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와 ê´´ì„ì˜ ê¸°ë°œí•œ 만남

ë¯¼í™”ì— ë“±ìž¥í•˜ëŠ” ê´´ì„ì€ ë¬¸ì¸í™”ì˜ ê´´ì„ê³¼ 다르다. 민화ì—서 ê´´ì„ì€ ìž¥ìˆ˜ë¥¼ ìƒì§•한다. ì¡°ì„ ì˜ ì„œë¯¼ë“¤ì€ íƒˆì„¸ì†ì ì¸ ì„ ë¹„ì˜ ì ˆê°œë¥¼ ìƒì§•í•˜ë˜ ëŒì— ìžìœ ë¡­ê³  기발한 ìƒìƒë ¥ì„ 불어넣었다. ì´ëŸ¬í•œ 시ë„는 ì¸ê°„ì˜ ê°€ìž¥ ê·¼ì›ì ì¸ í–‰ë³µì„ ì¶”êµ¬í•˜ê¸° 위해서 ì˜¤ëŠ˜ë‚ ê¹Œì§€ë„ ê³„ì†ë˜ê³  있다. 다양한 ìƒì§•ê³¼ 모습으로 í‘œí˜„ëœ ê´´ì„ì— ëŒ€í•´ 살펴본다.


민화ì—서 가장 ë§Žì´ ê·¸ë ¤ì§€ëŠ” ê·¸ë¦¼ì€ ìŒìŒì˜ 새와 나비 ë“±ì´ ê°ì–‘ê°ìƒ‰ì˜ 꽃과 함께 있는 화조ë„ì´ë‹¤. ì—¬ê¸°ì— ê·¸ë¦¼ ì „ì²´ì˜ ê· í˜•ê³¼ 안정ê°ì„ ë”하는 화재畫æê°€ 있는ë°, 배경으로 그려지는 바위와 ê´´ì„ì´ë‹¤. ê´´ì„ì„ ë³„ë„로 다루는 ê²ƒì€ ì¡°ì„  후기 문ì¸í™”ì—서 ì‹œìž‘ëœ ê´´ì„ì´ ë¯¼í™”ì— ì´ë¥´ëŸ¬ 화려한 색채로 ì ˆì •ì— ì´ë¥´ë €ê¸° 때문ì´ë‹¤. 문ì¸í™”ì—서 ë‹¨ë… ì†Œìž¬ë¡œ 그려진 ê´´ì„ì€ ë¯¼í™”ì—서는 다른 소재와 결합하여 그림 ì „ì²´ì— ìƒê¸°ë¥¼ 불어 넣는 중심 ì—­í• ì„ í•˜ê³  있다. ê³ ë…ì„ ê³ ì§‘í•˜ë˜ ê´´ì„ì´ ë‹¤ë¥¸ 소재와 어우러져 ë¯¼ì¤‘ì˜ ì‚¶ ì†ì—서 í•¨ì¶•ëœ ì˜ë¯¸ë¥¼ 전달하게 ëœ ê²ƒì´ë‹¤. ê·¸ê²ƒë„ ê½ƒê³¼ 새, ë‚˜ë¹„ì˜ ë°°ê²½ìœ¼ë¡œì¨ ë§ì´ë‹¤.

