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ì†ì˜ 사ìž, ì–‘ì‹ì˜ 계보를 쫓다

ë„ 1. 계견사호, ìƒ¤ë¥¼ë°”ë¼ 1888ë…„ 수집, 프랑스 국립기메ë™ì–‘박물관

â–²ë„ 1. 계견사호, ìƒ¤ë¥¼ë°”ë¼ 1888ë…„ 수집, 프랑스 국립기메ë™ì–‘박물관

êµ¬í•œë§ ë¯¼í™”ì‹œìž¥ì—서 가장 ì¸ê¸° ë†’ì€ ê·¸ë¦¼ì€ ìƒí™œìž¥ì‹í™”였다. 특히 ìƒí™œ ì†ì˜ 공간과 ê¸°ë¬¼ì„ ì•„ë¦„ë‹µê²Œ 꾸미는 ê·¸ë¦¼ë“¤ì´ ìž˜ 팔렸다. ë¯¼ê°€æ°‘å®¶ì˜ ë‹¤ë½ì´ë‚˜ ë²½ìž¥ë¬¸ì„ ìž¥ì‹í•œ 계견사호鷄犬ç…è™Žë„ ê·¸ ì¤‘ì˜ í•˜ë‚˜ì˜€ë‹¤. 길ìƒå‰ç¥¥ì˜ ì˜ë¯¸ë¥¼ 지닌 닭·개·사ìžÂ·í˜¸ëž‘ì´ê°€ 한 세트를 ì´ë£¬ 그림ì´ë‹¤. ê·¸ëŸ°ë° ì—¬ê¸°ì— ë“±ìž¥í•˜ëŠ” ë™ë¬¼ì˜ ëª¨ìŠµì€ ì‹œëŒ€ì— ë”°ë¼ ì•½ê°„ì”© 혼ë™ì„ ì£¼ê¸°ë„ í•œë‹¤. 먼저 눈여겨 ë³¼ 대ìƒì´ ë°±ìˆ˜ì˜ ì œì™•ì¸ ì‚¬ìžë‹¤. 민화 ì†ì— 등장하는 사ìžë¥¼ ì–‘ì‹ì˜ 계보ë¼ëŠ” ë§¥ë½ì—서 살펴본다.

19세기 중엽 우리나ë¼ì˜ 세시í’ì†ì„ 기ë¡í•œ 『ë™êµ­ì„¸ì‹œê¸°æ±åœ‹æ­²æ™‚記ã€ì—는 정초正åˆê°€ ë˜ë©´ 민가ì—서 세화歲畵로 계견사호를 그려서 ë¶™ì¸ë‹¤ê³  했다. 그렇게 활용ë˜ì—ˆë˜ <계견사호> 한 세트가 íŒŒë¦¬ì˜ ê¸°ë©”ë™ì–‘ë°•ë¬¼ê´€ì— ì „í•œë‹¤. 1888ë…„ ì„œìš¸ì˜ ê´‘í†µêµ ì¸ê·¼ 시장ì—서 í”„ëž‘ìŠ¤ì¸ ìƒ¤ë¥¼ë°”ë¼Charles Varat(1842~1893)ê°€ 구입한 것ì´ë‹¤.(ë„ 1) ì •ë°©í˜•ì˜ í™”ë©´ì— ê·¸ë¦° 넉 ì ì˜ ê·¸ë¦¼ì€ ì¡°í˜•ì  ìš”ì†Œê°€ 꽤나 다채롭다. ê° ë™ë¬¼ì˜ íŠ¹ì§•ë„ ìž˜ 살렸지만, 무엇보다 색ìƒê³¼ ë„ì•ˆì˜ ë””ìžì¸ì´ 매우 뛰어나다. ë˜‘ê°™ì€ ê·¸ë¦¼ì„ ëª©íŒì— ì°ì–´ì„œ ë¶€ì ç¬¦ç±ì²˜ëŸ¼ 사용한 ì‚¬ë¡€ë„ ìžˆì–´ ì´ëŸ¬í•œ ë„ìƒì´ ë¯¼ê°„ì— ë„리 보급ë˜ì—ˆìŒì„ 알려준다.
