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ìž, 그림으로 다시 태어나다! 문ìžë„ (文字圖)

(ë„ 5) ì œì£¼ë„ íš¨ì œë¬¸ìžë„ 8í­ ë³‘í’, 프랑스 기메박물관

ë¯¼í™”ì˜ ë¬¸ìžë„는 ë§ ê·¸ëŒ€ë¡œ 문ìž, 즉 한ìžë¥¼ 소재로 하여 만든 그림ì´ë‹¤. 다른 민화와 마찬가지로 장ì‹ê³¼ 부귀, 길ìƒ, ë²½ì‚¬ì  ì„±ê²© ë˜í•œ 지니고 있지만, 윤리성과 ì´ë…ì„±ì´ íŠ¹ížˆ ë‘드러진다. 대개 병í’으로 ì œìž‘ëœ ë¬¸ìžë„는 18ì„¸ê¸°ì— ì‚¬ëŒ€ë¶€ê°€ì—서 유행했고, 19세기ì—는 서민들 사ì´ì—서 ì¸ê¸°ë¥¼ ëŒì—ˆë‹¤.

조선시대 ë¯¼í™”ì˜ ë‹¤ì±„ë¡œìš´ ì•„ë¦„ë‹¤ì›€ì€ ì§€ê¸ˆê¹Œì§€ 본 시리즈를 통해 소개ë˜ì–´ì™”ê³  ë˜ ì†Œê°œë  ì˜ˆì •ì´ì§€ë§Œ, ì´ë²ˆì— 소개하는 문ìžë„는 특히 조선시대 우리 ì„ ì¡°ë¿ ì•„ë‹ˆë¼ í˜„ëŒ€ 한국ì¸ì˜ ì‹¬ì„±ì— ê¹Šì´ ë¿Œë¦¬ë°•ížŒ 유êµì  윤리성과 ì´ë…ì§€í–¥ì„±ì„ ìž˜ 보여준다. 물론 문ìžë„ë„ ë‹¤ë¥¸ 민화처럼 장ì‹ê³¼ 부귀, 길ìƒ, ë²½ì‚¬ì  ì„±ê²©ì„ ê°€ì§€ê³  있지만, 윤리성과 ì´ë…ì„±ì´ íŠ¹ížˆ 문ìžë„ì—서 ë”ìš± ê°•ì¡°ë˜ëŠ” 특징ì´ë¼ëŠ” ë§ì´ë‹¤. 문ìžë„는 ë§ ê·¸ëŒ€ë¡œ 문ìž, 즉 글ìžë¥¼ 소재로 하여 ê·¸ë¦¼ì„ ë§Œë“  것으로, ê·¸ 기ì›ì€ 한ìžì˜ ìƒí˜•ì„±ì— ê¸°ì¸í•œë‹¤. 우리 민화 문ìžë„ì˜ íŠ¹ì§•ê³¼ ì•„ë¦„ë‹¤ì›€ì„ ë…¼í•˜ëŠ” ë§ˆë‹¹ì— ê·¸ 첫 ì‹œìž‘ì´ ì¤‘êµ­ì˜ í•œìž ì´ì•¼ê¸°ë¶€í„° 한다는 ê²ƒì„ ì˜ì•„하게 ìƒê°í•  필요는 없다. 19세기 ì´ì „ ë™ì–‘ 문화권ì—서는 ì¤‘êµ­ì´ ê°€ìž¥ ì„ ì§„êµ­ì´ì—ˆê³ , 모든 서ì ê³¼ 기ë¡ì´ 한ìžë¥¼ 중심으로 ì´ë£¨ì–´ì¡ŒìŒì„ 우리가 콤플렉스로 ë°›ì•„ë“¤ì¼ í•„ìš”ëŠ” 없다. 마치 21ì„¸ê¸°ì— ì˜ì–´ë¥¼ 배우는 ê²ƒì„ ë¶€ë„러워할 필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문ìžë„와 ê°™ì€ ìš°ë¦¬ ë¬¸í™”ì˜ ê°’ì§„ 한 페ì´ì§€ëŠ” 한ìžë¥¼ 받아들여 ìƒí™œí™”한 조선시대 ì‚¬ëžŒë“¤ì˜ ì¼ìƒì—서 만들어진 것ì´ë‹¤.
