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작가가 ê¼­ 알아야 í•  저작권 ìƒì‹â¶ 민화와 저작권, ë” ì´ìƒ 낯선 관계가 아니다

ì €ìž‘ê¶Œì€ ì–´ëŠ ë‚  ê°‘ìžê¸° ìƒê²¨ë‚œ ê²ƒì´ ì•„ë‹ˆë¼ ìš°ë¦¬ê°€ ìƒê°í•˜ëŠ” 것 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우리와 함께 í•´ 왔다. 단지 우리가 ê·¸ê²ƒì˜ ì¡´ìž¬ì™€ ì¤‘ìš”ì„±ì„ ê°„ê³¼í•œ 채 ì‚´ì•„ì™”ì„ ë¿ì´ë‹¤. 최근 들어 민화계ì—ë„ ì €ìž‘ê¶Œ 관련 시비가 ë¶€ì© ëŠ˜ì–´ë‚˜ê³  있는 추세다. ì´ëŸ¬í•œ ì‚¬ì •ì„ ê°ì•ˆí•´ 저작권 ì „ë¬¸ë³€í˜¸ì‚¬ì¸ í•„ìžê°€ 민화작가ì—게 ê¼­ 필요한 저작권 ìƒì‹ì„ ëª‡íšŒì— ê±¸ì³ ë‹¤ë¤„ ë³´ë ¤ 한다.


최근 들어 저작권 시비가 잦아진 미술 분야

ì €ìž‘ê¶Œì— ê´€í•œ 권리 ì˜ì‹ì´ 지금처럼 높아진 ê±´ 그리 ì˜¤ëž˜ëœ ì¼ì´ 아니다. 예전ì—는 저작권ì´ë¼ëŠ” ë§ ìžì²´ì—ë„ ìµìˆ™í•˜ì§€ ì•Šì•˜ì„ ë¿ë”러, ì–´ë–¤ ê²½ìš°ì— ì €ìž‘ê¶Œì´ ë°œìƒí•˜ëŠ”ì§€, 심지어는 ìžì‹ ì—게 ì €ìž‘ê¶Œì´ ìžˆëŠ” ì§€ì¡°ì°¨ë„ ëª¨ë¥´ê³  살아온 ì‹œì ˆì´ ìžˆì—ˆë‹¤. ê·¸ëŸ°ë° ì €ìž‘ê¶Œì€ ì–´ëŠ ë‚  ê°‘ìžê¸° ìƒê²¨ë‚œ ê²ƒì´ ì•„ë‹ˆë¼ ìš°ë¦¬ê°€ ìƒê°í•˜ëŠ” 것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우리와 함께 í•´ 왔다. 단지 우리가 ê·¸ê²ƒì˜ ì¡´ìž¬ì™€ ì¤‘ìš”ì„±ì„ ê°„ê³¼í•œ 채 ì‚´ì•„ì™”ì„ ë¿ì´ë‹¤.
ê¸°ìˆ ì´ ë°œë‹¬í•˜ê³  사회가 다변화ë¨ì— ë”°ë¼ ì‚¬íšŒ 구성ì›ë“¤ì€ 다른 사람과 차별화를 추구하게 ë˜ì—ˆê³ , 그러한 ê°œì„±ì˜ ë°œí˜„ìœ¼ë¡œ ìƒì„±ë˜ëŠ” 콘í…ì¸ ì˜ ì–‘ë„ í­ë°œì ìœ¼ë¡œ 늘어나게 ë˜ì—ˆë‹¤. ì´ëŸ¬í•œ 콘í…ì¸ ë“¤ì´ ì¸í„°ë„· 등 다양한 채ë„ì„ í†µí•´ ìžìœ ë¡­ê²Œ 공유ë˜ë©´ì„œ, 창작ìžëŠ” 그러한 ê²ƒë“¤ì´ ìžì‹ ì˜ ê²½ì œì  ì´ìµê³¼ ë„ ì—°ê²°ë  ìˆ˜ 있ìŒì„ 깨닫게 ë˜ì—ˆë‹¤. ì´ëŸ¬í•œ 과정 ì†ì—서 우리 사회는 ìžì—°ìŠ¤ëŸ½ê²Œ ì°½ìž‘ì˜ ì¤‘ìš”ì„±ê³¼ ê·¸ ë³´í˜¸ì˜ í•„ìš”ì„±ì— ëŒ€í•´ ê´€ì‹¬ì„ ê°–ê²Œ ë˜ì—ˆê³ , ê·¸ê²ƒì´ ìš°ë¦¬ ì‚¬íšŒì˜ ì €ìž‘ê¶Œ 문화를 다시금 ìƒê°í•˜ê²Œ 하는 계기가 ë˜ì—ˆë‹¤.
