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소ë§ì„ 담다 – ë°±ìˆ˜ë°±ë³µë„ ì´ˆë³¸â… 

ë„1-1, ë„1-2 ë°±ìˆ˜ë°±ë³µë„ ì´ˆë³¸, 지본수묵, ê°œì¸ ì†Œìž¥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ë°±ìˆ˜ë°±ë³µë„ ì´ˆë³¸ì´ë‹¤.
ì´ ì´ˆë³¸ì„ í†µí•´ ì‚¬ëžŒë“¤ì˜ ì†Œë§ì€ ëª¨ë‘ ë‹¤ë¥´ì§€ 않ìŒì„ 알 수 ìžˆì„ ê²ƒì´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ˆ˜ë°±ë³µë„ ì´ˆë³¸

백수백복ë„는 100ê°œì˜ ìˆ˜å£½ìžì™€ ë³µç¦ìžë¥¼ 그린 그림ì´ë‹¤.
그러나 실제 ìœ ë¬¼ì„ ì‚´íