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와 한국 현대미술작가② – 민화, ì •ì²´ì„±ì˜ ë¯¸ë¡œì— ë˜ì ¸ì§„ 한 íƒ€ëž˜ì˜ ì‹¤ë­‰ì¹˜ ë°•ìƒê´‘

민화와 한국 현대미술작가②
민화, ì •ì²´ì„±ì˜ ë¯¸ë¡œì— ë˜ì ¸ì§„ 한 íƒ€ëž˜ì˜ ì‹¤ë­‰ì¹˜ ë°•ìƒê´‘


ë‚´ê³ ä¹ƒå¤ ë°•ìƒê´‘朴生光(1904-1985)ì€ ì‹œëŒ€ì˜ ê³ ë¯¼ì„ ì•ˆê³  ì§„ì‹¤ì„ ì°¾ì•„ ë°°íšŒí•˜ë˜ í™”ê°€ 중 하나였지만 가장 ì¹˜ì—´í–ˆë˜ í™”ê°€ì˜€ìœ¼ë©° 누구보다 늦게 출발했으나 완벽히 ê·¸ 미로를 헤치고 나와 ìƒì¡´í•œ ì¸ë¬¼ì´ì—ˆë‹¤. ë˜í•œ, 고매한 ì •ì‹ ì˜ ìœ í¬ê°€ 아닌 ëª¸ì˜ ì—너지, ëŠë¼ëŠ” ê°ì •, 마ìŒì˜ ìš¸ë¦¼ë“¤ì„ ì›í•œ 예술가였다.

ê´‘ë³µ ì§í›„ 한국현대미술 ìµœê³ ì˜ í™”ë‘는 ‘민족미술 구현’ì´ì—ˆë‹¤. ê·¸ê²ƒì€ ì§€ë‚œ 잃어버린 ì‹ë¯¼ ê¸°ê°„ì˜ ì•„í””ì„ íšŒë³µí•´ì£¼ëŠ” 처방전으로 ìžì¡´ì‹¬ 회
복과 ë”불어 ë¯¸ìˆ ì´ ì‚¬íšŒì—서 기능하는 유ì¼í•œ ëŒíŒŒêµ¬ì´ê¸°ë„ 했다. 광복과 함께 ë…¼ì˜ëœ 민족 ë¯¸ìˆ ì€ ë‹¹ì—°ížˆ 왜색 ê·¹ë³µì— ëŒ€í•œ êµ¬ì²´ì  ë°©ì•ˆì„ ê°•êµ¬í•˜ëŠ” ê²ƒì„ ëª©í‘œë¡œ 했다. ë™ì–‘주ì˜, 향토색 ë“±ì— ê¸°ë°˜ì„ ë‘” ë¯¼ì¡±ë¯¸ìˆ ì€ ê¹€ìš©ì¤€ì„ ì¤‘ì‹¬ìœ¼ë¡œ 한 ì´ë¡ ê°€ë“¤ì— ì˜í•´ í•´ì„ëœ ì „í†µ ìˆ˜ë¬µì˜ ì„¸ê³„ì˜€ë‹¤. 장승업과 추사 김정í¬ì˜ ë„저히 ë‹¿ì„ ìˆ˜ 없는 다른 세계관ì—ë„ ë¶ˆêµ¬í•˜ê³  ì´ ë‘ ì„¸ê³„ëŠ” ë¯¼ì¡±ë¯¸ìˆ ì˜ ì´ìƒí–¥ì— 위치해 있었다.

q2

ê·¸ëŸ°ë° ì±„ìƒ‰í™”ëŠ” ì¼ë³¸í™”ì™€ì˜ ì°¨ë³„ì„±ì— ì—­ì ì„ ë‘는 태ë„를 취할 ìˆ˜ë°–ì— ì—†ì—ˆë‹¤. 전통 ë„화서 í™”ì›ì˜ ì „í†µì„ ì§€ë‹ˆê³  ìžˆë˜ ì•ˆì¤‘ì‹ê³¼ ì¡°ì„ì§„ 서거 ì´í›„ 서화미술학êµì—서 ì´ë“¤ì—게 êµìœ¡ë°›ì€ ê¹€ì€í˜¸ì™€ ë…¸ìˆ˜í˜„ì— ì˜í•´ ì±„ìƒ‰ì€ ì „ìŠ¹ë˜ì—ˆì§€ë§Œ, ê¹€ì€í˜¸ì˜ ì±„ìƒ‰ì€ ì±„ìƒ‰ì—서 ì „í†µì„ ë²—ì–´ë‚œ ì§€ì ì´ ìžˆì—ˆë˜ ê²ƒì´ë‹¤. ë˜ ì´ì˜ì¼, ì´í•œë³µ, ì •ì°¬ì˜ ë“±ì€ ì¼ë³¸ì—서 공부를 하고 와 ì¼ë³¸í™”ì˜ ì„¸ë°€í•˜ê³  ê³ ìš´ ì±„ìƒ‰ì„ ë³´ì—¬ì£¼ê³  있었다.
