화조ë„
(8í­ë³‘)
ì•¡ìž : 주성준/í¬ë³´ìž‘호ë„
ë³‘í’ : ì •ë™ê¸°
문방ë„(6í­ë³‘)/ì±…ê°€ë„
2007
(8회)
ê¹€ì˜ìž¬, 김용권,
ì´ë¬¸ì„±, 박순ìž,
오ì„환
ì´ëª…í¬/요지연ë„
(8í­ë³‘)
ë³‘í’ : ì „ì •ì‹/팔선ë„
(8í­ë³‘)
ì•¡ìž : 송ì˜ì˜¥/송학ë„
ì•¡ìž : ë°°ì˜ìˆ˜/ì¼ì›”ë¶€ìƒë„
2008
(9회)
김용권, ì´ì •ê·¼,
권정순, ì´ê·œì™„,
오ì„환
ê¹€ì´ëž‘/금강산ë„
(12í­ë³‘)
ë³‘í’ : 민봉기/ë½ë„
(8í­ë³‘)
ì•¡ìž : 전미향/구룡ë„
ë³‘í’ : ì´í˜„ìž/ë°±ë™ìžë„
(8í­ë³‘)
ì•¡ìž : 한임선/파초ë„
2009
(10회)
김용권, 변종필,
김제ì´ë¶„, ì´ê·œì™„,
오ì„환
ì´ë™ìž/화성능행ë„
(10í­ë³‘)
ë³‘í’ : ì •ì„ ì˜/ì±…ê°€ë„
(8í­ë³‘)
ì•¡ìž : 조명í¬/봉황ë„
ë³‘í’ : 유순ë•/요지연ë„
(8í­ë³‘)
ì•¡ìž : 장종êµ/송학ë„
2010
(11회)
정병모, ê¹€ìƒì² ,
김재춘
황ì€ìž/문ìžë„ë³‘í’ : 유순ë•/곽분양행ë½ë„
(10í­ë³‘)
ì•¡ìž : 김선정/ì±…ê°€ë„
ë³‘í’ : 강효진/해금강장ìƒë„(4í­ë³‘)
ì•¡ìž : 문선ì˜/송하맹호ë„
2011
(12회)
ê³ ì •ì• , ê¹€í¬ì„ ,
최신í¬, ê¹€ìƒìˆ˜,
오ì„환
강효진/조선왕조 옥새와 ë´‰í™©ë³‘í’ : 문선ì˜/삼국지연ì˜ë„
(가리개)
ì•¡ìž : 김선정/책가기명ë„
ë³‘í’ : ê¹€í¬ìˆœ/í‰ìƒë„
(8í­ë³‘)
ì•¡ìž : 지민선/군호ë„
2012
(13회)
김용권, 정병모,
서민ìž, 주성준
문선ì˜/군호ë„
(10í­ë³‘)
ë³‘í’ : 임애ìž/ë™ê¶ë„
(6í­ë³‘)
ì•¡ìž : 엄기ì›/ê±°ë¶ì´ë¶€ë¶€
ë³‘í’ : 지민선/태조어진
(3í­ë³‘)
ì•¡ìž : 김혜경/3ì›28수
2013
(14회)
ê¹€ìƒì² , 엄재권,
오ì¸íš¨, 김제민,
ì—„í¥ìš©, 오ì„환
김경ìž/í•´ìƒêµ°ì„ ë„
(8í­ë³‘)
ë³‘í’ : ì›í˜œì˜/ì¼ì›”오봉ë„
(8í­ë³‘)
ì•¡ìž : 정성금/봉황ë„
창작 íŠ¹ë³„ìƒ ì¡°ë´‰ì„/í•œêµ­ì˜ ë§¥
ë³‘í’ : ë°•ì§„ì˜/정조대왕반차ë„
ì•¡ìž : í™ëŒ€í¬/군마ë„
2013ë…„ ì œ14회 ëŒ€ìƒ ê¹€ê²½ìž í•´ìƒêµ°ì„ ë„

â–²2013ë…„ ì œ14회 ëŒ€ìƒ ê¹€ê²½ìž í•´ìƒêµ°ì„ ë„

 

공모전 주요 내용

ê¹€ì‚¿ê°“ë¬¸í™”ì œì „êµ­ë¯¼í™”ê³µëª¨ì „ì€ ê³µëª¨ì „ 규정ì—서 “전통 ë¯¼í™”ì˜ ê³„ìŠ¹, 발전과 대중화를 위하여 우수한 ì‹ ì¸ ë¯¼í™” 작가를 발굴, ìœ¡ì„±í•˜ëŠ”â€ ê²ƒì„ ê°œìµœ 목ì ìœ¼ë¡œ 규정하고 있다. ì´ ê³µëª¨ì „ì€ ì˜ì›”êµ°ì˜ í›„ì› í•˜ì— ì¡°ì„ ë¯¼í™”ë°•ë¬¼ê´€ì´ ì£¼ìµœí•˜ë˜ ì´ë¥¼ 위해 별ë„ì˜ â€˜ê³µëª¨ì „ìš´ì˜ ìœ„ì›íšŒâ€™ì„ ë‘ì–´ 위ì›íšŒê°€ ê³µëª¨ì „ì˜ ì „ë°˜ì„ ì£¼ê´€í•˜ê³  있다. 현재 ê³µëª¨ì „ì€ ë§¤ë…„ ì˜ì›”ì˜ ëŒ€í‘œì ì¸ ì§€ì—­ì¶•ì œì¸ ê¹€ì‚¿ê°“ë¬¸í™”ì œì˜ ì¼í™˜ìœ¼ë¡œ ì§„í–‰ë˜ê³  있다. 참가ìžê²©ì—는 별다른 ì œí•œì´ ì—†ìœ¼ë©°, ê³µëª¨ë¶€ë¬¸ì€ ì „í†µë¯¼í™”ì™€ 창작민화 ëª¨ë‘ ìˆ˜ìš©í•œë‹¤.
ì‘모관련 ìžì„¸í•œ ì‚¬í•­ì€ ì¡°ì„ ë¯¼í™”ë°•ë¬¼ê´€(ì „í™” 033-375-6100)ì— ë¬¸ì˜í•˜ê±°ë‚˜ 박물관 홈페ì´ì§€ (www.minhwa.co.kr)를 참조하면 ëœë‹¤.

