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배(門排), 세화(歲畵), 민화(民畵) ê·¸ ê°œë…ê³¼ 관계 다시보기①

문배ë„

한 í•´ì˜ ì‹œìž‘ì„ ì˜ë¯¸í•˜ëŠ” 민족 대명절, 설ì—는 세화를 주고받으며 ì„œë¡œì˜ ì•ˆë…•ì„ ê¸°ì›í•˜ëŠ” í’ìŠµì´ ìžˆì—ˆë‹¤. 아름답고 정다운 ì´ í’ìŠµì€ ëŒ€ì¤‘ì˜ ê´€ì‹¬ì—서 멀어져 ì ì°¨ 보기 어려워졌지만, ì„¸í™”ì— ëŒ€í•œ 관심과 관련 전시는 ì•„ì§ë„ ê·¸ ë§¥ì„ ì´ì–´ê°€ê³  있다. 문배와 세화, ë¯¼í™”ì˜ ì—­ì‚¬ì™€ ê·¸ ì—°ê´€ 관계를 2íšŒì— ê±¸ì³ ì—°ìž¬í•œë‹¤.

ë²½ì‚¬ì  ì„±ê²©ì˜ ë¬¸ë°° ê·¸ë¦¼ì— ì†¡ì¶•í•˜ëŠ” 길ìƒì„±ì´ ë”í•´ì ¸ 확산·변화ë˜ë©´ì„œ ì ì°¨ 세화로 í™•ëŒ€ëœ ì´í›„ ê·¸ ê¸°ëŠ¥ì´ ë‹¤ì–‘í•´ì§€ê³  ì¡°ì„  í›„ê¸°ì˜ ë¯¼í™”ëŠ” 집안 전체를 치장하는 그림으로 발전했다. 민화는 문ë¿ë§Œ ì•„ë‹ˆë¼ ì§‘ì•ˆì´ë‚˜ 가구를 비롯해 출입문, 우물, êµ´ëš, ì•„ê¶ì´, 변소 등 붙여지는 ê³³ì´ ëŒ€í­ ëŠ˜ì–´ë‚¬ë‹¤. ê·¸ ë‚´ìš©ë„ ë²½ì‚¬ì , 길ìƒì , ê°ê³„ì , ê°ìƒì  목ì ì´ 주를 ì´ë£¨ê±°ë‚˜, ì´ëŸ¬í•œ 모든 ìƒì§•ì—서 벗어나 그저 장ì‹ì ì¸ 것으로 그려져 ë¶™ì—¬ì§€ê¸°ë„ í–ˆë‹¤.
문배와 세화 그리고 민화는 바로 ì´ì²˜ëŸ¼ ì§ì ‘ì ìœ¼ë¡œ 관련ë˜ì–´ 있다. 그리고 문배와 세화 그리고 민화는 서로 ë¨ ìˆ˜ 없는 밀접하게 관계 즉, ‘문배→세화→민화’로 ì—°ê²°ë˜ëŠ” 순차ì ì¸ 전후 관계를 맺고 있는 것ì´ë‹¤. 지금부터 ê·¸ 연결고리를 하나씩 살펴보ë„ë¡ í•˜ìž.

