믌화와 한국현대믞술작가 ⑯ 견고한 형태, ꜉ ì°¬ 색채 – 류믌자

류믌자의 화멎은 화사한 색조의 대비와 핚께 생에 대한 환희륌 불러음윌킚닀.
하잘것없는 것듀의 귀환. 믌화가 죌는 생의 찬믞륌 귞의 빛나는 화멎에서 만난닀.

Ꞁ 조은정 (믞술평론가)


한국 귌현대믞술사에 서술된 여성작가의 읎늄을 Ʞ억하는 음은 아죌 쉜닀. ê·ž 수가 적Ʞ 때묞읎닀. 게늎띌걞슀가 뉎욕의 메튞로폎늬탄믞술ꎀ 소장품을 비판하멎서 “귌대믞술 부묞에 여성 믞술가듀의 작품읎 5%밖에 걞렀 있지 않은 반멎, 읎 믞술ꎀ에 걞늰 누드화는 85%가 여성을 소재로 한 것”읎띌고 했던 말처럌 처음부터 끝까지 여성믞술가로 졎재하는 것은 찞윌로 쉜지 않은 음읎닀.
였롯읎 작가로 졎재하Ʞ도 버거욎 믞술계에서 낚펞을 작가로 둔 여성작가듀읎 겪었던 음상의 희생에 대핮 우늬는 익히 알고 있닀. ‘화가의 아낎가 아닌 화가로 Ʞ억’되얎알 마땅한 한국의 여성 작가 쀑에는 류믌자(柳敏子, 1942~)도 있닀. 귞의 작품은 결혌 읎후 아낎로서 얎뚞니로서 삎아알 하는 쀄 알던 시대와 죜음의 묞턱까지 닀녀옚 ë’€ 화산읎 폭발하는 것처럌 터젞나옚 작품읎 현저히 닀륞 섞계임을 볎여쀀닀. 겜직되고 만듀얎진 섞계에서부터 솟아난 형태듀은 얎늰 시절 할빾니 손을 잡고 듀륞 자연의 얎느 구석, 얎뚞니와 핚께 한 사찰의 한 공간의 겜험을 드러낞닀. 동양화란 읎런 것읎띌는 틀에서 벗얎나 였롯읎 자신의 서사에서 플워낞 형태듀, 견고하멎서도 부닚히 반복적읞 형태와 색듀은 겜험적 신화 구조에 Ʞ반하여 서사성을 띀닀. 철저히 자신의 겜험에 Ʞ쎈한 읎 닀륞 섞계는 믞술의 형식을 묶얎놓은 섞계와 구별되는 장소로서 졎재한닀.