ì‘모 ë° ê°œìµœì‹œê¸°ê³µëª¨ì „ì˜ ê°œìµœ 시기는 â€˜ê¹€ì‚¿ê°“ë¬¸í™”ì œâ€™ì˜ ê°œìµœì‹œê¸°ë¥¼ 참고해 ìš´ì˜ìœ„ì›íšŒì—서 결정하지만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매년 8ì›”ì— ê°œìµœí•œë‹¤. 올해 공모 ê¸°ê°„ì€ 8ì›” 1ì¼ë¶€í„° 18ì¼ê¹Œì§€ì´ë‹¤
심사기준심사 위ì›ì€ ìš´ì˜ìœ„ì›íšŒì˜ ì¶”ì²œì„ ë°›ì•„ ìž„ëª…ëœ 4ì¸ ì´ìƒ, 7ì¸ ì´ë‚´ì˜ 위ì›ìœ¼ë¡œ 구성ëœë‹¤. 주요 ìžê²©ì€ 민화관련 ì„박사 학위를 소지한 í•™ìž, ìž‘ê°€ì˜ ê²½ìš°ì—는 15ë…„ ì´ìƒì˜ 활ë™ê²½ë ¥ì„ 가졌거나 민화관련 êµìœ¡ê¸°ê´€ì—서 3ë…„ ì´ìƒ 민화를 ì§€ë„하고 있는 사람 등ì´ë‹¤. 심사ì—서는 â–²ë¯¼í™”ì˜ ëŠë‚Œê³¼ ê¸°ë²•ì˜ ì „í†µì„±â–²ì˜ˆìˆ ì„±â–²êµ¬ë„, 색, ì„ , 재료 등 전문성▲참신한 ì°½ì˜ì„± 등ì´ë‹¤. ì´ë“¤ 항목 중 가장 중요한 ë¶€ë¶„ì€ ì°½ì˜ì„±ê³¼ 예술성으로 í•©ì‚° ì ìˆ˜ 10ì  ë§Œì ì— ê°ê° 3ì ì”©ì´ 배당ëœë‹¤.
ìž…ìƒ ë° ì‹œìƒì˜¬í•´ëŠ” 전통민화 부문과 창작민화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부문별 ì¸ì›ê³¼ ì‹œìƒ ë‚´ì—­ì€ ì•„ëž˜ì™€ 같다.

ï¼ŠëŒ€ìƒ : 1명 (문화체육관광부장관 ìƒìž¥ ë° ìƒê¸ˆ 1,500ë§Œì›)

*전통 민화 부문 : 4명(ìƒê¸ˆ : 2,000천만ì›)

최우수 : 2명(ê°•ì›ë„지사 ìƒìž¥ ë° ìƒê¸ˆ)
– 병í’, 가리개 부문 1명 : ìƒê¸ˆ 700ë§Œì›
– ì•¡ìž ë¶€ë¬¸ 1명 : ìƒê¸ˆ 500ë§Œì›
우수 : 2명(ì˜ì›”군수 ìƒìž¥ ë° ìƒê¸ˆ)
– 병í’, 가리개 부문 1명 : ìƒê¸ˆ 500ë§Œì›
– ì•¡ìž ë¶€ë¬¸ 1명 : ìƒê¸ˆ 300ë§Œì›

*창작 민화 부문 : 2명 (ìƒê¸ˆ : 800ë§Œì›)

최우수 : 1명(ê°•ì›ë„지사 ìƒìž¥ ë° ìƒê¸ˆ 500ë§Œì›)
우수 : 1명(ì˜ì›”군수 ìƒìž¥ ë° ìƒê¸ˆ 300ë§Œì›)
– 장려 : 10명(ìƒìž¥ ë° ìƒí’ˆ)
– 특선 : 20명(ìƒìž¥)
– ìž…ì„  : ì‘ëª¨ìž‘í’ˆì˜ 30% 내외(ìƒìž¥)

[/pane] [/fresh_accordion]
02. 한국민화협회 전국민화공모전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ë‹¨ë²•ì¸ í•œêµ­ë¯¼í™”í˜‘íšŒ(회장 ì‹ ë™ì‹)는 지난 1995ë…„ 설립ë˜ì—ˆë˜ ‘한국민화작가회’를 전신으로 하는 단체로 현재 활ë™í•˜ê³  있는 민화관련 단체 중 ìµœëŒ€ì˜ ê·œëª¨ì™€ ì¡°ì§ì„ ìžëž‘하는 대표ì ì¸ 작가 단체다. í•œêµ­ë¯¼í™”í˜‘íšŒì „êµ­ê³µëª¨ì „ì€ ì§€ë‚œ 2008ë…„ 한국민화작가회가 í˜„ìž¬ì˜ â€˜í•œêµ­ë¯¼í™”í˜‘íšŒâ€™ë¡œ 발전ì ì¸ íƒˆë°”ê¿ˆì„ í•˜ë©´ì„œ 새롭게 제정, 시행한 ì´í›„ 현재까지 한 í•´ë„ ê±°ë¥´ì§€ 않고 ì´ì–´ì™€ 지난해까지 ì œ6회 ê³µëª¨ì „ì„ ê°œìµœí–ˆë‹¤. 민화계 최대 ë‹¨ì²´ì˜ ê³µëª¨ì „ë‹µê²Œ 문화체육부와 (사)문화예술단체ì´ì—°í•©íšŒ, (사)한국미술협회가 후ì›í•˜ë©° 대ìƒì€ 문화체육부장관ìƒì´ë‹¤.
ì–´ëŠ ê³µëª¨ì „ì´ë‚˜ ì‹¬ì‚¬ê³¼ì •ì€ ê¹Œë‹¤ë¡­ê³  엄격하지만, 한국민화협회 ê³µëª¨ì „ì˜ ì‹¬ì‚¬ìœ„ì›ì€ ìžê²©ìš”ê±´ì´ íŠ¹ížˆ 까다로운 것으로 유명하다. 협회 입회 ìžê²©ì„ 공모전 ìˆ˜ìƒ ì‹¤ì ê³¼ 연계한 ê²ƒë„ ëˆˆì— ë„는 부분ì´ë‹¤. 즉 ê³µëª¨ì „ì— ìž…ìƒí•œ ì‚¬ëžŒì€ ì ìˆ˜ì— ë”°ë¼ íšŒì›ìžê²©ì´ 부여ë˜ëŠ” 것ì´ë‹¤. ë˜í•œ ìž…ìƒìž 중 협회가 정한 ì¼ì • ê¸°ì¤€ì„ ì¶©ì¡±ì‹œí‚¨ ì‚¬ëžŒì€ í° ê³¼ì˜¤ê°€ 없는 한 ì´ì‚¬íšŒì˜ ì˜ê²°ì— ë”°ë¼ ì¶”ì²œìž‘ê°€ ë˜ëŠ” 초대작가로 우대한다.
즉 대ìƒì„ 수ìƒí•˜ê±°ë‚˜ 우수ìƒì„ 2회 ì´ìƒ ì—°ì† ìˆ˜ìƒí•˜ê±°ë‚˜, 특선 ì´ìƒì„ ì—°ì† 3회 ì´ìƒ ìž…ìƒ í˜¹ì€ íŠ¹ì„  ì´ìƒì„ 격년으로 5회 ì´ìƒ ìž…ìƒí•œ 사람 등ì—게는 ì¶”ì²œìž‘ê°€ì˜ ìžê²©ì´ 부여ëœë‹¤. 추천작가로서 공모전 ì „ì‹œíšŒì— 5회 ì´ìƒ 참여한 사람, ë˜ëŠ” 심사위ì›ì„ 역임한 사람 중 ìš´ì˜ìœ„ì›ì˜ 추천으로 íšŒìž¥ì´ ì¶”ëŒ€í•œ 사람ì—게는 ì´ˆëŒ€ìž‘ê°€ì˜ ìžê²©ì´ 부여ëœë‹¤. í˜‘íšŒì˜ ê·œëª¨ì™€ ì¡°ì§ì— 비해 ìƒê¸ˆ 규모는 그리 í¬ì§€ 않지만, 권위는 대단한 ì…ˆì´ë‹¤.