문배門排
물활론ì—서 ì‹œìž‘ëœ ìƒì§•ì´ ë¬¸ë°°ë¡œ ìžë¦¬ìž¡ì•„

ì¼ì°ì´ 우리 ì„ ì¡°ë“¤ì€ ë¬¸ì„ ì‚¬ëžŒì˜ ì¶œìž…ë¿ ì•„ë‹ˆë¼ ë³µì´ë‚˜ ìž¬ì•™ë„ ë¬¸ì„ í†µí•´ 들어오거나 나간다고 ìƒê°í–ˆë‹¤. 다시 ë§í•´ ì„ ì¡°ë“¤ì€ ì§‘ì•ˆì˜ ëª¨ë“  길í‰í™”ë³µì´ ë¬¸ê³¼ 관련ë˜ì–´ 있다고 ìƒê°í•œ 것ì´ë‹¤. 그런 ì¸ì‹ ë•Œë¬¸ì— í–‰ë³µì´ ë¬¸ìœ¼ë¡œ 들어오길 ë°”ë¼ê³  ì•…ìš´ì´ ë“¤ì–´ì„œì§€ 못하ë„ë¡ ë¬¸ 앞ì—서 ë³µì„ ë¹„ëŠ” 다양한 ì˜ë¡€ë¥¼ 행하거나 그림과 글귀를 붙였으며, 그리하여 ë¬¸ì— ê´€í•œ 여러 민ì†ê³¼ í’ìŠµë„ ìƒê²¨ë‚˜ê²Œ ë˜ì—ˆë‹¤. ì´ë¥¼í…Œë©´ 새해ì—는 ë³µ 받기를 ë°”ë¼ê³  ìž¬ì•™ì„ ë§‰ê¸° 위해 집집마다 ì˜ë¡€ë¥¼ 행하는 한편, â€˜ìˆ˜ì„±ë…¸ì¸ ê·¸ë¦¼â€™, â€˜ê¹Œì¹˜í˜¸ëž‘ì´ ê·¸ë¦¼â€™, ‘용 그림’ ë“±ì˜ ì„¸í™”ë¥¼ ì–´ê¹€ì—†ì´ ë¶™ì˜€ë‹¤. ë˜í•œ ìž…ì¶˜ì„ ë§žì´í•´ì„œëŠ” 대문ì´ë‚˜ ë²½ì— ìž…ì¶˜ë°©ç«‹æ˜¥æ¦œ(ë˜ëŠ” 立春帖, 春帖å­)ì„ ë¶™ì˜€ë‹¤. 주로 ‘입춘대길立春大å‰â€™, ‘개문만복래開門è¬ç¦ä¾†â€™ ë“±ì˜ ê¸€ê·€ë¥¼ 붙여 ë³µì´ ë¬¸ìœ¼ë¡œ 들어오기를 ë°”ëžë‹¤. ë˜í•œ 한편으로 ë¬¸ì„ ì¸ìƒì˜ 시작ì´ë‚˜ ë나는 곳으로 ìƒê°í•˜ë©´ì„œ, 등용문ì´ë‚˜ ì·¨ì§ë¬¸ 등 ëª©í‘œì— ë„달하기 어려운 고비를 뜻하는 ì˜ë¯¸ë¡œ ì‚¬ìš©í•˜ê¸°ë„ í–ˆë‹¤. ë¿ë§Œ ì•„ë‹ˆë¼ ë¬¸ì€ ê°™ì€ í•™êµ ì¶œì‹ ì˜ ì‚¬ëžŒë“¤ì„ ì¼ì»«ëŠ” ë™ë¬¸åŒé–€ì„ 뜻하거나 한 ì§‘ë‹¨ì˜ ì§€ì²´ë¥¼ 뜻하는 명문å門과 ë¬¸ë²Œé–€é–¥ì˜ ëœ»ì„ ë‹´ì•„ ì‚¬ìš©í•˜ê¸°ë„ í–ˆë‹¤. ê·¸ ë°–ì— ì†ë‹˜ì„ 즉시 ì˜ì ‘한다는 ‘문불정빈門ä¸åœè³“’, ëŒ€ì„±í™©ì„ ëœ»í•˜ëŠ” ‘문전성시門å‰ç››å¸‚’ 등으로 비유하여 사용한 예가 남아있다. ì´ë ‡ë“¯ 우리 ì„ ì¡°ë“¤ì€ ë¬¸ì€ ìš°ì£¼ì˜ ì„­ë¦¬ì™€ ì„ ì•…ì„ ì§€ë°°í•˜ëŠ” ì‹ ë“¤ì´ ì¶œìž…í•œë‹¤ê³  ìƒê°í•˜ë©´ì„œ, ì¢‹ì€ ê²ƒë“¤ì€ ë“¤ì–´ì˜¤ê³  ë‚˜ìœ ê²ƒë“¤ì€ ë“¤ì–´ì˜¤ì§€ 못하ë„ë¡ ì—¬ëŸ¬ 장치를 í•˜ì˜€ì„ ë¿ë§Œ ì•„ë‹ˆë¼ ì—¬ëŸ¬ ì˜ë¯¸ë¥¼ 부여하여 ë„리 사용했다.
