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¼í™”ì˜ ëŒ€ì¤‘í™” ì´ëˆ ëŒ€ê°€ì˜ ì¸ìƒì—­ì •, 고안(å¤å²¸) 김만í¬

서울시 무형문화재 민화장 고안 김만í¬
서울시 무형문화재 민화장 고안(å¤å²¸) 김만í¬

민화ì—ë„ ì›ì¡° 스타 작가가 있다. 주ì¸ê³µì€ 서울시 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 고안(å¤å²¸) ê¹€ë§Œí¬ í™”ë°±ì´ë‹¤. 47ë…„ ê°„, 50회 ì´ìƒì˜ 전시로 í™”ì—…ì„ ì´ì–´ 온 그는 ë¯¼í™”ë„ â€˜ížˆíŠ¸â€™í•  수 있다는 ì‚¬ì‹¤ì„ ì¦ëª…í•´ 왔다. ë§Žì€ ì‚¬ëžŒë“¤ì´ ê°ìƒí•˜ê³  ì¦ê¸¸ 수 있는 문화콘í…츠로, 현대 ë¯¼í™”ì˜ ëŒ€ì¤‘í™”ë¥¼ 견ì¸í–ˆë‹¤. ê·¸ì˜ ì¡´ìž¬ëŠ” ‘스타 작가’를 목마르게 ë°”ë¼ëŠ” 현재 í•œêµ­ë¯¼í™”ê³„ì— ëª¨ë²”ì ì¸ ê±°ìš¸ì¸ ë™ì‹œì— ë¯¸ëž˜ì§€í–¥ì  ë‹µì•ˆì¼ìˆ˜ë„ 있다.

êµì§ì—서 내려와 가슴으로 민화를 품다

고안(å¤å²¸) 김만í¬ê¹€ë§Œí¬ í™”ë°±ì€ ëŒ€ë¥¼ ì´ì€ êµìœ¡ìž 집안ì—서 태어나 성장했다. ê·¸ì˜ ë¶€ì¹œì€ ê²½ì„±ì œì¼ê³ ë³´(현 경기고)를 졸업하고 부산과 청주, 대전 등지ì—서 êµì§ ìƒí™œì„ 했다. ê·¸ì˜ ë™ìƒì€ 오스트리아 빈 대학 ì² í•™ê³¼ì˜ ê¹€ì‹ ìž êµìˆ˜(정년퇴임)로 유럽 지성계ì—ì„œë„ í° ì—­í• ì„ í•œ ì¸ë¬¼. ê¹€ 화백 역시 한국전ìŸì´ 발발하기 바로 ì „ í•´, ëŒ€ì „ì˜ ê³ ë“±í•™êµ êµì‚¬ë¡œ 부임해 10ì—¬ ë…„ê°„ í•™ìƒë“¤ì„ 가르쳤다.
물론 그가 ì–´ëŠ ë‚  ê°‘ìžê¸° í™”ì—…ì— íˆ¬ì‹ í•œ ê²ƒì€ ì•„ë‹ˆì—ˆë‹¤. 선천ì ì¸ 재능과 취미는 ì¼ì œê°•ì ê¸° ì¼ë³¸ì¸ êµì‚¬ë“¤ì˜ 눈ì—ë„ ë‚¨ë‹¬ë¦¬ ë³´ì¼ ì •ë„였다. 하지만 당시 ì‹ë¯¼ì§€ ìƒí™©ì´ì—ˆê³  변변한 미술 êµìœ¡ì„ ë°›ì„ ìˆ˜ 있는 êµìœ¡ ê¸°ê´€ì€ ì—†ì—ˆë‹¤. ë˜í•œ 화가로 ìƒì—…ì„ ì˜ìœ„한다는 ê²ƒì€ ë¶ˆíˆ¬ëª…í•œ 미래를 넘어 위험한 ì¼ë¡œ ì¸ì‹ë˜ë˜ 시기였다. ê·¸ì˜ ìž¬ëŠ¥ì„ ì•„ê¹ê²Œ 여긴 ì´ë“¤ì€ í•™ìƒ ê¹€ë§Œí¬ì—게 ì‚¬ë²”í•™êµ ì§„í•™ì„ ê¶Œìœ í–ˆë‹¤. ì „ ê³¼ëª©ì— ëŒ€í•œ êµìˆ˜ë²•ì„ ë°°ìš°ëŠ” 사범학êµì—서는 ì¼ì • ìˆ˜ì¤€ì˜ ë¯¸ìˆ êµìœ¡ë„ ë°›ì„ ìˆ˜ 있었기 때문ì´ë‹¤. ì´ ë•Œ 그는 ë°ìƒë¶€í„° 유화까지 ì„œì–‘í™”ë²•ì„ ì²´ê³„ì ìœ¼ë¡œ ì²´ë“했다. 실제로 ì´ëŸ¬í•œ ì‹¤ë ¥ì„ ì‚´ë ¤ 고등학êµì—ì„œë„ ë¯¸ìˆ  êµìœ¡ì„ ë§¡ì„ ìˆ˜ 있었다.
하지만 ê¹€ í™”ë°±ì˜ í™”ì—…ì— ëŒ€í•œ ì—´ì •ì€ í•™ìƒë“¤ì—게 미술 실기를 가르치는 ì •ë„로 만족할 ìˆ˜ì¤€ì´ ì•„ë‹ˆì—ˆë‹¤. ì‚¶ì´ ë’¤ë°”ë€” 전환기를 ë§žì´í–ˆë˜ 것ì´ë‹¤. ê·¸ ì‹œì ˆì€ êµì‚¬ 퇴ì§ê¸ˆì´ëž€ ê°œë…ì¡°ì°¨ 없었다. ìƒì—…ì€ ì—­ì‹œ êµíŽ¸ì„ ìž¡ê³  ìžˆë˜ ì•„ë‚´ì—게 맡기고 ê³¼ê°ížˆ í™”ê°€ë¡œì„œì˜ ì‚¶ì„ ì„ íƒí–ˆë‹¤.
그렇다고 아무런 ê³„íš ì—†ì´ ë¬´ëª¨í•œ ì„ íƒì„ 한 ê²ƒë§Œì€ ì•„ë‹ˆì—ˆë‹¤. 그는 예술가로 살기 위해서는 ìžì‹ ë§Œì´ í•  수 있는 ê²ƒì„ ë³´ì—¬ì£¼ì–´ì•¼ 한다는 ì ì„ 잘 알고 있었다. 그가 êµíŽ¸ì„ ë‚´ë ¤ë†“ì•˜ì„ ë•ŒëŠ” 새마ì„ìš´ë™ì´ 한참 시작ë˜ì–´ â€˜ê·¼ëŒ€í™”â€™ì˜ ë°”ëžŒì´ ë¶ˆ 시기였다. ì˜ˆìˆ ê³„ë„ ì™¸êµ­ ë°”ëžŒì´ ê±°ì„¸ê²Œ 불었다. ì›ë¡œë“¤ì€ ì›ë¡œë“¤ëŒ€ë¡œ ì¼ë³¸ì´ë‚˜ 중국 ì¤‘ì‹¬ì˜ ê³ ì „ ë™ì–‘í™”ì— ë¨¸ë¬¼ëŸ¬ 있었다. 거기서 ê¹€ í™”ë°±ì´ ì°¾ì€ â€˜ì œ3ì˜ ê¸¸â€™ì´ ë¯¼í™”ì˜€ë‹¤.
“글 쓰는 ì‚¬ëžŒë“¤ì€ ë™ì‹œëŒ€ ë¯¼ì¤‘ì˜ ì‚¶ì„ ê¸°ë¡í•˜ëŠ” ìž‘ì—…ì´ ë‚¯ì„¤ì§€ 않습니다. ì €ë„ ê·¸ì™€ ê°™ì´ ê·¸ë¦¼ìœ¼ë¡œ 우리 ë¯¼ì¤‘ì˜ ì‚¶ì„ ê¸°ë¡í•˜ëŠ” ìž‘ì—…ì„ í•˜ê³  싶었고, ì—¬ê¸°ì— ë¯¼í™”ë§Œí¼ ì ì ˆí•œ ê²ƒì´ ì—†ë‹¤ê³  믿었습니다.â€

전시회 대성공으로 ì‚¶ì˜ ëª©í‘œë¥¼ 결정짓다

ê¹€ í™”ë°±ì´ ì¹´ë©”ë¼ë¥¼ 들고 ì „êµ­ì— ì‚°ìž¬í•œ 민ì†ìžë£Œë‚˜ 민화ìžë£Œë¥¼ 취재한 ì‚¬ì‹¤ì€ ìž˜ 알려져 있다. 그럴 ìˆ˜ë°–ì— ì—†ì—ˆë˜ ê²ƒì´ ë¯¼í™”ëŠ” ì¼ì œê°•ì ê¸°ë¥¼ 거치면서 ê±°ì˜ ë§ì‚´ë˜ë‹¤ì‹œí”¼ 했으며, 전승ìžë„ ì—†ì—ˆë˜ íƒ“ì´ë‹¤. 그가 ì˜ì§€í•  수 있는 ê²ƒì€ ê³ ì„œì ê³¼ 사진ë¿ì´ì—ˆë‹¤. ì´ë ‡ê²Œ ëª¨ì€ ì‚¬ì§„ìžë£Œë¥¼ 토대로 스케치를 하고 ìž‘í’ˆì„ êµ¬ìƒí•˜ëŠ” ìž‘ì—…ì„ ë°˜ë³µí–ˆë‹¤. ì´ë ‡ê²Œ ì‹œìž‘ëœ ìž‘ì—…ì€ ì™¸ë¡œì› ê³ , 누가 알아줄 것ì¸ê°€ì— 대한 ê³ ë¯¼ë„ ê¹Šì—ˆë‹¤.
ê·¸ëŸ¬ë˜ ê¹€ 화백ì—게 ì¼ìƒì¼ëŒ€ì˜ 기회가 찾아왔다. 1970ë…„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ì œ1회 ì˜ ì‹ ë¬¸ê´‘ê³ ê°€ ëˆˆì— ë“¤ì–´ì™”ë‹¤. 당시 민화, í˜¹ì€ ë¯¼ì†í™”란 카테고리가 아예 없었다. 그는 ê·¸ë™ì•ˆ ì „êµ­ì„ ëŒë©° 수집하고 작업한 슬ë¼ì´ë“œ 100ìž¥ì„ ì—®ì–´ ì„ ì¶œí’ˆí–ˆë‹¤. 결과는 ìž…ì„ ì´ì—ˆë‹¤. 출품 ì „ ê°ê°ì˜ 슬ë¼ì´ë“œì— 번호를 기ë¡í•´ ë‘었는ë°, ì ì§€ ì•Šì€ ì‚¬ëžŒë“¤ì´ í•´ë‹¹ ê·¸ë¦¼ì„ êµ¬ë§¤í•˜ê² ë‹¤ê³  나섰다.
그가 ì¼ì•½ ‘스타’로 떠오른 ê²ƒì€ 1972ë…„ ë•ìˆ˜ê¶ ëŒë‹´ê¸¸ì— 연한 국립공보관 전시였다. ê²½ìŸ ë°©ì‹ìœ¼ë¡œ 전시작가를 모집하는 공모전 ì„±ê²©ì˜ ì´ ì „ì‹œëŠ”, 국가가 여러 혜íƒì„ 제공하는 ë§Œí¼ ê²½ìŸì´ 치열했다. ê¹€ í™”ë°±ì€ ì—¬ê¸°ì— ì „ì‹œ 작가로 ì„ ì •ë다. ì¶œí’ˆìž‘í’ˆì€ ë¯¼ì˜ˆí’ˆê²½ì§„ëŒ€íšŒì— ì œì¶œí•œ 작품과 ê°™ì€ ë°©ì‹ì„ ì„ íƒí•˜ë˜ 500ë§¤ì˜ ìŠ¬ë¼ì´ë“œë¥¼ 연결한 거대한 ìž‘ì—…ì„ ì„ ë³´ì˜€ë‹¤.
