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ìžë„文字圖 세 번째 ì´ì•¼ê¸° – ì˜ì›í•œ ìƒëª…ìƒì„±ì˜ 세계

문ìžë„文字圖 세 번째 ì´ì•¼ê¸°
ì˜ì›í•œ ìƒëª…ìƒì„±ì˜ 세계

최근까지 ì˜ˆìˆ ì˜ ì „ë‹¹ 서예박물관ì—서 <ì¡°ì„  ê¶ì¤‘í™” 민화 걸작 -문ìžë„·책거리>å±•ì´ ì—´ë ¸ë‹¤. 박물관 입구ì—서 ë§ˆì£¼ì³¤ë˜ í˜„ìˆ˜ë§‰ì˜ ë¬¸ìžë„ ë°‘ì—는 다ìŒê³¼ ê°™ì€ í”„ëž‘ìŠ¤ ì‚¬ëžŒì˜ ë§ì´ ì í˜€ 있었다. “단지 예술ì ì¸ ê´€ì ìœ¼ë¡œë§Œ ë³´ì•„ë„ ê·¸ 병í’ì€ ì¡°ì„ ì˜ˆìˆ ì˜ ê·¼ë³¸ì— ê´€í•´ 무척 중요한 정보로서 가치가 ê°€ë“했다.†ㅡ1898ë…„ 프랑스 ì¸ë¥˜í•™ìž ‘샤를르 ë°”ë¼â€™ ê·¸ 병í’ì´ ì–´ë–¤ ê²ƒì„ ê°€ë¦¬í‚¤ëŠ”ì§€ 모르지만, 프랑스 í•™ìžê°€ ë§í•˜ë©´ 무조건 따르고 êµ­ë‚´ í•™ìžê°€ ë§í•˜ë©´ ì¸ìš©í•˜ì§€ 않는 ê²ƒì´ ìš°ë¦¬ë‚˜ë¼ í˜„ì‹¤ì´ë‹¤.

ì•„ì‰½ê²Œë„ ì•„ì§ë„ 사대주ì˜ê°€ 팽배하여 있어 모든 í•´ê²°ì„ ì™¸êµ­ í•™ìžë“¤ì—게 ì˜ì§€í•˜ë ¤ 한다. êµ­ë‚´ ì–´ëŠ ê³µëª¨ì „ì—서는 ëŒ€ìƒ ë°›ì€ ì‚¬ëžŒì„ í”„ëž‘ìŠ¤ë¡œ 유학 ë³´ë‚¸ë‹¤ê³ ë„ í•œë‹¤. ë¯¼í™”ì˜ ë³¸ì§ˆì„ ì•Œë©´ ì´ëŸ° 시대착오ì ì¸ ì¼ë“¤ì€ 하지 않는다. ê·¸ 프랑스 í•™ìžê°€ í•œêµ­ì˜ ì¡°í˜•ì˜ˆìˆ ì˜ ë³¸ì§ˆì— ëŒ€í•˜ì—¬ ë¬´ì—‡ì„ ì•Œê² ëŠ”ê°€. 현재 ìš°ë¦¬ë‚˜ë¼ ë¯¼í™” 연구ìžë“¤ë„ 삼국시대 미술과 ê³ ë ¤ 그리고 조선시대 ì¡°ê°ê³¼ 불êµíšŒí™”를 공부하지 않아 ë¯¼í™”ì˜ ë³¸ì§ˆì„ íŒŒì•…í•˜ì§€ 못하고 있으므로 프랑스 í•™ìžë‚˜ ê°™ì€ ìƒíƒœì— 있다. ìžê¸°ê°€ 모른다는 ê²ƒì„ ë¯¼í™” 연구ìžë“¤ì€ ìžì¸í•´ì•¼ í•  때가 왔다.