모든 ê²ƒì´ ë¬¸ì„ í†µí•´ì„œ 들어오거나 나간다. ë¬¸ì€ ì§‘ì•ˆì˜ í†µë¡œì´ìž ì§‘ì•ˆì˜ ìƒì§•ì´ë©° 중요한 ë°©ì–´ê¸°ëŠ¥ë„ ê°€ì§€ê³  있다. 문배는 ì´ì™€ ê°™ì€ ë¬¸, 즉 ‘공간’과 ê·¸ ê³µê°„ì„ êµ¬ì—­í™”í•˜ëŠ” ìž¥ì¹˜ë¼ í•  수 있습니다. ì¼ì°ë¶€í„° 우리 ì„ ì¡°ë“¤ì€ ê±´ê°•ê³¼ ì§‘ì•ˆì˜ ìž¬ì‚°ì„ ì§€í‚¤ê¸° 위하여 문 앞ì—서 여러 가지 ì œì˜ì  ì„±ê²©ì„ ê°€ì§„ 행위를 벌ì´ê±°ë‚˜ ë¬¸ì— íŠ¹ë³„í•œ ì‚¬ë¬¼ì„ ì„¤ì¹˜í•´ 왔다. 물론 ì´ì™€ ê°™ì€ í–‰ìœ„ë‚˜ 다양한 장치를 ë™ì›í•´ 설치한 ê²ƒì€ ë³µì´ ë¬¸ìœ¼ë¡œ 들어오지만 잡귀나 ì•…ìš´ë„ ì´ê³³ìœ¼ë¡œ 침입한다고 여겼기 때문ì´ë‹¤. ì¶”ì í•´ ë³´ë©´ 쉽게 확ì¸í•  수 있는ë°, 우리 ë¯¼ì¡±ì€ ëª¨ë“  ìžì—°ë¬¼ì— ì˜í˜¼ì´ 깃들어 있으며 ê·¸ ì˜í˜¼ì€ ì˜ì›í•  것ì´ë¼ 믿어 왔다. ìƒ¤ë¨¸ë‹ˆì¦˜ì€ ì´ì™€ ê°™ì€ ìžì—°ê³„ì˜ ì˜¨ê°– ì‚¬ë¬¼ì— ì˜í˜¼ì´ 깃들어 있다고 ìƒê°í•˜ëŠ” ë¬¼í™œë¡ ç‰©æ´»è«–ì„ ê·¼ë³¸ìœ¼ë¡œ 하고 있으며, ì´ëŠ” 다름 아닌 ì‚°, ì•”ì„, 나무 ë“±ì˜ ìžì—°ìˆ­ë°° 사ìƒì„ ë§í•œë‹¤. 그렇다. ì„ ì¡°ë“¤ì€ ìžì—°ì— 대한 ì¸ì‹ê³¼ì •ì—서 비바람과 천둥, 번개 등 ìžì—°í˜„ìƒì„ ì´í•´í•  수가 없었고, ìžì—°ê³„ì˜ ê°ì¢… ìž¬ë‚œì„ ì œì–´í•  수가 없어 ìƒì‚°ë ¥ì´ 저하ëœë‹¤ê³  ìƒê°í–ˆìœ¼ë©° ì´ëŸ¬í•œ 현ìƒë“¤ì„ 신령한 ì˜í˜¼ë“¤ì´ 주재한다고 믿어온 것ì´ë‹¤. 그리하여 ìžì—°ì˜ ì‹ ë ¹(태양, 하늘, ì‚°, ê°•, ì•”ì„, 나무 등)ë“¤ì´ ìžì—°ìŠ¤ëŸ½ê²Œ 우리 ì¡°ìƒë“¤ì˜ ì˜ì‹ì„ 지배하고 í–‰ë™ë°˜ê²½ì— ì œì•½ì„ ê°€í•˜ëŠ” 존재가 ë˜ì—ˆë‹¤.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ê°€ì¡±ì„ ì§€í‚¤ëŠ” 수문장과 ê°™ì€ ì—­í• 