<상盞>, 1972, 한지에 채색, 42.0×67.0cm


화가가 되는 êžž

류믌자는 음제가 Ʞ욞얎젞가는 전쟁에서 승Ʞ륌 잡Ʞ 위하여 식믌지륌 수탈하던 1942년 서욞에서 류찜현곌 였을순의 2낹 2녀 쀑 셋짞로 태얎났닀. 위로는 였빠와 얞니 귞늬고 아래로 낚동생읎 핚께한 당란한 쀑산잵 가정읎었닀. 할아버지는 묎ꎀ학교 출신 류희장읎었고 할빾니는 귌대Ʞ 묵란윌로 유명한 화가 소혞 김응원(小湖 金應元, 1855~1921)의 따님 김음승읎었닀. 류믌자는 진왞슝조부 김응원의 귞늌읎 걞늰 집에서 ‘소혞 할아버지’가 흥선대원군곌 핚께 쀑국에 갔었던 읎알Ʞ륌 듀윌며 성장하였닀. 장읞의 귞늌을 좋아했던 할아버지 귞늬고 자신의 왞할아버지륌 좋아했던 아버지의 영향윌로 류믌자는 소혞 김응원의 귞늌에 둘러싞여 성장하며 화가의 재능에 대핮 격렀받윌며 성장하였닀.
타고난 닀재닀능핚윌로 류믌자는 연극, ì¶€, 녾래 등 닀방멎에서 재죌륌 볎여서 장래희망읎 닀양할 수밖에 없었닀. 묌론 화가로서의 꿈도 한쌠에서 자띌고 있얎서 전국믞술대회에 나가멎 상을 휩쓞얎였는 믞술반 학생읎었닀. ê·žê°€ 닀니던 덕성여쀑고는 학교 읎늄을 섞상에 알렀죌는 믞술반을 적극 후원하였닀.
학교가 믞술반에 낎얎쀀 싀Ʞ싀은 명성황후에 대한 읎알Ʞ가 있는 감고당 옆 옚고당읎었닀. 여고 1학년 때, 읎 였래된 걎묌에서 밀새 귞늌을 귞늬닀가 집윌로 가던 새벜 겜복궁 앞Ꞟ(당시 쀑앙청 앞) 나묎둥치에서 귞는 부처륌 볎았닀. 얎둑얎둑한 거늬에서 밝은 빛읎 비치는 곳을 바띌볎니 황ꞈ색윌로 부처가 믞소륌 짓고 있었닀. 한찞을 황홀하게 쳐닀볎고 있는데 Ꞟ가던 행읞의 “학생 뭘 귞렇게 듀여닀볎고 있얎?”띌는 말에 정신을 찚늬니 ê·žì € 얎두컎컎한 나묎둥치 속읎었닀. 귞는 평생 읎 장멎을 잊을 수 없었닀.
나묎둥치 속 부처가 귞의 눈에 드러난 부처였을 수도, 여고생의 환영읎었을 수도 있닀. 확싀한 사싀은 ê·žê°€ ‘한국믞술대상전’에서 수상한 작품 <승화>가 바로 귞때 볎았던 부처의 몚습읎띌는 점읎닀. 사싀곌 사싀읎 아닌 것, ê·ž 간극을 믞술의 상상력윌로만 메Ꟍ 것은 아니띌는 말읎닀.


<승화>, 1973, 한지에 채색, 125.0×67.0cm



“석류알처럌 쎘쎘히 밝혀 번쩍읎던 ꞈ빛 부처님듀
천불상千䜛像, 만불상萬䜛像의 ê·ž ꎑ휘光茝듀!
나는 귞때부터 얞젠가는 생동한 Ʞ억을 되삎렀
화포에닀 표현핮 뎀윌멎 생각하고 있었닀.”
-류믌자, <귞늌 속의 부처님>, 《월간 섞대》, 1979년 7월혞


당시 덕성여고에는 “덕성 3쎝사”가 있었는데 서욞 믞대 동Ʞ생읞 안상철, 하읞두, 김서뎉읎 귞듀읎었닀. 덕성여자쀑학교에서 안상철에게 믞술을 배웠던 류믌자는 고등학교 진학 후에도, 홍익대학교 믞술대학 동양화곌에 듀얎간 뒀에도 안상철의 화싀을 드나듀며 지도륌 받았닀. 1959년 제8회 ‘대한믌국믞술전람회’에서 <청음晎日>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던 안상철읎 최고조에 읎륎렀을 슈음에 류믌자는 귞의 지도륌 받았던 것읎닀. 하지만 안상철의 강렬한 표현적읞 동양화륌 볎며 성정한 류믌자의 거친 뚹빛은 얎느 교수에게는 ‘지도대상’읎 되었닀. 움잠러듀Ʞ만한 시간읎 지나고 3학년읎 되자 지도교수가 바뀌었닀. 천겜자(千鏡子, 1924-2015)였닀. 귞는 걱정 가득한 학생 류믌자의 얌굎을 볎며 말했닀. “아 ꎜ찮닀, 핎띌.” ‘국전’에 연달아 입선한 전도유망한 여성믞술가였지만, 대학졞업곌 핚께 얎뚞니의 죜음을 맞음윌로썚 서욞을 떠나고 싶었닀. 귞렇게 지방 학교의 믞술교사로 새로욎 생활읎 시작되었닀.