 

한국민화협회 전국민화공모전 ì—°ë„별 ì‹¬ì‚¬ìœ„ì› ë° ìˆ˜ìƒìž
1회(2008)2회(2009)3회(2010)4회(2011)5회(2012)6회(2013)
심사위ì›ì†¡ê·œíƒœ, 김남ì¼, 윤ì˜í•„, 서경ì‹, ì´í˜•기, 박순ìž, 권정순, 권청ìž, ê³ ì •ì• , 김미ì˜, ê¹€ìƒìˆ˜, ì‹ ë™ì‹, 양문ìž, ì •ë™ê¸°, ì¡°ì€í¬ìž„ì˜ì£¼, ì‹ íƒê·¼, 정병모, 박수학, 금광복, íƒì˜ì˜, ì´ëª…í¬, 심명순, 김재춘, 정화순, 성기순, ì´í¬ì£¼, ì •ì˜ì• , 류성ìží—ˆê· , ì´ì˜ìˆ˜,
김용권, ì •ë³µì„, 윤ì¸ìˆ˜, 윤ì¼ìˆ˜, ì´ì •ë™, ë°•ê·¼ìž, ì´ìƒê¸ˆ, ê°•ë•ìž, 박찬민, ê³ ì •ì• 
박수학, 금광복, 차장섭, 엄재권, 정하정, 윤문ìž, 조경애, ì´í¬ì£¼, 권정순, 서민ìž, 임애ìž, ì—°ì •í¬ê¹€ìš©ê¶Œ, 고재ì‹, 김제민, ê¹€ìƒì² , 박진명, 송용섭, ì´ëª…í¬, ì´ì •옥, 오ì¸íš¨, ì´ì •ë™, 윤ì¸ìˆ˜ì´ì›ë³µ, 김미ì˜, 박찬민, 성기순, 송창수, ì´ëª…í¬, ì´ì¸ìˆ™, 임부경, 전소빈, ì „ì •ì‹, 정하정, 주성준
대ìƒì´ì„ êµ¬ë¬¸ì„ ì˜ì´í—Œìˆ˜ì „ì§„í¬ì›í˜œì˜í—ˆì—°ìš±
최우수ìƒë‚˜ìœ ë¯¸ë°•효심지민선오ì¸íš¨, 천í¬ì„ ì´ê²½ìˆ™ì • 현
ìš°ìˆ˜ìƒ ê¹€ì§€í˜œ, ì´ì˜ë•, ì´í—Œìˆ˜ê°•혜정, ì´í—Œìˆ˜, 지선배김애란, 김옥지, ì „ì§„í¬ê¹€ë¯¼ì„±, 송순ìž, 최남숙ì´ì˜ì›, 최ì¸ìˆ™, í™ëŒ€í¬ê¹€ë¬¸ìˆ™, 장윤ì˜, 최남숙
특별ìƒë°•진수김명순성혜숙-ì´ì˜ë‘, í—ˆìˆœë²”ê³µë¡œìƒ : ì´ì˜ë‘, 허순범
íŠ¹ë³„ìƒ : 백정규, ì •ì€ì˜
공모전 주요 내용

한국민화협회 공모전운ì˜ìœ„ì›íšŒì˜ ìš´ì˜ê·œì •ì•ˆì€ ê³µëª¨ì „ì˜ ê°œìµœ 목ì ì— 대해 “전통 민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21세기 문화 ì‚°ì—…ì˜ í•œ 축으로 ìžë¦¬ë§¤ê¹€í•  수 있ë„ë¡ ê¸°ì„± ë¯¼í™”ìž‘ê°€ì˜ ë†’ì€ ìˆ˜ì¤€ì„ ê°€ëŠ í•¨ê³¼ ë™ì‹œì— ì—­ë™ì ì´ê³  활ë™ì ì¸ ì‹ ì¸ ìž‘ê°€ë¥¼ 발굴 육성할 목ì ìœ¼ë¡œ 개최한다†고 ë°ížˆê³  있다. 한마디로 ë¯¼í™”ì˜ ê³„ìŠ¹ë°œì „, ìž‘ê°€ì˜ ì—­ëŸ‰ ê°•í™”, 실력있는 ì‹ ì¸ì˜ 발굴 ë° ìœ¡ì„±ì— ê·¸ 목ì ì´ 있다는 ë§ì´ë‹¤. ì´ ê³µëª¨ì „ 역시 한국민화협회가 주최하ë˜, 별ë„ì˜ ê³µëª¨ì „ ìš´ì˜ìœ„ì›íšŒë¥¼ 구성, ìš´ì˜ìœ„ì›íšŒê°€ 공모전 ì „ë°˜ì„ ì£¼ê´€í•˜ë„ë¡ ë˜ì–´ 있다. 출품ìžê²©ì€ ‘민화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으로 ë˜ì–´ 있어 ìžê²©ì—는 ì–´ë–¤ ì œí•œë„ ì—†ëŠ” ì…ˆì´ë‹¤. ê³µëª¨ë¶€ë¬¸ì€ ê¶ì¤‘화를 í¬í•¨í•œ 전통민화와 창작민화ì´ë‹¤.

