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ì—‡ì„ ê·¸ë ¸ì„까? í‰ìƒë„平生圖 초본Ⅱ

ë„1 〈모당í‰ìƒë„〉 ì‘ë°©ì‹ ë¶€ë¶„, 견본채색, 75.1×39.4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ë²ˆ 시간ì—는 í‰ìƒë„ì˜ ë¶„ë¥˜ë¥¼ 살펴보고 ê·¸ ê¸°ì¤€ì´ ë˜ëŠ” <모당í‰ìƒë„慕堂平生圖>와 <담와í‰ìƒë„淡窩平生圖>ì— ëŒ€í•´ ì•Œì•„ë³´ê³ ìž í•œë‹¤. 그리고 현재 남아있는 í‰ìƒë„ ìž‘í’ˆê³¼ì˜ ë¹„êµë¥¼ 통해 <í‰ìƒë„ 초본>ì´ ì–´ë–¤ ë¶„ë¥˜ì— í•´ë‹¹í•˜ëŠ”ì§€ ì‚´íŽ´ë³´ê³ ìž í•œ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모당í‰ìƒë„慕堂平生圖>와 <담와í‰ìƒë„淡窩平生圖>

<모당í‰ìƒë„慕堂平生圖>는 ê¹€í™ë„ì˜ í™”í’ì„ ë”°ë¼ ê·¸ë ¤ì§„ 19ì„¸ê¸°ì˜ ìž‘í’ˆìœ¼ë¡œ 모당慕堂 í™ì´ìƒ(洪履祥, 1549~1615)ì˜ í‰ìƒì„ ë‹´ì€ ê·¸ë¦¼ì´ê³ , <담와í‰ìƒë„淡窩平生圖>는 담와淡窩 í™ê³„í¬(洪啓禧, 1703~1771)를 주ì¸ê³µìœ¼ë¡œ 한 그림ì´ë‹¤.
<모당í‰ìƒë„>는 ëŒìž”치, 혼례ì‹, ì‘ë°©ì‹æ‡‰æ¦œå¼(ë„1), 한림겸수찬翰林兼修撰, 송ë„유수ë„ìž„ì‹æ¾éƒ½ç•™å®ˆåˆ°ä»»å¼, 병조íŒì„œì‹œå…µæ›¹åˆ¤æ›¸æ™‚, 좌ì˜ì •시左議政時, 회혼ì‹å›žå©šå¼ìœ¼ë¡œ 구성ë˜ì–´ 있으며, 구성 내용과 ë„ìƒì€ 현재 남아있는 ëŒ€ë¶€ë¶„ì˜ í‰ìƒë„ì˜ ë°”íƒ•ì´ ë  ë§Œí¼ ë„리 í¼ì¡Œë‹¤. <담와í‰ìƒë„>는 삼ì¼ìœ ê°€ä¸‰æ—¥éŠè¡—(ë„2), 수찬행렬修撰行列, í‰ì•ˆê°ì‚¬ë¶€ìž„平安監å¸èµ´ä»», 좌ì˜ì •행차左議政行次, 치사(致仕, 관리가 70세가 ë˜ë©´ ë²¼ìŠ¬ì„ ì‚¬ì–‘í•˜ê³  ë¬¼ëŸ¬ë‚˜ë˜ ì œë„), 회혼례回婚禮로 구성ë˜ì–´ 있다.
ê·¸ëŸ°ë° ë¬¸í—Œì—서 ë³´ì´ëŠ” í™ì´ìƒê³¼ í™ê³„í¬ ë‘ ì‚¬ëžŒì˜ ì¼ìƒê³¼ <모당í‰ìƒë„>와 <담와í‰ìƒë„> ì† ë‚´ìš©ì„ ë¹„êµí•´ ë³´ë©´ 서로 부합하지 않는다. í™ì´ìƒì€ 회혼례를 치를 ë§Œí¼ ì˜¤ëž˜ ì‚´ì§€ 못했고, 병조íŒì„œì™€ 좌ì˜ì •ì— ì˜¤ë¥¸ ì ë„ 없다. 마찬가지로 í™ê³„í¬ëŠ” í‰ì•ˆê°ì‚¬ë‚˜ ì‚¼ì •ìŠ¹ì˜ ì§€ìœ„ì— ì˜¤ë¥¸ ì ì´ 없고 회혼례를 치르지 못했다. ì´ëŸ° 현ìƒì´ 나타나는 ì´ìœ ëŠ” <í‰ìƒë„>ì˜ ì œìž‘ 목ì ì´ 단순히 특정 ì¸ë¬¼ì˜ ì¼ìƒì„ 담는 ê²ƒì´ ëª©ì ì´ 아니ë¼, 가문 ì „ì²´ì˜ ì—…ì ê³¼ 부귀ì˜í™”를 보여주고 여러 ìžì†ë“¤ì—게 ì„ ëŒ€ì˜ ë³µë¡ì´ 전해지길 기ì›í•˜ëŠ” ê²ƒì´ ëª©ì ì´ì—ˆê¸° 때문ì´ë‹¤.