(위) <풍년가>, 1982, 캔버슀에 아크늎, 72.7×90.9cm
(아래) <여읞정심>, 1982, 캔버슀에 몚래, 아크늎, 90.9×72.7cm


죜음을 넘얎 만난 읎상향

몚교 교사였던 하읞두(河麟斗, 1930~1989)와 만나 결혌한 뒀의 삶은 읎전곌 달랐닀. 가족의 생계륌 책임지며 아읎듀을 킀우고 교사륌 하고 곌왞까지 하는 고달픈 생활읎었닀. 여성읎 작가로 졎재하Ʞ 얎렀욎 읎유는 죌변의 읎핎부족읎 가장 큰 읎유읞데, 귞는 가장윌로서의 묎게가 읎유였닀. ‘국전’ 읎후 ê·žê°€ 화가로서 전시장에 읎늄을 낎걎 것은 결혌 3년 만에 하읞두와 핚께 한 <하읞두 류믌자 동서양화전>, 읎륞바 ‘부부전’읎었닀. 20점의 귞늌은 직장읞 학교 믞술싀에서 틈틈읎 귞렀낞 것읎었닀. ê·žì € 화닚의 ꜃, 눈앞의 ì–Žë–€ 것듀읎 죌제가 되는 번잡한 삶의 결곌묌읎었닀.
1973년 둘짞륌 낳은 지 한 달 만에 귞는 ꞉성간엌에 걞렞닀. 아읎가 볎고 ì‹¶ì–Ž 병원을 나갔닀가 돌아와 혌수상태에 빠졌던 ê·žê°€ 깚얎나자 하읞두는 ‘명동화랑’에서의 개읞전 날짜가 잡혔음을 알렞닀. ‘낎가 갑자Ʞ 얎떻게 개읞전을 하냐’며 허허싀싀에서 시작한 웃음은 귞치지 않았닀. ê²°êµ­ 숚을 쉬Ʞ도 얎렀워하던 류믌자는 죌사륌 맞고서알 웃윌며 잠에 빠젞듀었닀. 귞렇게 생애 첫 개읞전을 하였고 죜음의 묞턱에 닀녀옚 사람듀읎 귞러하듯 류믌자도 읎전의 섞계와는 닀륞, 충싀한 자신의 읎알Ʞ륌 쏟아낎는 작품듀로 전시장을 채웠닀.
귞것은 얎늰 시절 할빾니 손을 잡고 갔었던 사찰의 얎느 지점, 얎뚞니가 곱게 가꟞신 정원의 ꜃듀읎 걎넀던 웃음, Ꞟ거늬 나묎둥치 속에서 볎았던 빛나는 부처님듀의 믞소와 같은 것듀읎었닀. 자신읎 위치했었윌나 읎제는 결윔 돌아갈 수 없는 ê·ž 시간의 장소듀은 닚순한 형태, 닀양한 색채로 읎룚얎졌지만 닀가가멎 사띌젞버늬는 신Ʞ룚와 같았닀. 멀늬서 볎멎 확연한 형태, 하지만 닀가가멎 흐늿핎지는 것은 ê·žê°€ 종읎에 묌감을 찍얎서 ê·žë žêž° 때묞읎닀. 솜방망읎에 묌감을 묻혀서 화멎에 형태륌 나타낮는 방법읎었닀. 돌에 새겚진 Ꞁ씚나 음각선을 드러나게 하여 형태륌 파악하는 탁볞처럌 아묎 것도 없는 형태륌 귞는 묎한 반복하는 신첎의 수렚을 통핎 화멎에 소환하였닀. <화엄>, <승화>, <윀회>, <산조>, <풍악> 같은 불교적 색채가 농후한 제목곌 전통의 신명읎 가득한 제목듀읎었닀. 귞늬고 작품은 탈몚양, 춀추는 사람듀, 절마당의 탑 등읎 자유로읎 솟아나고 서로 휘몰아치는데 였방색의 띠가 휘감은 장멎듀읎 있Ʞ도 했닀. 얎늰 시절의 하룚듀읎 화멎에 펌쳐졌던 것읎닀. 귞것은 읎제는 돌아갈 수 없는 읎상향, 아륎칎디아였닀.
읎태 후 귞는 양지화랑에서 2회 개읞전을 가졌닀. ‘색감의 풍부한 조화와 우아한 곡선, 불교적읞 죌제’가 특징읎며 ‘작품죌제가 불상읎나 탑읎 쀑심읎며 감각적 여성적 색채륌 구사’ 하고 있닀는 평을 듀었닀. 전통을 쀑시하던 70년대, 귞의 작품은 동시대의 읎상을 닎았닀. 탑, 불상곌 같은 읎믞지듀은 정신적읞 상태읞 불교륌 가시화한 것윌로 구축적읞 구도, 반복적읞 형태, 쀑성적읞 색채로 구성되었닀. 닚색조에 가까욎 쀑성적읞 색채륌 여성적읞 색채띌 칭한 것은 ê·žê°€ 여성작가읎Ʞ 때묞음 것읎닀. 얎뚞니륌 따띌가 듀렀던 사찰에서 탑곌 Ʞ닚석에 핀 읎끌륌 볎며 자란 류믌자에게는 ê·ž 부드러욎 쎈록의 색채가 바로 부처님 계신 곳의 빛읎며 얎뚞니와 핚께한 안옚한 시절의 완벜한 시간을 의믞하였닀. 첫 개읞전에서 읎렇게 자신읎 추구하는 섞계와 직접 만난 것은 행욎읎띌고 핮도 좋을 것읎닀. 하지만 귞것은 죜음의 겜지륌 넘얎서 돌아옚 자의 귞늬고 싶은 것을 마음껏 귞렀낞 엎정의 결곌였닀.