그러나 ì´ ë•Œê¹Œì§€ë„ í™•ì‹ ì´ ìžˆì—ˆë˜ ê²ƒì€ ì•„ë‹ˆë‹¤. 2ë…„ ì „ 입선했고 ìž…ì†Œë¬¸ì„ íƒ€ ìž‘í’ˆì´ íŒë§¤ë˜ê¸°ë„ 했지만, 당시까지는 민화나 민ì†í™”ì— ëŒ€í•œ ê´€ì‹¬ì´ ê·¸ì € ì¼ë¶€ ë§ˆë‹ˆì•„ë“¤ì˜ ì·¨ë¯¸ì— ê·¸ì¹˜ëŠ” ì •ë„였다. 전시회 첫날, 그는 ‘혹시나 보러 오는 ì‚¬ëžŒì´ ë§Žì§€ 않으면 어떡하나’ë¼ëŠ” ê±±ì •ì„ ì•ˆê³  조심스럽게 ë•수ê¶ì— 들어섰다. 그는 “관람ê°ì´ 제법 ë§Žì•„ ì•ˆì‹¬ì´ ë˜ì—ˆì§€ë§Œ, ê´€ëžŒê° ëª¨ë‘ê°€ ì œ ìž‘í’ˆì„ ë³´ëŸ¬ ì™”ì„ ê±°ë¼ê³ ëŠ” ìƒê°í•˜ì§€ 못했습니다â€ë¼ê³  ê·¸ë•Œì˜ ë²…ì°¬ ê¸°ì–µì„ ë– ì˜¬ë ¸ë‹¤. 세 ê³³ì˜ ì „ì‹œ 공간 중 ìžì‹ ì˜ 민ì†í™” 슬ë¼ì´ë“œ ìž‘ì—…ì´ ì „ì‹œëœ ì „ì‹œì‹¤ë§Œ 문전성시를 ì´ë£¨ì—ˆë‹¤. ê·¸ì˜ í‘œí˜„ì„ ë¹Œìžë©´, 그때부터 ì ì‹¬ ë¨¹ì„ ì‚¬ì´ë„ ì—†ì´ ì¸í„°ë·°ê°€ ì§„í–‰ë다. 예ìƒì¹˜ 못한 ì „ì‹œì˜ ëŒ€ì„±ê³µì€ ê·¸ì—게 중요한 과제를 ë˜ì ¸ì£¼ì—ˆë‹¤.
“당시 ë™ì–‘ë°©ì†¡ì˜ ì£¼ìˆ˜ê´‘ 아나운서와 ìƒë°©ì†¡ ì¸í„°ë·°ë¥¼ í•  때였죠. 화제, 그리고 그림 ì†ì— 등장하는 ìš”ì†Œë“¤ì´ ê°€ì§„ ìƒì§•ì„±ì— ëŒ€í•œ 대화가 ì˜¤ê°”ëŠ”ë° ì§„ë•€ì´ ë‚¬ìŠµë‹ˆë‹¤. 당시로서는 화제나 ë„ìƒí•™ì ì¸ ë¶€ë¶„ì— ëŒ€í•´ì„œëŠ” ì§€ì‹ì´ í„±ì—†ì´ ë¶€ì¡±í–ˆìŠµë‹ˆë‹¤. 그나마 나보다 ì—°ë°°ê°€ ìœ„ì˜€ë˜ ì£¼ 아나운서가 노련하게 정리해 ì¸í„°ë·°ë¥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â€
그는 당시 ì¸í„°ë·°ë¥¼ 계기로 작업 ì‹œê°„ì˜ ì ˆë°˜ì„ ì´ë¡  ê³µë¶€ì— í• ì• í–ˆë‹¤. 그렇다고 ì´ë¡  공부와 ìž‘ì—…ì˜ ë³‘í–‰ì´ ë…¹ë¡í•œ ê²ƒì€ ì•„ë‹ˆì—ˆë‹¤. ì¸ê¸° ìž‘ê°€ì˜ ë°˜ì—´ì— ì˜¤ë¥¸ 그를 주변ì—서 여유롭게 놔둘 리 없었다. 당장 ì´ë“¬í•´ì¸ 1973ë…„ 국립공보관 ì•µì½œì „ì´ ê¸°ë‹¤ë¦¬ê³  있었다. ê·¸ 후 10ë…„ ê°„ ì§„í–‰ëœ ì´ˆì²­ì „ë§Œ 22íšŒì— ë‹¬í–ˆë‹¤. ì–´ëŠìƒˆ êµ­ë‚´ 민화 ê°œì¸ì „ ì´ë ¥ì€ 2014년까지 무려 50회를 í›Œì© ë„˜ê¸´ë‹¤.