ë„2 〈담와í‰ìƒë„〉 삼ì¼ìœ ê°€ 부분, 견본채색, 77×38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í‰ìƒë„ì˜ ë¶„ë¥˜

‘í‰ìƒë„平生圖’는 18ì„¸ê¸°ì— ë‚˜íƒ€ë‚˜ê¸° 시작한 화제畫題로, 사대부가 겪게 ë˜ëŠ” í‰ìƒì˜ë¡€å¹³ç”Ÿå„€ç¦®ì™€ ê´€ì§ ìƒí™œ 중 경사스러운 ì‚¬ê±´ë“¤ì„ ê·¸ë¦° 그림ì´ë‹¤. í‰ìƒë„ì˜ í˜•ì‹ì— ì˜í–¥ì„ 준 ìž‘í’ˆë“¤ì„ ê¸°ì¤€ìœ¼ë¡œ 분류해 ë³´ë©´, <모당í‰ìƒë„> 계열과 <담와í‰ìƒë„> 계열, 마지막으로 특별한 ì–‘ì‹ì— 따르지 않고 그린 í‰ìƒë„ 계열로 나눌 수 있다(ë„3).
<모당í‰ìƒë„> ê³„ì—´ì€ 18세기 ë§ì—서 19세기 ì´ˆ ê¹€í™ë„ì˜ í™”í’ì„ ë”°ë¼ ê·¸ë ¤ì§„ í‰ìƒë„로, <모당í‰ìƒë„> 병í’ì˜ êµ¬ì„± 내용과 ë„ìƒì€ 현재 남아있는 ëŒ€ë¶€ë¶„ì˜ í‰ìƒë„ì˜ ë°”íƒ•ì´ ë  ë§Œí¼ ë„리 í¼ì¡Œë‹¤. <담와í‰ìƒë„> ê³„ì—´ì€ 19세기 초·중엽 ê¹€í™ë„ì˜ ì˜í–¥ì„ 별로 받지 ì•Šì€ í™”ê°€ë“¤ì´ ê·¸ë¦° í‰ìƒë„로, í‰ì•ˆê°ì‚¬ 부임 ìž¥ë©´ì´ ë°˜ë“œì‹œ í¬í•¨ëœë‹¤. ì´ëŠ” ‘í‰ì•ˆê°ì‚¬ë„ ì € 싫으면 그만’ì´ë¼ëŠ” ì†ë‹´ê³¼ ê°™ì´ â€˜í‰ì•ˆê°ì‚¬ ë¶€ìž„â€™ì´ ë‹¨ìˆœí•œ 지방관 부임 ì´ìƒì˜ ì˜ë¯¸ë¥¼ 지닌 ì ì—서, 당시 ‘í‰ì•ˆê°ì‚¬â€™ë¡œ 대표ë˜ëŠ” ë¬¼ì§ˆì  í’ìš”ì— ëŒ€í•œ ë™ê²½ì„ ë‹´ì€ ê²ƒìœ¼ë¡œ ë³´ì¸ë‹¤. 여기서 한마디 보태ìžë©´, í‰ì•ˆê°ì‚¬ë¼ëŠ” ì§ì±…ì€ í‰ì–‘平壤과 안주安州가 있는 í‰ì•ˆë„ 전체를 관리하는 ì§ì±…으로, í‰ì–‘ì— ìžˆëŠ” í‰ì•ˆê°ì˜ì—서 근무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특별한 ì–‘ì‹ì— ì˜ê±°í•˜ì§€ 않고 그린 í‰ìƒë„ê°€ 있는ë°, ì´ëŠ” 다시 실존 ì¸ë¬¼ì˜ ìƒì• ë¥¼ ìƒëŒ€ì ìœ¼ë¡œ 충실하게 구성한 작품과, 환갑 등 축하할 ì¼ì´ ìƒê²¼ì„ 때 선물하기 위한 ìš©ë„로 제작ë˜ì—ˆë˜ 작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존 ì¸ë¬¼ì˜ ìƒì• ë¥¼ 그린 í‰ìƒë„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채용신 í‰ìƒë„>와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충무공ì´ìˆœì‹  í‰ìƒë„>ê°€ 대표ì ì¸ 작품으로, ì´ëŸ¬í•œ ìž‘í’ˆë“¤ì€ <모당í‰ìƒë„>, <담와í‰ìƒë„>와 마찬가지로 당시 ì‚¬ëžŒë“¤ì´ ì†Œë§í•˜ëŠ” ì‚¶ì„ í‘œí˜„í•˜ê³  성공한 ì¸ë¬¼ì˜ ì‚¶ì„ ë³¸ë°›ìœ¼ë ¤ëŠ” 마ìŒì„ ë‹´ì€ ê²ƒìœ¼ë¡œ ë³¼ 수 있다. 그리고 경사스러운 ë‚ ì— ì„ ë¬¼í•˜ê¸° 위해 그려진 ìž‘í’ˆë“¤ì€ ê´´ì„, 사슴, í•™, ì„류 등 길ìƒì˜ ì˜ë¯¸ë¥¼ ë‹´ì€ ë„ìƒë“¤ì„ 추가하여 축하와 기ì›ì˜ 마ìŒì„ 담았다.