문제는 ì €ìž‘ê¶Œì— ëŒ€í•œ ê´€ì‹¬ì´ ì°½ìž‘ìžì—게만 집중ë˜ê³  ì¼ë°˜ 사용ìžë“¤ì˜ ì¸ì‹ì€ 고양시키지 못했다는 ë° ìžˆë‹¤. 권리 ì˜ì‹ì´ 높아진 창작ìžì™€, 여전히 별다른 죄ì˜ì‹ ì—†ì´ ë‚¨ì˜ ì €ìž‘ë¬¼ì„ ë¬´ë‹¨ìœ¼ë¡œ 사용하는 사용ìž. ì´ ë‘˜ì˜ ì €ìž‘ê¶Œì— ëŒ€í•œ ì¸ì‹ ì°¨ì´ëŠ” ê²°êµ­ ë²•ì  ë¶„ìŸìœ¼ë¡œê¹Œì§€ 비화ë˜ì—ˆê³  여기저기ì—서 저작권과 ê´€ë ¨ëœ ë¶„ìŸì´ í„°ì ¸ 나왔다. 미술 분야ì—ì„œë„ ì´ëŸ¬í•œ ì‹œëŒ€ì  íë¦„ì„ ë¹„ê»´ê°ˆ 수는 없었다.
예전ì—는 ì €ìž‘ê¶Œì— ê´€í•œ 특별한 ì¸ì‹ ì—†ì´ ë‚¨ì˜ ê·¸ë¦¼ì´ë‚˜ ì´ë¯¸ì§€ë¥¼ 무단으로 사용하였고, 저작권ìžë§ˆì €ë„ â€˜ì¢‹ì€ ê²Œ ì¢‹ì€ ê²ƒâ€™ì´ë¼ëŠ” ì‹ìœ¼ë¡œ ì´ì— 대해 별다른 대ì‘ì„ í•˜ì§€ 않는 경우가 ì¼ë°˜ì ì´ì—ˆë‹¤.
그러나 최근 저작권과 관련해서 빈번하게 ë¶„ìŸì´ ë°œìƒí•˜ëŠ” 분야가 바로 미술저작물ì´ê³  그중ì—ì„œë„ íŠ¹ížˆ ‘ì´ë¯¸ì§€â€™ê°€ 문제가 ëœë‹¤. 언젠가 ì´ë¯¸ì§€ 제공업체가 ì´ë¯¸ì§€ë¥¼ 무단으로 사용한 ì¼ë°˜ì¸ ë“±ì„ ìƒëŒ€ë¡œ 대대ì ì¸ 경고와 ì†í•´ë°°ìƒì„ 청구한 ì ì´ 있는ë°, ì´ëŸ¬í•œ ì¼ë ¨ì˜ ì¼ë“¤ê³¼ ì €ìž‘ê¶Œì— ê´€í•œ 사회 ì „ë°˜ì ì¸ ì¸ì‹ 변화가 맞물리면서 미술 분야ì—ì„œë„ ì €ìž‘ê¶Œì„ ì œëŒ€ë¡œ 알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ë˜ê¸° 시작했다.
