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¼ì„ ë‹¤ìŠ¤ë¦¬ëŠ” ìš©ìž¥êµ°ë„ ì´ˆë³¸â…¡

ë„4 수령위水éˆä½, 지본채색, 53×37.5ãŽ, 제주대학êµë°•물관 소장



ì´ë²ˆ 시간ì—는 지난 1ì›”í˜¸ì— ì´ì–´ ì „êµ­ì— ìžˆëŠ” ìˆ˜ì‹ æ°´ç¥žì˜ ëŒ€í‘œ ê²©ì¸ ìš©ì‹ ì— ëŒ€í•´ 살펴보는 ì‹œê°„ì„ ê°–ê³ ìž í•œë‹¤.
ì´ë¥¼ 통해 목아박물관 소장 ìš©ìž¥êµ°ë„ ì´ˆë³¸ì´ ì–´ëŠ ì§€ì—­ì˜ ë¬´ì‹ ë„였는지 ì•Œì•„ë³´ê³ ìž í•œ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ìš©ì‹ ì˜ ë‹¤ì–‘í•œ 형태

용신 중 가장 ë§Žì´ ëª¨ì…”ì§€ëŠ” ì‹ ì€ ìš©ì™•ì‹ ì´ë‹¤. ê·¸ ì´ìœ ëŠ” ìš©ì™•ì´ ë¬¼ì„ ë‹¤ìŠ¤ë¦¬ëŠ” ì‹  중ì—서 가장 ë†’ì€ ìœ„ì¹˜ì— ìžˆëŠ” 신으로 여겨졌기 때문ì´ë‹¤. ì´ëŠ” 가장 ë†’ì€ ì§€ìœ„ë¥¼ 가진 ì‹ ì´ ê¸°ë„를 가장 잘 들어줄 것ì´ë¼ëŠ” ì¸ì‹ ë•Œë¬¸ì— ë‚˜íƒ€ë‚œ 현ìƒìœ¼ë¡œ ë³¼ 수 있다. ìš©ì™•ì€ ë¶€ë¶€ì‹ ì˜ í˜•íƒœë¡œ ë‚˜íƒ€ë‚˜ê¸°ë„ í•˜ëŠ”ë° ì´ë•Œ ë‚¨ì‹ ì€ í•´ì¼ê³¼ ë°”ëžŒì„ ê´€ìž¥í•˜ê³  ì—¬ì‹ ì€ ë¹„ì™€ êµ¬ë¦„ì„ ë‹´ë‹¹í•˜ëŠ”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용신 부부 중 ë¶€ì¸ì´ 따로 모셔지는 ê²½ìš°ë„ ìžˆëŠ”ë°, ì´ë•Œ ì‹ ê²©ì˜ ëª…ì¹­ì€ ìš©íƒœë¶€ì¸, 용신할머니, ìš©ê¶ë¶€ì¸, ìš©ì™•ë¶€ì¸ ë“±ì˜ ì´ë¦„으로 불린다(ë„1), (ë„2), (ë„3).
한편 ìš©ê¶ì• ê¸°ì”¨ë¼ëŠ” ëª…ì¹­ì˜ ì—¬ì‹ ì´ ìš©ì‹ ìœ¼ë¡œ 모셔지는 ê²½ìš°ë„ ìžˆë‹¤. 애기씨ë¼ëŠ” 단어는 ì—¬ìž ì•„ì´ë‚˜ 시집갈 나ì´ì˜ 처녀 ë˜ëŠ” ê°“ 시집 온 색시를 높여 ì´ë¥´ë˜ ë§ì´ìž, ê¶ì¤‘ì—서 어린 왕ìžë‚˜ 왕녀, 왕ì†ì„ 높여 ì´ë¥´ë˜ ë§ì´ë‹¤. ìš©ê¶ì• ê¸°ì”¨ì—서 애기씨는 ìš©ê¶ì— 사는 왕녀 ë˜ëŠ” ìš©ì™•ì˜ ì‹ ë¶€ë¥¼ ì˜ë¯¸í•˜ëŠ” 것으로 ë³´ì´ë©°, ìš©ì™•ì˜ ê°€ì¡±ì—ê²Œë„ ìš©ì™•ì´ ì§€ë‹Œ ëŠ¥ë ¥ì´ ìžˆë‹¤ê³  여겨 ì‹ ì•™ë˜ì—ˆë˜ 것으로 ë³´ì¸ë‹¤.