ì´ë“¤ ì±„ìƒ‰í™”ê°€ë“¤ì˜ ê³ ë¯¼ì€ ê´‘ë³µì˜ ê¸°ì¨ê³¼ 함께 대ë‘ë˜ì—ˆë‹¤ê³  í•´ë„ ê³¼ì–¸ì´ ì•„ë‹Œë° ì „í†µì„ ì•Œì§€ ëª»í•˜ëŠ”ë° ë„대체 어디로 ëŒì•„ê°ˆ 것ì´ë©° ë¬´ì—‡ì„ ì „ë§í•  수 ìžˆì„ ê²ƒì¸ê°€ 난처한 ìƒí™©ì´ì—ˆë˜ 것ì´ë‹¤. 실지로 1920ë…„ì— ì°½ë•ê¶ ëŒ€ì¡°ì „ ì¼ê³½ì˜ 벽화를 화가들ì—게 ì˜ë¢°í•˜ìž 심전과 소림 ë‘ ìŠ¤ìŠ¹ì´ ì„œê±°í•˜ì‹  ìƒí™©ì—서 êµìˆ˜ ê°•ì§„í¬ëŠ” ì„œí™”ë¯¸ìˆ íšŒì˜ ì Šì€ ìž‘ê°€ë“¤ê³¼ ì‹œì¤‘ì˜ ë¯¼í™”ìž‘ê°€ë“¤ì´ í•¨ê»˜ ê¶ì¤‘ 벽화를 그리려는 계íšì„ 세웠다. 장ì‹ì ì¸ ê·¸ë¦¼ì„ ê·¸ë¦¬ê³ ìž í•˜ì˜€ë˜ ê²ƒì´ê³  ì§„ì±„ì˜ ì±„ìƒ‰í™”ë¥¼ ê·¸ë“¤ì´ í•´ê²°í•  수 ìžˆì„ ê²ƒìœ¼ë¡œ ì „ë§í–ˆì„ 것ì´ë‹¤. 하지만 ‘ë‘ê»ë‹«ì´ ê·¸ë¦¼ì„ ê·¸ë¦¬ëŠ” ì‹œì¤‘ì˜ ìž‘ê°€ë“¤â€™ê³¼ 함께할 수 없다는 â€˜ì˜ˆìˆ ê°€â€™ë“¤ì˜ íŒë‹¨ì— ì˜í•´ 계íšì€ 어그러지고 ë§ì•˜ë‹¤.
그리하여 한국 ì±„ìƒ‰í™”ì˜ ì „í†µ, ê·¸ê²ƒì€ ìž¥ì‹ê³¼ 결연한 채 순수 ì˜ˆìˆ ì˜ ëª¨ìŠµì„ ì¶”êµ¬í•˜ì˜€ê³  ê²°êµ­ ì¼ë³¸í™”ì˜ ì™¸í”¼ì— ìœ„ì¹˜í•˜ê²Œ ëœ ê²ƒì´ë‹¤. ì´ëŸ¬í•œ ì—­ì‚¬ì  ìƒí™© 아래 ì±„ìƒ‰ì„ ë‹¤ë£¨ëŠ” í™”ê°€ë“¤ì€ ë‚˜ë¦„ì˜ ë°©ì‹ìœ¼ë¡œ 나아갈 ìˆ˜ë°–ì— ì—†ì—ˆê³  ê·¸ê²ƒì€ ê°œì¸ì˜ ì–‘ì‹ì´ ê³§ ë¯¼ì¡±ë¯¸ìˆ ì˜ í˜•ì‹ì´ìž 왜색 ê·¹ë³µì˜ ë°©ì•ˆì´ë¼ëŠ” 결과로 ì—°ê²°ë˜ì—ˆë‹¤. ë‚´ê³ ä¹ƒå¤ ë°•ìƒê´‘朴生光(1904-1985)ë„ ì´ëŸ¬í•œ ì‹œëŒ€ì˜ ê³ ë¯¼ì„ ì•ˆê³  ì§„ì‹¤ì„ ì°¾ì•„ ë°°íšŒí•˜ë˜ í™”ê°€ 중 하나였지만 ë™ì‹œì— 가장 ì¹˜ì—´í–ˆë˜ í™”ê°€ì˜€ìœ¼ë©° 누구보다 늦게 출발했으나 완벽히 ê·¸ 미로를 헤치고 나와 ìƒì¡´í•œ ì¸ë¬¼ì´ ë˜ì—ˆë‹¤.