그러나 ì•„ì§ê¹Œì§€ëŠ” 미술과 ê´€ë ¨ëœ ì €ìž‘ê¶Œ ê°•ì˜ë‚˜ êµìœ¡ì„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저작권 êµìœ¡ì€ â€˜ë‚¨ì˜ ê²ƒì„ ë² ë¼ì§€ ë§ ê²ƒâ€™ì´ë¼ëŠ” 단순한 ì´ì¹˜ë¥¼ ì „ë‹¬í•˜ëŠ”ë° ê·¸ì¹  ê²ƒì´ ì•„ë‹ˆë¼, ì €ìž‘ê¶Œì´ ì¹¨í•´ë˜ëŠ” 경우와 그렇지 ì•Šì€ ê²½ìš°ë¥¼ 명확히 구분하여 ë‚¨ì˜ ì €ìž‘ê¶Œì„ ì¹¨í•´í•˜ì§€ ì•Šìœ¼ë©´ì„œë„ ìƒˆë¡œìš´ ì°½ìž‘ë¬¼ì„ ë§Œë“¤ì–´ 낼 수 있는 ì§€ì‹ê³¼ ì†Œì–‘ì„ ìŒ“ëŠ”ë° ê·¸ 목ì ì´ 있다고 í•  수 있다.

ë°©ì–´ìžê°€ ê¼­ 알아ë‘어야 í•  세 가지 사항

민화ì¸ë“¤ ë˜í•œ 보다 í­ë„“ì€ ì˜ˆìˆ  활ë™ì„ 위해서ë¼ë„ ì €ìž‘ê¶Œì— ê´€í•œ 기본ì ì¸ ë‚´ìš©ì„ ìˆ™ì§€í•  필요가 있다. í†µìƒ ë¯¼í™”ì¸ë“¤ì´ 그리는 민화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민화를 단순히 모사模寫하는 경우가 대부분ì´ê¸° ë•Œë¬¸ì— ì›ì¹™ì ìœ¼ë¡œëŠ” 저작권 문제가 ë°œìƒí•˜ì§€ 않는다. ê·¸ ì´ìœ ëŠ” ëª¨ì‚¬ì˜ ëŒ€ìƒì´ ë˜ëŠ” ë¯¼í™”ì˜ ì €ìž‘ê¶Œ ë³´í˜¸ê¸°ê°„ì´ ì´ë¯¸ 경과하였기 때문ì´ë‹¤. 그러나 민화ì—는 기존 민화를 단순히 모사한 ê²ƒì´ ì•„ë‹ˆë¼ ê±°ê¸°ì— ì¼ë¶€ 창작ì ì¸ 요소를 가미한 2ì°¨ì ì €ìž‘ë¬¼ì¸ ë¯¼í™”ê°€ ìžˆì„ ìˆ˜ 있고, 전통ì ì¸ ë¯¼í™”ì˜ ê¸°ë²•ë§Œì„ ì‚¬ìš©í•˜ì—¬ 아예 새롭게 그린 ë¯¼í™”ë„ ìžˆì„ ìˆ˜ 있다. ì´ëŸ¬í•œ 민화를 그대로 모사하는 경우ì—는 저작권 문제가 ë°œìƒí•œë‹¤. ê·¸ëŸ°ë° ë¬¸ì œëŠ” 민화를 모사하는 사람 입장ì—서 ê·¸ê²ƒì´ ì €ìž‘ê¶Œ ë³´í˜¸ê¸°ê°„ì´ ê²½ê³¼í•œ 민화ì¸ì§€ 아니면 새롭게 그려진 민화ì¸ì§€ë¥¼ 알기가 어렵다는 ë° ìžˆë‹¤. ì´ëŸ¬í•œ ê²½ìš°ì— ëŒ€í•´ì„œëŠ” ë‹¤ìŒ ê¸°íšŒì— ì–˜ê¸°í•˜ê¸°ë¡œ 하고 ì´ë²ˆ 호ì—서는 ì¼ë°˜ì ì¸ 민화 관련 ë¶„ìŸ ì‹œ 우리 민화ì¸ì´ ê¼­ 알아야하는 ì €ìž‘ê¶Œì— ê´€í•œ 기본ì ì¸ ë‚´ìš©ë“¤ì— ëŒ€í•´ì„œë§Œ 간략히 살펴보ë„ë¡ í•˜ê² ë‹¤.