í•œêµ­ì „í†µë¬¸í™”ì˜ ì´í•©ì²´ë¡œì„œì˜ 민화, 제대로 알아야

지금 민화계는 심ê°í•˜ë‹¤. ì´ë¥¸ ë°” <ë¯¼í™”ìž‘ê°€ë“¤ì˜ ìˆ˜ì  íŒ½ì°½(數的 膨脹)>ê³¼ <민화 연구ìžì˜ 부재>로 ê°ˆ ê¸¸ì„ ëª»ê°€ê³  있다. 신기루와 ê°™ì€ í—ˆë§í•œ 현ìƒì´ë‹¤. ì–‘ ìª½ì„ ë¹„íŒí•˜ëŠ” ì‚¬ëžŒì€ í•„ìž í•œ 사람ë¿ì´ë‹¤. í•„ìžì˜ 나ì´ëŠ” 금년 76세다. í‰ìƒ 한국미술사학ë¿ë§Œ ì•„ë‹ˆë¼ ì„¸ê³„ì˜ ì•„ë‹ˆ ì¸ë¥˜ì˜ 모든 ì¡°í˜•ì˜ˆìˆ ì˜ ì§€í‰ì„ ìƒˆë¡œì´ ì—´ì–´ ë³´ì´ë ¤ê³  노력하고 있다.
ì „ ì„¸ê³„ì˜ ì¡°í˜•ì˜ˆìˆ ì˜ ëª¨ë“  장르, ê±´ì¶•-ì¡°ê°-회화-ë„ìžê¸°-금ì†ê¸°-목기-민ì†í’ˆ-ë³µì‹ ë“±ì„ ìƒˆë¡œì´ ì—°êµ¬í•˜ì—¬, 그리스-프랑스-ë…ì¼-ì¼ë³¸-대만-파키스탄 등 여러 나ë¼ì—서 í•„ìžì˜ 새로운 학설로 새로운 í•´ì„ì„ í•˜ì—¬ 발표하여 오고 있으며, ë§¤ì¼ ìƒˆë¡œìš´ ì§„ì‹¤ì„ ì°¾ì•„ë‚´ê³  있다. 그러는 ë™ì•ˆ 민화를 비로소 í•´ë…하게 ë˜ì—ˆê³  꾸준한 연구 ëì— ë‚´ë¦° ê²°ë¡ ì€ ë¯¼í™”ê°€ 한국미술 ì „í†µì„ ëª¨ë‘ ë‹´ì€ í•œêµ­ì „í†µë¬¸í™”ì˜ ì´í•©ì²´ç¸½åˆé«”ë¼ëŠ” 것ì´ë‹¤. 그래서 <ì¡°ì„  ê¶ì¤‘í™” 민화 걸작 -문ìžë„·책거리>展 기간 중 민화특강 ì‹œê°„ì— <í•œêµ­ì „í†µë¬¸í™”ì˜ ì´í•©ì²´ë¡œì„œì˜ 민화>란 주제로 ê°•ì—°ì„ í–ˆë‹¤. ì Šì€ ì„¸ëŒ€ 연구ìžë“¤ì€ 물론 ìš°ë¦¬ë‚˜ë¼ ëŒ€í‘œì  ë¯¼í™”ì—°êµ¬ìžë“¤, 그리고 모사든 창작ì´ë“  민화를 그리는 ì‚¬ëžŒë“¤ì„ ë‹¨í˜¸í•˜ê²Œ ížì±…했다. 물론 ì–´ëŠ ì²­ì¤‘ë„ ê·¸ 주제가 ë¬´ì—‡ì„ ê°€ë¦¬í‚¤ëŠ”ì§€ 모를 것ì´ë‹¤. 왜ëƒí•˜ë©´ 한국미술 7,000ë…„ì„ ëª¨ë‘ ê³µë¶€í•œ ì‚¬ëžŒì´ ì—†ì„ë¿ë”러, ë”구나 새로 ë°í˜€ë‚¸ í•„ìžì˜ 새로운 그러나 ê°œì¸ì ì¸ ì˜ê²¬ì´ ì•„ë‹ˆë¼ ë³´íŽ¸ì  ì´ë¡ ì´ë¼ëŠ” ê²ƒì„ ì•„ëŠ” ì‚¬ëžŒì´ ì—†ê¸° 때문ì´ë‹¤. 그럼ì—ë„ ì²­ì¤‘ì˜ ë°˜ì‘ì€ ëœ¨ê±°ì› ë‹¤. 그러나 ê·¸ë¿ì´ë‹¤.
달ë¼ì§„ ê²ƒì€ ì•„ë¬´ ê²ƒë„ ì—†ë‹¤. ë°©í–¥ 없는 혼란ë¿ì´ë‹¤. ì´ë¥¸ ë°” 민화 연구ìžë“¤ì˜ 연구 ì„±ê³¼ë„ ê¸°ëŒ€í•˜ê¸° 어렵다. ì´ì œ ê°€ì‹ì ì¸ ë§ì€ ë” ì´ìƒ 하
기 싫다. 미래는 매우 어둡다. 그러나 ì–´ë‘ìš´ 미래를 ë°ê²Œ 하기 위하여 나는 ê³„ì† ë…¸ë ¥í•  것ì´ë‹¤. 고귀한 ì „í†µë¯¸ìˆ ì„ ë” ì´ìƒ í„하하거나 잘못 무책임하게 ë§í•˜ëŠ” ì‚¬ëžŒì€ ì—†ì–´ì•¼ í•  것ì´ë‹¤.