ë™ì–‘ê³¼ ì¼ë³¸ 그리고 민족

q3
ë°•ìƒê´‘ì€ 1904ë…„ 진주ì—서 박기준과 ê¹€ì„±ë…€ì˜ 2남 1ë…€ 중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진주ë†ì—…í•™êµì— 다니다가 ì¼ë³¸ì¸ 스승 쿠미니요네타로가 주선하여 ì¼ë³¸ì— 가서 3ë…„ ë™ì•ˆ í™”ì—…ì„ ë‹¦ì•˜ë‹¤. êµí† ì‹œë¦½íšŒí™”전문학êµë¥¼ 수료하고 명랑미술연구소ì—서 ì¡°êµë¥¼ 하였으며 오치아ì´ë¡œìš°í›„를 만나 ë„
쿄로 ì´ì£¼í•˜ì˜€ë‹¤. 26세 ë•Œì¸ 1930ë…„ 조선미술전람회 ì„œì–‘í™”ë¶€ì— ì¶œí’ˆí•˜ì—¬ 〈소묘〉가 입선하였고 ì´ë“¬í•´ì—는 ë™ì–‘í™”ë¶€ì— ã€ˆì±„ì†Œë°­ã€‰ë¥¼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ì´í›„로 그는 ì¡°ì„ ë¯¸ìˆ ì „ëžŒíšŒì— ì¶œí’ˆí•˜ì§€ 않고 명랑미술전ì—서 활ë™í•˜ì˜€ê³  ì¼ë³¸ë¯¸ìˆ ì› ë™ì¸ì´ ë˜ëŠ” 등 ì¼ë³¸ì—서 í™”ê°€ë¡œì„œì˜ ê¸¸ì„ ë‹¨ë‹¨ížˆ 밟아갔다. ê´‘ë³µì´ ë˜ìž 25ë…„ ë™ì•ˆì˜ ì¼ë³¸ ìƒí™œì„ ì ‘ê³  귀국하여 ì§„ì£¼ì— ë¨¸ë¬¼ë©° 활ë™í•˜ì˜€ë‹¤. ì „ìŸ ì¤‘ 월남한 ì´ì¤‘ì„­ì´ ê·¸ë¦¼ì„ ê·¸ë¦´ 수 있ë„ë¡ í›„ì›í•˜ê³  그가 ìš´ì˜í•˜ë˜ 성림다방ì—서 ì „ì‹œë„ ì—´ì–´ì£¼ëŠ” 등 활ë™ë„ 쉬지 않았다.
1967ë…„ 서울로 ì´ì‚¬í•˜ì—¬ í™ìµëŒ€í•™êµ ë™ì–‘화과, ê²½í¬ëŒ€í•™êµ 미술학과 등ì—서 ê°•ì˜í•˜ì˜€ê³ , 67ì„¸ì¸ 1971ë…„ì— ì„œìš¸ìˆ˜ìœ ë¦¬ ê·¸ë¦°ë²¨íŠ¸ì— ìœ„ì¹˜í•œ ìž‘ì€ ì§‘ìœ¼ë¡œ ì´ì‚¬ë¥¼ 하였다.
그는 ìƒì• ë¥¼ ì´ê³³ì—서 마쳤는ë°, 한 칸짜리 ë°©ì´ í™”ì‹¤ì´ì–´ì„œ ëŒ€ìž‘ì€ íŽ´ë†“ì§€ë„ ëª»í•˜ê³  ë°”ë‹¥ì— ë†“ê³  둘둘 ë§ì•„가며 그렸다고 윤범모는 기ë¡í•˜ì˜€ë‹¤. 그리고 ê·¸ì˜ ë‚˜ì´ 77ì„¸ì— ë°±ìƒê¸°ë…ê´€ì—서 가진 ê°œì¸ì „ì€ ì„¸ì¸ì˜ ê´€ì‹¬ì„ ë¶ˆëŸ¬ì¼ìœ¼ì¼œ ì¸ë„와 프랑스를 다녀오고, 1984ë…„ì— ê·¸ëž‘íŒ”ë ˆ 한국미술 íŠ¹ë³„ì „ì— ì´ˆëŒ€ë°›ê³  ìƒ¤ê°ˆì„ ë§Œë‚˜ê¸° 위해 í•œë³µë„ ì§€ì–´ 입었다. 하지만 그해 후ë‘ì•” ì§„ë‹¨ì„ ë°›ì•˜ê³  1985ë…„ 5ì›”ì— íŠ¹ë³„ 초대작가로 파리 ê·¸ëž‘íŒ”ë ˆì— ì¶œí’ˆí•œ ë’¤, ê·¸ í•´ 7ì›” 18ì¼ ì„œê±°í•˜ì˜€ë‹¤.