저작권 침해 사건ì—서 í†µìƒ ì €ìž‘ê¶Œ 침해를 주장하는 ì‚¬ëžŒì€ â€œë„¤ ê²ƒì´ ë‚´ 것과 똑같다거나 비슷하다.â€ë¼ê³  주장하고, ìƒëŒ€ë°©ì€ ê·¸ 반대로 “내 ê²ƒì€ ë„¤ 것과 ë˜‘ê°™ì§€ë„ ìœ ì‚¬í•˜ì§€ë„ ì•Šë‹¤.†ë¼ê³  반박한다. 물론 ì´ëŸ¬í•œ ë°˜ë°•ì´ í‹€ë ¸ë‹¤ê³ ëŠ” í•  수 없다. 그러나 실제 저작권 소송ì—서는 ì´ëŸ¬í•œ 단순한 반박 논리만으로는 ìžì‹ ì˜ ì£¼ìž¥ì„ ê´€ì² ì‹œí‚¤ê¸° 어렵다. ì´ëŸ¬í•œ 반박 ì™¸ì— ë˜ ë‹¤ë¥¸ 무엇ì¸ê°€ê°€ 필요하다. 예를 들어보ìž. ê°‘ì€ ì„ì´ ê·¸ë¦° 민화가 ìžì‹ ì´ 그린 민화와 ë™ì¼í•˜ê±°ë‚˜ 비슷하다고 하면서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고 있다. ì´ ê²½ìš° ì„ì€ ê°‘ì—게 ë­ë¼ê³  반박하면 ë ê¹Œ? ë³´í†µì€ ìœ„ì—서 본 바와 ê°™ì´ â€œë‚´ê°€ 그린 민화는 ë„ˆì˜ ë¯¼í™”ì™€ ë™ì¼í•˜ì§€ë„ 유사하지 않다!â€ë¼ê³  하면 ë  ê²ƒì´ë‹¤. ê·¸ëŸ°ë° ëˆ„ê°€ ë´ë„ ì„ì´ ê·¸ë¦° 민화가 ê°‘ì˜ ë¯¼í™”ì™€ 똑같거나 비슷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무 ë§ë„ 못하고 그냥 있어야만 할까? ê¼­ ê·¸ë ‡ì§€ë§Œì€ ì•Šë‹¤. ì„ì´ ê°‘ì˜ ì €ìž‘ê¶Œì„ ì¹¨í•´í–ˆë‹¤ê³  하기 위해서는, â‘  ê°‘ì´ ê·¸ë ¸ë‹¤ëŠ” 민화가 ì €ìž‘ê¶Œë²•ìƒ ë³´í˜¸ ë°›ì„ ìˆ˜ 있는 저작물ì´ì–´ì•¼ 하고, â‘¡ ê·¸ 저작권ìžê°€ ê°‘ì´ì–´ì•¼í•˜ë©°, â‘¢ ì„ì´ ì •ë‹¹í•œ ê¶Œì› ì—†ì´ ê°‘ì˜ ë¯¼í™”ë¥¼ ë³´ê³  그것과 ë™ì¼í•˜ê±°ë‚˜ 실질ì ìœ¼ë¡œ 유사한 민화를 그려야만 한다. ì´ëŸ° 모든 ê²ƒì´ ì¶©ì¡±ë˜ì—ˆì„ 때 ì„ì€ ê°‘ì˜ ì €ìž‘ê¶Œì„ ì¹¨í•´í–ˆë‹¤ê³  í•  수 있다. 그렇다면 ì„ì˜ ë¯¼í™”ê°€ ê°‘ì˜ ë¯¼í™”ì™€ ë™ì¼í•˜ê±°ë‚˜ 실질ì ìœ¼ë¡œ 유사한 경우 ì„ì€ ë­ë¼ê³  반박하면 ë ê¹Œ? í¬ê²Œ 세 가지를 주장할 수 있다. â‘  ê°‘ì´ ê·¸ë ¸ë‹¤ëŠ” 민화는 ì €ìž‘ë¬¼ì´ ì•„ë‹ˆë¼ëŠ” 주장, â‘¡ ë¹„ë¡ ê°‘ì˜ ë¯¼í™”ê°€ 저작물ì´ë¼ê³  하ë”ë¼ë„ ê°‘ì´ ì €ìž‘ê¶Œìžê°€ 아니ë¼ëŠ” 주장, â‘¢ ì„ì´ ê°‘ì˜ ë¯¼í™”ë¥¼ ë³´ê³  그린 ê²ƒì´ ì•„ë‹ˆë¼ëŠ” 주장ì´ë‹¤. ì„ì´ ì´ ì„¸ 가지 ê°€ìš´ë° ì–´ëŠ í•˜ë‚˜ë¼ë„ ìž…ì¦ì— 성공하면 ì„ì€ ê°‘ì˜ ì €ìž‘ê¶Œì„ ì¹¨í•´í•˜ì§€ 않게 ëœë‹¤. ë”°ë¼ì„œ ì´ ì„¸ 가지는 저작권 침해 사건ì—서 ë°©ì–´ìžê°€ í•­ìƒ ì—¼ë‘ì— ë‘ê³  있어야 하는 가장 기본ì ì¸ 반박 논리ë¼ê³  í•  수 있다.