(왼쪽부터) ë„1 용왕ë„é¾çŽ‹åœ–, 견본채색, 84×51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ë„2 룡장군, 견본채색, 85×55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3 용태부ì¸, 지본채색, 97×72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지역별 무신ë„를 살펴보ìž

용장군 ì´ˆë³¸ì´ ì–´ëŠ ì§€ì—­ 무신ë„ì¸ì§€ë¥¼ 알아보기 위해서는 ê° ì§€ì—­ì˜ ë¬´ì‹ ë„ì˜ íŠ¹ì§•ì„ ì‚´íŽ´ë³´ëŠ” ìž‘ì—…ì´ í•„ìš”í•˜ë‹¤. 그러나 지역별 무신ë„를 살펴보기는 쉬운 ì¼ì´ 아니다. ê·¸ ì´ìœ ëŠ” 여러 가지가 있는ë°, ìš°ì„  ì´ë¶ ì§€ì—­ì˜ ë¬´ì‹ ë„는 í™©í•´ë„ ë¬´ì‹ ë„를 제외하고 확ì¸ì´ 어렵기 때문ì´ë‹¤. ë‘ ë²ˆì§¸ëŠ” ì˜¤ëž˜ëœ ë¬´ì‹ ë„ê°€ ë§Žì´ ë‚¨ì•„ìžˆì§€ 않고, ì˜¤ëž˜ëœ ë¬´ì‹ ë„ë“¤ì´ ëŒ€ë¶€ë¶„ ë°•ë¬¼ê´€ì— ì†Œìž¥ë˜ì–´ 있으며, ì´ëŸ¬í•œ 무신ë„ë“¤ì€ ì‚¬ìš©ë˜ì—ˆë˜ ì§€ì—­ì„ ì•Œê¸° 어렵다는 ì ì´ë‹¤. 세 번째는 ê´‘ë³µ ì´í›„ì˜ ë¬´ì‹ ë„, 특히 1960년대 ì´í›„ 무신ë„ì˜ ê²½ìš° 대량ìƒì‚°ì„ 통해 ë™ì¼í•œ ë„ìƒì˜ 무신ë„ê°€ ì „êµ­ì—서 사용ë˜ê³  있다는 ì ì´ë‹¤. 그래서 무신ë„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ê° ì§€ì—­ì˜ ë¬´ì† í˜•íƒœë¥¼ 함께 살펴보아야 í•  í•„ìš”ì„±ì´ ìžˆë‹¤.
ìš°ì„  가장 특징ì ì¸ ì œì£¼ë„ ë¬´ì‹ ë„를 살펴보ìž. 현재 남아있는 ì œì£¼ë„ ë¬´ì‹ ë„ ì¤‘ 가장 ì˜¤ëž˜ëœ ìœ ë¬¼ì€ ì œì£¼ 내왓당 ë¬´ì‹ ë„ 10ì ì´ë‹¤. 현존하는 내왓당 무신ë„ê°€ 언제부터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세조실ë¡ä¸–祖實錄》 세조 12ë…„(1466) 7ì›” 27ì¼ ì¡°ì— ê¸°ë¡ëœ 내왓당 관련 ì‚¬ê±´ì„ ì‚´íŽ´ë³´ë©´, 내왓당ì—는 ì ì–´ë„ 세조 12ë…„ ì´ì „부터 무신ë„ê°€ 모셔져 있었ìŒì„ 알 수 있다. 그리고 무신ë„를 그릴 때 대체로 ëª¨ë³¸ì„ ì´ìš©í•´ 그리는 ì ì„ ê°ì•ˆí•˜ë©´ ëª¨ë³¸ì´ ì„¸ì¡° ë•Œì˜ ê²ƒì¼ ê°€ëŠ¥ì„±ì´ ìžˆìœ¼ë©°, 내왓당 ë¬´ì‹ ë„ ì† ì‹ ë“¤ì˜ ë³µìž¥ì´ ê³ ë ¤ ë§ ì´í›„부터 ì¡°ì„  중기 사ì´ì— 나타나는 ë³µì‹ê³¼ 유사하여 ì´ë“¤ ë¬´ì‹ ë„ ë„ìƒì´ ì ì–´ë„ 1800ë…„ ì´ì „ì— í˜•ì„±ëœ ê²ƒìœ¼ë¡œ 추정할 수 있다.