ê´´ì„ì˜ ê³§ì€ ë•ì„ ì¹­ì†¡í•˜ë‹¤

ê´´ì„æ€ªçŸ³ì€ ê´´ì´í•œ ëª¨ì–‘ì˜ ëŒì„ 뜻한다. 오랜 ì„¸ì›”ì˜ í’화와 침ì‹ìž‘용으로 ìƒê²¨ë‚œ 기기묘묘한 형ìƒì€ íƒœê³ ì˜ ì‹ ë¹„ë¡œì›€ì„ ê·¸ëŒ€ë¡œ ê°„ì§í•œ í•­êµ¬ë¶ˆë³€ì˜ ì¡´ìž¬ì´ë©°, ì²œì§€ì˜ ì˜¨ê°– 신령한 ê¸°ìš´ì„ ë¶€ì—¬ë°›ì€ ëŒ€ìƒë¬¼ì´ì—ˆë‹¤. 고려시대 ë§ ì´ê³¡ì€ “암ì„ì€ ê²¬ê³ í•˜ê³  불변하여 천지와 함께 종ì‹ë˜ëŠ” 것, ë‘í„°ìš´ ë•…ì— ìš°ëš ë°•ížˆê³  위엄 있게 솟아서 진압하며, ë§Œ ê¸¸ì˜ ë†’ì´ì— 서서 í”들어 움ì§ì¼ 수 없는 것, ê¹Šì€ ë•…ì— ê¹Šìˆ™ì´ ìž ê²¨ì„œ ì•„ë¬´ë„ ì¹¨ë…¸í•˜ê±°ë‚˜ 제압할 수 없는 존재â€ë¡œ ì•”ì„ì˜ ì˜êµ¬ë¶ˆë³€í•¨ì„ 칭송했다. 조선시대 세조 ë•Œì˜ ê°•í¬ì•ˆì€ ê·¸ì˜ ì €ì„œ 《양화소ë¡é¤Šèбå°éŒ„》ì—서 “ì„çŸ³ì€ êµ³ê³  ê³§ì€ ë•ì„ ê°€ì§€ê³  있어서 참으로 êµ°ìžì˜ ë²—ì´ ë¨ì— 마땅하다â€ë¼ë©° êµ°ìžì˜ í’ˆì„±ì„ ëŒì— 비유했다. ë°•ì¸íš¨ì˜ 가사ì—ë„ â€œí•  ë§ë„ 없는 바위 사귈 ì¼ë„ 없건마는 고모진태å¤è²Œçœžæ…‹(옛 ëª¨ìŠµëŒ€ë¡œì˜ ì°¸ëœ ìžíƒœ)를 ë²— 삼아 앉았으니 세ìƒì— ìµìžì‚¼ìš°ç›Šè€…三å‹ë¥¼ 사귈 줄 모르노ë¼â€ëŠ” ë‚´ìš©ì´ ë‚˜ì˜¨ë‹¤. 세ìƒì— 바위처럼 아무 ë§ë„ 없으면서 친밀하고 믿ìŒì§í•œ ê²ƒì´ ì—†ë‹¤ëŠ” ì˜ë¯¸ë‹¤.