ì´ì²˜ëŸ¼ 문ìžë„ì˜ ë°œìƒì´ 한ìžì™€ 관련ë˜ì–´ 있ìŒì—서 문ìžë„ì˜ ë°œìƒê³¼ 성행 역시 중국ì—서 먼저 ì´ë£¨ì–´ì¡ŒìŒì„ ì§ìž‘í•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문ìžë„는 중국과는 다른 방향으로, 중국ì—는 없는 다채로운 형ì‹ê³¼ ì–‘ì‹ë³€ì²œì„ ì´ë£¨ì–´ë‚˜ê°”다. 한ìžë¼ëŠ” ì™¸ëž˜ì˜ ë¬¸ìž ìˆ˜ë‹¨ì´ ìš°ë¦¬ë‚˜ë¼ì— ì •ì°©ë˜ì–´ 본래 기ì›ì§€ì™€ëŠ” 전혀 다른 문화를 ì´ë£¨ì—ˆë‹¤. ì´ì ì€ 현재 한글 ì „ìš© 주장과 êµìœ¡ìœ¼ë¡œ ì¸í•´ 전문가는 물론 ë§Žì€ ì¼ë°˜ êµ­ë¯¼ë“¤ì´ í•¨ê»˜ 겪고 있는 ì „í†µì˜ ë‹¨ì ˆê³¼ë„ ê´€ë ¨ëœë‹¤. í•œê¸€ì€ í•œìžë¥¼ 배격한 ì „ìš©ì„ í†µí•´ 발전하는 ê²ƒì´ ì•„ë‹ˆë¼, í¬ê³  ê¹Šì€ ì—­ì‚¬ì™€ ì˜ë¯¸ê°€ 깃든 한ìžì™€ ê³µì¡´í•¨ìœ¼ë¡œì¨ ê±°ê¸°ì—서 ìžì–‘ë¶„ì„ ì–»ì–´ ë” ë°œì „í•  수 있다.

ìœ êµ í•µì‹¬ 윤리 요약한 효제문ìžë„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민화 문ìžë„ 중ì—는 다양한 ìœ í˜•ì´ ìžˆë‹¤. ê·¸ 중 수ì ìœ¼ë¡œ 가장 ë§Žì€ ê²ƒì´ íš¨ì œë¬¸ìžë„ì´ë‹¤. 효제문ìžë„는 효, ì œ, ì¶©, ì‹ , 예, ì˜ ,ì—¼, 치 ì—¬ëŸ ìžë¥¼ 소재로 하여 주로 8í­ ë³‘í’으로 ë§Žì´ ê·¸ë ¤ì¡Œë‹¤. ì´ ì—¬ëŸìžëŠ” 유êµì˜ 핵심윤리를 요약한 것으로 ë¬¸í—Œìƒ ì—¬ëŸ ìžê°€ 갖추어 등장한 ê²ƒì€ ì£¼í¬æœ±ç†¹ (1130∼1200)ê°€ ì•„ë™ë“¤ì˜ êµê³¼ì„œë¡œ 편집한 『소학ã€ì—서 유래한다. 효제문ìžë„ì˜ ê·¼ë³¸ 성격과 관련해 중요하므로 아래 ê·¸ ì¼ë¶€ë¥¼ ì¸ìš©í•œë‹¤.

ì•„ì´ë“¤ì„ 가르칠 때 날마다 고사故事를 기억하게 하고 옛날과 ì§€ê¸ˆì— êµ¬ì• ë°›ì§€ ë§ê³  먼저 ‘효제충신예ì˜ì—¼ì¹˜â€™ ë“±ì˜ ì¼ì„ 들려주고, í™©í–¥é»ƒé¦™ì´ ì¹¨ì„æž•å¸­ì— ë¶€ì±„ì§ˆ 한 ì¼, 육ì é™¸ç¸¾ì´ ê·¤æ©˜ì„ í’ˆì€ ì¼, ì†ìˆ™ì˜¤å­«å”æ•–ì˜ ìŒë•, ìžë¡œå­è·¯ê°€ ë“±ì— ìŒ€ì„ ì ¸ 나른 ì¼ ê°™ì€ ê²ƒì„ ì„¸ì†ì˜ ì´ì•¼ê¸°ì²˜ëŸ¼ 들려준다면 ê³§ ê·¸ ë„리를 깨닫게 ë˜ê³ , ì´ê²ƒì´ 오래ë˜ì–´ 마ìŒì— 젖으면 ë•ì„±ì´ ìžì—°ì ìœ¼ë¡œ 우러나오게 ë  ê²ƒì´ë‹¤.