ë°•ìƒê´‘ì˜ í™œë°œí•œ 활ë™ì€ ë…¸ë…„ì— ì§‘ì¤‘ë˜ì–´ 있다. 그는 오랫ë™ì•ˆ ì¼ë³¸ì— 머물렀고 ë˜ ê·¸ë§Œí¼ì˜ ì‹œê°„ì„ ì§„ì£¼ì— ë¨¸ë¬¼ë €ë˜ ë•Œë¬¸ì— ì¤‘ì•™í™”ë‹¨ì— ì†Œê°œë˜ê¸°ê¹Œì§€ ì‹œê°„ì´ ê±¸ë ¸ë˜ ê²ƒì´ë‹¤. 하지만 화가가 ë§Žì§€ ì•Šë˜ ê·¸ë•Œì— ê·¸ì˜ í–‰ë³´ê°€ ë”딘 ê²ƒì´ ë¹„ë‹¨ ì§€ë°©ì— ê±°ì£¼í•œ íƒ“ë§Œì€ ì•„ë‹ˆì—ˆì„ ê²ƒì´ë‹¤. 그는 ìžê¸° ìˆ˜í–‰ì— ì§‘ì¤‘í–ˆë‹¤. ê·¸ ìˆ˜í–‰ì€ ë¬¼ë¡  í‰ìƒì§€ê¸° 청담스님처럼 ë¶ˆê°€ì— ë“¤ì–´ì„œ í–‰ìžìƒí™œì„ í–ˆë˜ ê²ƒì„ í¬í•¨í•œë‹¤. 그는 몸 ì•ˆì— ë°°ì–´ìžˆì„ ì¼ë³¸ì ì¸ ìš”ì†Œì™€ì˜ ì „íˆ¬ë¥¼ 치렀다. ê·¸ 전투가 얼마나 ì§€ë…했는지 한 번 ì§‘ì—서 나서면 ë‘세 달 소ì‹ì´ 없다가 나타났다. ìžë…€ë“¤ì€ 그런 아버지가 낯설어 그가 어서 다시 ê¸¸ì„ ë– ë‚˜ê¸°ë§Œì„ ê³ ëŒ€í–ˆë‹¤ê³ .
ë°•ìƒê´‘ì˜ ì£¼ë³€ì¸ë“¤ì€ ëˆì´ ìƒê¸°ë©´ 전화하여 네 그림 사줄게 하는 ì„ ë°° 화가, ë‚¨ì˜ ëˆìœ¼ë¡œ ìˆ ì„ ë§ˆì‹œë©´ ë§›ì´ ì—†ëŠ” 사람, 키가 작지만 ì¸í’ˆì´ í° ì‚¬ëžŒìœ¼ë¡œ 그를 기억한다. ê·¸ì˜ íƒˆì†í•œ 태ë„는 ì ˆì§‘ê³¼ì˜ ì¸ì—° 때문ì´ê¸°ë„ 하겠지만 예술가로서 ìžìœ ë¡œìš´ ì˜í˜¼ê³¼ ë¬´ì• í–‰ì˜ ì‹¤í˜„ì´ ë‹¹ì—°í•˜ì˜€ê¸° ë•Œë¬¸ì¼ ê²ƒì´ë‹¤. 열심히 노력한 ë§Œí¼ ì†ì— ë°°ì¸ ì¼ë³¸í™”ì˜ ì „í†µ, ê·¸ê²ƒì„ ë²„ë¦¬ê¸° 위하여 나선 ê¸¸ì€ ê·¸ì˜ ì´ì „ì— ë³´ì§€ 못한 ìƒˆë¡­ê³ ë„ íž˜ì´ ë„˜ì¹˜ëŠ” 새로운 세계를 열기 위하여 ì¹˜ë €ë˜ í”¼ë¹„ë¦°ë‚´ 나는 ì „ìŸí„°ì—서 ì „ìŸí„°ë¡œ ì´ì–´ì¡Œë‹¤. 물론 그가 ì¡°ì„ ë¯¸ìˆ ì „ëžŒíšŒì— ë” ì´ìƒ 출품하지 ì•Šì€ ê²ƒì€ ìž‘í’ˆì— ì¼ë³¸ì ì¸ 요소가 있어야 수ìƒí•  수 있ìŒì„ 알고 있었기 때문ì´ì—ˆë‹¤. ê·¸ 스스로 ì¼ë³¸ì— 매몰ë˜ì§€ëŠ” 않았다고 하였으나 ì†ì— ìµì€ ê¸°ë²•ì„ ë–¨ì¹˜ëŠ” ê²ƒì€ ì‰½ì§€ ì•Šì•˜ì„ ê²ƒì´ë‹¤.