(왌쪜) <옛 우늬마을>, 1985, 샌드캔버슀에 아크늎, 145.5×97.0cm
(였륞쪜) <소망>, 1997, 캔버슀에 아크늎, 112.1×145.5cm



<풍요>, 2009, 캔버슀에 아크늎, 200×600㎝, 하나닀욞신탁 소장


눈앞의 것듀을 마음윌로

80년대 듀얎 귞의 화멎은 화사한 색채듀로 덮읞닀. 였방색곌 화렀한 볎띌색에 읎륎Ʞ까지 색윌로 덮읎Ʞ도 하였닀. 재료와 Ʞ법에 대한 고믌은 동양화읎지만 캔버슀륌 읎용핎볎는 시도로 나아갔고 묌감 서양화의 재료까지 확장되었닀. 종읎에 끊임없읎 두듀Ʞ고 칠핎갔던 Ʞ법에서부터 믞디엄을 올늰 캔버슀, 까칠까칠한 사포 같은 느낌의 캔버슀에 아크늎 묌감의 사용은 새로욎 형태와 색감읎 가능하게 하였닀. 귞동안 푞륞 색조 혹은 쀑성적읞 색윌로 지칭되던 귞의 화멎에 색채의 폭발곌도 같은 사걎읎 음얎났닀.
<여읞정심>은 상닚 쎈가집곌 나묎가 있는 마을읎, 가욎데는 파랑, 빚강, 볎띌색의 직선 위에 짧은 쎈록색, 볎띌색, 죌황색 선읎 쌓여 있닀. ê·ž 아래 나묎듀 사읎에 뚞늬에 핚지박 같은 것을 읞 두 여읞읎 마죌 볎고 있닀. 상하륌 나누고 좌우대칭읞 간결한 구도읎지만 색의 작은 토막듀로 읎룚얎진 형태는 빛난닀. 마치 자개농에 박힌 조개껍질로 만든 형태듀처럌 귞것은 닀양한 색상을 포핚하고 서로 대조된 색채에 의핎 빛을 얻는닀. 공예적읞 섞계륌 회화로 재현한 귞의 화멎은 귞늌읎란 묎엇읞가띌는 질묞에 닀가선 듯하닀. 점, 선, 멎, 색곌 같은 회화의 구조가 구상적읞 형태에도 불구하고 뚌저 읞지되는 것읎닀.
구상작품에서 추상의 원늬륌 볎닀니. 귞의 화멎은 형태륌 갖되 형태의 구성요소륌 볎여죌고 있는 것읎닀.
<풍년가>는 볎띌색곌 대조되는 녹색의 사용윌로 화사한 화멎을 볎읞닀. 고구렀 고분벜화에서 볌 수 있는 춀귞늌처럌 ë„€ 명의 읞묌읎 좌우대칭윌로 도엎하였고, 나묎듀도 좌우대칭읎닀. 한펾 꿀렁대는 묌의 표현, 동귞란 엎맀의 표현곌 같은 유치할 정도로 닚순하고 원쎈적읞 형태감은 귞의 작품읎 순수의 영역에 Ʞ반하고 있음을 드러낞닀. 가장 Ʞ볞적읞 것듀, 가장 닚순하고 규칙적읞 추상의 법칙읞 좌우대칭은 결윔 자연에 졎재하지 않는 것읎닀. 묎한한 반복적 ë°°ì—Ž 또한 귞러하닀. 읎 완벜히 추상의 얞얎륌 자연의 형태로 드러냄윌로썚 귞것은 우죌만상의 원늬륌 가시화한 것읎 된닀.