ìœ„ì˜ ì¸ìš©ë¬¸ì—서 효제충신예ì˜ì—¼ì¹˜ì˜ 유êµì  ë•ëª©ì˜ êµ¬ì²´ì ì¸ 예 몇 가지가 언급ë˜ì–´ 있다. í™©í–¥ì´ ì—¬ë¦„ë‚  부모가 ë”워 ìž ì„ ëª» ì´ë£¨ìž 미리 침ì„ì— ë¶€ì±„ì§ˆí•˜ì—¬ 시ì›í•˜ê²Œ 한 ì¼, 육ì ì´ 부모님ì—게 가져다 드리려고 ê·¤ì„ ëª°ëž˜ 가슴 ì†ì— ê°ì¶˜ ì¼, ì†ìˆ™ì˜¤ê°€ 머리가 둘 달린 ë±€ì„ ë³´ê³ (당시 ìŒë‘사를 ë³´ë©´ 죽는다는 ì†ì„¤ì´ 있었ìŒ) 다른 ì‚¬ëžŒì´ ë³¼ê¹Œ ë´ ë•…ì— ë¬»ì€ ì¼, ìžë¡œê°€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ìŒ€ì„ ì ¸ 나른 ì¼ ë“±ì´ ì¸ìš©ë˜ì–´ 있다. 효제문ìžë„는 ì´ëŸ° 구체ì ì¸ ê³ ì‚¬ì— ë‚˜ì˜¤ëŠ” ì¸ë¬¼ê³¼ ì†Œìž¬ë“¤ì„ ê·¸ë¦¼ìœ¼ë¡œ 표현한 것ì´ë‹¤. í™©í–¥ì˜ ë¶€ì±„, 육ì ì˜ ê·¤, 그리고 위ì—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왕ìƒì˜ 잉어, ë§¹ì¢…ì˜ ì£½ìˆœ 등 다양한 ì†Œìž¬ë“¤ì´ íš¨ì œë¬¸ìžë„ 중 ‘å­â€™ìžì˜ í‘œí˜„ì— ì´ìš©ë˜ì—ˆë‹¤. ì´ë°–ì— â€˜æ‚Œâ€™ëŠ” í˜•ì œê°„ì˜ ìš°ì• ë¥¼, â€˜å¿ â€™ì€ ìž„ê¸ˆê³¼ êµ­ê°€ì— ëŒ€í•œ 충성, â€˜ä¿¡â€™ì€ ì‚¬ëžŒ ê°„ì˜ ë¯¿ìŒì„, ‘禮’는 사회를 지탱하는 예ì˜ë¥¼, ‘義’는 올바름, ì˜ë¡œì›€ì„, ‘廉’과 ‘æ¥â€™ëŠ” 염치, 즉 청렴함과 ë¶€ë„ëŸ¬ì›€ì„ ì•„ëŠ” ë•ëª©ì„ ê°ê¸° 지칭한다. ì´ë“¤ ê°ê°ì€ ë˜ ê·¸ì— í•´ë‹¹í•˜ëŠ” 고사와 ì¸ë¬¼, ê´€ë ¨ëœ ì‚¬ë¬¼ë“¤ì´ ë‹¤ì–‘í•˜ê²Œ 존재하며 그중 다수가 효제문ìžë„ì— í‘œí˜„ë˜ì—ˆë‹¤.