ì´ ê¸€ì—서는 계견사호 ê°€ìš´ë° <사ìž>ì— ì´ˆì ì„ ë‘ì–´, ê·¸ ë„ìƒì˜ 실체와 ì‹œëŒ€ì— ë”°ë¼ ë³€í•˜ëŠ” ë„ìƒì˜ íŠ¹ì§•ì„ ì•Œì•„ë³´ê¸°ë¡œ 하겠다. ë¯¼í™”ì— ë“±ìž¥í•˜ëŠ” 사ìžëŠ” ë§Žì§€ 않지만, 미술사ì—서는 주로 ë¶ˆë²•ä½›æ³•ì„ ì§€í‚¤ëŠ” 용맹한 신수神ç¸ë¡œ 나오며, 불êµë¯¸ìˆ ê³¼ 밀접한 ê´€ë ¨ì´ ìžˆëŠ” ë„ìƒìœ¼ë¡œ 다루어진다. ê·¸ëŸ°ë° ì‚¬ìžëŠ” ìƒìƒì˜ ë™ë¬¼ì¸ 해치와 ìƒê¹€ìƒˆê°€ 유사하여 간혹 해치로 간주ë˜ê¸°ë„ 했고, 심지어 전형ì ì¸ 해치를 그린 것으로 보는 ê²½ìš°ë„ ìžˆë‹¤. 그렇다면 계견사호 ì†ì˜ <사ìž>는 과연 사ìžì¼ê¹Œ? 아니면 해치를 그린 것ì¼ê¹Œ?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ì„  중기 í‰ë°° ì† ì‚¬ìžì™€ í•´ì¹˜ì˜ í˜¼ìž¬

ìš°ì„  시기가 올ë¼ê°€ëŠ” ê·¸ë¦¼ì„ í†µí•´ 사ìžì™€ í•´ì¹˜ì˜ íŠ¹ì§•ì„ ë¹„êµí•´ ë³´ìž. ë‘ ë™ë¬¼ì€ ì¡°ì„  중기 ì´ˆìƒí™”ì˜ í‰ë°°èƒ¸èƒŒì— ê°ê° 등장한다. ì´ë¥¸ ì‹œê¸°ì˜ ì‚¬ë¡€ë¥¼ 1624ë…„(ì¸ì¡° 2)ì˜ ì •ì‚¬ê³µì‹ é–社功臣 ì´ˆìƒí™”ì—서 만나게 ëœë‹¤. <사ìž>는 정사공신 신경유申景裕(1581~1633)ì˜ ì´ˆìƒí™” í‰ë°°ì— 그려져 있다.(ë„ 2)
ì´ <사ìž>ì˜ íŠ¹ì§•ì€ ë¨¸ë¦¬ì— ë¿”ì´ ì—†ê³ , 머리 ì£¼ìœ„ì˜ ê°ˆê¸°ê°€ 마치 ë¹—ì–´ë†“ì€ ë‹¨ë°œë¨¸ë¦¬ì²˜ëŸ¼ 단정하다는 ì ì´ë‹¤.
그렇다면, 해치는 ì–´ë–¤ 모습ì¼ê¹Œ? 정사공신 ì´ì¤‘로æŽé‡è€(1577~1624) ì´ˆìƒì˜ í‰ë°°ì—서 해치를 ë³¼ 수 있다.(ë„ 3) 해치는 긴 주둥ì´ì™€ ë¨¸ë¦¬ì˜ ë¿”ì´ ê°€ìž¥ í° íŠ¹ì§•ì´ë‹¤. ê·¸ëŸ°ë° ì‚¬ìžì˜ ë„ìƒì—는 ì›ëž˜ë¶€í„° ë¿”ì´ ì¡´ìž¬í•˜ì§€ 않았다. ë”°ë¼ì„œ 사ìžì™€ 해치를 구분하는 ë°ëŠ” ë¿”ì˜ ìœ ë¬´ê°€ 매우 중요한 단서다. 신경유와 ì´ì¤‘로는 둘 다 종2품으로서 사ìžì™€ 해치 í‰ë°°ë¥¼ 달고 있다. ì›ëž˜ ì´ ì‹œê¸°ì˜ ë¬´ê´€ë“¤ì€ í˜¸ëž‘ì´ í‰ë°°ë¥¼ 부착해야 하는ë°, ì´ê²ƒì´ 지켜지지 않고 í˜¼ì„ ì„ ë¹šê³  있었다.