저작권 침해 여부, ìƒê°ë³´ë‹¤ 복잡한 사안

저작권 침해 사건ì—서 ë‹¹ì‚¬ìž ê°„ì— ê°€ìž¥ 치열하게 다투는 ê²ƒì´ ë°”ë¡œ â€˜ì €ìž‘ë¬¼â€™ì— ê´€í•œ 사안ì´ë‹¤. 위ì—서 ê°‘ì˜ ë¯¼í™”ê°€ ì €ìž‘ë¬¼ì´ ì•„ë‹ˆë¼ë©´ ê°‘ì€ ê·¸ ë¯¼í™”ì— ëŒ€í•´ ì €ìž‘ê¶Œì„ ê°–ì§€ 못하고, 그렇게 ë˜ë©´ ê°‘ì€ ì €ìž‘ê¶Œìžê°€ 아니므로 ì„ì„ í¬í•¨í•œ ê·¸ 누구ì—ê²Œë„ ì €ìž‘ê¶Œ 침해를 주장할 수 없다. ë”°ë¼ì„œ ì„ì€ ê°‘ì´ ê·¸ë¦° 민화가 ì €ìž‘ë¬¼ì´ ì•„ë‹ˆë¼ëŠ” ê²ƒì„ ì£¼ìž¥Â·ìž…ì¦í•  필요가 있다. 여기서 ë§í•˜ëŠ” ‘저작물’ì´ëž€ ‘ì¸ê°„ì˜ ì‚¬ìƒì´ë‚˜ ê°ì •ì„ í‘œí˜„í•œ ì°½ìž‘ë¬¼â€™ì„ ì˜ë¯¸í•œë‹¤. ë”°ë¼ì„œ ì €ìž‘ë¬¼ì´ ë˜ê¸° 위해서는 â‘ ì¸ê°„ì´ ë§Œë“¤ì–´ì•¼ 하고, â‘¡ 표현ë˜ì–´ì ¸ì•¼ 하며, â‘¢ ì°½ìž‘ì„±ì´ ìžˆì–´ì•¼ 한다. ì €ìž‘ë¬¼ì´ ë˜ê¸° 위해서는 ì´ ì„¸ 가지 요건 모ë‘를 충족해야 하기 ë•Œë¬¸ì— ì´ ê°€ìš´ë° ì–´ëŠ í•˜ë‚˜ë¼ë„ í ê²°ì´ ìƒê¸°ë©´ ì €ìž‘ë¬¼ì´ ì•„ë‹ˆê²Œ ëœë‹¤. 그렇다면 ê°‘ì˜ ë¯¼í™” 저작물성 여부와 ê´€ë ¨ëœ ì„ì˜ ë°˜ë°•ë…¼ë¦¬ëŠ” ì •í•´ì ¸ 있는 ì…ˆì´ ëœë‹¤. â‘  ê°‘ì˜ ë¯¼í™”ëŠ” ì¸ê°„ì´ ë§Œë“  ê²ƒì´ ì•„ë‹ˆë¼ëŠ” 주장ì´ê³ , â‘¡ ìŸì ì´ ë˜ëŠ” ê°‘ì˜ ë¯¼í™” 중 특정 ë¶€ë¶„ì´ í‘œí˜„ì´ ì•„ë‹Œ ì•„ì´ë””ì–´ì— ë¶ˆê³¼í•  ë¿ì´ë¼ëŠ” 주장ì´ë©°, â‘¢ ìŸì ì´ ë˜ëŠ” ê°‘ì˜ ë¯¼í™”ì˜ ì „ë¶€ ë˜ëŠ” ì¼ë¶€ë¶„ì´ ì°½ìž‘ì„±ì´ ì—†ë‹¤ëŠ” 주장ì´ë‹¤. ê°‘ì˜ ë¯¼í™”ëŠ” ê°‘ì´ ê·¸ë¦° 것ì´ê¸° ë•Œë¬¸ì— ì²«ì§¸ ì£¼ìž¥ì´ ë¬¸ì œê°€ ë˜ëŠ” 경우는 없고, ëŒ€ë¶€ë¶„ì˜ ë‹¤íˆ¼ì€ ë‘˜ì§¸ 주장과 셋째 주장과 관련해서 ë°œìƒí•œë‹¤. 