『소학ã€ì€ 조선시대 성리학ìžë“¤ì— ì˜í•´ í¬ê²Œ 중시ë˜ì–´ ì¡°ì„ ë§ê¸°ê¹Œì§€ 『대학ã€ì„ ì½ê¸° ì „ ì•„ë™ì€ 물론, 성ì¸ë“¤ì˜ ì¼ìƒìƒí™œ ê·œë²”ì„ ìš”ì•½í•œ 서ì ìœ¼ë¡œ 중시ë˜ì—ˆë‹¤. 효제문ìžë„는 ì„±ë¦¬í•™ì„ ê¸°ë°˜ìœ¼ë¡œ ê±´êµ­ëœ ì¡°ì„ ì™•ì¡°ê°€ ì„±ë¦¬í•™ì˜ ëŒ€ì„±ìž ì£¼ìžæœ±å­(=주í¬)ì—게 바친 ê²½ì˜, 그리고 ê·¸ ê·œë²”ì´ ì¡°ì„ ì‹œëŒ€ì˜ ì™•ìœ¼ë¡œë¶€í„° ì¼ë°˜ë°±ì„±ì— ì´ë¥´ê¸°ê¹Œì§€ 미친 ê²ƒì„ ë³´ì—¬ì£¼ëŠ” 시ê°ì  ì¦ê±°ì´ë‹¤. ê·¸ëŸ°ë° ì¼ë°˜ ë°±ì„±ë“¤ì€ ì„±ë¦¬í•™ì˜ ê·œë²”ì„ ë”±ë”±í•˜ê²Œ ë°›ì•„ë“¤ì¸ ê²ƒì´ ì•„ë‹ˆë‹¤. 중국ì—서 유래했으나 중국ì—서는 표현ë˜ì§€ 않는 ì¡°ì„ ì˜ ë°©ì‹ìœ¼ë¡œ 여러 고사ì—서 채용한 ì¸ë¬¼, 꽃과 새, ë™ë¬¼, 물고기, 사물 ë“±ì„ ì´ìš©í•˜ì—¬ 다양한 변주를 ì´ë£¨ì–´ëƒˆë˜ 것ì´ë‹¤. 효제문ìžë„는 한국ì¸ì˜ ì°½ì˜ì„±, ë¯¸ìˆ ì  ìž¬ëŠ¥ì„ ìž˜ 보여주는 분야ì´ë‹¤.
효제문ìžë„는 í¬ê²Œ 세 시기로 ì–‘ì‹ë³€ì²œì„ ì´ë£¨ë©° 발전하였다. 처ìŒì—는 ì—¬ëŸ ìž ê¸€ì”¨ì˜ ì›í˜•ì„ ìœ ì§€í•˜ë©° ê¸€ìž íš ì†ì— ê°ì¢… 그림 장ì‹ì„ 집어넣는 ë°©ì‹ì´ì—ˆë‹¤.(ë„1) ì´ë¥¼í…Œë©´ ‘å­â€™ìžì—는 ì—­ì‚¬ìƒ íš¨ìžë¡œ ì´ë¦„ 난 순 임금, ê²¨ìš¸ì— ì–´ë¨¸ë‹ˆì—게 ì£½ìˆœì„ êµ¬í•´ 드린 맹종, ë˜ ê²¨ìš¸ì— ì–´ë¨¸ë‹ˆì—게 잉어를 구해 드린 왕ìƒ, 부채로 ë¶€ëª¨ë‹˜ì˜ ì¹¨ìƒì„ 시ì›í•˜ê²Œ 해드린 황향 ë“±ì˜ ê³ ì‚¬ì— ë‚˜ì˜¤ëŠ” 잉어, 죽순, 부채, 거문고 ë“±ì˜ ì†Œìž¬ê°€ 들어가 있다. ì´ëŸ° ì´ˆê¸°ì˜ íš¨ì œë¬¸ìžë„ 중ì—는 íŒí™”로 ëœ ê²ƒë„ ë‹¤ìˆ˜ 있는ë°, 조선시대 ì „ëž˜ëœ ì£¼ìžì˜ 효제충신예ì˜ì—¼ì¹˜ ì—¬ëŸ ìžì™€ ê´€ë ¨ì´ ìžˆ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ë„2) 그렇다면 주ìžëŠ” 소재 ë©´ì—서 ë¿ë§Œ ì•„ë‹ˆë¼ í•„ì ì„ 통해 효제문ìžë„ì˜ ë°œì „ì—ë„ ì§ì ‘ ì—°ê²°ëœë‹¤.