기발하고 완벽한 조형 ë‹ë³´ì´ëŠ” 8í­ ë¬¸ìžë„

ì–´ëŠ ë‚  서울역사박물관ì—서 펴낸 ë„ë¡ <반갑다! 우리 민화>를 살펴보다가 ì¼ë³¸ 천리대天ç†å¤§ ë¶€ì† ì²œë¦¬ì°¸ê³ ê´€å¤©ç†åƒè€ƒé¤¨ 소장 문ìžë„를 ë³´ê³  ê¹œì§ ë†€ëžë‹¤. 그윽하고 ì–µì œëœ ìƒ‰ì¡°ì™€ 기발한 조형ì´ë©° ê·¸ 완벽한 ì¡°í˜•ì€ í ìž¡ì„ ë°ê°€ 없다. ì´ëŸ° ê·¸ë¦¼ì€ ë„í™”ì„œì— ì†Œì†ëœ 뛰어난 í™”ì›ç•µå“¡ì´ 그렸ìŒì— 틀림없다.
ì •ì¡°ëŒ€ì™•ì´ ì±…ê±°ë¦¬ë¥¼ 가리키며 신하들ì—게 “ì´ê²ƒì€ ì±…ì´ ì•„ë‹ˆë©° ê·¸ë¦¼ì¼ ë¿ì´ë‹¤.â€ë¼ê³  ë§í–ˆë‹¤ë˜ë° ê·¸ ë§ì€ 듣고 ì •ì¡°ëŒ€ì™•ì— í¬ê²Œ 실ë§í–ˆë‹¤. ì •ì¡°ëŒ€ì™•ì˜ ëˆˆì—는 ê¶ì¤‘ì—서 ì“°ì¸ ì±…ê±°ë¦¬ì˜ ì¡°í˜•ê³¼ ìƒì§•ì´ ë³´ì˜€ì„ ë¦¬ 만무하다. ë„í™”ì„œì˜ í™”ì›ë“¤ì€ 규제 ë•Œë¬¸ì— ìžìœ ë¡­ê²Œ 표현하고 ì‹¶ì€ ê²ƒì„ ë§ˆìŒê» 발휘하지 ëª»í–ˆì„ ê²ƒì´ë‹¤. 그래서 滿ç”[å™¨çš¿ì´ ì•„ë‹˜]ê³¼ ì„œì±…ë§Œì´ ê°€ë“ ì°¬ ì±…ê°€ë„ê°€ ê·¸ë ¤ì¡Œì„ ê²ƒì´ë‹¤. ì‚¬ëžŒë“¤ì€ ê·¸ ìž‘í’ˆì„ ë³´ê³  걸작ì´ë¼ê³  ë§í•œë‹¤. ê·¸ ê¹Œë‹­ì€ ì±…ë“¤ì´ë¼ê³  하는 ê²ƒë§Œì€ ëˆˆì— í™•ì‹¤ížˆ ë³´ì´ê¸° 때문ì´ë‹¤. 그러나 ê·¸ ë§Žì€ ì±…ë“¤ì´ ëª¨ë‘ ê²½ì „ì¼ ë¦¬ 없으므로 ê·¸ 책거리가 우리ì—게 전하는 메시지는 전혀 없다. 그러므로 문ìžë„ë„ ì €ê²ƒì€ ë¬¸ìžê°€ ì•„ë‹ˆë¼ ê·¸ë¦¼ì¼ ë¿ì´ë¼ê³  ë§í–ˆì„ì§€ë„ ëª¨ë¥¸ë‹¤. ê·¸ëŸ°ë° â€œë¿â€ì´ëž€ ë§ì´ ë„무지 마ìŒì— 들지 않는다. 책보다 문ìžì–¸ì–´ë³´ë‹¤ 그림으로 그린 ì±… 그림ì´ë‚˜ 문ìžë¥¼ 회화ì ìœ¼ë¡œ 그린 ê²ƒì„ í„하한 ê²ƒì€ í‹€ë¦¼ì—†ë‹¤. í•„ìžëŠ” 강연회ì—서 ì´ë ‡ê²Œ ë§í–ˆë‹¤. â€œì •ì¡°ëŒ€ì™•ì´ í™”ì›ì—게 책거리를 ê·¸ë¦¬ë¼ í–ˆìœ¼ë‚˜ 마ìŒì— 안 들어 ê·€ì–‘ì„ ë³´ëƒˆë‹¤ê³  í–ˆëŠ”ë° ì•„ë§ˆë„ í™”ì›ë“¤ì´ 그린 ì´ìƒí•œ, ì‹¤ì€ ì´ìƒí•œ ê²ƒì´ ì•„ë‹ˆë¼ ë¬´ì—‡ì¸ì§€ ëª°ë¼ ë³´ì´ì§€ ì•Šì€ ì´ë¥¸ ë°” ‘ì˜ê¸°ë¬¸â€™ì„ ë§Žì´ ê·¸ëŸ¬ì„œ 귀양 ê°”ì„ ìˆ˜ë„ ìžˆì—ˆì„ ê²ƒì´ë‹¤â€ë¼ê³ . 물론 ì²­ì¤‘ë“¤ì€ ë‚´ ë§ì„ 전혀 ì´í•´í•˜ì§€ 못한다는 ê²ƒì„ ì•Œê³  있다.