ì‘모 ë° ê°œìµœì‹œê¸°ê³µëª¨ì „ì€ ë§¤ë…„ 개최하며 개최 시기는 ìš´ì˜ìœ„ì›íšŒì˜ ê²°ì •ì— ë”°ë¥´ë„ë¡ í•˜ë˜ íŠ¹ë³„í•œ ì‚¬ì •ì´ ì—†ëŠ” 한 매년 10ì›”ì— ê°œìµœí•œë‹¤. 올해 ì œ7회 ê³µëª¨ì „ì˜ ê²½ìš° ì›ì„œì ‘수는 2014ë…„ 10ì›” 6ì¼(ì›”)부터 10ì¼ê¹Œì§€ì´ë©° 심사결과 발표는 10ì›” 15ì¼(수) 정오ì´ë©° ìž…ìƒìž 통보는 ì¸í„°ë„· 홈페ì´ì§€ ë° ê°œë³„ 통보를 통해 ì´ë£¨ì–´ì§„다. ìž…ìƒìž‘ì— ëŒ€í•œ 전시는 11ì›” 25ì¼(í™”)~11ì›” 30ì¼(ì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ê²½í¬ê¶ 미술관ì—서 열린다. ì‘모를 위한 ì›ì„œëŠ” 5ì›” 15ì¼(목)부터 한국민화협회 ê° ì§€ë¶€ë¥¼ 통해 êµë¶€ë˜ê¸° 시작, 현재 ì§„í–‰ 중ì´ë‹¤. ì›ì„œëŠ” ì¸í„°ë„· 홈페ì´ì§€ì—서 ë‹¤ìš´ë°›ì„ ìˆ˜ 있다.
심사기준심사위ì›ì€ 협회 ë‚´ë¶€ì˜ ì¸ì‚¬ ë° ì™¸ë¶€ ì¸ì‚¬ë¡œ ë‚˜ë‰˜ëŠ”ë° ë‚´ë¶€ 위ì›ì˜ 경우, í˜‘íšŒì˜ ê³µëª¨ì „ì— ì¶œí’ˆí•˜ì§€ 않는 사람으로서 추진 위ì›, 고문, ìžë¬¸, 작가 í™œë™ 8ë…„ ì´ìƒì¸ ìž„ì› ì¤‘ì—서 12ì¸ ì´ìƒ 15 ì¸ ì´í•˜ì˜ ì¸ì›ì„ ìš´ì˜ìœ„ì›ì—서 선임한다. ê·¸ë°–ì— 5ë…„ ì´ìƒ ê²½ë ¥ì˜ ë¯¼í™” ì´ë¡ ê°€ ë° í‰ë¡ ê°€ì™€ 타 8ë…„ ì´ìƒ ê²½ë ¥ì˜ íƒ€ 민화 단체 구성ì›ë“¤ë¡œ 외부 심사위ì›ì„ 위촉한다. ë‚´ë¶€ 심사위ì›ê³¼ 외부 심사위ì›ì˜ ë¹„ìœ¨ì€ 8:2ì´ë‹¤. ì´ëŠ” 민화협회 ìžì²´ê°€ ìµœê³ ì˜ ê¸°ëŸ‰ì„ ì§€ë‹Œ ìž‘ê°€ë“¤ì˜ ë‹¨ì²´ì´ê¸° ë•Œë¬¸ì— ê°€ëŠ¥í•œ ì¼ì¼ 것ì´ë‹¤. ì´ì™¸ì—ë„ ì‹¬ì‚¬ìœ„ì›ì€ ìš´ì˜ìœ„ì›íšŒê°€ 규정한 까다로운 ìš”ê±´ì„ ì¶©ì¡±í•´ì•¼ 한다. ì‹¬ì‚¬ê¸°ì¤€ì€ â–²ì „í†µì„±(ì „í†µë¯¼í™”ì˜ ëŠë‚Œê³¼ 기법)▲예술성(아름다움)▲전문성(구ë„, 색, ì„ , 재료 ë“±ì˜ ìˆ˜ì¤€)▲창ì˜ì„±ì˜ 네 부분으로 나뉘는ë°, 10ì  ë§Œì ì— ë°°ì ì€ ëª¨ë‘ 2.5ì ì”©ìœ¼ë¡œ ë™ì¼í•˜ë‹¤.
ìž…ìƒ ë° ì‹œìƒìž…ìƒ ë¶€ë¶„ì€ ëŒ€ìƒ, 최우수ìƒ, 우수ìƒ, 특선, ìž…ì„  등으로 나뉘는ë°, ì´ ìž…ìƒìžì˜ 수는 ì‘모ìžì˜ 50% ì •ë„ê°€ ë˜ëŠ” ê²ƒì„ ì›ì¹™ìœ¼ë¡œ 한다. 부문별 수ìƒìžì˜ 수와 시ìƒë‚´ì—­ì€ 아래와 같다.
03. 한국전통민화협회 전국공모전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사)한국전통민화협회(회장 윤ì¸ìˆ˜, ì´ì‚¬ìž¥ ì‹ ì˜ìˆ™)는 ì´ë¡€ì ìœ¼ë¡œ ì¶©ì²­ë¶ë„ ì²­ì£¼ì— ê·¼ê±°ì§€ë¥¼ ë‘” 민화단체ì´ë‹¤. 수ë„ê¶Œì´ ì•„ë‹Œ ì§€ì—­ì— ê¸°ë°˜ì„ ë‘ê³  ìžˆìœ¼ë©´ì„œë„ ì„œìš¸ ë‘ ê³³ê³¼ 충남 대전, 경남 ì°½ì›, ê²½ë¶ í¬í•­ 등 ëª¨ë‘ 5ê³³ì— ì§€ë¶€ë¥¼ 둘 ë§Œí¼ ë§Œë§Œì¹˜ ì•Šì€ íšŒì„¸ì™€ ì¡°ì§ì„ ìžëž‘하고 있다. ì´ë¥¼í…Œë©´ ‘지역 기반 ë¯¼í™”ë‹¨ì²´â€™ì˜ ëª¨ë²”ê³¼ ì „í˜•ì„ ë³´ì—¬ì£¼ê³  있는 ë‹¨ì²´ì¸ ì…ˆì´ë‹¤. ì „êµ­ê³µëª¨ì „ì€ ì˜¬í•´ë¡œ íƒ„ìƒ 10ì£¼ë…„ì„ ë§žì€ í•œêµ­ì „í†µë¯¼í™”í˜‘íšŒê°€ 지난 2012ë…„ì— ë§Œë“ , ë¬¸ìž ê·¸ëŒ€ë¡œ ì „êµ­ ê·œëª¨ì˜ ê³µëª¨ì „ì´ë‹¤.
올해로 3회째를 맞는 ì‹ ìƒ ê³µëª¨ì „ì´ì§€ë§Œ 투명하고 엄정한 심사, 다른 ê³µëª¨ì „ì— ë¹„í•´ ê²°ì½” 뒤지지 않는 ìƒê¸ˆ 규모와 사후 ì§€ì› ë“±ìœ¼ë¡œ ë‚ ì´ ê°ˆìˆ˜ë¡ ê´€ì‹¬ê³¼ 호ì‘ì„ ì–»ê³  있다.
ì´ ê³µëª¨ì „ 역시 í•œêµ­ë¯¼í™”í˜‘íšŒì˜ ê³µëª¨ì „ì²˜ëŸ¼ ì ìˆ˜ì œë¥¼ ë„ìž…, 수ìƒìžì—게 íŠ¹ì „ì„ ì£¼ê³  있는 ê²ƒì´ íŠ¹ì§•ì´ë‹¤. 즉 대ìƒì—게는 10ì , ìµœìš°ìˆ˜ìƒ 7ì , ìš°ìˆ˜ìƒ 5ì , 장려장 3ì , 특선 2ì , ìž…ì„  1ì  ë“±ì˜ ì ìˆ˜ë¥¼ 주고 ì´ ì ìˆ˜ê°€ 12ì ì„ 넘는 사람ì—게는 ì¶”ì²œìž‘ê°€ì˜ ìžê²©ì„ 부여한다.