한편으로는 그간 수집한 ìžë£Œë¥¼ 체계ì ìœ¼ë¡œ 정리해 서ì ìœ¼ë¡œ 발간하는 ìž‘ì—…ë„ ì§„í–‰í–ˆë‹¤. ì¼ì•½ 스타 작가로 ì¸ê¸°ë¥¼ 얻기 시작한 1973ë…„ì— í–¥í›„ 20ê¶Œì´ ë  ì˜ ì²« ì±…ì„ íŽ´ëƒˆë‹¤. 그리고 화제, 화목별로 17ê¶Œì˜ ì‹œë¦¬ì¦ˆë¥¼ ì˜í•œëŒ€ì—­ë³¸ìœ¼ë¡œ íŽ´ë‚´ê¸°ë„ í–ˆë‹¤. 당시 우리 옛것과 ì „í†µë¬¸í™”ì— ëŒ€í•œ ê´€ì‹¬ì´ ì¼ì–´ë‚˜ê¸´ 했지만, ëŒ€ë¶€ë¶„ì€ ê³¨ë™í’ˆ 수집 ìˆ˜ì¤€ì¸ ë°˜ë©´, 그는 작품활ë™ì„ í•˜ë©´ì„œë„ ì—­ì‚¬ì  ìžë£Œë¥¼ 수집하는 ìž‘ì—…ì„ ê²Œì„리하지 않았다.

 
해외ì—ì„œì˜ ì„±ê³µì ì¸ 전시, ë¯¼í™”ì˜ ê°€ì¹˜ë¥¼ ì¼ê¹¨ìš°ë‹¤

고안 김만í¬êµ­ë‚´ì—ì„œì˜ ì„±ê³µì  ê²°ê³¼ëŠ” í•´ì™¸ì „ì‹œì˜ ì£¼ëª©í•  만한 성과로 ì´ì–´ì¡Œë‹¤. 대만(타ì´íŽ˜ì´, 타ì´ë‚œ), ì¼ë³¸(ê³ ë² ), 오스트리아(빈), 미국(샌프란시스코, 워싱턴 등), ë…ì¼(립스타트, 베를린) 등 5개국 ê° ë„시ì—서 10회가 넘는 초대 전시를 가졌으며, 해외 ë¯¸ìˆ ê³„ì™€ë„ êµë¥˜í–ˆë‹¤.
특히 첫 해외전시는 ë‹¹ì‹œì˜ ì‹œëŒ€ìƒí™©ì„ ìƒê°í•˜ë©´ 파격ì ì¸ 것ì´ì—ˆë‹¤. êµ­ë¯¼ë“¤ì˜ ì¶œêµ­ì€ ì•„ë¬´ë¦¬ ê³µì ì¸ ì—…ë¬´ë¼ í•˜ë”ë¼ë„ 까다로운 절차를 ê±°ì³ì•¼ë§Œ 가능했다. ìš°ì„  해외 전시기관ì´ë‚˜ ë‹¨ì²´ì˜ ì´ˆì²­ì´ ìžˆì–´ì•¼ 했고, ì—¬ê¸°ì— í•´ë‹¹ 전시와 ì—°ê´€ë˜ëŠ” 국내단체 소ì†ìž„ì„ ì¦ëª…해야 했다.
â€œì–´ëŠ ë‚  í•œë‚¨ì„ ì „ 국립공보관장께서 ì§ì ‘ 찾아왔습니다. 대만ì—서 전시를 하ìžê³  하ë”êµ°ìš”. ë‚´ê°€ ìžê²© ìš”ê±´ì— ëŒ€í•´ 걱정했ë”니 ê·¸ê²ƒì€ ê±±ì •í•˜ì§€ ë§ë¼ê³  하면서 ì¼ì‚¬ì²œë¦¬ë¡œ 해결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대만ì—서 전시가 성공하니 êµ­ë‚´ì—ì„œë„ â€˜êµ­ìœ„ì„ ì–‘â€™ 사례로 떠들ì©í–ˆì—ˆì§€ìš”.â€
대만ì—서 ê·¸ì˜ ê°œì¸ì „ì€ ê·¸ í›„ë¡œë„ ì´ì–´ì ¸ ì–‘êµ­ì˜ êµ­êµê°€ ë‹¨ì ˆë  ë•Œê¹Œì§€ ì´ 5회가 열렸다.당연히 ëª¨ë‘ ì´ˆëŒ€ì „ì´ì—ˆë‹¤. 대만ì—ì„œì˜ ì´ˆëŒ€ì „ì€ ë¯¼í™”ê°€ 아닌 ‘민ì†í™”’ë¼ëŠ” ì´ë¦„으로 소개ë다.