êµ°ìžì˜ í’ˆì„±ì„ í‘œí˜„í•œ ê´´ì„ë„

ê´´ì„ë„æ€ªçŸ³åœ–는 ì¡°ì„  후기 ì²­ë‚˜ë¼ ë¬¸ë¬¼ì´ ìœ ìž…ë˜ë©´ì„œ 문ì¸í™”가들 사ì´ì— 유행하기 시작했다. ê´´ì„ì´ ì§€ë‹Œ ë¶ˆë³€ì„±ì€ ì´ìƒì ì¸ êµ°ìžì˜ ëª¨ìŠµì— ë¶€í•©ë˜ì–´ 문ì¸ë“¤ 사ì´ì—서 사군ìžì™€ ë”불어 íšŒí™”ì˜ ì†Œìž¬ë¡œ ì¦ê²¨ 그리게 ë다. ì •ì›ì˜ 장ì‹ë¬¼ë¡œ 사용한 ê´´ì„ì€ ì‚¬êµ°ìžë‚˜ 화훼와 함께 그려졌다. ì´í›„ ì ì°¨ 장수를 기ì›í•˜ëŠ” 축수ë„ç¥å£½åœ– ì„±ê²©ì˜ ë‹¨ë… ê´´ì„ë„로 변모했다. 명분과 ì˜ë¦¬ë¥¼ 중시한 조선시대 ì„ ë¹„ë“¤ì€ ë…¸ë…„ì— íƒˆì„¸ì†ì ì¸ ì‚¶ì„ ì˜ìœ„í•˜ê³ ìž í–ˆë‹¤. 권력과 명예를 뒤로 하고 ìžì—°ì˜ 축소íŒì¸ ê´´ì„ì„ ê°€ê¹Œì´ ë‘ê³  ê°ìƒí•˜ë©° ì¦ê²¼ë‹¤. ìµœë¦½ì€ ã€Šê°„ì´ì§‘簡易集》ì—서 “내가 ì´ ê´´ì„ì„ ì–»ì€ ë’¤ë¡œëŠ” 화산 ìª½ì— ë¨¸ë¦¬ë¥¼ ëŒë ¤ 앉지 않았다â€ë©° ê´´ì„ì´ ì¤‘êµ­ì˜ ëª…ì‚°ë³´ë‹¤ ë” ì•„ë¦„ë‹µë‹¤ê³  ìžëž‘했다.
í™©í˜„ì€ ã€Šë§¤ì²œì§‘æ¢…æ³‰é›†ã€‹ì—서 “늙ì€ì´ì˜ ë°˜ìƒì´ 달리 ì¢‹ì„ ê²Œ 없다 보니 한번 ê´´ì„ì„ ë§Œë‚œ 뒤로는 보배처럼 ìƒê°í–ˆë„¤â€ë¼ë©° 노경è€å¢ƒì— 들어 ê´´ì„ì˜ ì•„ë¦„ë‹¤ì›€ê³¼ 가치를 발견한 기ì¨ì„ 노래했다.
특히 ê´´ì„ë„는 19세기 추사 김정í¬ë¥¼ 비롯한 문ì¸ë“¤ì— ì˜í•´ 본격ì ìœ¼ë¡œ 제작ë다. 추사는 《완당전집阮堂全集》ì—서 “반ì´ëž‘ 구름 섬ëŒì— ë­‡ ëŒì´ 무리 지어 머리마다 주름지고 구ë©ë§ˆë‹¤ ì˜ë¡±í•˜ë‹¤â€ê³  하여 ê´´ì„ì´ ê°€ì§„ ì‚°ìˆ˜ì˜ ìš´ì¹˜ë¥¼ 노래했다. 문ì¸ë“¤ì€ 천 ë…„ 운무雲霧ì†ì—서 빚어진 ê´´ì„ì˜ ê¸°ì´í•œ 형태를 ë³´ê³  íƒœê³ ì˜ ëª¨ìŠµì„ ë– ì˜¬ë ¸ì„ ê²ƒì´ê³ , ì˜ì ì¸ ê¸°ìš´ì´ ì„œë¦° ê´´ì„ì˜ êµ¬ë©ì—서 선계ë™ì²œä»™ç•Œæ´žå¤©ì˜ ê·¸ìœ½í•¨ì„ ë³´ì•˜ì„ ê²ƒì´ë‹¤. 그들ì—게 ê´´ì„ì€ ëª…ì‚°ì˜ ì¶•ì†ŒíŒì´ìž ì‹ ì„ ì˜ ì„¸ê³„ì˜€ê³ , 수신修身과 ê²©ë¬¼ì¹˜ì§€æ ¼ç‰©è‡´çŸ¥ì˜ ëŒ€ìƒì´ì—ˆì„ 것ì´ë‹¤. 초기ì—는 수ì§ìœ¼ë¡œ 솟아 있는 êµ¬ë© ëš«ë¦° ê°ì§„ ê´´ì„ë„ í™”í’ì´ ìœ í–‰í–ˆìœ¼ë‚˜ ì ì°¨ ë‚˜ë¦„ì˜ í•´ì„ì„ ê±°ì³ ê°œì„±ì  í™”í’ì„ í˜•ì„±í–ˆë‹¤.