 

한국전통민화협회 전국공모전 ì—°ë„별 수ìƒìž 명단
2012년 제1회 공모전2013년 제2회 공모전
대ìƒì°¨í˜œì˜/ì±…ê°€ë„ ê¹€í˜œì‹ - 화조ë„(8í­ ë³‘í’)
최우수ìƒí™ê¸ˆì‹¤ - 청룡ë„
유ì›í™” - 화훼ë„
김미경 - 화조ë„(병í’)
ì´ê²½ìˆ™ - 목단병í’(10í­)
ìš°ìˆ˜ìƒ ë‚¨ê¸°ë ¹ - ì±…ê°€ë„
ì´ì§€ì—° - 장화병모란
ì´ì˜ë¯¸ - ìŒë£¡ë„
ì´ì¢…ì˜ - 백호ë„
조미미 - ì±…ê°€ë„
조명숙 - 장ìƒë„
유명화 - ì¼ì›”오봉ë„
ì´ë¯¸ìž - ì±…ê°€ë„
특별ìƒ-최현숙 - 호피장막ë„
최경림 - ì±…ê°€ë„(4í­ ë³‘í’)
ê°• ì§„ - 봉황ë„
장려ìƒìœ ìž¬ì› - 백학ë„
김수진 - ê¶ëª¨ëž€
ì¡°ë™ë¦¼ - 창작
김근숙 - ì±…ê°€ë„
강미정 - ì–´í•´ë„
ë°•ì˜ì•  - 문ìžë„
ì£¼ì¢…ì„ - ì¼ì›”오봉ë„
ì˜¤ë´‰ìž - í’ì†ë„
박기숙 - 장ìƒë„
공모전 주요 내용

한국전통민화협회는 â€œë¯¼í™”ê³„ì˜ ë°œì „ì„ ë„모하고 역량있는 민화 작가를 배출하며, ë¯¼í™”ìž‘ê°€ë“¤ì˜ ìž‘í’ˆ 발표 ë° ì‹ ì¸ë“¤ì˜ 등용문 ì—­í• ì„ í•¨ìœ¼ë¡œì¨ ë¯¼í™” ìž‘ê°€ì˜ ì°½ìž‘ì˜ìš•ì„ ë†’ìž„ì€ ë¬¼ë¡  전통 ë¯¼í™”ì˜ ìš°ìˆ˜ì„±ì„ ë‚´ì™¸ì— ì•Œë¦¬ëŠ” ë°â€ ê·¸ 목ì ê³¼ 취지가 있다고 ë°ížˆê³  있다. ì´ì–´ ìš´ì˜ ì›ì¹™ìœ¼ë¡œëŠ”â–²ê³µì •í•œ 심사(ê°ê´€ì„± 있는 í•™ìžë¥¼ 비롯한 작가)â–²ìˆ˜ìƒ ìž‘ê°€ë“¤ì˜ ìƒí˜¸ê°„ ìœ ëŒ€â–²ìž‘í’ˆì˜ ì§ˆ í–¥ìƒ ë° í˜„ëŒ€ 민화가 나아갈 길 ëª¨ìƒ‰â–²ë¯¼í™”ì˜ ë¶€ê°€ê°€ì¹˜ ì°½ì¶œì— ì ê·¹ì ì¸ 기여 ë“±ì„ ì œì‹œí•˜ê³  있다. ê³µëª¨ë¶€ë¬¸ì€ ì°½ìž‘ë¯¼í™”, 전통민화 부문으로 나뉘며 ìžê²©ì— 특별한 ì œí•œì€ ì—†ë‹¤.

ì‘모 ë° ê°œìµœì‹œê¸°ê³µëª¨ì „ì€ ë§¤ë…„ 개최를 ì›ì¹™ìœ¼ë¡œ 하며 ì‘모는 8ì›” 중ì—, ìž…ìƒìž‘ 전시회는 9ì›”ì— í•œë‹¤. 올해 ì œ3회 ê³µëª¨ì „ì˜ ê²½ìš° ì ‘ìˆ˜ê¸°ê°„ì€ 8ì›” 5ì¼(í™”)~8ì›” 12ì¼(í™”)ì´ë©° 전시는 9ì›” 16ì¼(í™”)~9ì›” 21(ì¼)까지 ì¶©ë¶ ì²­ì£¼ì‹œ 예술ì˜ì „당 2층 대전시실ì—서 열릴 예정ì´ë‹¤.
ì›ì„œêµë¶€ëŠ” 해당 기간 ë™ì•ˆ 한국전통민화협회 사무국ì—서 하며 ë‹¤ìŒ ì¹´íŽ˜(‘한국전통민화협회’로 검색)를 í†µí•´ì„œë„ í•  수 있다. ê·¸ë°–ì— ê° ì§€ë¶€ë¥¼ í†µí•´ì„œë„ êµë¶€ë°›ì„ 수 있다.
ìž…ìƒ ë° ì‹œìƒìž…ìƒ ë¶€ë¬¸ì€ ëŒ€ìƒ, 최우수ìƒ, 우수ìƒ, 장려ìƒ, 특선으로 나뉘며 대ìƒì€ 1명, 최우수ìƒì€ 2명, 우수ìƒì€ 4명, 장려ìƒì€ 5명, 그리고 특선과 ìž…ì„ ì€ ë‘ìžë¦¬ 수를 뽑는다. ì˜¬í•´ì˜ ê²½ìš°, 심사결과는 8ì›” 19ì¼(í™”), 다ìŒì— ê°œì„¤ëœ â€˜í•œêµ­ì „í†µë¯¼í™”í˜‘íšŒâ€™ ì¸í„°ë„· 카페를 통해 발표ëœë‹¤. ìž…ìƒìžì— 대한 시ìƒì€ 9ì›” 16ì¼(í™”) ì²­ì£¼ì˜ˆìˆ ì˜ ì „ë‹¹ 대전시실ì—서 열린다. 시ìƒë‚´ì—­ê³¼ ìƒê¸ˆì€ 다ìŒê³¼ 같다.
04. 대갈문화축제 현대민화공모전