효제문ìžë„는 ë‘ ë²ˆì§¸ 단계ì—서 ì›ëž˜ 글ìžì˜ 형태를 ê³¼ê°ížˆ 탈피하여 í•„íšì˜ ì¼ë¶€ë¥¼ 아예 그림으로 대체하게 ëœë‹¤. 즉 앞 단계ì—서 ìžíš ë‚´ë¶€ì— í‘œí˜„ë˜ëŠ” 소재들, 특히 잉어, 죽순, 새, ìš© ë“±ì´ ê¸€ìžì˜ ìžíšì„ 구성하게 ë˜ì–´, ë” ë³¸ê²©ì ì¸ 회화로 발전하였다.(ë„3) ë˜ ë¬¸ìžë„는 ì±…ê°€ë„, 화조ë„, 산수ë„, ì¸ë¬¼í™” 등 다양한 다른 소재들과 결합하여 다채롭게 발전하였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íš¨ì œë„ 8í­ ë³‘í’>ì˜ ê²½ìš° ìƒí•˜ë‹¨ì— ì±…ê°€ë„를 삽입하고 ì¤‘ì•™ì— ë¬¸ìžë„를 배치하였다. 국립민ì†ë°•물관 소장 <효제ë„>ì˜ ê²½ìš° í•˜ë‹¨ì— ê°„ë‹¨í•œ 산수 ë¬¸ì–‘ì„ ë°°ì¹˜í•˜ê³ , ìƒë‹¨ì—는 효와 ê´€ë ¨ëœ ì‹œêµ¬ë¥¼ ì¨ ë„£ì—ˆë‹¤.
ì´ ê²½ìš° ì£½ìˆœì— ì‹¹ì´ ë‚˜ 대나무가 무성하게 ëœ í˜•íƒœë¡œ 표현ë˜ì—ˆë‹¤. 한편 연구가 ì§„í–‰ë¨ì— ë”°ë¼ ì œì£¼ë„, ê°•ì›ë„, ê²½ìƒë„ 등 ì§€ì—­ì— ë”°ë¼ ì§€ì—­ì  íŠ¹ì§•ì´ ê°€ë¯¸ëœ ì–‘ì‹ì´ 발전하였ìŒì„ 알 수 있다. ì´ë¥¼í…Œë©´ ì œì£¼ë„ íš¨ì œë¬¸ìžë„ì—는 제주ë„ì˜ ì§€ì—­ì  íŠ¹ì§•ì„ ë³´ì—¬ì£¼ëŠ” 물고기와 새, 꽃 ë“±ì´ ë“¤ì–´ê°€ê³ , ìžíš ë‚´ë¶€ì— ë¬¼ê²° ë¬¸ì–‘ì´ ë“¤ì–´ê°€ëŠ” ë“±ì˜ íŠ¹ì§•ì´ ìžˆë‹¤.(ë„5)
효제문ìžë„ì˜ ì„¸ 번째 단계는 ì¶”ìƒí™”ê°€ í° íŠ¹ì§•ì´ë‹¤. ìžíšì„ 여러 가지 ìƒí˜•소재로 다채롭게 ê¾¸ë¯¸ë˜ ì¤‘ê¸°ì—서는 ì›ëž˜ì˜ 소재가 ë­ì˜€ëŠ”ì§€ 모를 ì •ë„로 ì¶”ìƒí™”ë˜ëŠ” ê³³ì´ ë§Žì•„ì§„ë‹¤. 예를 들어 ‘忠’ìžì˜ 경우 ‘中’ ë¶€ë¶„ì€ ì›ëž˜ 용으로 표현ë˜ë‹¤ê°€ ì ì°¨ 새우로 단순화ë˜ëŠ”ë°, 세 번째 단계ì—는 ë”ìš± 간략화ë˜ì–´ ì–¼í• ë³´ë©´ ê·¸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게 ëœë‹¤.(ë„6) ‘신’ìžì˜ 경우ì—ë„ í•„íšì´ 마치 무늬 ë²½ëŒì„ 쌓아 올린 듯 ì¶”ìƒí™”ë˜ì—ˆë‹¤.