17세기 ì „ë°˜ê¸°ì˜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ë˜ ë‹¤ë¥¸ <ì‚¬ìž í‰ë°°>(ë„ 4) 하나가 무관 ë°•ì§„ì˜æœ´éœ‡è‹±(1569~1641)ì˜ ì§‘ì•ˆì— ì „í•´ì˜¤ê³  있다. ë°•ì§„ì˜ì€ 임진왜란과 ì´ê´„æŽé€‚ì˜ ë‚œ 때 활약한 공로로 선무ì›ì¢…공신宣武原從功臣 3등, 진무ì›ì¢…공신振武原從功臣 1ë“±ì— ë…¹í›ˆëœ ë°” 있다. ì´ í‰ë°°ëŠ” 약간 바래었지만, 색ê°ê³¼ 형태를 íŒë³„하는 ë°ëŠ” 문제가 없다. 그런ë°, 앞서 본 신경유 공신ìƒì˜ <í‰ë°°>와 ì•½ê°„ì˜ ì°¨ì´ê°€ 있다. 가장 í° íŠ¹ì§•ì€ ì—­ì‹œ ë¿”ì´ ì—†ê³ , 갈기가 곱슬머리처럼 작게 ë§ë¦° 듯 여러 ê°œì˜ ì›í˜•으로 꾸며진 ì ì´ë‹¤. ì´ëŸ° 변화는 ì–´ë””ì—서 온 것ì¼ê¹Œ?
ë°•ì§„ì˜ì˜ í‰ë°°ì— ë¬˜ì‚¬ëœ ì‚¬ìž ë„ìƒì€ ëª…ë‚˜ë¼ ë²•ì „ì¸ ã€ŽëŒ€ëª…íšŒì „ 大明會典ã€(å· 61, å† æœ 2, 文武官冠æœ)ê³¼ ì—°ê´€ì´ ìžˆëŠ” 듯하다. 『대명회전ã€ì—는 무관 1, 2í’ˆì˜ í‰ë°°ê°€ 사ìžë¡œ 규정ë˜ì–´ 있다. 그러나 앞서 본 ì •ì‚¬ê³µì‹ ì˜ ì´ˆìƒí™” í‰ë°°ëŠ” 『대명회전ã€ì„ ë”°ëžë‹¤ê¸°ë³´ë‹¤ 임진왜란 때 ì›ë³‘æ´å…µìœ¼ë¡œ 온 ëª…ë‚˜ë¼ ìž¥ìˆ˜ë“¤ì´ ì°©ìš©í•œ 사ìžì™€ 해치 í‰ë°°ì—서 ì˜í–¥ì„ 받았다고 추측ëœë‹¤. 예컨대 임진왜란 때 ì„ ë¬´ê³µì‹ å®£æ­¦åŠŸè‡£ì— ë…¹í›ˆëœ ì¡°ê²½è¶™å„†(1541~1609)ì˜ ê²½ìš°, 공신 ì´ˆìƒì—는 í˜¸ëž‘ì´ í‰ë°°ë¥¼ 달았으나, ê·¸ì˜ ë¬´ë¤ì—서는 해치 í‰ë°°ê°€ 발굴ë˜ì—ˆë‹¤. 해치 í‰ë°°ëŠ” 임진왜란 ë‹¹ì‹œì— ì¤‘êµ­ì—서 전래ë˜ì—ˆë˜ 것으로 추측ë˜ë©°, ì‚¬ìž í‰ë°°ë„ ê°™ì€ ê²½ë¡œë¥¼ 통해 ì¡°ì„ ì— ì „í•´ì§„ 것으로 ë³´ì¸ë‹¤.
ë°•ì˜ì§„ì˜ <ì‚¬ìž í‰ë°°>는 ì˜ì™¸ë¡œ 『대명회전ã€ì˜ <사ìž>와 매우 ê°€ê¹ë‹¤.(ë„ 5) ì•žë°œì„ ë•…ì— ë”›ê³  ì•‰ì€ ëª¨ìŠµ, 머리 오른쪽으로 빠지는 화염문, 등 ìª½ì˜ ëŒê¸°ì™€ ê°™ì€ ê°ˆê¸°ê°€ 그렇다. 『대명회전ã€ì— 실린 무관 í‰ë°°ì˜ 사ìžìƒì´ 17세기 ì „ë°˜ê¸°ì— ì–´ë–»ê²Œë“  ì˜í–¥ì„ 미치고 있ìŒì„ ì§ìž‘í•  수 있다. ì•„ë§ˆë„ ã€ŽëŒ€ëª…íšŒì „ã€ì˜ ë„ìƒì„ 따른 중국 í‰ë°°ê°€ 전래ë˜ì—ˆê³ , ì´ê²ƒì„ 모방하면서 얻게 ëœ ê²°ê³¼ê°€ ë°•ì§„ì˜ í‰ë°°ì˜ 사ìžìƒì´ ì•„ë‹ê¹Œ 추측하게 ëœë‹¤.
그런ë°, 1665ë…„(현종 6)ì— ì‚¬ë§í•œ 무관 ê¹€ì—¬ì˜¨é‡‘æ±æº«(1596~1665)ì˜ ë¬˜ì—ì„œë„ í‰ë°°(ë„ 6)ê°€ 나왔는ë°, 여기ì—는 해치와 사ìžì˜ íŠ¹ì§•ì´ ì¡°ê¸ˆì”© 혼재ë˜ì–´ 있는 íŠ¹ì§•ì„ ë³´ì¸ë‹¤. 다만 ê¹€ì—¬ì˜¨ì˜ í‰ë°°ì— ìˆ˜ë†“ì€ ì‚¬ìžëŠ” 갈기가 산만하게 í©ì–´ì ¸ 있지만, 머리 위쪽으로는 ì›í˜•ì˜ ê°ˆê¸°ê°€ ë ì²˜ëŸ¼ 들어가 있다. 앞서 본 『대명회전ã€ì˜ 사ìžìƒê³¼ ì—°ê²°ì§€ì„ ìˆ˜ 있는 특징ì´ë‹¤. ë”°ë¼ì„œ ê¹€ì—¬ì˜¨ì˜ ë¬˜ì—서 나온 í‰ë°°ì˜ ë„ìƒì€ 해치가 아닌 사ìžìƒìž„ì„ ì•Œë ¤ì¤€ë‹¤. ì´ê²ƒì´ 해치ë¼ë©´ ë¿”ì„ ê°–ê³  있어야 한다. 그런ë°, ê¹€ì—¬ì˜¨ì˜ <ì‚¬ìž í‰ë°°>ì—서 긴 주둥ì´ì™€ ëŒê¸°ê°€ 있는 ë“±ì¤„ê¸°ì˜ í˜•íƒœëŠ” 해치 ë„ìƒì˜ íŠ¹ì§•ì´ ì‚¬ìžì˜ 형ìƒì— 부분ì ìœ¼ë¡œ 습합ë˜ê±°ë‚˜ 혼재ë˜ì—ˆì„ 여지를 남겨준다.

사ìž, 해치, í˜¸ëž‘ì´ í‰ë°°ê°€ 혼란스러운 18세기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18세기 ì´í›„ 사ìžì˜ ë„ìƒì€ 어떻게 바뀌었ì„까? 18세기 ì¤‘ì—½ì˜ ë¬´ê´€ë“¤ì€ ì‚¬ìžë³´ë‹¤ í˜¸ëž‘ì´ í‰ë°°ë¥¼ ë” ì„ í˜¸í–ˆë˜ ê²ƒ 같다. 1756ë…„(ì˜ì¡° 32) 2ì›”, ì˜ì¡°ëŠ” 무관들ì—게 ì´ë ‡ê²Œ ë§í–ˆë‹¤. “무관 1í’ˆì€ ì‚¬ìžç…å­ì¸ë° ì§€ê¸ˆì€ ë¬´ì‹ æ­¦è‡£ë“¤ì´ ëª¨ë‘ í˜¸ëž‘ì´ í‰ë°°ë¥¼ 하고 있다. ì´í›„로 옛 ê·œì •ì„ ì§€í‚¤ë„ë¡ í•˜ë¼.