대갈문화축제 현대민화공모전

대갈문화축제 현대민화공모전

대갈문화축제는 í”히 ‘한국 ë¯¼í™”ì˜ ì¤‘ì¡°(中祖)’로 불리는 대갈 ì¡°ìžìš© ì„ ìƒì˜ ì—…ì ì„ 기리고, ë¯¼í™”ì˜ í™•ì‚°ê³¼ 보급, ë” ë‚˜ì•„ê°€ ë¯¼í™”ì— ëŒ€í•œ ì¸ì‹ì˜ 제고를 목ì ìœ¼ë¡œ 온 êµ­ë¯¼ì´ í•¨ê»˜ 참여하고 ì¦ê¸°ëŠ” 잔치로 기íšëœ 문화축제ì´ë‹¤. ì´ ì¶•ì œë¥¼ 기íš, 추진한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는 민화를 사랑하고 ê° ë¶„ì•¼ì—서 우리 ì „í†µë¬¸í™”ì˜ ì—°êµ¬ì™€ ì°½ë‹¬ì— ê¸°ì—¬í•´ 온 ì›ë¡œ ì¤‘ì§„ë“¤ì´ ì¤‘ì‹¬ì´ ë˜ì–´ 설립한 기구ì´ë‹¤. 송규태(ì›ë¡œ 민화작가), 안휘준(서울대 명예êµìˆ˜), 윤범모(미술í‰ë¡ ê°€), 윤열수(가회민화박물관장), ì´í˜¸ìž¬(가나아트센터 회장), 정병모(경주대 êµìˆ˜) 등 참여ì¸ì‚¬ì˜ ë©´ë©´ë§Œ ë³´ì•„ë„ ì´ ê¸°êµ¬ì˜ ì¤‘ëŸ‰ê°ì„ 실ê°í•  수 있다.
ì¡°ìžìš©ê¸°ë…사업회는 2013ë…„ ë§, 결성과 함께 ‘온 êµ­ë¯¼ì´ í•¨ê»˜ 하는 민화잔치’로 대갈문화축제를 기íš, ì´ë“¬í•´ ë²½ë‘ì¸ ì˜¬í•´ 1ì›” 3ì¼(금)부터 1ì›” 12ì¼(ì¼)까지 장장 ì—´í˜ ë™ì•ˆ 서울 ì¸ì‚¬ë™ì— 있는 ì¸ì‚¬ì•„트센터ì—서 축제를 열었다. 축제는 민화를 테마로 한 다양한 행사로 채워졌는ë°, â€˜ì „êµ­ë¯¼í™”ê³µëª¨ì „â€™ì€ ì´ í–‰ì‚¬ ì¤‘ì˜ í•˜ë‚˜ì˜€ë‹¤.
ê²°êµ­ ì´ì œ 막 1회 대회를 ì¹˜ë €ì„ ë¿ì¸ ì‹ ìƒ ê³µëª¨ì „ì´ë¯€ë¡œ ê³µëª¨ì „ì˜ í‹€ì´ ì™„ì „ížˆ 잡혔다고 í•  수는 없다. ìš´ì˜ìœ„ì›íšŒë‚˜ ìš´ì˜ê·œì • ë“±ë„ ì•„ì§ì€ 불확실한 ì ì´ 많다. 그러나 민화계와 전통문화계를 ë§ë¼í•œ í’부하고 노련한 ì¸ì êµ¬ì„±ìœ¼ë¡œ ë³¼ 때, ì´ ê³µëª¨ì „ì€ ì•žìœ¼ë¡œ í¬ê²Œ 성장해 나갈 ê°€ëŠ¥ì„±ì´ ë†’ì€ í–‰ì‚¬ë¼ê³  í•  수 있다.

공모전 주요 내용

ì´ ê³µëª¨ì „ì€ ì¡°ìžìš©ê¸°ë…사업회가 주최하고 대표ì ì¸ 민화êµìœ¡ê¸°ê´€ì¸ 가회민화아카ë°ë¯¸(ì›ìž¥ ì´í˜•기)ì˜ ì£¼ê´€ìœ¼ë¡œ 치러진다. ì£¼ìµœì¸¡ì€ ê³µëª¨ì „ì˜ ì·¨ì§€ì— ëŒ€í•´ ì¼ì°ì´ “우리 ë¯¼í™”ì˜ ì„¸ê³„í™”ë¥¼ 위해 노력한 ì„ ê°ìž ì¡°ìžìš© ì„ ìƒì˜ ëœ»ì„ ê¸°ë ¤ 세계 시장ì—서 한국 민화를 ë‹ë³´ì—¬ì¤„ 개성있는 작가를 ë°œêµ´í•˜ê³ ìž í•œë‹¤â€ê³  ë°ížˆê³  있다. ì´ë¥¼í…Œë©´ 글로벌한 ê°ê°ì„ 갖춘 ë¯¼í™”ìž‘ê°€ì˜ ë°œêµ´ì´ í•µì‹¬ì ì¸ ì·¨ì§€ì¸ ì…ˆì´ë‹¤. 실제로 ëŒ€ìƒ ìˆ˜ìƒìžì—게는 세계 ë¬¸í™”ì˜ íë¦„ì„ í˜¸í¡í•  수 있ë„ë¡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Paris 3개월 레지ë˜ìŠ¤ì˜ íŠ¹ì „ì´ ì£¼ì–´ì§„ë‹¤. ì´ëŸ° ì·¨ì§€ì— ë”°ë¼ ê³µëª¨ ë¶€ë¬¸ì„ ë³„ë„로 분류하지 않는 대신 â€˜ë¯¼í™”ì˜ íŠ¹ì„±ì„ ê¸°ë³¸ìœ¼ë¡œ í•˜ë˜ ë…ì°½ì ì´ê³  ì°½ì˜ì„±ì„ 기본으로 한 현대ì ì¸ ìž‘í’ˆâ€™ì„ ìš”êµ¬í•˜ê³  있다. ë”°ë¼ì„œ 주제와 바탕재료, ì±„ìƒ‰ë°©ì‹ ë“±ì—ë„ íŠ¹ë³„í•œ ì œí•œì„ ë‘ì§€ 않고 있다.