ì´ë ‡ë“¯ 처ìŒì—는 ìš°ì—°ì˜ ì¼ì¹˜ë¡œ 길í‰í™”ë³µì´ ì¤‘ì²©ë˜ë‹¤ê°€ 오랜 ì„¸ì›”ì´ ì§€ë‚˜ë©´ì„œ ë§Žì€ ì‚¬ëžŒë“¤ì˜ ê³µê°ëŒ€ê°€ ì§‘ê²°ë˜ì–´ ìžì—°ì˜ 초월ì ì¸ íž˜ì´ ì¸ê°„ì˜ ìš´ìˆ˜ì™€ 길í‰ì„ 좌우한다고 믿게 ë˜ì—ˆë‹¤. 그리고 우리 ì¡°ìƒë“¤ì€ ì´ëŸ¬í•œ ë¯¿ìŒ ì•„ëž˜, ì‹ ë ¹ì´ë‚˜ ë³µì´ ë¬¸ìœ¼ë¡œ 들어오지만 잡귀나 ì•…ìš´ë„ ì´ê³³ìœ¼ë¡œ 침입한다고 여겨 다양한 장치와 ë°©ë²•ì„ ë™ì›í•˜ë©´ì„œ ë²½ì‚¬í•˜ê¸°ë„ í–ˆë˜ ê²ƒì´ë‹¤.
ê·¸ ì‹œìž‘ì€ ì§ìŠ¹ì˜ í”¼ë¥¼ 문ì´ë‚˜ ë²½ì— ë°”ë¥´ëŠ” 것ì´ì—ˆë‹¤. 출입하는 ë¬¸ì— ë‹­ì˜ í”¼ë¥¼ 바르거나 ë‹­ì˜ ë¨¸ë¦¬é·„é ­ ë˜ëŠ” ë²”ì˜ ë¼ˆë¥¼ 걸어ë‘었으며, 엄나무 가지, ë¹—ìžë£¨, 복조리 ë“±ì„ ê±¸ì–´ë‘ê¸°ë„ í–ˆë‹¤. 엄나무 가지를 다발로 걸어ë‘는 ê²ƒì€ êµµì€ ê°€ì‹œê°€ 촘촘하게 ë‹ì€ ê²ƒì„ ë³´ë©´ 잡귀가 ê²ì´ 나서 ë‹¬ì•„ë‚˜ë¦¬ë¼ ì—¬ê²¼ê¸° 때문ì´ë‹¤. ë¹—ìžë£¨ë¥¼ 걸어 ë‘는 ê²ƒì€ ì§‘ì— í•´ê°€ ë˜ëŠ” ê²ƒì„ ë¹„ë¡œ ì“¸ì–´ë‚´ë“¯ì´ ì“¸ì–´ë²„ë¦¬ê² ë‹¤ëŠ” ìƒê°ì—서였다. ê·¸ ë°–ì— ë³µìˆ­ì•„ 가지, 버드나무 가지, 소나무 가지, ì‘¥ 다발 ë“±ì„ ë¬¸ ìœ„ì— ê±¸ì–´ë‘ê¸°ë„ í–ˆëŠ”ë° ì´ ì—­ì‹œ 잡귀와 ë¶€ì •ì„ ë§‰ì„ ìˆ˜ 있다는 믿ìŒì—서였다. í¥ë¯¸ë¡­ê²Œë„ 바다가 ì¸ì ‘í•´ 있는 ì–´ì´Œì—서는 대문 ì²˜ë§ˆì— í° ê²Œë¥¼ 매달아 ë‘ê¸°ë„ í–ˆëŠ”ë°, ì´ëŠ” ê²Œì˜ ì§‘ê²Œë‹¤ë¦¬ê°€ íž˜ì´ ë›°ì–´ë‚˜ê¸° ë•Œë¬¸ì— ë“¤ì–´ì˜¤ëŠ” 잡귀를 ê·¸ 다리로 꽉 붙들어달ë¼ëŠ” 믿ìŒì—서였다. ë˜í•œ ì•„ì´ë¥¼ 낳으면 ë¬¸ì— ê¸ˆì¤„(ç¦ì¤„, ë˜ëŠ” 人줄)ì„ ê±¸ì–´ ë†“ì€ ê²ƒë„ ì—­ì‹œ 잡귀와 ë¶€ì •ì„ ë§‰ì„ ìˆ˜ 있다는 믿ìŒì—서 ìƒê²¨ë‚œ í’습ì´ë‹¤. 즉 ì•„ì´ë¥¼ ë‚³ì€ ì§‘ ëŒ€ë¬¸ê°„ì— ìƒˆë¼ë¡œ ê¼° ê¸ˆì¤„ì„ ê±¸ì–´ë‘ ìœ¼ë¡œì¨ ì¶œìƒì„ 알리는 ë™ì‹œì— 타ì¸ì˜ 출입과 잡귀가 접근하지 못하ë„ë¡ í•˜ëŠ” ë°©ì±…ì´ì—ˆë‹¤. ìƒê°í•´ ë³´ë©´, 범뼈를 걸어 놓고 싶었지만 범뼈는 ê¸ˆê°’ì— ë²„ê¸ˆê°€ê¸° ë•Œë¬¸ì— ì´ë¥¼ 구하지 못하는 ì§‘ì—서는 엄나무 가지 다발, ë¹—ìžë£¨, 복조리 등 다양한 ë³´ì¡°ì ì¸ 장치로 대신하거나, ë²”ë¼ˆë§Œì´ í° íš¨ê³¼ê°€ 있다고 ìƒê°í•˜ëŠ” ì§‘ì—서는 ë²”ì— ê´€ë ¨í•œ 그림ì´ë‚˜ 글귀로 대신하여 잡귀를 ì«“ê³ ìž í–ˆë˜ ê²ƒì´ë‹¤. 그리고 ì´ëŸ¬í•œ 벽사 그림ì´ë‚˜ 글귀는 ë³µì„ ë¹Œê¸°ì— ë”ìš± 편리하였으므로 í•„ì—°ì ìœ¼ë¡œ ê³„ì† ì‚¬ìš©ë˜ì—ˆìœ¼ë©°, ì´ëŸ° ì´ìœ ë¡œ 차츰 잡귀를 물리치는 ë¶€ì ì´ë‚˜ ê·¸ë¦¼ì„ ë¶™ì—¬ì„œ ì•…ìš´ì„ ì«“ìœ¼ë ¤ëŠ” 문배í’ìŠµì´ ìƒê²¨ë‚˜ê²Œ ë˜ì—ˆë‹¤.