ëˆˆêº¼í’€ì„ ë“¤ì–´ 올린 민화

q4
ë°•ìƒê´‘ì€ â€œìƒ¤ë¨¸ë‹ˆì¦˜ì˜ ìƒ‰ì±„, ì´ë¯¸ì§€, 무당, 불êµì˜ 탱화, ì ˆê°„ì˜ ë‹¨ì²­, ì´ ëª¨ë“  ê²ƒë“¤ì´ ì„œë¯¼ì˜ ìƒí™œê³¼ ì§ê²°ë˜ì–´ì§€ëŠ” 그야ë§ë¡œ ‘그대로’ ë‚˜ì˜ ì¢…êµì¸ 것 같아.â€ë¼ëŠ” ë§ì„ 남겼다. 그가 ìžì‹ ì˜ 호 ‘내고’를 ‘그대로’로 표기한 ê²ƒì€ ìµížˆ 알려져 있으니 ì´ ë§ì€ ìžì‹ ì˜ 종êµê°€ ì„œë¯¼ì˜ ìƒí™œê³¼ ì§ê²°ë˜ëŠ” ê²ƒë“¤ìž„ì„ ì²œëª…í•œ 것ì´ë‹¤. 고매한 ì •ì‹ ì˜ ìœ í¬ê°€ 아닌 ëª¸ì˜ ì—너지, ëŠë¼ëŠ” ê°ì •, 마ìŒì˜ ìš¸ë¦¼ë“¤ì„ ê·¸ëŠ” ì›í–ˆë‹¤.
ê·¸ ê¸¸ì€ ê²°ì½” 서둘러 ê°„ ê²ƒì´ ì•„ë‹ˆì—ˆëŠ”ë°, 그가 서울로 ì´ì‚¬í•œ 1967ë…„ì— ì œìž‘í•œ 〈탈1ã€‰ì€ ê·¸ëŸ¬í•œ ìƒí™©ì„ 전한다. 세로로 긴 종ì´ì— 하단ì—는 ë‘ ê°œì˜ ì„ ë©´ì´, ê·¸ 위ì—는 사ê°í˜•ì˜ í° ì¢…ì´ê°€ 그려져 있고 ì´ ì•ˆì—는 íƒˆë“¤ì´ ê·¸ë ¤ì¡Œë‹¤. 화중화畵中畵, 백납병í’百衲屛風 형ì‹ì„ 취한 것ì´ë‹¤. 진기한 ê²ƒì„ í•œê³³ì— ë³´ê²Œ 만든 병í’ì— ë¯¼ì¤‘ì˜ íƒˆ 따위가 ë¼ì–´ìžˆì„ 리 ì—†ì„ í„°, ë°•ìƒê´‘ì€ ìžì‹ ì´ 좋아하는 것, ìžì‹ ì´ ì‹ ì•™ì´ë¼ê³  칭한 ê²ƒì„ â€˜ê·¸ëŒ€ë¡œâ€™ ê·¸ë ¸ë˜ ê²ƒì´ë‹¤. 호사 ì·¨ë¯¸ì˜ ì™¸í˜•ì„ ë¹Œë¦° ê·¸ë¦¼ì€ ì• ì´ˆì— ë¯¼ì´ˆê°€ 만들어낸 고졸한 모습 그대로 담겨있다. ì´ ìƒê²½í•˜ê³  우스ê½ìŠ¤ëŸ° í™”ë©´ì€ ê·¸ê°€ 민족민족ì ì¸ ìƒ‰ì±„ì˜ ê²ƒë“¤ì„ ë°”ë‹¥ì—서부터 쌓아 올ë¼ê°”ìŒì„ 보여준다.