유럽ì—ì„œë„ ê·¸ëŠ” í° ì¸ê¸°ë¥¼ 누렸다. 2005ë…„ ë…ì¼ ë¦½ìŠˆíƒ€íŠ¸ 시청ì—ì„œì˜ ì „ì‹œëŠ” 50ì¼ì”© 2회, 100ì¼ ê°„ì´ë‚˜ ì§€ì†ë  ë§Œí¼ ì„ í’ì ì¸ ê´€ì‹¬ì„ ëª¨ì•˜ë‹¤. 특히 그는 ë…ì¼ì—서 역사를 대하는 ë°©ì‹ì— 대해 ë§Žì€ ê²ƒì„ ëŠê¼ˆë‹¤ê³  한다.
“2차대전 때 í­ê²©ì„ ë§žì•„ 만신창ì´ê°€ ëœ ì„±ë‹¹, ëƒ‰ì „ì‹œëŒ€ì˜ ìƒì§•ì¸ ë§ˆë¥´í¬ìŠ¤Â·ì—¥ê²”ìŠ¤ ìƒ ë“±ì„ ì‹œë¯¼ë“¤ì´ ì§€ì¼°ë‹¤ëŠ” ì´ì•¼ê¸°ë¥¼ 들었습니다. 아픈 ìž¥ë©´ë„ ê¸°ì–µí•˜ê³  êµí›ˆìœ¼ë¡œ 삼아야 í•  역사로 ë°›ì•„ë“¤ì¸ ê²ƒì´ì£ . ì´ê²ƒì´ 한국 근현대사를 대하는 ìš°ë¦¬ì˜ ë°©ì‹ì— 시사하는 ì ì´ í¬ë‹¤ê³  ìƒê°í–ˆìŠµë‹ˆë‹¤. 민화가 가지는 역사기ë¡ìœ¼ë¡œì„œì˜ ì¤‘ìš”ì„±ì— ëŒ€í•´ 다시 ìƒê°í•˜ëŠ” 계기가 ë지요.â€
실제로 ê¹€ 화백 ìžíƒ ê±°ì‹¤ì— ìžˆëŠ” , ë“±ì˜ í™”ì œëŠ” 다분히 ê·¼í˜„ëŒ€ì‚¬ì— ëŒ€í•œ 기ë¡í™”ì  ì„±ê²©ì´ ì§™ë‹¤. 특히 ê·¸ë¦¼ì˜ ë°°ê²½ì´ ëœ ê³µê°„ì˜ ìƒí˜¸ëª…ì„ ë³´ê³  옛 ì¶”ì–µì„ ë– ì˜¬ë¦¬ëŠ” 관람ê°ë„ ì ì§€ 않았다. 실제 ì´ ê·¸ë¦¼ë“¤ì„ ìžì„¸ížˆ ë³´ë©´ 당시 시대ìƒì„ 특징ì ìœ¼ë¡œ ë°˜ì˜í•˜ëŠ” ìš”ì†Œë“¤ì´ ë‹´ê²¨ì ¸ 있어 먼 í›—ë‚  ëŒ€í•œë¯¼êµ­ì˜ ê·¼í˜„ëŒ€ì‚¬ë¥¼ ê³ ì¦í•  때 ì‚¬ë£Œë¡œì„œì˜ ê°€ì¹˜ê°€ í¬ë‹¤ëŠ” í‰ê°€ë¥¼ 받았다.
ê·¸ì˜ ë¯¼í™”ëŠ” 채색 í’ì†í™”ê°€ 전통ì ìœ¼ë¡œ 발달한 ì¼ë³¸ì—ì„œë„ ì¸ê¸°ê°€ 높았다. ì´ë¯¸ 1989ë…„ ê³ ë²  시립박물관ì—서 민화개ì¸ì „ì„ ì—´ì—ˆì„ ë¿ ì•„ë‹ˆë¼ ì¼ë³¸ ë‚´ 거물급 문화계 ì¸ì‚¬ë“¤ê³¼ë„ êµë¥˜ë¥¼ 가져왔다. 특히 한국 ì™€ë‹¹ìˆ˜ì§‘ê°€ì˜€ë˜ ì´ìš°ì¹˜ ì´ì‚¬ì˜¤ëŠ” ê¹€ í™”ë°±ê³¼ì˜ ê¹Šì€ ì¸ì—°ìœ¼ë¡œ 국립 ì¤‘ì•™ë°•ë¬¼ê´€ì— ìžì‹ ì˜ 수집품 ì ˆë°˜ì— í•´ë‹¹í•˜ëŠ” 2,300ì ì˜ 기와를 기ì¦í•˜ê¸°ë„ 했다. 그는 ì¼ì œê°•ì ê¸° ì‚¬ë²”í•™êµ ê³¼ì •ì„ ì´ìˆ˜í–ˆë˜ ì¸ì—°ìœ¼ë¡œ ì¼ë³¸ì–´ ëŠ¥ë ¥ë„ ì¶œì¤‘í•´ ì¼ë³¸ì—서 í•œêµ­ë¯¼í™”ì— ëŒ€í•œ ê°•ì˜ë¥¼ 수차례 맡았다. 요즘으로 치ìžë©´ ì›ì¡° â€˜í•œë¥˜ìž‘ê°€â€™ì˜€ë˜ ì…ˆì´ë‹¤.

최초ì´ìž 유ì¼í•œ 무형문화재, 롤모ë¸ì´ ë˜ë‹¤

ê¹€ 화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타ì´í‹€ì€ ì•„ë¬´ëž˜ë„ ì„œìš¸ì‹œ 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民畵匠)â€™ì¼ ê²ƒì´ë‹¤. 민화 분야ì—서는 최초ì´ê³  유ì¼í•œ 무형문화재로, 1996ë…„ì— ìžëž‘스러우면서 ì±…ìž„ê° ë¬´ê±°ìš´ ì˜ì˜ˆë¥¼ 안았다. ë¬¸í™”ìž¬ì²­ì€ ë¯¼í™”ì™€ ë¯¼í™”ìž¥ì— ëŒ€í•´ ‘민화란 ìƒí™œê³µê°„ì˜ ìž¥ì‹ì„ 위주로 한 ì¼ìƒìƒí™œê³¼ í’ìŠµì— ë”°ë¼ ê·¸ë ¤ì§„ ì‹¤ìš©ì  ê·¸ë¦¼ì„ ë§í•˜ë©°, ì´ëŸ° 민화를 그리는 ì‚¬ëžŒì„ ë¯¼í™”ìž¥ì´ë¼ 한다’고 ì •ì˜í•˜ê³  있다. 즉 ì‹œê¸°ì— ë”°ë¼ í˜ëŸ¬ì˜¤ê³  가는 ì˜ˆìˆ ì˜ í•œ 조류가 ì•„ë‹ˆë¼ ë¯¼ì¡±ì˜ ì •ì‹ ê³¼ 역사를 ì¦ëª…하는 문화재가 바로 민화ë¼ëŠ” 것ì´ë‹¤.
1996ë…„ì€, 80년대부터 본격ì ìœ¼ë¡œ 대중화 ë°”ëžŒì„ íƒ€ê¸° 시작한 민화가 ê° ëŒ€í•™ 사회êµìœ¡ì›ì´ë‚˜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확연한 ë¶ì„ ì¼ìœ¼í‚¨ 시기여서 ë”ìš± ì˜ë¯¸ê°€ 컸다. ê·¸ 역시 ë§Žì€ í”„ë¡œíŽ˜ì…”ë„ ë¯¼í™”ìž‘ê°€ë¥¼ 비롯해 현재 민화ì¸êµ¬ì˜ 대다수를 ì´ë£¨ê³  있는 여성 민화ì¸ë“¤ì„ 가르쳤다. 현재 ê·¸ì˜ ì „ìˆ˜ì¡°êµ ì—­ì‹œ 80년대 ê·¸ì˜ ë¬¸í•˜ì— ìž…ë¬¸í•œ 여성 민화ì¸ì´ë‹¤.
ê·¸ì˜ í‰ìƒ ë¯¼í™”ìž‘ì—…ì€ ì™¸ë¡­ê³  힘든 것ì´ì—ˆê¸°ì— ë¬´í˜•ë¬¸í™”ìž¬ë¡œì„œì˜ ë“±ìž¬ë„ ë…¹ë¡ì¹˜ ì•Šì•˜ì„ ê²ƒìœ¼ë¡œ 예ìƒí•  수 있다. 하지만 ê¹€ í™”ë°±ì€ â€œì˜¤ížˆë ¤ í° ì–´ë ¤ì›€ì´ ì—†ì—ˆë‹¤â€ë©° “그 외로운 ìž‘ì—…ì˜ ê°€ì¹˜ë¥¼ 선구ìžì  역할로 ì¸ì •해주는 ì´ë“¤ì´ 있어 수월하게 ì§„í–‰ë다â€ê³  ì¸ì—° 있는 ì´ë“¤ì—게 ê³ ë§ˆì›€ì„ ì „í–ˆë‹¤.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한국 민화수집과 연구 ê¸°ì¤€ì„ ì„¸ìš´ 대갈 ì¡°ìžìš©ì„ 비롯하여 ë§Žì€ ìž‘ê°€ ë° ì—°êµ¬ê°€ë“¤ê³¼ êµë¶„ì„ ë‚˜ëˆ„ì—ˆë‹¤. 그들 ìƒë‹¹ìˆ˜ê°€ ì§€ê¸ˆì€ ê³ ì¸ì´ ë다.
ê¹€ í™”ë°±ë„ ë¯¸ìˆ˜(米壽, 88세)를 앞ë‘ê³  있다. ì‚¬ì´Œí˜•ì¸ ê¹€ë§Œê·œ ì „ ì¢…ë¡œêµ¬ì²­ìž¥ì´ ì§€ì–´ 준 ‘오래 ëœ ì–¸ë•’ì´ë¼ëŠ” ëœ»ì˜ í˜¸ 고안(å¤å²¸)처럼 민화ë¼ëŠ” ê°•ì˜ íë¦„ì„ ì˜¤ëž˜ë„ë¡ ì§€ì¼œë³´ë©° 살아왔다. ì´ ëŒ€ê°€ì—게 ë” ë‚¨ê¸°ê³  ì‹¶ì€, í˜¹ì€ í™”ì—…ìœ¼ë¡œ ì°ê³  ì‹¶ì€ ë°©ì ì´ 있다면 무엇ì¼ê¹Œ. ê·¸ì˜ ëŒ€ë‹µì€ ì˜ì™¸ë¡œ 소박했다.
“í‰ìƒ ë‚´ê°€ 잘 í•  수 있는 유ì¼í•œ ì¼ì´ ê·¸ë¦¼ì„ ê·¸ë¦¬ëŠ” ì¼ì´ì—ˆìœ¼ë‹ˆ ì§€ê¸ˆë„ ìž‘ì—…ì„ ë©ˆì¶”ì§€ 않고 있습니다. ì¸ê°„ì´ 70대까지는 ìžì‹ ì˜ ê¸°ë ¥ì„ ì˜¨ì „ížˆ 쓸 수 있지만, 80대가 넘어서는 ë§ì²˜ëŸ¼ 쉬운 ì¼ì´ 아닙니다. ì´ì œ 제가 ë” í•  수 없는 ê²ƒë“¤ì€ í›„í•™ë“¤ì˜ ëª«ì´ ì•„ë‹Œê°€ ì‹¶ì–´ìš”. í‰ìƒ 그리고 ì‹¶ì€ ê·¸ë¦¼ì„ ê·¸ë ¸ìœ¼ë‹ˆ ê·¸ê²ƒë§Œìœ¼ë¡œë„ í–‰ë³µí•©ë‹ˆë‹¤.â€

 

글 : 한명륜 기ìž
사진 : ì´ì£¼ìš©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