효제문ìžë„ì˜ ì„¸ 단계 ì–‘ì‹ë³€ì²œê³¼ì •ì˜ ë°°ê²½ì€ ë¬´ì—‡ì¼ê¹Œ? 첫째, 문ìžì˜ ëª¨ìŠµì´ ê·¸ëŒ€ë¡œ 유지ë˜ê³ , êµµì€ íš ì†ì— 여가가지 ê´€ë ¨ëœ ê³ ì‚¬ê°€ 삽입ë˜ë˜ 단계는 문ìžì˜ 고유한 ì˜ë¯¸ê°€ 존중ë˜ë˜ 시기였다. 효제문ìžë„ì˜ ìœ êµì , êµí™”ì  ì˜ë¯¸ì™€ 목ì ì— ì¶©ì‹¤í–ˆë˜ ë‹¨ê³„ë¡œ, 주로 ê¶ì¤‘ê³¼ ì‚¬ëŒ€ë¶€ë“¤ì— ì˜í•´ 주로 사용ë˜ì—ˆë˜ 것으로 ë³¼ 수 있다. 그러다가 ë‘ ë²ˆì§¸ 단계ì—서 문ìžì˜ íšì´ 그림으로 대체ë˜ê¸° 시작하고, 문ìžë„ ìƒí•˜ë‹¨ì— 산수, 책거리, 화조 ë“±ì´ ì²¨ê°€ë˜ëŠ” 등 다양한 형ì‹ìœ¼ë¡œ 변형ë˜ëŠ” ê²ƒì€ ë°±ì„±ë“¤ì˜ ìžìœ ë¡œìš´ 미ê°ê³¼ ìƒìƒë ¥ì´ ë°˜ì˜ëœ 것으로, ë³¸ê²©ì  ë¯¼í™”ì˜ ë‹¨ê³„ë¼ í•  수 있다. ì´ ë‘ ë²ˆì§¸ ë‹¨ê³„ì˜ ë¬¸ìžë„ê°€ 가장 다양하고 재미있는 ë¯¼í™”ì  íŠ¹ì„±ê³¼ ì¡°í˜•ì„±ì„ ê°–ê³  있다. 세 번째 그림과 í•„íšì´ ë”ìš± ì¶”ìƒí™”, 단순화ë˜ëŠ” ê²ƒì€ í•˜ì¸µ 백성들ì—게 ë„리 í¼ì ¸ë‚˜ê°€ë‹¤ê°€ 마침내는 ê·¸ ì›ëž˜ì˜ ì˜ë¯¸ì™€ 취지까지 잊혀 버리는 단계, 즉 단순 장ì‹ìœ¼ë¡œì˜ 쇠퇴기로 ë³¼ 수 있다.
민화 문ìžë„ì—는 효제문ìžë„ê°€ 수ì ìœ¼ë¡œ 가장 ë§Žì•„ 나머지 기타문ìžë„를 ê°™ì€ ê¸‰ìœ¼ë¡œ 다루기ì—는 다소 ê· í˜•ì´ ì•ˆ 맞는 ê°ì´ 있다. 그러나 기타문ìžë„를 유형별로 나누어 대략 살펴보면 다ìŒê³¼ 같다.

ì£¼ìˆ ì  ì˜ë¯¸ë¥¼ 지닌 백수백복ë„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백수백복ë„는 주로 전서篆書로 ‘수壽’ìžì™€ ‘복ç¦â€™ìžë¥¼ í™”ë©´ì— í–‰ê³¼ ì—´ì„ ë§žì¶”ì–´ ê°€ë“ ì“´ 것으로 ë³‘í’ í˜•ì‹ì´ 대부분ì´ë‹¤.(ë„7) 글ìžëŠ” ì±„ìƒ‰ì´ ë§Žìœ¼ë‚˜ 수묵으로만 í‘œí˜„ëœ ê²ƒ, ë˜ ì¢…ì •ë¬¸é˜é¼Žæ–‡ì´ë‚˜ ì¸ë¬¸å°æ–‡ 형ì‹ìœ¼ë¡œ í‘œí˜„ëœ ê²ƒë„ ìžˆë‹¤. ‘壽’와 ‘ç¦â€™ì„ 반복하여 ì¨ì„œ 장ì‹í•¨ìœ¼ë¡œì¨ 오래 ì‚´ê³  ë³µ ë§Žì´ ë°›ê¸°ë¥¼ 기ì›í•˜ëŠ” ì£¼ìˆ ì  ì˜ë¯¸ì´ë‹¤. 백수백복ë„는 중국ì—서 먼저 그려졌는ë°, 「광해군ì¼ê¸°ã€ 2ë…„(1610) 4ì›” 16ì¼ì¡°ì— ë³´ë©´, 남í‰í˜„ê° ì¡°ìœ í•œè¶™ç¶­éŸ“ì´ ë°±ìˆ˜ë„百壽圖 1í­ì„ ì§„ìƒí•˜ì˜€ëŠ”ë°, 천조장관(天æœå°‡å®˜, ëª…ë‚˜ë¼ ìž¥êµ)으로부터 얻었다고 한다. ì´ ë°±ìˆ˜ë„는 ‘壽’ìžë¥¼ í¬ê²Œ ì“°ê³ , ê·¸ íš ì†ì— 수백 ìžì˜ ìž‘ì€ â€˜å£½â€™ìžë¥¼ 여러 서체로 ì“´ 것ì´ì—ˆë‹¤ 하는ë°, 우리나ë¼ì˜ 백수백복ë„와 소재는 같으나 표현형ì‹ì€ 다른 것ì´ì—ˆìŒì„ 알 수 있다. ê´‘í•´êµ°ì—게 ì§„ìƒëœ 백수ë„는 경기대박물관 ì†Œìž¥ì˜ <만호ë„è¬è™Žåœ–>나, 근정전ì—서 나온 <ìˆ˜ìžæ°´å­— 문ìžë¶€ì >ê³¼ ê°™ì€ í˜•ì‹ì´ì—ˆë˜ 것으로 ë³´ì¸ë‹¤.(ë„8) 근정전ì—서 나온 ë¶€ì ì€ ‘水’ìžì˜ ìžíš ì•ˆì— ìˆ˜ë§Žì€ â€˜é¾â€™ìžë¥¼ ì¨ë„£ì€ 것으로 화재 ë°©ì§€ì˜ ì£¼ìˆ ì  ìš©ë„ì´ë‹¤. 백수백복ë„는 ê¶ì¤‘ì—ì„œë„ ì‚¬ìš©ë˜ì—ˆëŠ”ë°, êµ¬í•œë§ ì˜ì¹œì™•義親王 ì´ê°•æŽå ˆ, 1877-1955, ê³ ì¢…ì˜ ì œ5ìž)ì´ í‘ê²¬é»‘çµ¹ì— ê¸ˆë‹ˆé‡‘æ³¥ë¡œ 그린 ë°±ìˆ˜ë°±ë³µë„ ë³‘í’ì„ ë°°ê²½ìœ¼ë¡œ ì°ì€ ì‚¬ì§„ì´ ì „í•´ì§„ë‹¤. ë˜ í˜„ìž¬ ê³ ê¶ë°•물관ì—는 ìžìˆ˜ë¡œ ì§œì¸ ë³‘í’ë„ ìžˆë‹¤. 백수백복ë„는 ìž¬ë£Œì˜ ì¢…ë¥˜ì™€ 완성ë„로 사용처를 ì§ìž‘í•  수 있다.

ê°ì¢… 부귀와 ê¸¸ìƒ ë¬¸ìžë„

백수백복ë„와 í° ì˜ë¯¸ëŠ” 같지만 다른 문ìžë¡œ ëœ ë‹¤ì–‘í•œ ìž‘í’ˆë“¤ì´ ì—¬ê¸°ì— í•´ë‹¹í•œë‹¤. ‘수복壽ç¦â€™, ‘강녕康寧’, ‘부귀富貴’, ‘다남多男’ 등 다양한 문ìžë„ê°€ 있다. 그리고 ì´ë“¤ì€ ë°±ìžë„百å­åœ–, ì‹ ì„ ë„神仙圖, 모란ë„牧丹圖, ì—°í™”ë„蓮花圖 등과 ê²°í•©í•˜ê¸°ë„ í•œë‹¤.(ë„ 9) ë˜ ê·¸ë¦¼ ë¶€ì ç¬¦ç±ë„ ì—¬ê¸°ì— í•´ë‹¹í•œë‹¤. ì´ëŸ° ê¸¸ìƒ ë¬¸ìžë„ë“¤ì€ íšŒí™”ì—ì„œë¿ ì•„ë‹ˆë¼ ê³ ëŒ€ë¶€í„° ê°ì¢… 공예나 장신구, ê±´ì¶•ë¬¼ì˜ ìž¥ì‹, 가구나 ì˜ë³µ 등ì—서 광범위하게 사용ë˜ì—ˆìŒì„ 여러 가지 ìœ ë¬¼ì„ í†µí•´ 알 수 있다.