ë„3 〈í‰ìƒë„〉 부분, 지본채색, ê°œì¸ ì†Œìž¥



ë„4 〈í‰ìƒë„ 초본〉 부분, 지본수묵, 35×20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 ê·¸ë¦¼ì´ <í‰ìƒë„ 초본>ì˜ ë²”ë³¸ì¼ê¹Œ

ì´ì œ 위ì—서 살펴본 다양한 í‰ìƒë„ 중ì—서 <í‰ìƒë„ 초본>ì˜ ë²”ë³¸ì„ ì°¾ì•„ë³´ìž. ë²”ë³¸ì„ ì°¾ëŠ” ë°©ë²•ì€ <모당í‰ìƒë„>, <담와í‰ìƒë„> ì† ìž¥ë©´ë“¤ 중ì—서 지난 ì‹œê°„ì— ì†Œê°œí•œ <í‰ìƒë„ 초본> ì† ì‘ë°©ì‹æ‡‰æ¦œå¼ 장면과 ê´€ë ¨ëœ ìž¥ë©´ì„ ë¹„êµí•˜ëŠ” 방법ì´ë‹¤(ë„4). ìš°ì„  <담와í‰ìƒë„> ì† â€˜ì‚¼ì¼ìœ ê°€â€™ ìž¥ë©´ì„ ì‚´íŽ´ë³´ë©´, í° ê¸°ì™€ì§‘ 마당 í•œê°€ìš´ë° ì•µì‚¼é¶¯è¡«ì„ ìž…ê³  어사화를 ì“´ 주ì¸ê³µì´ 대청마루ì—는 녹색 ì˜·ì„ ìž…ì€ ë…¸ì¸ì—게 ì¸ì‚¬ë¥¼ 하는 ëª¨ìŠµì´ ê·¸ë ¤ì ¸ 있다. 주ì¸ê³µì˜ ì–‘ 옆ì—는 광대와 ì•…ì‚¬ë“¤ì´ ëŠ˜ì–´ì„œ 있고, 그림 í•˜ë‹¨ì— ê·¸ë ¤ì§„ 대문으로는 ëŠìž„ì—†ì´ ì‚¬ëžŒë“¤ì´ ë“¤ì–´ì˜¤ê³  있다. 그리고 <모당í‰ìƒë„>를 살펴보면 화면 오른쪽 ìƒë‹¨ì— ‘應榜å¼â€™ì´ë¼ëŠ” 화제畫題가 있고, 화면 ìƒë‹¨ì—는 í™íŒ¨ç´…牌를 들고 다리를 건너는 세 ëª…ì˜ ì¸ë¬¼ì´ 있고, 화면 중앙ì—는 ë¶ì„ 비롯해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ì•…ì‚¬ë“¤ì´ ìžˆìœ¼ë©°, 화면 하단 왼쪽ì—는 3ëª…ì˜ ê´‘ëŒ€ê°€ 부채를 들고 ì¶¤ì„ ì¶”ê³  있다. 