그는 전통 채색화ì—서 탈피하기 위하여 ê³ ì¡¸ì˜ ì„¸ê³„ë¡œ 침잠해 들어갔다. ê·¸ 길목ì—서 불화, 만신그림 그리고 민화를 ë§Œë‚¬ì„ ê²ƒì´ë‹¤. ê·¸ì˜ ìž‘í’ˆì€ ìž¥ì‹ì  요소가 강하고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하는 형태로 구성ë˜ì–´ 있다. ê·¸ëŸ°ë° ìš¸ë¦¼ì´ ê°€ë“한 ë§˜ì„ í”드는 색채는 ì € ê¹Šì€ ê³³ ìžì—°ì—서 우러난 것ì´ë‹¤. ê·¸ì˜ ìž‘í’ˆì€ ì™¸í˜•ì˜ ë¬˜ì‚¬ê°€ 아닌 ë³¸ì§ˆì˜ í‘œí˜„ì„ ì´ë£¬ 것ì´ë‹¤. ê·¸ì˜ ìž‘í’ˆì—서 ê°ì§€ë˜ëŠ” 색채와 ë„ìƒì„ 불화나 무ì†í™”ì—서 가져왔다는 ê²ƒì€ ì£¼ì§€ì˜ ì‚¬ì‹¤ì´ë‹¤. 물론 불화는 ê·¸ì˜ ì£¼ìš”í•œ 테마였고 무ì†í™” ë˜í•œ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그가 지나간 통로 ê°€ìš´ë° ë…¸ê³¨ì ì´ì§€ëŠ” 않으나 지나간 í”ì ì´ 드러나는 â€˜ë¯¼í™”ì˜ ê¸¸â€™ì€ ê·¸ì˜ ê³ ë‡Œì™€ ë§ì„¤ìž„ 그리고 ìžê¸°ë¥¼ 깨는 ë°©ì‹ì— 대한 단서를 남겨놓고 있다.
1980ë…„ì— ì œìž‘í•œ ë‘ ì ì˜ 호랑ì´ëŠ” ê·¸ì˜ ëª¨ìƒ‰ê³¼ ì°½ì•ˆì˜ ì—¬ì •ì„ ë³´ì—¬ì¤€ë‹¤. 수묵화 〈호랑ì´1ã€‰ì€ ê¿ˆí‹€ëŒ€ëŠ” ì„ ê³¼ 한가지 ìƒ‰ì˜ ë†ë‹´ì„ 통한 깊ì´ê°ì˜ 구현ì´ë¼ëŠ” ê·¸ì˜ ì±„ìƒ‰ì´ ë³´ì—¬ì£¼ëŠ” íŠ¹ì„±ì„ ì§€ë‹ˆê³  있다. 지나치게 ì–¼êµ´ì´ í¬ê³  툭 불거진 ëˆˆì— ì•žë°œì„ ë‚´ë¯¼ ì–‘ìƒì´ 수묵으로 그렸ì„ì§€ë¼ë„ 문ì¸í™”와는 거리가 있다. 화려한 ì±„ìƒ‰ì´ ëˆˆì„ ì‚¬ë¡œìž¡ëŠ” 〈호랑ì´2〉는 ê·¸ 조야한 색ê°ì´ 기시ê°ì„ 불러ì¼ìœ¼í‚¨ë‹¤. í™”ë©´ì— ë°œë ¤ì§„ ìƒ‰ì±„ì˜ ë ë¡œ ì´ë£¨ì–´ì§„ ì‚°ê³¼ 운무雲霧는 시골장터ì—서 발견하는 í˜í•„화를 ì—°ìƒì‹œí‚¨ë‹¤. ê·¸ê²ƒì˜ ì¡°ì•¼í•œ 색채ê°ì€ 고구려 ê³ ë¶„ë²½í™”ì˜ ì£¼ë¦„ì‚°ê³¼ëŠ” 분명 다른 계통ì´ë‹¤. í‘œë²”ì˜ í„¸ì„ ê°€ì§„ 호랑ì´ëŠ” ìƒê¹€ìƒˆì™€ ìžì„¸ê°€ êµ°ê¸°ì— ì‚¬ìš©í•˜ëŠ” ê·¸ê²ƒì„ ì—°ìƒì‹œí‚¤ì§€ë§Œ ë°”ëžŒì„ ê°€ë¥´ëŠ” 날개는 없다. ì´ ë¹ˆì•½í•œ 선으로 경계 지워지고 현란한 색채로 메워진 호랑ì´ëŠ” ë¯¼í™”ì˜ ë„ìƒì— 근거하고 있는 것ì´ë‹¤.