ì‘모 ë° ê°œìµœì‹œê¸°ê³µëª¨ì „ì˜ ê°œìµœì‹œê¸°ëŠ” ì „ì ìœ¼ë¡œ ëŒ€ê°ˆë¬¸í™”ì¶•ì œì˜ ì¼ì •ê³¼ 맞물려 있다. ì œ2회 ëŒ€ê°ˆë¬¸í™”ì¶•ì œì˜ ê¸°ê°„ê³¼ 장소는 ì•„ì§ í™•ì‹¤í•˜ê²Œ ê²°ì •ë˜ì§€ 않았으나 1회와 í° ë³€ë™ì´ 없다면 시기는 ë‚´ë…„ 1ì›” ì´ˆ, 장소는 ì¸ì‚¬ë™ ì¸ì‚¬ì•„트센터가 ë  ì „ë§ì´ë‹¤.
ìž‘í’ˆì˜ ì ‘ìˆ˜ëŠ” 8ì›” 초부터 ì‹œìž‘ë¼ 10ì›” 중순쯤 마ê°ëœë‹¤. 접수 ë°©ë²•ì€ ê°€íšŒë¯¼í™”ë°•ë¬¼ê´€ 현장 방문과 우편, ì¸í„°ë„·í™ˆíŽ˜ì´ì§€ 접수가 ëª¨ë‘ í—ˆìš©ëœë‹¤.
심사기준1차와 2차로 나누어 ê°ê° 다른 심사위ì›ë‹¨ì´ ë§¡ì•„ 진행한다. 1회 ê³µëª¨ì „ì˜ ê²½ìš°, 심사위ì›ë‹¨ì€ 1,2ì°¨ 공히 10ì—¬ ëª…ì„ ê¸°ì¤€ìœ¼ë¡œ 약 20명으로 구성ë˜ì—ˆë‹¤. 1ì°¨ì— ìœ¤ë²”ëª¨ 가천대 êµìˆ˜ë¥¼ 위ì›ìž¥ìœ¼ë¡œ 송규태, 윤열수, ì´ìƒêµ­ 씨 ë“±ì´ ì°¸ì—¬í–ˆê³  2ì°¨ì—는 ì¡°ì€ì • 미술í‰ë¡ ê°€ë¥¼ 위ì›ìž¥ìœ¼ë¡œ 안휘준, 윤범모, 정병모 씨 ë“±ì´ ì°¸ì—¬í–ˆë‹¤.
1회 ê³µëª¨ì „ì˜ 2ì°¨ 심사위ì›ìž¥ì„ ë§¡ì€ ë¯¸ìˆ í‰ë¡ ê°€ ì¡°ì€ì •씨는 ì‹¬ì‚¬ê¸°ì¤€ì— ëŒ€í•´ â€œì „í†µì˜ ê³ ìˆ˜ì™€ í˜ì‹ ì  ì ìš©, í˜¹ì€ ì˜¨ê³ ì§€ì‹ ì´ë¼ëŠ” ì„ íƒì€ ì˜¤ëŠ˜ë‚ ì˜ ë¯¼í™”ë¥¼ í‰ê°€í•˜ëŠ” ë° ì¤‘ìš”í•œ ìž£ëŒ€ìž„ì„ ëˆ„êµ¬ë„ ë¶€ì¸í•  수 ì—†ì„ ê²ƒì´ë‹¤. ì—¬ê¸°ì— ë”하여 íšŒí™”ì  ìƒëª…ì„±ì„ ê°€ëŠ¥ì¼€ 하는 ìž‘ê°€ì˜ ê¸°ëŸ‰ë„ ë„외시하지 않았다â€ê³  ë°ížˆê³  있다. 2회 공모전ì—ì„œë„ ì¶©ë¶„ížˆ 참고할 수 있는 ëŒ€ëª©ì¼ ê²ƒì´ë‹¤.
ìž…ìƒ ë° ì‹œìƒê³µëª¨ì „ ìš”ê°•ì€ ì•„ì§ í™•ì • 발표ë˜ì§€ 않았다. 그러나 올해는 공모시기를 지난해보다 ëŒ€í­ ì•žë‹¹ê²¨ 수ìƒìž‘ ë°œí‘œë„ 11ì›”ì—는 ì´ë£¨ì–´ì§ˆ ì „ë§ì´ë‹¤. 시ìƒì‹ì€ ëŒ€ê°ˆë¬¸í™”ì¶•ì œì˜ ì¼í™˜ìœ¼ë¡œ ì¶•ì œ 행사장ì—서 ì§„í–‰ëœë‹¤. 수ìƒìž‘ 전시회 역시 ì¶•ì œì˜ í•œ 행사로 기íšë˜ì–´ 행사장ì—서 행사기간 ë™ì•ˆ ê³„ì† ì§„í–‰ëœë‹¤.
ìž…ìƒ ë¶€ë¬¸ì€ ëŒ€ìƒ, 최우수ìƒ, 우수ìƒ, 장려ìƒ, 특선, 입선으로 나뉜다. 대ìƒì€ 1명, 최우수ìƒì€ 2명, ìš°ìˆ˜ìƒ 4명, ìž¥ë ¤ìƒ 5명, 특선 ë° ìž…ì„ ì€ ë‘ìžë¦¬ 수를 선정한다. ìž…ìƒìžì—게는 ìƒìž¥ê³¼ ìƒê¸ˆì´ 수여ëœë‹¤. ìž…ìƒìžì— 대한 특전으로는 앞서 ë§í•œëŒ€ë¡œ ëŒ€ìƒ ìˆ˜ìž¥ìžì—게는 프랑스 ì—°ìˆ˜ì˜ ê¸°íšŒê°€ 주어지고 최우수ìƒ, ìš°ìˆ˜ìƒ ìˆ˜ìƒìžì—게는 가회민화박물관 ì´ˆëŒ€ì „ì˜ ê¸°íšŒê°€ 주어진다.
05. 꿈나무를 키우는 민화그리기 대회

꿈나무를 키우는 민화그리기 대회

해태

어린ì´ë¥¼ 대ìƒìœ¼ë¡œ 하는 민화그리기 대회는 본격 ê³µëª¨ì „ì€ ì•„ë‹ˆì§€ë§Œ, ê·¸ë¦¼ì˜ ê¸°ëŸ‰ì„ ê²¨ë£¨ê³  ìž…ìƒìž‘ì„ ì „ì‹œí•œë‹¤ëŠ” ì ì—서 ê·¸ 취지와 형ì‹ì´ 공모전과 í¬ê²Œ 다르지 ì•Šì€ í–‰ì‚¬ì´ë‹¤. 특히 ìžë¼ë‚˜ëŠ” ê¿ˆë‚˜ë¬´ì¸ ì–´ë¦°ì´ë“¤ì„ 대ìƒìœ¼ë¡œ 하고 있다는 ì ì—서 ê·¸ ì–´ë–¤ ê³µëª¨ì „ë³´ë‹¤ë„ ì„ êµ¬ì ì´ë©´ì„œë„ ì˜ë¯¸ê°€ í° í–‰ì‚¬ë¼ê³  í•  수 있다. ê°€íšŒë¯¼í™”ë°•ë¬¼ê´€ì´ ì£¼ìµœí•˜ê³  산하êµìœ¡ê¸°ê´€ì¸ 가회민화아카ë°ë¯¸ê°€ í–‰ì‚¬ì˜ ì „ë°˜ì„ ì£¼ê´€í•˜ëŠ” ‘전국 ì–´ë¦°ì´ ë¯¼í™”ê·¸ë¦¬ê¸° 대회’와 ì¡°ì„ ë¯¼í™”ë°•ë¬¼ê´€ì´ ì£¼ìµœí•˜ê³  ì˜ì›”êµ°, ì˜ì›”êµìœ¡ì§€ì›ì²­, (사)ì˜ì›”박물관 협회가 후ì›í•˜ëŠ” ‘전국 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가 ê°ê° 10ë…„ê³¼ 8ë…„ì§¸ì— ì ‘ì–´ë“¤ì—ˆë‹¤.