â€(『승정ì›ì¼ê¸°ã€ì˜ì¡° 32ë…„(1756) 2ì›” 25ì¼. “武一å“å½ç…å­, 而今則武臣皆虎, 此後申飭â€) 그런ë°, ì˜ì¡°ì˜ ëª…ì€ ë§¤ìš° ì´ë¡€ì ì´ë‹¤. 무관 1í’ˆì´ ì‚¬ìž í‰ë°°ë¼ëŠ” ê²ƒì€ ì–´ëŠ ê¸°ë¡ì—ì„œë„ ë³¼ 수 없기 때문ì´ë‹¤. ê·¸ëŸ°ë° ìœ ì˜í•  ê²ƒì€ ì–´ë–¤ 문헌 ì†ì˜ 기ë¡ì´ ê¸°ì¡´ì— ë°í˜€ì§„ 사실과 ë§žì§€ 않ë”ë¼ë„ ìž˜ëª»ëœ ê²ƒìœ¼ë¡œ 단정해서는 안 ëœë‹¤ëŠ” 것ì´ë‹¤. ê¸°ì¡´ì— ë°í˜€ì§„ ì‚¬ì‹¤ì´ í•œ ë‘ ì‚¬ë¡€ì— ë¶ˆê³¼í•  경우 불완전할 수 있기 때문ì´ë‹¤. ì˜ì¡°ê°€ 내린 í‰ë°° 관련 ì§€ì‹œì˜ ê·¼ê±°ì— ëŒ€í•´ì„œëŠ” 계ì†ì ì¸ 확ì¸ì´ 필요하다. 어째든 ìœ„ì˜ ê¸°ë¡ì€ 1756ë…„(ì˜ì¡° 32)ì„ ê¸°ì¤€ìœ¼ë¡œ í•  때, ê·¸ ì´ì „ì— ì‚¬ìžê°€ 무관 ì •1í’ˆì˜ í‰ë°°ë¡œ 사용ë˜ì—ˆê³ , 18세기 중엽ì—ë„ ì§€ì¼œì ¸ì•¼ í–ˆë˜ ì‚¬ì‹¤ì„ ì „í•´ì¤€ë‹¤.
그렇다면, ì˜ì¡°ê°€ 언급한 ì‚¬ìž í‰ë°°ëŠ” ì–´ë–¤ 모양ì¼ê¹Œ? 가장 가까운 ì‹œê¸°ì˜ ì‚¬ë¡€ê°€ 1774ë…„(ì˜ì¡° 50)ì— ì œìž‘í•œ 《등준시무과ë„ìƒì²© 登俊試武科圖åƒå¸–ã€‹ì— ë‚˜ì™€ 있다.
ì´ í™”ì²©ì€ ë‹¹ì‹œ í˜„ì§ ë¬´ê´€ë“¤ì´ ì°¸ì—¬í•œ íŠ¹ë³„ê³¼ê±°ì‹œí—˜ì˜ í•©ê²©ìžë“¤ì„ 그린 반신ìƒåŠèº«åƒ ì´ˆìƒí™”첩ì´ë‹¤.
ì´ í™”ì²© ì†ì˜ ë¬´ê´€ë“¤ì€ ì‚¬ìž, 해치, í˜¸ëž‘ì´ í‰ë°°ë¥¼ ê°ê° 하고 있다. 왕ì—게 올리는 ì´ˆìƒí™”ì²©ì— í‰ë°°ê°€ ì´ì²˜ëŸ¼ 혼란스러운 ê²ƒì€ ì—­ì„¤ì ìœ¼ë¡œ ë‹¹ì‹œì˜ ì‹¤ìƒì„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그들 ê°€ìš´ë° <유진하 ì´ˆìƒ>ì˜ ì‚¬ìž í‰ë°°ê°€ 사ìžì˜ íŠ¹ì§•ì„ ë¹„êµì  잘 유지하고 있다.(ë„ 7) 앞서 본 17ì„¸ê¸°ì˜ í‰ë°°ë¥¼ 그대로 따르지 않았지만, 정수리 ë¶€ë¶„ì— ì—¬ëŸ¬ ê°œì˜ ìž‘ì€ ì›í˜•으로 갈기를 묘사한 ë¶€ë¶„ì´ ìžˆê³ , ê°ˆê¸°ì˜ ì¼ë¶€ëŠ” ê·€ 옆으로 ì¶• 늘어져 있다. 묘사가 정밀한 ê²ƒì€ ì•„ë‹ˆì§€ë§Œ, 17, 18세기 사ìžì˜ íŠ¹ì§•ì„ ëª¨ë‘ ë³´ì—¬ì¤€ë‹¤. ì˜ì¡°ê°€ ê·œì •ì„ ì§€í‚¬ë„ë¡ ëª…í•œ ì‚¬ìž í‰ë°°ëŠ” 대략 ì´ëŸ° ë²”ì£¼ì˜ ë„ìƒì´ 아니었ì„까.