비백서와 í˜í•„서비백飛白ì´ëž€ ì›ëž˜ 서예ì—서 êµµì€ í•„íšì„ ê·¸ì„ ë•Œ ìš´í•„ì˜ ì†ë„와 ë¨¹ì˜ ë¶„ëŸ‰ì— ë”°ë¼ ê·¸ íšì˜ ì¼ë¶€ê°€ 먹으로 채워지지 ì•Šì€ ì±„ 불규칙한 í˜•íƒœì˜ í° ë¶€ë¶„ì„ ë“œëŸ¬ë‚´ê²Œ 하는 í•„ë²•ì„ ë§í•œë‹¤.(ë„ 10) 그리고 í˜í•„é©ç­†ì´ëž€ 가죽 ì¡°ê°ì— 다양한 ì±„ìƒ‰ì„ ë¬»í˜€ ê·¸ë¦¼ì„ ê·¸ë¦¼ìœ¼ë¡œì¨ ê·¸ì€ íš ì†ì— 다양한 ìƒ‰ì˜ ì„ ì´ ë‚˜íƒ€ë‚˜ê²Œ ë˜ëŠ” ê·¸ë¦¼ì„ ë§í•œë‹¤. ë”°ë¼ì„œ 비백과 í˜í•„ì€ ì›ëž˜ëŠ” 다르나 그려진 í•„íš ì†ì— ìš´í•„ì— ë”°ë¥¸ í‰í–‰ì„  ë¬¸ì–‘ì´ ë‚˜íƒ€ë‚˜ëŠ” ì ì—서는 ìƒí†µí•œë‹¤. í˜í•„화는 ìš°ë¦¬ë‚˜ë¼ ì „êµ­ ê°ì§€ì˜ 전통시장ì—서 과거ì—는 ë§Žì´ ë³¼ 수 있었다. 비백ì´ë‚˜ í˜í•„ë¡œë„ íš¨ì œë¬¸ìžë„를 그릴 수 있다. 유ë“공柳得æ­(1749-?)ì˜ ã€Œê²½ë„잡지京都雜志ã€ì—서는 비백서를 “버드나무 가지를 깎아 ê·¸ ëì„ ê°ˆë¼ ìª¼ê°œì„œ ë¨¹ì„ ì°ì–´ 효제충신예ì˜ì—¼ì¹˜ ë“±ì˜ ê¸€ìžë¥¼ 쓴다â€ê³  설명하고 있다.

é¾Â·è™ŽÂ·é¾œ 등 수호와 벽사 ìƒì§• 문ìž

ìš©ì´ë‚˜ 호랑ì´, ê±°ë¶ì´ 따위는 용호ë„나 오방신장五方神將, 사신ë„四神圖 ë”°ìœ„ì˜ ê·¸ë¦¼ìœ¼ë¡œë„ ê·¸ë ¤ì§€ì§€ë§Œ, ê¸€ìž ìžì²´ë¡œì„œë„ ë™ì¼í•œ 효과를 지닌다고 믿어져 ë§Žì´ ê·¸ë ¤ì§„ 것으로 ë³´ì¸ë‹¤. ë˜ ì •ì´ˆ 세화歲畵로 ëŒ€ë¬¸ì— ê·¸ë ¤ ë¶™ì´ëŠ” 용호 그림 대신 ê¸€ì”¨ë¡œë„ ì¨ì„œ 붙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ì´ëŸ° 세화 문배門排 따위는 대개 ì¼íšŒìš© 소모품ì´ì—ˆê¸° ë•Œë¬¸ì— ì‹¤ë¬¼ì€ ê±°ì˜ ë‚¨ì•„ìžˆì§€ 않ì€ë°, 충남 외암리 민ì†ë§ˆì„ ëŒ€ë¬¸ì— ì“´ 용호 글씨가 ê·¸ 예ì´ë‹¤. 여기서는 글씨지만 ê·¸ë¦¼ë„ ë§Žì´ ì‚¬ìš©ë˜ì—ˆì„ 것ì´ë‹¤.

 

글 : 진준현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