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시ì›ì— ì§ì ‘ì ì¸ ì˜í–¥ì„ 미친 <처용 그림>

– 글 김용권(겸재정선미술관 관장, 문학 박사)


《삼국유사》ì—는 9세기 ì‹ ë¼ í—Œê°•ì™•æ†²åº·çŽ‹(875~886)ë•Œì— í™œë™í•œ ì²˜ìš©ì— ëŒ€í•œ 기ë¡ì´ 다ìŒê³¼ ê°™ì´ ì í˜€ 있다.

화를 ë‚´ì§€ 않고 있으니 ì—­ì‹ ì´ ê°ë™í•˜ì—¬ 금후로는 맹세코 처용ì˜
í˜•ìš©ì„ ê·¸ë¦° 것만 ë³´ì•„ë„ ê·¸ ë¬¸ì— ë“¤ì–´ê°€ì§€ ì•Šê² ë…¸ë¼ í•˜ì˜€ë‹¤.
ì´ë¡œë¶€í„° ì‚¬ëžŒë“¤ì€ ì²˜ìš©ìƒì„ 그려 ëŒ€ë¬¸ì— ë¶™ì´ê³  ë²½ì‚¬ì§„ê²½è¾Ÿé‚ªé€²æ…¶ì„ ê¾€í–ˆë‹¤.

ì´ë ‡ë“¯ ì‹ ë¼ ë•Œë¶€í„° ì‚¬ëžŒë“¤ì€ ë¬¸ê°„ì—다 ì²˜ìš©ì˜ ì–¼êµ´ì„ ê·¸ë ¤ 사악한 ê·€ì‹ ì„ ë¬¼ë¦¬ì¹˜ê³  경사스러운 ë³µì„ ë§žì•„ë“¤ì´ëŠ” ì¼ì„ 했다. 그러나 ì•„ì‰½ê²Œë„ ê·¸ ë‹¹ì‹œì— ëŒ€ë¬¸ì— ë¶™ì˜€ë˜ <처용 그림>ì€ ì „í•˜ì§€ 않고 있다. 하지만 <처용 그림>ì´ ì–´ë–¤ 모습ì´ì—ˆëŠ”ì§€ì— ëŒ€í•´ì„œëŠ” 다ìŒê³¼ ê°™ì€ ê³ ë¬¸í—Œì„ í†µí•´ ì–´ëŠ ì •ë„는 ì¶”ì , 확ì¸í•  수 있다.
ê³ ë ¤ ë§ì—½ì˜ 문ì¸ì´ì—ˆë˜ ì´ê³¡æŽç©€(1298~1351)ì˜ ì‹œè©© <개운í¬é–‹é›²æµ¦>ì—는 “í¬ë¯¸í•˜ë‚˜ë§ˆ ì‹ ë¼ëŒ€ì˜ ë‘ ì„ ì˜¹ ì¼ì°ì´ 그림 ì†ì—서 보았네â€ë¼ëŠ” ì²˜ìš©ì— ê´€í•œ êµ¬ì ˆì´ ë‚˜ì˜¨ë‹¤. ì´ë¡œì¨ ê³ ë ¤ 시대 ì´ê³¡ë„ ì‹ ë¼ì‹œëŒ€ë¶€í„° ì‹œìž‘ëœ <처용 그림>ì„ ë³´ì•˜ë‹¤ëŠ” ê²ƒì„ ì•Œ 수 있다. ì¡°ì„  시대ì—는 <처용 그림>ì— ëŒ€í•œ 기ë¡ì´ ë”ìš± ë§Žì´ ë“±ìž¥í•œë‹¤.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ì—는 <처용 그림>ì„ ê²¹ëŒ€ë¬¸ì— ë¶™ì—¬ 액막으로 ì¼ë‹¤ê³  기ë¡ë˜ì–´ 있다. ë˜í•œ 성현(1439∼1504)ì˜ ã€Ší—ˆë°±ë‹¹ì‹œì§‘ã€‹ì—는 다ìŒê³¼ ê°™ì€ ì²˜ìš©ì— ê´€í•œ 기ë¡ì´ 있다.

ì‹ ë¼ì˜ 지난 ì¼ êµ¬ë¦„ì²˜ëŸ¼ ì•„ë“하네.
신물(처용)ì€ í•œë²ˆ ê°„ 후 ëŒì•„오질 않네.
ì‹ ë¼ ë•Œë¶€í„° ì§€ê¸ˆì— ì´ë¥´ë„ë¡ ë‹¤íˆ¬ì–´
ê·¸ ì–¼êµ´ì„ ê¾¸ë¯¸ê³  그리네.
요사를 물리치고 ë³‘ì„ ë¯¸ë¦¬ 막으려고
해마다 설날ì´ë©´ 문 ìœ„ì— ë¶™ì¸ë‹¤ë„¤.

ë˜í•œ 시대가 한참 내려온 1849ë…„ì— í™ì„모가 ì“´ 《ë™êµ­ì„¸ì‹œê¸°ã€‹ì—ë„ <처용 그림>ì„ ê²¹ëŒ€ë¬¸ì— ë¶™ì—¬ 액막ì´ë¡œ ì¼ë‹¤ê³  ì í˜€ 있다. ì´ë ‡ë“¯ ì‹ ë¼ ë•Œë¶€í„° <처용 그림>ì„ ë¬¸ì— ë¶™ì´ëŠ” 행위는 조선전기를 ê±¸ì³ í›„ê¸°, ë§ê¸°ê¹Œì§€ ê³„ì† ì´ì–´ì ¸ 왔다는 ê²ƒì„ ì•Œ 수 있다.
ì´ë ‡ë“¯ ì¡°ì„  ì‹œëŒ€ì˜ <처용 그림>ì€ ì–‘ìª½ ëŒ€ë¬¸ì— ìŒìœ¼ë¡œ 붙여 문배로 ê³„ì† ì‚¬ìš©ë˜ê±°ë‚˜ 새해 첫날 ë¬¸é–€ì— ë¶™ì´ëŠ” 세화로 보다 ë„리 사용ë˜ì—ˆë‹¤. 어떻든 삼국 시대 ì²˜ìš©ì€ ìž¡ê·€ì˜ ê·¼ì ‘ì„ ë§‰ëŠ” ê¸°ëŠ¥ì„ ë°œíœ˜í•˜ì˜€ìœ¼ë©° ì¡°ì„  시대ì—ë„ ì—¬ì „ížˆ 잡귀 퇴치ë¼ëŠ” ë³¸ëž˜ì˜ ê¸°ëŠ¥ì„ ë‹´ê³  ì¡´ì†ë˜ì—ˆë‹¤ëŠ” ê²ƒì„ ìƒˆì‚¼ 다시 ì´í•´í•˜ê²Œ ëœë‹¤. ê²°ê³¼ì ìœ¼ë¡œ <처용 그림>ì€ â€˜ë¬¸â€™ì— ë¶™ì—¬ ì¶•ì—­é€ç–«(ì—­ì‹ ì´ë‚˜ ë‚˜ìœ ì „ì—¼ë³‘ì„ ì«“ì•„ 버리는 ì¼)í•˜ê³ ìž í–ˆë˜ í’습과 관련해 가장 ì´ë¥¸ 기ë¡ì„ 가진 그림으로, 우리 ê³ ìœ ì˜ êµ¬ì—­ì‹ å€åŸŸç¥žì´ìž ë¬¸ì‹ é–€ç¥žì¸ ë™ì‹œì— ë¯¼ì¡±ì  ë²½ì‚¬ í’습과 밀접한 ê´€ë ¨ì„ ì§€ë‹Œ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