여기ì—서 조금 ë” ë‚˜ì•„ê°„ ê²ƒì´ 1782ë…„(ì •ì¡° 6) ìž‘ì¸ <ì´ì°½ìš´æŽæ˜Œé‹ ì´ˆìƒ>ì˜ ì‚¬ìž í‰ë°°ë‹¤.(ë„ 8) ì•žë°œì„ ì„¸ìš°ê³  ì•‰ì€ ëª¨ìŠµì— ë‹¤ì–‘í•œ ë¬¸ì–‘ë“¤ì´ ìž¥ì‹ë˜ì–´ 있다. 특히 í¬ê³  ìž‘ì€ ì²­ìƒ‰ì˜ ì›í˜• ë¬¸ì–‘ì´ ë¨¸ë¦¬ì™€ ëª¸ì— ë¹¼ê³¡í•˜ë‹¤. ê·€ ì˜†ì˜ ê°ˆê¸°ëŠ” 다양한 색ìƒì˜ 색 ë ì²˜ëŸ¼ 늘어져 있다. <ì´ì°½ìš´ ì´ˆìƒ>ì˜ ê²©ì— ë§žëŠ” í‰ë°°ë¡œ ì†ìƒ‰ì´ 없다. 앞ì—서 살펴본 ë„ìƒì˜ ë§¥ë½ìœ¼ë¡œ ë³¼ 때 사ìžì˜ 형ìƒì´ 분명하다.
ì´ëŸ¬í•œ ì‚¬ìž í‰ë°°ëŠ” 예컨대 서툰 화가가 그렸다 하ë”ë¼ë„ 갈기를 처리하는 ê¸°ë³¸ì  ì›ì¹™ì€ 제대로 ë”°ëžì„ 것ì´ë‹¤. 18ì„¸ê¸°ì˜ ë¬´ê´€ <김중만金é‡è¬ ì´ˆìƒ>ì˜ ì´ëª¨ë³¸ì— 그려진 í‰ë°°ì—ì„œë„ ê·¸ëŸ¬í•œ íŠ¹ì§•ì´ í™•ì¸ëœë‹¤.(ë„ 9) 어색하지만 사ìžì˜ íŠ¹ì§•ì´ ë¬´ì—‡ì¸ê°€ë¥¼ 아는 대로 그린 ë„ìƒì´ë‹¤. ê·¸ëŸ°ë° ë‹¤ìŒ ë‹¨ê³„ì˜ <ì‹ ì‘주申應周(1747~?) ì´ˆìƒ>ì— ì˜¤ë©´, 먼저 사ìžì˜ ìžì„¸ê°€ ë°”ë€ë‹¤. 네 ë°œì„ ë”›ê³  ì¼ì–´ì„  모습ì´ë‹¤.(ë„ 10) ë‹¹ì‹œì˜ ìƒˆë¡œìš´ 스타ì¼ì— 따른 변화가 ìžˆì—ˆë˜ ê²ƒìœ¼ë¡œ ë³´ì¸ë‹¤. 예컨대 í˜¸ëž‘ì´ ë„ìƒì—서는 18세기 ì „ë°˜ê¸°ì— <ì‹ ì‘주 ì´ˆìƒ>ì˜ ì‚¬ìžì™€ ê°™ì€ ìžì„¸ì˜ 변화가 ì§„í–‰ë˜ì—ˆë‹¤. 어쨌든 <김중만 ì´ˆìƒ>ê³¼ <ì‹ ì‘주 ì´ˆìƒ>ì˜ í‰ë°°ì— 그려진 ê²ƒì€ ì‚¬ìžìƒìœ¼ë¡œ 보는 ê²ƒì´ íƒ€ë‹¹í•  것ì´ë‹¤.