화면 하단 중앙ì—는 ì•µì‚¼ì„ ìž…ê³  어사화를 ì“°ê³  ë§ì„ 탄 그림 ì† ì£¼ì¸ê³µì´ 그려져 있다.
ì´ì œ <모당í‰ìƒë„>, <담와í‰ìƒë„>, <í‰ìƒë„ 초본>ì„ ë¹„êµí•´ ë³´ë©´ <í‰ìƒë„ 초본>ì€ <모당í‰ìƒë„>를 범본으로 그려진 ì´ˆë³¸ìž„ì„ ì•Œ 수 있다. ê·¸ëŸ°ë° <모당í‰ìƒë„>와 <í‰ìƒë„ 초본>ì„ ë¹„êµí•´ ë³´ë©´, 구ë„는 í¡ì‚¬í•˜ì§€ë§Œ ê·¸ë¦¼ì˜ í¬ê¸°ì™€ 화면 í¬ê¸°ì˜ ë¹„ìœ¨ì´ ì°¨ì´ê°€ ìƒë‹¹ížˆ 있는 ê²ƒì„ ì•Œ 수 있다. ê·¸ ì´ìœ ê°€ 무엇ì¸ì§€ 알기 위해서는 <모당í‰ìƒë„> ì´í›„ì— ê·¸ë ¤ì§„, <모당í‰ìƒë„> ê³„ì—´ì˜ ìž‘í’ˆë“¤ì„ ì‚´íŽ´ë³¼ 필요가 있다.
ì´ë²ˆ 시간ì—는 í‰ìƒë„ì˜ ë¶„ë¥˜ì™€ ê·¸ ê¸°ì¤€ì´ ë˜ëŠ” <모당í‰ìƒë„>와 <담와í‰ìƒë„>를 살펴보고, ìž‘í’ˆì˜ ë¹„êµë¥¼ 통해 <í‰ìƒë„ 초본>ì´ <모당í‰ìƒë„>를 범본으로 하고 있ìŒì„ 확ì¸í–ˆë‹¤. ë‹¤ìŒ ì‹œê°„ì—는 <모당í‰ìƒë„> 계열 í‰ìƒë„ì˜ ë³€í™”ê³¼ì •ì„ ì‚´íŽ´ë´„ìœ¼ë¡œì¨, <í‰ìƒë„ 초본>ê³¼ ê°™ì€ ëª¨ìŠµì˜ í‰ìƒë„ê°€ 나타나게 ëœ ê³¼ì •ì„ ì‚´íŽ´ë³´ê³ ìž í•œ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