 

ë¬¸ë°°ì˜ ë¿Œë¦¬ê°€ ë˜ëŠ” ì†”ê±°ì˜ â€˜ë‹¨êµ°ìƒâ€™

『삼국사기ã€, 『삼국유사ã€ì—는 6세기 ì‹ ë¼ ì§„í¥ì™• ë•Œì˜ í™”ê°€ 솔거가 그린 ‘단군ìƒâ€™ì— 관한 기ë¡ì´ ë‚˜ì˜¤ëŠ”ë° ë¬¸ë°°ì˜ ë¿Œë¦¬ì™€ 무관하지 않다. 기ë¡ì—는 솔거가 꿈ì—서 본 ë‹¨êµ°ì˜ ì–¼êµ´ì„ ì²œì—¬ 장 남짓 그려 ê·¸ê²ƒì„ ì‹ ë¼ ì‚¬ëžŒë“¤ì—게 나누어 주었다고 ë˜ì–´ 있다. ê·¸ëŸ°ë° ê³ ë ¤ ì¤‘ì—½ì˜ ì´ê·œë³´æŽå¥Žå ±ê°€ ì“´ 『ë™ì‚¬ìœ ê³ æ±äº‹é¡žè€ƒã€ì—ë„ ì†”ê±°ì˜ â€˜ë‹¨êµ°ìƒâ€™ì— 관련한 기ë¡ì´ 나오며, ë‹¹ì‹œì— â€˜ë‹¨êµ°ìƒâ€™ì„ 사용한 í”ì ë„ ì°¾ì„ ìˆ˜ 있다. ì´ëŸ¬í•œ í”ì ì€ 조선시대ì—ë„ ì—­ì‹œ 쉽게 ì°¾ì„ ìˆ˜ 있는ë°, ì¡°ì„ ì˜ ì„¸ì¢… 때 í‰ì–‘ì— ë‹¨êµ° ì‚¬ë‹¹ì„ ì§€ì–´ 단군ìƒì„ 숭배하였다는 기ë¡ì´ 남아있다. ì´ë¡œ ë³¼ 때 ì†”ê±°ì— ì˜í•´ í‘œì¤€í™”ëœ â€˜ë‹¨êµ°ìƒâ€™ì´ 벽사ì ì´ê³  길ìƒì ì¸ ìƒì§•ì„±ì„ ë‹´ê³  대대세세로 줄기차게 전승ë˜ì–´ 왔으며 ê²°êµ­ ì¡°ì„ ì¡°ì˜ ì—¬ì—¼ì§‘ì—ë„ ê±¸ë¦¬ê²Œ ë˜ì—ˆë‹¤ëŠ” ê²ƒì„ ì•Œê²Œ ëœë‹¤.
『삼국유사ã€ì— 전하는 9세기 ì‹ ë¼ì˜ ‘처용 그림’ì—서 ë¬¸ë°°ì˜ ë¿Œë¦¬ëŠ” ë”ìš± ì§ì ‘ì ìœ¼ë¡œ 드러난다. 기ë¡ì—는 “화를 ë‚´ì§€ 않고 있으니 ì—­ì‹ ì´ ê°ë™í•˜ì—¬ 금후로는 맹세코 ì²˜ìš©ì˜ í˜•ìš©ì„ ê·¸ë¦° 것만 ë³´ì•„ë„ ê·¸ ë¬¸ì— ë“¤ì–´ê°€ì§€ ì•Šê² ë…¸ë¼ í•˜ì˜€ë‹¤. ì´ë¡œë¶€í„° ì‚¬ëžŒë“¤ì€ ì²˜ìš©ìƒì„ 그려 ëŒ€ë¬¸ì— ë¶™ì´ê³  ë²½ì‚¬ì§„ê²½è¾Ÿé‚ªé€²æ…¶ì„ ê¾€í–ˆë‹¤â€ë¼ê³  ì“°ì—¬ 있다. ì´ì²˜ëŸ¼ ì‹ ë¼ ë•Œë¶€í„° ì‚¬ëžŒë“¤ì€ ë¬¸ê°„ì—다 ì²˜ìš©ì˜ ì–¼êµ´ì„ ê·¸ë ¤ 사악한 ê·€ì‹ ì„ ë¬¼ë¦¬ì¹˜ê³  경사스러운 ë³µì„ ë§žì•„ë“¤ì´ëŠ” ì¼ì„ 했다. ì´ëŸ¬í•œ 행위는 ì¡°ì„  전기를 ê±¸ì³ í›„ê¸°ê¹Œì§€ ì´ì–´ì§„ ê²ƒì„ ë³¼ 수 있으며, ì´ë•Œì˜ 처용ìƒì€ 계ì†í•´ì„œ 문배로 사용ë˜ê±°ë‚˜ 새해 첫날 ë¬¸ì— ë¶™ì´ëŠ” 세화로 사용ë˜ëŠ” 경우가 많았다.