천리대 소장 8í­ ë³‘í’ ë¬¸ìžë„는 지본채색으로 í¬ê¸°ëŠ” ê° í­ì´ ê°ê° 72.6×37.0ãŽë‹¤. 꽤 í° ë³‘í’ì´ì–´ì„œ 실제로 ë³´ë©´ ì••ë„ì ì¸ ìž‘í’ˆì¼ ê²ƒì´ë‹¤. 8í­ ê°€ìš´ë° å­æ‚Œå¿ ä¿¡ 네 문ìžë„ë§Œ 채색분ì„하여 싣는다. 채색분ì„하며 ê·¸ ì£¼ë³€ì— ì“´ ê¸€ë“¤ì„ ìˆœì„œëŒ€ë¡œ ì½ìœ¼ë©´ 다시 í•„ìžê°€ 해설할 필요가 ì—†ì„ ê²ƒì´ì–´ì„œ 간단히 ê²°ë¡ ë§Œ ì“°ë ¤ 한다.
문ìžë„는 여러 ë¶„ì´ ì•Œê³  있고, ë˜ ì´ë¥¸ë°” 민화 연구ìžë“¤ì´ í•­ìƒ ê±°ë¡ í•˜ëŠ” íš¨ì œì¶©ì‹ ì— ì–½ížŒ 고사 ì´ì•¼ê¸°ëŠ” ì´ ê·¸ë¦¼ì—서 완전히 사ë¼ì§€ê³  없다. 그러면 문ìžë„는 유êµì˜ 실천 ë•목으로 그린 ê²ƒì´ ì•„ë‹ˆëž€ ë§ì¸ê°€. í•„ìžëŠ” ì´ ê·¸ë¦¼ì„ ì±„ìƒ‰ë¶„ì„하면서 ì ì§€ ì•Šì€ ê°ë™ì„ 받았다. ì´ ë¬¸ìžë„를 드높게 승화시킨 í™”ì›ì€ ë„대체 누구였ì„까? ì´ ìœ„ëŒ€í•œ ê·¸ë¦¼ì„ ê·¸ë¦° í™”ì›ì—게 ê²½ì˜ë¥¼ 표할 ìˆ˜ë°–ì— ì—†ë‹¤. 불화ì—서처럼 문ìžë„를 빌려 나타내려 한 ê²ƒì€ <ì˜ì›í•œ ìƒëª…ìƒì„±ì˜ 세계>였다. 실용ì ì¸ 병í’ì´ ì•„ë‹ˆë¼ ê·¸ ë‹¹ì‹œì˜ ìœ„ëŒ€í•œ ì² í•™ì„ ìš°ì˜ì å¯“æ„的으로 표현한, 가장 ë“œë†’ì€ ì •ì‹ ì  ì°¨ì›ì„ 표현한, 儒佛仙 모든 종êµë¯¸ìˆ ì„ 종합한 새로운 ì¡°í˜•ì˜ ì¢…êµë¯¸ìˆ ì´ë‹¤.
ë…ìž ì—¬ëŸ¬ë¶„, 작품 사진과 채색분ì„한 ê²ƒì„ ë²ˆí˜¸ë¡œ 매겨 ì“´ ì„¤ëª…ì„ ì°¨ë¡€ëŒ€ë¡œ ì½ì–´ê°€ë©´ì„œ 꼼꼼히 ì½ì–´ë³´ì‹œê¸° 바란다.

t1

t2

t3

t4

t5

t6

t7

t8

 

글 : ê°•ìš°ë°©(ì¼í–¥í•œêµ­ë¯¸ìˆ ì‚¬ì—°êµ¬ì› ì›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