 

가회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
가회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
가회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ˆë“±í•™ìƒ ë¯¼í™”ê·¸ë¦¬ê¸° 대회
  • 온ë¼ì¸ : www.gahoemuseum.org (êµìœ¡ > 민화대회 > 참가신청)
  • 팩스 : 02) 741-4766
  • 우편 : (110-260) 서울시 종로구 ê°€íšŒë™ 11-103
특징민화그리기대회는 미리 준비해 전시해 ë†“ì€ ê·¸ë¦¼ì„ ì–´ë¦°ì´ë“¤ì´ ê°ìƒí•˜ê³  ê·¸ 중 마ìŒì— 드는 ê·¸ë¦¼ì„ ë³´ê³  그리게 한다. ì´ê²ƒì€ 민화가 ì–´ë–¤ 그림ì¸ì§€, 민화 ìžì²´ì— 대한 ì¸ì‹ì´ 없거나 약한 어린ì´ë“¤ì—게 민화를 알게 하는 장치ì´ìž, ì¼ì • 수준까지는 ë³¸ì„ ì‚¬ìš©í•´ ê·¸ë¦¼ì„ ê·¸ë¦¬ëŠ” ë¯¼í™”ì˜ ì†ì„±ê³¼ ë§žì•„ 떨어지는 ë°©ì‹ì´ê¸°ë„ 하다. 어린ì´ë“¤ì—게 ë¯¼í™”ì— ëŒ€í•œ ì¸ì‹ì„ 심어주는 ë° ì¼ì°¨ì ì¸ 목ì ì´ 있는 ë§Œí¼ í˜•ì‹ì„ 너무 고집하지는 않는다. ì±„ìƒ‰ì€ ë¶“, í¬ë ˆíŒŒìŠ¤ë‚˜ 색연필 ë“±ì„ ìžìœ ë¡­ê²Œ ì‚¬ìš©í•´ë„ ëœë‹¤.
ì‘모 ë° ê°œìµœì‹œê¸°ì‘모는 보통 매해 10ì›” 중순까지다. 지난 10회 ëŒ€íšŒì˜ ê²½ìš° 10ì›” 18ì¼ê¹Œì§€ì˜€ë‹¤. ì‹ ì²­ì€ ì •í•´ì§„ ì–‘ì‹ì— ë”°ë¼ ì‹ ì²­ì„œë¥¼ 작성해 참가비와 함께 제출하면 ëœë‹¤. ë°©ë²•ì€ ì˜¨ë¼ì¸, 팩스, 우편, 대회 ë‹¹ì¼ í˜„ìž¥ì ‘ìˆ˜ë„ ê°€ëŠ¥í•˜ë‹¤. 대회는 접수 마ê°ì¼ 다ìŒë‚  열린다.
ìž…ìƒ ë° ì‹œìƒì‹¬ì‚¬ê²°ê³¼ëŠ” 대회 ì¼ì£¼ì¼ ì •ë„ í›„ì— ê°€íšŒë¯¼í™”ë°•ë¬¼ê´€ 홈페ì´ì§€ë¥¼ 통해 한다. 시ìƒì€ 매화ìƒì„ 비롯, 연꽃ìƒ, 잉어ìƒ, 모란ìƒ, 까치호랑ì´ìƒì˜ 5ê°œ ë¶€ë¬¸ì— ê±¸ì³ ì´ë£¨ì–´ì§„다. 시ìƒì‹ê³¼ 작품전시회는 어린ì´ë“¤ì˜ ë°©í•™ ì¤‘ì¸ 12ì›”ì— ì—´ë¦°ë‹¤.

 

조선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ë¦°ì´ ë¯¼í™”ê·¸ë¦¬ê¸° 대회
조선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ë¦°ì´ ë¯¼í™”ê·¸ë¦¬ê¸° 대회
조선민화박물관 주최 ì „êµ­ ì–´ë¦°ì´ ë¯¼í™”ê·¸ë¦¬ê¸° 대회
  • 온ë¼ì¸ : www.minhwa.co.kr (소ì‹ë‚˜ëˆ„기 > ìƒˆì†Œì‹ > 공고확ì¸)
  • 팩스 : 033-375-6100~1
  • 우편 : (230-822)ê°•ì›ë„ ì˜ì›”êµ° 김삿갓면 김삿갓로 432-10
특징학ìƒë“¤ì—게 우리 ë¬¸í™”ìœ ì‚°ì˜ ì†Œì¤‘í•¨ê³¼ ìš°ìˆ˜ì„±ì„ ì¼ê¹¨ì›Œì£¼ê³  ì „í†µì˜ ë§¥ì„ ìž‡ë„ë¡ í•˜ê¸°ìœ„í•´ 개최하는 대회다. 김삿갓 ë¬¸í™”ì œì˜ ì¼í™˜ìœ¼ë¡œ ì§„í–‰ë˜ì–´ ë¯¼í™”ì˜ ëŒ€ì¤‘í™”ë¥¼ 꾀하고 있다. ë°•ë¬¼ê´€ì„ ê´€ëžŒí•˜ê³  ë‹¹ì¼ í˜„ìž¥ì—서 ì§ì ‘ 민화를 그리거나, 그려온 ìž‘í’ˆì„ ì¶œí’ˆí•˜ëŠ” 방법으로 접수가 ì´ë£¨ì–´ì§„다. 현장ì—서 그릴 경우는 ê°œì¸ í™”êµ¬ë¥¼ 지참해야 한다. 민화ë¼ëŠ” í‹€ 안ì—서 주제와 사용재료, ì±„ìƒ‰ì€ ìžìœ ë¡œìš°ë©°, 작품 ê·œê²©ì€ 50×30cm(4절지) 내외다.
ì‘모 ë° ê°œìµœì‹œê¸°ì‘모는 보통 매해 9ì›” 중순까지로 올해는 9ì›” 1ì¼ë¶€í„° 15ì¼ë¡œ 예정ë˜ì–´ìžˆë‹¤. ì‘ëª¨ë°©ë²•ì€ íŒ©ìŠ¤, 우편 등으로 ìž‘í’ˆì„ ë³´ë‚´ê±°ë‚˜ 대회 당ì¼ì— 현장접수 후 행사장ì—서 그리는 ê²ƒë„ ê°€ëŠ¥í•˜ë‹¤. ì¶œí’ˆëœ ìž‘í’ˆì€ ë°˜í™˜í•˜ì§€ 않으며, ì €ìž‘ê¶Œì€ ë°•ë¬¼ê´€ì— ê·€ì†ëœë‹¤.
ìž…ìƒ ë° ì‹œìƒì‹¬ì‚¬ê²°ê³¼ëŠ” 대회 ì¼ì£¼ì¼ ì •ë„ í›„ì— ì¡°ì„ ë¯¼í™”ë°•ë¬¼ê´€ 홈페ì´ì§€ë¥¼ 통해 한다. 시ìƒì€ 대ìƒ, 최우수ìƒ, 우수ìƒ, 장려ìƒ, 특선, ìž…ì„ ì— ê±¸ì³ 65명 ì •ë„ ì„ ë°œì´ ì´ë£¨ì–´ì§„다. 시ìƒì‹ì€ 민화축제 행사장ì—서, 작품전시회는 조선민화박물관ì—서 열린다

 

글·구성 : 윤나래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