세화歲畵
ê³ ë ¤ ë§ë¶€í„° ìˆ˜ë§Žì€ ë¬¸í—Œì— ë“±ìž¥í•œ 세화

세화세화歲畵란 ì„¤ë‚ ì— ì•¡ì„ ëª°ì•„ë‚´ê³  ë³µì„ ë¶ˆëŸ¬ë“¤ì´ê¸° 위해 문ì´ë‚˜ ë¬¸ì„¤ì£¼ì— ê±¸ê±°ë‚˜ ë¶™ì˜€ë˜ ê²ƒì„ ë§í•œë‹¤. 새해를 송축하고 ìž¬ì•™ì„ ë§‰ê¸° 위해 그려진 그림ì´ë¼ì„œ 연하장과 ë¶€ì ì˜ ìš©ë„를 ë™ì‹œì— 지니고 있다고 ë³´ë©´ ëœë‹¤. 요즘ì—ë„ ì—°ë§ì—°ì‹œê°€ ë˜ë©´ í‰ì†Œ 친분 있는 사람ì—게 ì—°í•˜ìž¥ì„ ëŒë¦¬ë“¯ì´, ì¡°ì„  시대 ë§ê¹Œì§€ëŠ” 세화를 ëŒë¦¬ëŠ” í’ìŠµì´ ìžˆì—ˆë‹¤.
새해가 다가오면 ë„화서ì—서 수성노ì¸, ì„ ë…€, 신장, 호랑ì´, ë‹­ 그림 ë“±ì„ ê·¸ë ¤ 왕ì—게 바치면 ì™•ì´ ì™•ì¡±ì´ë‚˜ 신하들ì—게 나누어 ì£¼ì—ˆëŠ”ë° ì´ëŸ¬í•œ ê·¸ë¦¼ì´ ë°”ë¡œ 세화다. ì¡°ì„  초부터 매년 12ì›” 20ì¼ê²½ì— ë„í™”ì„œì˜ í™”ì›ë“¤ì—게 수십 ì ì”© 세화를 그려내ë„ë¡ í–ˆê³ , ì™•ì€ ê·¸ê²ƒì„ ì™•ì‹¤ì— ì¶©ì„±í•œ 집안ì´ë‚˜ 관리, ê³µì§ìžë“¤ì—게 선물로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대표ì ì¸ 예로 ê³ ë ¤ ë§ì˜ ì´ìƒ‰(1328~1396)ì´ë‚˜ ì¡°ì„  ì´ˆì˜ ì„±í˜„(1439~1504) 그리고 ì¡°ì„  í›„ê¸°ì˜ ì–‘ì£¼ìµ(1722~1802) ë“±ì´ ì™•ìœ¼ë¡œë¶€í„° 세화를 하사받아 ê°ì€æ„Ÿæ©ì˜ ê¸€ì„ ë‚¨ê²¼ë‹¤. 물론 ê° ì§€ë°©ì˜ ê´€ì•„ì—ì„œë„ ì—­ì‹œ 위와 ê°™ì€ ê·¸ë¦¼ì„ ê´€ì›ë¼ë¦¬ 서로 êµí™˜í•˜ê±°ë‚˜ 여염집ì—ì„œë„ ì„œë¡œ 선물하여 ì§‘ì•ˆì— ë¶™ì˜€ëŠ”ë° ì´ëŸ¬í•œ í’ìŠµì˜ ê·¸ë¦¼ì„ ì„¸í™”’ ë˜ëŠ” ‘설 그림’으로 기ë¡í•˜ê³  있다.
ì¡°ì„  ì´ˆì—는 60ìž¥ê°€ëŸ‰ì„ ì œìž‘í•˜ì—¬ ê¶ì—ì„œë„ ì“°ê³  가까운 신하들ì—게 나누어 주었으나 중종(16세기) ë•Œì— ë“¤ì–´ì„œë©´ 신하ì—게 내리는 것만 í•´ë„ í•œ ì‚¬ëžŒì— 20장씩, 전체로는 400ìž¥ì— ì´ë¥´ëŠ” 막대한 ì–‘ì´ ë˜ê¸°ë„ 했고 ì´ëŸ° 막대한 ì–‘ì„ ì œìž‘í•˜ëŠë¼ 3ê°œì›”ì´ ê±¸ë ¸ë‹¤ëŠ” 기ë¡ë„ 확ì¸ëœë‹¤. 당시ì—는 종ì´ë‚˜ ë¶“ 그리고 안료가 귀했기 ë•Œë¬¸ì— ë•Œë¡œëŠ” ì„¸í™”ì˜ ì§„ìƒì„ 중지하ìžëŠ” ì˜ê²¬ê³¼ 엄격한 ê·œì œë„ ìžˆì—ˆì§€ë§Œ, 여러 ê´€ë ¨ëœ ê¸°ë¡ìœ¼ë¡œ ë³¼ 때 그치지 않고 ê¶ì¤‘ì˜ ì‹ ë…„ 행사로 ì¡°ì„  후기까지 꾸준히 계ì†ë˜ì—ˆë˜ 것으로 ë³´ì¸ë‹¤. 예컨대 1867ë…„ì— íŽ¸ì°¬ëœ ã€Žìœ¡ì „ì¡°ë¡€ã€ì—는 ‘세화歲畵는 ìžë¹„대령화ì›å·®å‚™å¾…令畵員ì´