장수와 부귀ì˜í™”를 누리ë¼

ê´´ì„ì´ í™”ì¡°ë‚˜ 화접, 화훼와 함께 한 í™”ë©´ì— ê·¸ë ¤ì§€ê¸° 시작한 ê²ƒì€ ì¡°ì„  ë§ê¸°ì— 나타난 현ìƒì´ë‹¤. 민화ì—서 ì•”ì„ì€ ìž¥ìˆ˜ë¥¼ ìƒì§•한다. 십장ìƒë„ì— ë‚˜ì˜¤ëŠ” ë°”ìœ„ë¿ ì•„ë‹ˆë¼ í™”ì¡°ë„ì˜ ë°°ê²½ì´ ë˜ëŠ” 기ì´í•œ 형ìƒì˜ ê´´ì„ ì—­ì‹œ 장수를 ì˜ë¯¸í•œë‹¤. ì´ì „ì— ê·¸ë ¤ì§„ ë¯¼í™”ì— ê´´ì„ì´ ì¶”ê°€ë˜ë©´ì„œ ìƒì§•ì„±ì´ í™•ìž¥ë다. 예를 들어 모란ë„는 부귀ì˜í™”를 ì˜ë¯¸í•˜ì§€ë§Œ, ê´´ì„ì„ ê°™ì´ ê·¸ë¦° ê´´ì„모란ë„는 ‘장수하면서 부귀ì˜í™”를 누리ë¼â€™ëŠ” ìƒì§•ì  ì˜ë¯¸ê°€ 담긴 그림으로 í•´ì„í•  수 있다.
유êµë¥¼ 정치ì´ë…으로 ì‚¼ì•˜ë˜ ì¡°ì„ ì‹œëŒ€ ì„ ë¹„ë“¤ì€ ë¶€ê·€å¯Œè²´ë¥¼ 경계하여 ì„ ë¹„ë¡œì„œì˜ ì˜¬ê³§ì€ ì ˆê°œì™€ ë“œë†’ì€ ê¸°ìƒì„ 추구했다. ã€Šë…¼ì–´ã€‹ì— â€œê±°ì¹œ ë°¥ì„ ë¨¹ê³  ë¬¼ì„ ë§ˆì‹œë©° íŒ”ì„ ë² ê³  ëˆ„ì›Œë„ ì¦ê±°ì›€ ë˜í•œ ê·¸ ê°€ìš´ë° ìžˆìœ¼ë‹ˆ ì˜ë¡­ì§€ 못하고 부귀한 ê²ƒì€ ë‚˜ì—게 있어서 뜬구름과 같으니ë¼â€ë¼ëŠ” ë§ì´ 있다. ì´ê²ƒì€ ì¡°ì„ ì˜ ë¬¸ì¸ë“¤ì´ ê³µìžì˜ ê°€ë¥´ì¹¨ì„ ê°€ìŠ´ì— ìƒˆê²¨ í•­ìƒ ì‹¤ì²œí•˜ê³ ìž í•œ 경구였다. 선비 주ë„ì˜ ì‚¬íšŒ í’ì¡°ì—서 부귀ì˜í™”를 ìƒì§•하는 ëª¨ëž€ì„ ë¬¸ì¸í™”ì˜ ì†Œìž¬ë¡œ 받아들ì´ê¸°ëŠ” ì–´ë ¤ì› ì„ ê²ƒì´ë‹¤. 그러나 19세기 민화가 유행하면서 ëª¨ëž€ì€ ì™•ì‹¤ì€ ë¬¼ë¡ ì´ê³ , 민가ì—서 가장 ë§Žì´ ê·¸ë ¤ì§„ 소재였다.
민화 ì† ê´´ì„ì€ ë¬¸ì¸í™”ì—서 ì„ ë¹„ì˜ ì ˆê°œë¥¼ ìƒì§•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뜻으로 그려진다. 문ìžë‚˜ ë™ë¬¼ 형ìƒì˜ ê´´ì„ì— í™”ë ¤í•œ ëª¨ëž€ì„ ì¡°í•©í•´ 그린 ê´´ì„모란ë„, 남근男根 ë˜ëŠ” 여근女根) 형태로 표현한 ê´´ì„ì— í™”í›¼ë¥¼ ê²°í•©í•´ 그린 ê´´ì„í™”í›¼ë„ ë“±. ë¯¼í™”ì˜ ê´´ì„ì—는 ê¶ì¤‘화와 문ì¸í™”ì—서 ë³¼ 수 없는 ìžìœ ë¡­ê³  기발한 ìƒìƒë ¥ì´ ë‹ë³´ì¸ë‹¤. ê´´ì„ì— ìƒˆë¡œìš´ ìƒëª…ì„ ë¶ˆì–´ë„£ì—ˆê¸° 때문ì´ë‹¤. ë‹¹ì‹œì˜ ì‚¬ëžŒë“¤ì´ ê¿ˆê³¼ 소ë§ì„ 순수하게 표현할 수 ìžˆì—ˆë˜ ë¯¼í™”. 그로 ì¸í•´ 오늘날 우리는 ë¯¼í™”ì˜ ê´´ì„ ì•žì—서 미소 ì§€ì„ ìˆ˜ 있는 ê²ƒì€ ì•„ë‹ê¹Œ? 문ì¸í™”ì˜ í‹€ì—서 ê³¼ê°ížˆ 벗어나 ì¸ê°„ì˜ ê°€ìž¥ ê·¼ì›ì ì¸ í–‰ë³µì„ ì¶”êµ¬í•˜ê¸° 위해 다양한 ë³€í˜•ì„ ì‹œë„하는 ê³¼ì •ì€ ì˜¤ëŠ˜ë‚ ê¹Œì§€ë„ ê³„ì†ë˜ê³  있다. 우리 ë¯¼ì¡±ë§Œì´ ê°€ì§ˆ 수 있는 소박하고 따스한 ì‹¬ì„±ì„ í™”í­ì— 표현한 주ì¸ê³µë“¤ì€ 바로 우리와 ê°™ì€ í‰ë²”한 사람들ì´ì—ˆë‹¤.