위 사례로 ë˜ëŒì•„ê°€ 살펴보면, ê°‘ì˜ ë¯¼í™”ì™€ ì„ì˜ ë¯¼í™”ê°€ ë™ì¼í•˜ê±°ë‚˜ 실질ì ìœ¼ë¡œ 유사하다면, ê°‘ì€ ìœ„ì™€ ê°™ì€ ë™ì¼ ë˜ëŠ” ìœ ì‚¬ì„±ì— ê´€í•´ì„œë§Œ 주장·입ì¦í•˜ë©´ ë˜ì§€ë§Œ, ì„ì˜ ìž…ìž¥ì—서는 ê°‘ì˜ ë¯¼í™”ê°€ ì°½ìž‘ì„±ì´ ì—†ë‹¤ëŠ” ì ì„ ì ê·¹ì ìœ¼ë¡œ 주장·입ì¦í•´ì•¼ë§Œ 한다. 왜ëƒí•˜ë©´ 외관ìƒìœ¼ë¡œëŠ” 누가 ë³´ë”ë¼ë„ 저작권 침해ë¼ê³  ìƒê°í•  수 있는 여지가 높기 때문ì´ë‹¤. ì´ ê²½ìš° ì„ì€ ì–´ë–¤ ì£¼ìž¥ì„ í•  수 있ì„까? í¬ê²Œ 세 가지를 주장할 수 있다. ①누구ë¼ë„ 그렇게 ë°–ì—는 표현할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고, â‘¡ ì´ë¯¸ ì¢…ëž˜ì— ì¡´ìž¬í•œ 것ì´ê±°ë‚˜ 통ìƒì ì¸ 것ì´ë¼ê³  주장할 수 있으며, â‘¢ ê·¸ ìžì²´ê°€ 별다른 ì°½ìž‘ì„±ì´ ì—†ë‹¤ê³  주장할 수 ìžˆì„ ê²ƒì´ë‹¤. 물론 ì´ëŸ¬í•œ ì£¼ìž¥ì€ ê°‘ì´ ê·¸ë¦° 민화가 기존 민화ì—는 없는 완전히 새로운 그림ì´ë¼ë©´ 아무 ì†Œìš©ì´ ì—†ë‹¤. ê°‘ì˜ ë¯¼í™”ê°€ 기존 민화를 기초로 ì¼ë¶€ 변형한 ê·¸ë¦¼ì¸ ê²½ìš°ì—ë§Œ 위 ì£¼ìž¥ë“¤ì´ ì˜ë¯¸ë¥¼ 가질 수 있는 것ì´ë‹¤. 보통 민화는 기존부터 ë‚´ë ¤ì˜¤ë˜ í‹€ì´ ìž˜ 변하지 않고 대체로 ì´ì „ì— ì¡´ìž¬í•˜ë˜ ë¯¼í™”ë¥¼ 참조해서 그리는 경우가 대부분ì´ê¸° ë•Œë¬¸ì— ë“±ìž¥í•˜ëŠ” ì¸ë¬¼ì´ë‚˜ ë™ë¬¼ì˜ êµ¬ë„ ë° ë°°ì¹˜, 윤곽 ë“±ì˜ ìš”ì†ŒëŠ” 대체로 비슷하다고 í•  수 있다. 