절집과 ì¹œì—°ì´ ìžˆë˜ ê·¸ì—게 단청ì´ë‚˜ 사찰 ë²½ì— ê·¸ë ¤ì§„ ê·¸ë¦¼ë“¤ì€ ë‹¹ì—°ížˆ 주요한 모티프ì´ë‹¤. ê·¸ëŸ°ë° ê·¸ê²ƒì„ ë‹¤ë£¨ëŠ” ë°©ì‹ì€ 오방색ì´ë¼ê±°ë‚˜ êµ¬ì¡°ì— ìžˆëŠ” ê²ƒì€ ì•„ë‹ˆë‹¤. 〈옛1〉ì—서 그는 콜ë¼ì£¼ì²˜ëŸ¼ 단청, 토기, 문양 등 ì†Œìž¬ë“¤ì„ ë‚˜ì—´í•˜ì˜€ë‹¤. ê·¸ê²ƒì€ ì„¸ìƒì—서 가장 ì¢‹ì€ ê²ƒ, 가장 ì˜ˆìœ ê²ƒë“¤ì˜ ê²°í•©ì´ë¼ëŠ” ì›ì¹™ì„ 고수하는 듯하다. ê·¸ ì›ì¹™ì´ì•¼ë§ë¡œ ë¯¼í™”ì˜ ê¸°ë³¸ì´ ì•„ë‹ˆë˜ê°€. 그는 ë¯¼ì´ˆë“¤ì´ ìƒì‚°í•˜ê³  ë…¸ë™í•˜ê³  ì¦ê²¨ ë³´ë˜ ê²ƒë“¤ì„ í™”ë©´ì— ìž¬ìƒì‹œí‚¤ë©° ë°°ì—´ì˜ ë°©ì‹ì„ 연구한 듯하다. 나비는 ê²½ì²©ì„ ë‹®ì•˜ê³  화조화는 ë‹¨ì²­ì˜ ì¶•ì†ŒíŒì´ë‹¤. 우리 ê²ƒì— ëŒ€í•œ ì‚¬íšŒì  ìš•êµ¬ê°€ 한참ì´ë˜ ë•Œì— ê·¸ëŠ” 가형토기를 그대로 ë¬˜ì‚¬í•¨ìœ¼ë¡œì¨ ì§‘ì— ê·¸ë ¤ì§€ëŠ” 단청, 뜰 ì•žì˜ ë‚˜ë¬´ì™€ ê½ƒë°­ì„ ë°°ì¹˜í•˜ì—¬ ì§‘ì´ë¼ëŠ” ìž…ì²´ì˜ ê³µê°„ì„ í‰ë©´ìœ¼ë¡œ íŽ¼ì³ ë³´ì¸ë‹¤.
q5


미로를 빠져나오는 아마 실타래

q6
절집 ì „ê°ì˜ ë²½ì— ê·¸ë ¤ì§„ 벽화는 ì‹ ì„ , 무녀와 함께 ì´ìƒì ì¸ ë‚™ì›ì˜ 세계로 ì¸ë„한다. 〈창2ã€‰ì˜ ì‚¬ì‹¤ì„ ìž¬í˜„í•œ 듯한 í™”ë©´ì€ ì´ì¤‘으로 ê²¹ì³
지고 í…스트화한다는 ì ì—서 ìžì‹ ë§Œì˜ ë‚´ë ˆì´ì…˜ 구조를 드러낸다. ë´‰í™©ì„ íƒ„ ì„ ì¸ì˜ ë„ìƒì„ 가형토기와, ë¯¼í™”ì— ê·¸ë ¤ì§€ëŠ” 학과 함께 배치한 〈옛2〉는 전지공예로 오린 듯한 나비와 êµ¬ë¦„ì„ ê·¸ë ¤ 넣었다. ê²€ì€ì„ ìœ¼ë¡œ 둘러ì³ì§„ 나비는 ê·¸ 가벼운 본질ì—ë„ ë¶ˆêµ¬í•˜ê³  놀ë¼ìš¸ ì •ë„로 í™”ë©´ì— ë¬´ê²Œê°ì„ 부여한다. 단청과 귀면와와 목어가 긴장ê°ì„ 높ì´ëŠ” 〈목어〉는 현란한 색채가 구íšë˜ê³  깊ì´ì—서 차오르는 ìžê¸° ì–‘ì‹ì˜ í™•ë¦½ê³¼ì •ì„ ë“œëŸ¬ë‚¸ë‹¤. ê±°ì¹  것 없는 활달한 필치와 ì¡°ì‘ë˜ëŠ” 색ìƒê³¼ ìŒ“ì¸ ë¬¼ê°ì˜ í”ì ì€ 조심조심 형태를 따내는 방법ì—서부터 그곳ì—서 ëŒì–´ì˜¬ë¦¬ê³  있는 것ì´ë‹¤. ê·¸ ìž¬ê¸°í™˜ë°œí•¨ì´ ë°•ìƒê´‘ì´ ì´ë£¬ ì–‘ì‹ì´ë‹¤.