19세기 ë§ ë„ì‹í™”ëœ ì‚¬ìžìƒì´ 민화로 전파
(계견사호)ì˜ ì‚¬ìž, ìƒ¤ë¥¼ë°”ë¼ 1888ë…„ 수집

â–²(계견사호)ì˜ ì‚¬ìž, ìƒ¤ë¥¼ë°”ë¼ 1888ë…„ 수집

ì´ë¡œë¶€í„° 구한ë§ë¡œ 내려오면, í‰ë°° ì†ì˜ 사ìžëŠ” 좀 ë” ê³ ì‹ì å¤å¼çš„ì´ë©´ì„œë„ ì¼ì–´ì„  ìžì„¸ê°€ 분명한 모습으로 ê³ ì°©ëœ ë“¯í•˜ë‹¤. 예컨대 ê³ ë ¤ëŒ€í•™êµ ë°•ë¬¼ê´€ì˜ <ì‚¬ìž í‰ë°°>ê°€ 그렇다.(ë„ 11) ì´ í‰ë°°ì˜ 사ìžë¥¼ 앞서 ë§í•œ ê³„ê²¬ì‚¬í˜¸ì˜ <사ìž>와 비êµí•˜ë©´ 어떨까? ì¼ë‹¨ ë™ì„¸ì— ìœ ì‚¬ì„±ì´ ìžˆê³ , 약간 왜소해진 세부 ë””ìžì¸ì— ì°¨ì´ê°€ 있지만, ë¨¸ë¦¬ì— ë¿”ì´ ì—†ëŠ” ì ê³¼ 단정히 ë¹—ì–´ 내린 ê°ˆê¸°ì— ë³€ìš©ì´ ìžˆë‹¤í•˜ë”ë¼ë„ ì´ ë„ìƒì€ ê²°êµ­ 사ìžì˜ 계통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ì´ë‹¤. ì´ì²˜ëŸ¼ ì´ˆìƒí™” ì† í‰ë°°ì˜ ê³„í†µì„ í† ëŒ€ë¡œ 살펴본 19세기 í‰ë°°ì˜ 사ìžìƒì€ êµ¬í•œë§ ê³„ê²¬ì‚¬í˜¸ê°€ ìœ í–‰í•˜ë˜ ë•Œì™€ 시기를 ê°™ì´ í•œë‹¤ëŠ” ì ì„ 확ì¸í•  수 있었다.
ì´ ê¸€ì—서는 ê³„ê²¬ì‚¬í˜¸ì˜ <사ìž>ê°€ ì–´ë–¤ ë§¥ë½ì˜ ì¡°í˜•ì  ì—­ì‚¬ë¥¼ ê°–ê³  있는 그림ì¸ê°€ë¥¼ ì‚´íŽ´ë³´ê³ ìž í–ˆë‹¤. 그래서 ë„ìƒì˜ 선후관계를 설명해 주는 단서를 무관 ì´ˆìƒí™”ì˜ í‰ë°°ì—서 찾았다. 그렇다면, ê³„ê²¬ì‚¬í˜¸ì˜ <사ìž>는 해치가 ì•„ë‹ˆë¼ ì‚¬ìžë¡œ ë³´ì•„ë„ ë¬´ë¦¬ê°€ ì—†ì„ ê²ƒì´ë‹¤. 사ìžì™€ 해치를 구별하는 íŠ¹ì§•ì€ ë°”ë¡œ ì¡°ì„  중기 공신ìƒì˜ í‰ë°° 그림으로부터 ê·¸ 계보가 내려오고 있ìŒì„ 알 수 있다. í•µì‹¬ì€ ì‚¬ìžëŠ” 한 ë²ˆë„ ë¿”ì´ ìžˆëŠ” 모습으로 그려진 ì ì´ 없다는 것ì´ë‹¤. 구한ë§ì— 계견사호를 그린 화가는 혹시 ì´ëŸ° ì´ì•¼ê¸°ë¥¼ 하고 ì‹¶ì§€ 않았ì„까? ìžì‹ ì´ 그린 ê²ƒì€ â€˜ê³„ê²¬í•´í˜¸é·„çŠ¬è™Žâ€™ê°€ ì•„ë‹ˆë¼ â€˜ê³„ê²¬ì‚¬í˜¸é·„çŠ¬ç…虎’ë¼ê³ .

 

글 : 윤진ì˜(í•œêµ­í•™ì¤‘ì•™ì—°êµ¬ì› ì±…ìž„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