(왌쪜) <묌뫌늬>, 2002, 캔버슀에 아크늎, 162.2×130.3㎝
(였륞쪜) <만낹>, 2002, 캔버슀에 아크늎, 162.2×130.3㎝



귞의 화멎은 닚순한 구조륌 띀닀. 종읎에 불명료한 것듀을 드러낞 작업 읎후는 캔버슀에 아크늎로 풍부한 색채륌 통핎 섞상을 구현하는 작업을 볎여쀀닀. 풍부한 색채, 강렬한 였방색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귞의 화멎은 맀우 정갈핎 볎읎는데 바로 좌우대칭곌 반복의 법칙을 견지하고 있Ʞ 때묞읎닀. 마치 <음월였뎉병>읎 귞러하듯 귞의 마을은 색띠로 구획된 바위와 꿈틀대는 묌곌 선윌로 구획되얎진 나묎와 ê·ž 위에 얹힌 잎듀로 구성된 소나묎로 신비로욎 마을을 볎여쀀닀. 집듀읎 닀닥닀닥 붙얎 있는 ê·ž 삶의 공간읞 마을은 도식화륌 통핎 읎상향읎 된닀.
파란 바탕에 선윌로 둘러진 소나묎 귞늬고 색띠로 구성된 바위와 듀판은 믌화가 볎여죌는 장식성을 갖고 있닀. 동양화가의 정첎성을 갖고 전통을 새롭게 핎석하는 귞의 화멎은 채색화가 읎륎는 섞계륌 한정 짓지 않아 왔닀. 귞럌에도 불구하고 믌화에서 볌 수 있는 원앙, 닚순화한 ꜃곌 집 같은 것듀을 볎여쀌윌로썚 가장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구현되는 섞계륌 드러낎 볎여쀀닀. Ʞ도하는 맘을 드러냈던 반복되는 부처의 읎믞지에서 웅얌거늬는 불겜의 묞구듀을 확읞할 수 있었던 것처럌 귞의 마을 풍겜에서 우늬는 믌화가 갖는 소박한 꿈을, 도상의 반복을 볞닀. 전통의 였랜 힘은 묎한한 반복을 통핎서 DNA 같은 연속성을 볎읎지만, 또한 결윔 같지만은 않은 화멎을 만듀얎 낎었닀.


“류믌자 여사의 작품섞계 안에 있는 친밀성-읎상하늬만치 사람의 마음을 끌얎당Ʞ는 친화력-은 ê·žê°€ 닀룚고 있는 형태의 특성을 읎룚고 있는 얎질고, 텁텁하고, 얎수룩하멎서도 얎딘지 빈틈읎 있을 법한 둥싀둥싀하고 닚순하멎서도 두툌하고 부드러욎 형상線圢에서 였는 것읎 아닌가 여겚진닀. 귞것은 얎쩌멎 뚌 옛날 조상듀의 댛속에서 슀며있닀가 삎포시 손을 낎밀얎 끌얎당Ʞ는 우늬 한국믌의 묎의식 속에 깃든 믞감곌도 ꎀ렚읎 있을 듯도 하닀.”
-조정권, 조선화랑 류믌자 전 전시도록 서묞, 1984. 6.


전통 화조화花鳥畵의 화목읎 된 적읎 없는 버섯, 고사늬, 개망쎈 같은 하잘것없는 식묌듀읎 출현하는 귞의 화멎은 화사한 색조의 대비와 핚께 생에 대한 환희륌 불러음윌킚닀. 하잘것없는 것듀의 귀환. 믌화가 죌는 생의 찬믞륌 귞의 빛나는 화멎에서 만난닀.


조은정 | 믞술평론가(고렀대학교 쎈빙교수)

읎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믞술사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륌 받았닀.
구상조각평론상, 석낚믞술읎론상을 수상하였닀. 한국귌현대믞술사학회 회장,
읞묌믞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박수귌믞술상 욎영위원장,
성북구늜믞술ꎀ 욎영위원장 등윌로 활동하고 있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