불화 같지만 불화는 아니고 무ì†í™” ë˜í•œ 아니며 민화ë¼ê³  하기ì—ë„ ì¢€ 그런 ì˜ì—­ì— 위치한 ê·¸ì˜ í™”ë©´ì€ â€˜ê·¸ëŒ€ë¡œâ€™ ë°•ìƒê´‘ì˜ ê²ƒì´ë‹¤.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민화ë¼ê³  하는 ë°©ì‹ìœ¼ë¡œ 그려진 ë‘ ëª¨ëž€ì„ ë¹„êµí•œë‹¤ë©´, 아름다운 채색ì—서 ê½ƒì„ í”¼ìš°ëŠ” ì—너지로 ë³€í™˜ëœ ì„¸ê³„ì˜ ì§ˆì„œë¥¼ 발견하게 ë  ê²ƒì´ë‹¤. 1963ë…„ ìž‘ ã€ˆëª¨ëž€ã€‰ì€ ë¶‰ê³  ìžìƒ‰ì´ê³  í¬ê¸°ë„ 한 ëª¨ëž€ì˜ ì™¸í˜•ì„ ë³´ì—¬ì¤€ë‹¤. ëª¨ëž€ë„ ë³‘í’ì˜ ê½ƒë“¤ì²˜ëŸ¼ 나무ì—서 피어오른 모란 ì•„ëž˜ì— ì°¸ìƒˆ ë‘ ë§ˆë¦¬ê°€ 검정 색 벌레 한 마리를 넘본다. ê·¸ê²ƒì€ ì„¸ë¡œë¡œ ì¨ì§„ ë°•ìƒê´‘ ìžì‹ ì˜ ì´ë¦„ì´ë‹¤. 1983ë…„ì— ê·¸ë¦° 〈모란〉ì—서는 난만한 색채로 ë’¤ë®ì¸ ìƒ‰ì±„ì˜ ì–¼ë£© ì†ì—서 푸른 잎새 ì‚¬ì´ ì†Ÿì•„ë‚˜ëŠ” 꽃잎ì„, ì´ë¯¸ 모란 í–¥ê¸°ì— ì·¨í•˜ì—¬ ì¤‘ì‹¬ì„ ìžƒì€ ë‚˜ë¹„ë¥¼ 발견하게 ëœë‹¤. 화면 ìš°ì¸¡ì— ì ìž–ì€ ìžíƒœë¡œ ìž…ì„ ë²Œë¦° 푸른 목어는 비늘ì—ë„, 아가미ì—ë„ ë°•ìƒê´‘ì˜ ì´ë¦„으로 구성ë˜ì–´ 있다. ì´ ìžì‹ ë§Œë§Œí•œ 그림 앞ì—서 ë°•ìƒê´‘ ê·¸ì˜ ì¡°ìš©í•˜ì§€ë§Œ í™•ì‹ ì— ì°¬ 목소리를 듣는다.

â€œëª¨ëž€ì˜ ì”¨ì—서 피어난 가지가 ê²°ì°½ì„ ë§ºëŠ” ê²ƒì€ ê³§ 모란꽃ì´ë“¯ì´ 우리는 ë¯¼ì¡±ì˜ íšŒí™”ë¥¼ 꽃피울 수 있는 사명ê°ì„ 가져야 í•´.â€

ë°•ìƒê´‘ì€ ê·¸ ì‚¬ëª…ê° í•˜ë‚˜ë¡œ 정체성 찾기ë¼ëŠ” ê¸¸ê³ ë„ ê¸´ 미로를 빠져나왔다. 예술가 ìžì‹ ì˜ 미노타우로스ì—게 잡혀 먹히지 않고 미로를 빠져나오는 ë²•ì€ ì˜¤ë¡œì§€ 하나. 거친 아마실타래를 들고 들어갈 것. ë‚´ë‚´ ë†ì‚¬ì§€ì–´ ê·¸ 줄기를 ê°ˆë¼ ì†ë°”ë‹¥ì— í”¼ê°€ 나ë„ë¡ ë‹¨ë ¨í•´ì•¼ 사용할 수 있는 ê·¸ 아마실ì„, ì•„ë‚Œì—†ì´ í…Œì„¸ìš°ìŠ¤ì—게 실타래를 ë˜ì ¸ì¤€ 아리아드네가 ê·¸ì—게는 없었다. ì˜¤ë¡¯ì´ ìžì‹ ì´ 가꾸고 ë†ì‚¬ì§“ê³  ìžì•„낸 ê·¸ 실로 미로를 빠져나온 ê·¸ì˜ í™”ë©´ì€ ê·¸ëž˜ì„œ ì´í† ë¡ 화사해서 눈물겨운 것ì´ë‹¤.

글 ì¡°ì€ì •(미술í‰ë¡ ê°€/미술사학 박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