ê° 30장, 본서 í™”ì›ç•µå“¡ì´ ê° 20ìž¥ì„ 12ì›” 20ì¼ì— 봉진奉進하여야 한다’는 기ë¡ì´ 남아있다.
ì´ì— 관련하여 좀 ë” ì‚´íŽ´ë³´ë©´, 세화ë¼ëŠ” ëª…ì¹­ì˜ ì§ì ‘ì ì¸ 기ë¡ì€ ê³ ë ¤ ë§ ì´ìƒ‰ì˜ 『목ì€ì§‘ã€ì—서부터 ì°¾ì„ ìˆ˜ 있다. ì´ìƒ‰ì€ 『목ì€ì§‘ã€ì—서 세화ë¼ëŠ” ëª…ì¹­ì„ ì‚¬ìš©í•˜ëŠ” ê°€ìš´ë° ì™•ìœ¼ë¡œë¶€í„° 받아 ì§‘ì— ì†Œìž¥í•˜ê³  있는 ‘세화십장ìƒë„â€™ì— ëŒ€í•œ ì°¬ë¬¸ì„ ë³‘ì¤‘ì— ì¾Œìœ ì™€ 장ìƒì„ ë°”ë¼ë©´ì„œ 세세히 기ë¡í•˜ê³  있다. ì´ì²˜ëŸ¼ 세화가 고려시대ì—ë„ í‹€ë¦¼ì—†ì´ ì‚¬ìš©ë˜ì—ˆê³  ê·¸ ë„ìƒì´ 줄곧 유전ë˜ë©´ì„œ 조선시대로 ì´ì–´ì¡Œë‹¤ê³  여겨지나 세시í’ì†ê³¼ 관련하여 본격ì ìœ¼ë¡œ 유행한 ê²ƒì€ ì¡°ì„ ì‹œëŒ€ë¡œ 추정ëœë‹¤. ê·¸ 유래는 『조선왕조실ë¡ã€ì„ 비롯한 『용재ì´í™”ã€, 『ë™êµ­ì„¸ì‹œê¸°ã€, 『열양세시기ã€, 『경ë„잡지ã€, 『육전조례〠둥 여러 문헌ì—서 명확히 ë°í˜€ë‚¼ 수 있다. 특히 『조선왕조실ë¡ã€ì—는 ì¡°ì„  ì´ˆ 태종 8ë…„(1408), â€˜êµ­ìƒ ê¸°ê°„ ë™ì•ˆì´ë¯€ë¡œ 3ë…„ê°„ 세화 ì œìž‘ì„ ê¸ˆí•˜ë¼â€™ëŠ” 기ë¡ì´ 남아 있는ë°, ì´ëŠ” 매우 주목할 만한 것으로 ì¡°ì„  초부터 ì„¸í™”ì˜ ì œìž‘ì´ ë§¤ë…„ 관습ì ì´ê³  ì œë„ì ìœ¼ë¡œ ì´ë£¨ì–´ì¡ŒìŒì„ 알려준다. ì´í›„ 성종 14ë…„(1483)ì˜ ê¸°ë¡, ì—°ì‚°êµ° 2ë…„(1496), 11ë…„(1505)ì˜ ê¸°ë¡, 중종 5ë…„(1510), 32ë…„(1537)ì˜ ê¸°ë¡, 현종 10ë…„(1667)ì˜ ê¸°ë¡, 숙종 2ë…„(1676), 12ë…„(1686)ì˜ ê¸°ë¡ ë“±ì—서 세화가 관습ì ìœ¼ë¡œ 꾸준히 사용ë˜ì—ˆìŒì„ 알 수 있다. ì´ ê¸°ë¡ ì´í›„로 『조선왕조실ë¡ã€ì—는 ë” ì´ìƒ ì„¸í™”ì— ê´€í•œ 기사는 나오지 않으나, ì •ì¡°(1777~1800 재위) ë•Œì˜ ì–‘ì£¼ìµì´ 세화를 하사받았으며 ì±„ìž¬ê³µë„ 2ë²ˆì— ê±¸ì³ ì„¸í™”ë¥¼ 하사받았다는 기ë¡ì´ 나오고 있어 ì´í›„ ì–´ëŠ ì‹œì ì¸ê°€ 세화í’ìŠµì´ ë‹¤ì‹œ 부활ë˜ì—ˆë‹¤ëŠ” ê²ƒì„ ì§ìž‘하게 한다. 그리고 ë¬´ì—‡ë³´ë‹¤ë„ ì•žì„œ ì–¸ê¸‰í–ˆë˜ 1867ë…„ íŽ¸ì°¬ëœ ã€Žìœ¡ì „ì¡°ë¡€ã€ì— 세화와 ë¬¸ë°°ì˜ ì§„ìƒì— 대해 ìžì„¸í•˜ê²Œ 규정하고 있어, 세화 ì œë„ê°€ 꾸준히 ì´ì–´ì¡Œë‹¤ëŠ” ê²ƒì„ ì•Œ 수 있다.