그렇다면 ê°‘ì˜ ë¯¼í™”ëŠ” 누가 그리ë”ë¼ë„ 그렇게 ë°–ì— í‘œí˜„í•  수 없는 ê²ƒì¼ ìˆ˜ë„ ìžˆê³ , ê°‘ì´ ê¸°ì¡´ 민화를 변형했다고 하는 ë¶€ë¶„ì´ ë³„ë‹¤ë¥¸ ì°½ìž‘ì„±ì´ ì—†ëŠ” ê²ƒì¼ ìˆ˜ ë„ ìžˆë‹¤. ë”°ë¼ì„œ ì„ì˜ ìž…ìž¥ì—서는 ê°‘ì´ ê¸°ì´ˆë¡œ í–ˆë˜ ê¸°ì¡´ 민화를 찾아서 ê°‘ì´ ë³€í˜•í–ˆë‹¤ê³  하는 ë¶€ë¶„ì´ ìœ„ì™€ ê°™ì€ ì´ìœ ì—서 ì°½ìž‘ì„±ì´ ì—†ê¸° ë•Œë¬¸ì— ë¹„ë¡ ì„ì˜ ë¯¼í™”ê°€ ê°‘ì˜ ë¯¼í™”ì™€ ë™ì¼í•˜ê±°ë‚˜ 실질ì ìœ¼ë¡œ 유사하ë”ë¼ë„ 저작권 침해는 아니ë¼ëŠ” ì£¼ìž¥ì„ íŽ¼ì³ ë‚˜ê°€ì•¼ë§Œ 한다.
민화와 ê´€ë ¨ëœ ì €ìž‘ê¶Œ ì´ì•¼ê¸°ëŠ” 위와 ê°™ì€ ë‚´ìš© ì´ì™¸ì—ë„ ë§Žì´ ìžˆì§€ë§Œ, ì´ë²ˆ 호ì—서는 저작권 ë¶„ìŸ ì‹œ 민화ì¸ë“¤ì´ 가장 먼저 살펴ë´ì•¼ 하는 ë¶€ë¶„ì— ëŒ€í•´ì„œë§Œ 간략히 알아보는 것으로 마무리하겠다. 실무ì—서는 저작권 침해ì¸ì§€ì— 대한 여부가 명확한 경우보다 그렇지 ì•Šì€ ê²½ìš°ê°€ 훨씬 ë” ë§Žê³  저작권 침해는 형사처벌 대ìƒì´ê¸° ë•Œë¬¸ì— ì €ìž‘ê¶Œ ë¶„ìŸì´ ë°œìƒí•˜ê³  난 ì´í›„보다는 ìžì‹ ì˜ 행위가 ë‚¨ì˜ ì €ìž‘ê¶Œì„ ì¹¨í•´í•  여지가 있다고 íŒë‹¨ë  때 미리 ì „ë¬¸ê°€ì˜ ìƒë‹´ì„ 받아보는 ê²ƒì´ ë¬´ì—‡ë³´ë‹¤ 필요하다고 ìƒê°ëœë‹¤.

글 하병현(변호사, ë²•ë¬´ë²•ì¸ ì†¡í˜„)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One comment on “민화작가가 ê¼­ 알아야 í•  저작권 ìƒì‹â¶ 민화와 저작권, ë” ì´ìƒ 낯선 관계가 아니다

  1. 안녕하세요!
    글 잘 ì½ì—ˆìŠµë‹ˆë‹¤. 한가지 ê¶ê¸ˆí•œ ì ì´ ìžˆëŠ”ë° ê·¸ë ‡ë‹¤ë©´ 현대민화 ì–´ëŠ ìž‘ê°€ì˜ ê·¸ë¦¼ì„ ìžìˆ˜í™” 하여 ì˜ë¥˜ì— ìžìˆ˜í•˜ëŠ”ê²ƒë„ ì €ìž‘ê¶Œ 침해가 ë ê¹Œìš”? ê·¸ 작가분 ë˜í•œ 전통 민화를 ìž¬í•´ì„ í•œê²ƒì¸ì§€ 경계가 모호합니다. ë©”ì¼ë¡œ 답변 주시면 매우 ê°ì‚¬í•˜ê² ìŠµë‹ˆë‹¤!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