ë³€í•˜ë©´ì„œë„ ë³€í•˜ì§€ 않는 것

ì „í†µì€ í르는 강물과 같다. ê°•ë¬¼ì€ ê°™ì€ ìžë¦¬ì—서 í˜ëŸ¬ê°€ëŠ” 것처럼 ë³´ì´ì§€ë§Œ 매순간 변한다. ì „í†µë„ ê°•ë¬¼ì²˜ëŸ¼ 한 ê³³ì— ë¨¸ë¬´ë¥´ì§€ 않고 늘 새로운 변화와 ë„전으로 성숙해가는 것ì´ë‹¤. 우리가 민화를 사랑하는 ì´ìœ ëŠ” ì¡°ì„  사대부 중심ì—서 벗어난 시선으로 ë¯¼ì¤‘ì˜ ê¿ˆê³¼ í¬ë§ì„ 담아내서다. 시대가 ë°”ë€Œì–´ë„ ì¸ê°„으로서 추구해야 í•  행복과 ìžìœ , ìƒëª…ì— ëŒ€í•œ 숭고함, 건강한 ì‚¶ì— ëŒ€í•œ 소ë§ì€ 변하지 ì•Šì„ ê²ƒì´ë‹¤. 마치 ì˜ì›ë¶ˆë³€ì˜ ëŒì²˜ëŸ¼……
다ìŒì€ ë°•ë‘ì§„ì˜ ì‹œ 〈ëŒì˜ 노래〉 중 한 구절ì´ë‹¤.

오, ëŒ.
ì–´ëŠ ë•Œë‚˜ 푸른 새로
날아 오르랴.
ë°¤ì´ë©´ 달과 별,
ë‚®ì´ë©´ 햇볕.
펄 펄 내려,
ì²  ë”°ë¼ ì´ëŠ” 것ì—
피가 ê°ê¸°ê³ ,
스며드는 빗깔들,
아롱지는 빗깔들ì—
í˜¼ì´ ê³±ëŠ”ë‹¤.
ì–´ëŠ ë•들 ë§‘ì€ ë‚ ë§Œ 있었으랴만,
오, 여기 절정絶頂
바다가 ë°”ë¼ ëµˆëŠ” ê¼­ëŒ€ê¸°ì— ì•‰ì•„,
하늘 먹고, 햇볕 먹고,
먼, 그, 언제,
푸른 새로 날고 지고
기다려 산다.


글 금광복(대한민국민화전승문화재, (사)한국민화협회 ìƒìž„고문)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