ë„5 용장군초, 지본수묵, 목아박물관 소장



내왓당 ë¬´ì‹ ë„ ì¤‘ 물과 ê´€ë ¨ëœ ì‹ ì€ ìˆ˜ë ¹ìœ„æ°´éˆä½ë¡œ, 수령위는 제주 무가巫歌ì—서 수령ìƒíƒœìž 마누ë¼ë¡œ 불리는 신격ì´ë‹¤. 수령위 ë¬´ì‹ ë„ ì™¼ìª½ ìƒë‹¨ì—는 붉ì€ìƒ‰ìœ¼ë¡œ ‘水éˆä½â€™ë¼ê³  ì“°ì—¬ 있고, í™”ë©´ì„ ê°€ë“ ì±„ìš´ ì¸ë¬¼ì€ ê´€ì„ ì“°ê³  ì²­ë¡ìƒ‰ ë„í¬ë¥¼ ìž…ê³  ë¶„í™ìƒ‰ ë ë¥¼ 매고 있으며, 선추扇錘가 달린 붉ì€ìƒ‰ 부채를 들고 있다. ì¸ë¬¼ì´ ìž…ê³  있는 ì˜·ì€ ë§ˆì¹˜ ë°”ëžŒì— íœ˜ë‚ ë¦¬ëŠ” 것처럼 표현ë˜ì–´ 있고, 얼굴ì—는 ê¸°ê´´í•¨ì„ ë„˜ì–´ì„œ ì‹ ì„±í•¨ì´ í‘œí˜„ë˜ì–´ 있다(ë„4).
ì´ì œ 내왓당 무신ë„와 용장군 ì´ˆë³¸ì„ ë¹„êµí•´ë³´ìž. í•œëˆˆì— ë³´ê¸°ì—ë„ ë„ìƒì˜ ìœ ì‚¬ì„±ì€ ì „í˜€ 찾아볼 수 없는 ê²ƒì„ ì•Œ 수 있다. ì¸ë¬¼ì˜ ë³µìž¥ì€ ë¬¼ë¡  ì¸ë¬¼ì„ 묘사한 선묘ì—서부터 ì°¨ì´ê°€ 나타난다. ë”°ë¼ì„œ 용장군 ì´ˆë³¸ì€ ì œì£¼ë„ ë¬´ì‹ ë„ê°€ 아니ë¼ëŠ” ê²°ë¡ ì„ ì–»ì„ ìˆ˜ 있다. 물론 제주ë„ì— ë‚¨ì•„ìžˆëŠ” 무신ë„ê°€ ê±°ì˜ ì—†ê¸° ë•Œë¬¸ì— ë‚´ì™“ë‹¹ ë¬´ì‹ ë„ í•˜ë‚˜ë§Œì„ ê°€ì§€ê³  비êµí•˜ëŠ” ê²ƒì€ ë¬´ë¦¬ê°€ 있다고 ë§í•  ìˆ˜ë„ ìžˆë‹¤. 그러나 내왓당 무신ë„ì˜ ë´‰ì•ˆ 위치가 명확하고 추정 연대가 오래ë˜ì—ˆë‹¤ëŠ” ì ì—서, 내왓당 무신ë„ê°€ ì œì£¼ë„ ë¬´ì‹ ë„를 대표할 수 있다고 íŒë‹¨ëœë‹¤. ë”°ë¼ì„œ 용장군 ì´ˆë³¸ì€ ì œì£¼ë„ ë¬´ì‹ ë„ê°€ 아니ë¼ëŠ” ê²°ë¡ ì„ ë‚´ë¦¬ëŠ” ë° ë¬¸ì œê°€ 없다고 ìƒê°ëœë‹¤(ë„5).
ì´ë²ˆ 시간ì—는 ì œì£¼ë„ ë¬´ì‹ ë„ì¸ ë‚´ì™“ë‹¹ 무신ë„와 용장군 ì´ˆë³¸ì„ ë¹„êµí•´ë³´ì•˜ë‹¤. 다ìŒì—는 다른 ì§€ì—­ì˜ ë¬´ì‹ ë„와 용장군 ì´ˆë³¸ì„ ë¹„êµí•˜ëŠ” ì‹œê°„ì„ ë§ˆë ¨í•˜ê³ ìž í•œë‹¤. 용장군 ì´ˆë³¸ì´ ì–´ëŠ ì§€ì—­ 무신ë„를 그릴 때 ì“°ë˜ ì´ˆë³¸ì¸ì§€ 알려면, ë¬´ì‹ ë„ ì§€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ì—°êµ¬ì— ì‹œê°„ì´ ê±¸ë¦¬ëŠ” ì´ìœ 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