 

ì¡°ì„  중기 차츰 ì„œë¯¼ì¸µì— ìŠ¤ë©°ë“¤ì–´

ì¡°ì„  서민층한편 세화 í’ìŠµì´ ì¼ë°˜ í‰ë¯¼ì—게 í†µìš©ëœ ê²ƒì€ ì¡°ì„  중기부터로, ì´ë•Œë¶€í„° 새해가 ë˜ë©´ 여염집 안팎ì—ë„ ì„¸í™”ê°€ 붙여져 행복한 분위기가 ì—°ì¶œë˜ì—ˆë‹¤. ë‹¹ì‹œì˜ ì„¸í™” ìˆ˜ìš”ì¸µì€ ì²˜ìŒì—는 ì„œìš¸ì— ì‚¬ëŠ” ì–‘ë°˜ 중심으로 형성ë˜ì—ˆìœ¼ë‚˜ ì ì°¨ 재력 있는 ì¤‘ì¸ ê³„ì¸µê³¼ 부유한 í‰ë¯¼ê³„층으로 확대ë˜ì—ˆê³ , 나중ì—는 천민층까지 ì´ë¥´ê²Œ ë˜ì—ˆë‹¤. í™ì„ëª¨ì˜ ã€Žë™êµ­ì„¸ì‹œê¸°ã€ì—는 ‘여러 관가官家와 ì²™ë¦¬æˆšé‡Œì˜ ë¬¸ì§ì—ë„ ëª¨ë‘ ì´ê²ƒë“¤ì„ ë¶™ì´ê³  여염집ì—ì„œë„ ëª¨ë‘ ì´ë¥¼ 본뜬다’ë¼ëŠ” 내용과 함께 ‘설날 ë„화서ì—서 ì„¸í™”ì˜ í‘œë³¸ì„ ê·¸ë ¤ì„œ 전시하면 시골 환장ì´ë“¤ì´ 운집하여 본떠 갔다’는 기ë¡ì„ ì°¾ì„ ìˆ˜ 있다. ì´ì²˜ëŸ¼ ì¼ë°˜ í‰ë¯¼ë“¤ë„ ì•¡ì„ ë¬¼ë¦¬ì¹˜ê³  ë³µì„ ë¹„ëŠ” ê²ƒì´ ì´ˆí•˜ë£¨ 설 í’ì†ì—서 í° ì¼ ì¤‘ì˜ í•˜ë‚˜ê°€ ë˜ì—ˆë‹¤. 지역ì ìœ¼ë¡œëŠ” 서울ì—서 지방 ì면으로, ìë©´ì—서 ê³ ì„로 첨차 확대ë˜ì—ˆìœ¼ë©° 사찰과 ì •ìž ê±´ë¬¼ì—까지 확산ë˜ì—ˆë‹¤. ì´ì™€ 관련하여 ì´ë¬¸ê±´æŽæ–‡æµ(1459~1567)ì´ 1546ë…„ ì´í›„ ì„±ì£¼ì— ê·€í–¥ê°€ì„œ ì ì€ 『묵재ì¼ê¸°é»™é½‹æ—¥è¨˜ã€ì—는 민간ì—ì„œì˜ ì„¸í™” í’ìŠµì— ê´€í•œ 기ë¡ì„ 남기고 있다. ì´ë¬¸ê±´ì€ 12ë…„ ë™ì•ˆ 매년 ì œì„除夕 15ì¼ ì „ë¶€í„° 세화를 ì§ì ‘ 그려 ì •ì´ˆ ìƒˆë²½ì— ë¬¸ì— ë¶™ì˜€ë‹¤ê°€ 보름 í›„ì— ë–¼ì–´ëƒˆë‹¤ê³  기ë¡í•˜ê³  있다.
ì„¸í™”ì˜ ì†Œìž¬ëŠ” 종규나 신다와 울루, 신장, 처용, ì„ ë…€, ì‚°ì‹ , ìˆ˜ì„±ë…¸ì¸ ë“±ì˜ ì¸ë¬¼ìƒê³¼ 호랑ì´, ìš©, ë‹­, ì‹­ìž¥ìƒ ë“±ì˜ ë™ë¬¼ìƒ ë“±ì´ ì£¼ë¡œ 그려졌다. 그러나 ì„¸í™”ì˜ ì†Œìž¬ëŠ” 확대ë˜ì–´ 다양한 ë„ìƒìœ¼ë¡œ ë°”ë€Œê¸°ë„ í–ˆë‹¤. 세종 2ë…„(1456)ì— ìƒˆí•´ë¥¼ 축하하기 위해 그리는 ì„¸í™”ì— ì‚¬ë†ê³µìƒå£«è¾²å·¥å•† ì‚¬ë¯¼å››æ°‘ì˜ ì—°ì¤‘í–‰ì‚¬ì™€ ìƒí™œ ëª¨ìŠµì„ ë‹´ì€ ê·¸ë¦¼ì„ ì‚¬ìš©í–ˆë‹¤ëŠ” 기사나 중종 5ë…„(1510)ì— í™”íšŒèŠ±å‰, ì¸ë¬¼äººç‰©, ëˆ„ê°æ¨“é–£ì„ ì„¸í™”ë¡œ 기ë¡í•˜ê³  있다. ë‹¹ì‹œì— ë°•ë¯¸æœ´å½Œ(1592∼1645)는 10í­ì§œë¦¬ 모란병í’ì„ ì„¸í™”ë¡œ 소장하고 있다고 기ë¡ì„ ë‚¨ê¸°ê¸°ë„ í–ˆë‹¤. 그리고 ê¶ì¤‘ì—서 ‘금강산 그림’과 ‘관ë™íŒ”ê²½ ê·¸ë¦¼â€™ì„ ì‹ í•˜ë“¤ì—게 나누어 주었다는 기ë¡ë„ ì°¾ì„ ìˆ˜ 있으며 ê·¸ë¦¼ë¿ ì•„ë‹ˆë¼ ë¬¸ìžë¡œ ì¨ì„œ ë¶™ì´ëŠ” ê²½ìš°ë„ ìžˆì—ˆë‹¤.
ì´ì²˜ëŸ¼ 세화는 ê³ ì •ëœ ë„ìƒì´ ìžˆìœ¼ë©´ì„œë„ ë‹¤ì–‘í•œ 제재를 ìƒë‹¹ìˆ˜ í¬í•¨ì‹œí‚¤ê¸°ë„ 했으며 글씨를 비롯해 ì¼ë°˜íšŒí™”로 ë¶„ë¥˜ëœ ê·¸ë¦¼ë“¤ê¹Œì§€ ì¼ë¶€ í¬í•¨ì‹œì¼°ë‹¤. ì´ëŠ” ìˆ˜ìš”ì¸µì´ ì ì  많아지면서 나타난 결과로 ë³´ì¸ë‹¤. ë˜í•œ ì´ë“¤ ì†Œìž¬ë“¤ì€ ë‚±ìž¥ìœ¼ë¡œ 그려지는 ê²ƒì´ ë³´í†µì´ì—ˆì§€ë§Œ ë³‘í’ í˜•íƒœë¡œë„ ê·¸ë ¤ì ¸ 사용ë˜ì—ˆë˜ í”ì ë„ 확ì¸ëœë‹¤.

 

글 : 김용권(문학박사/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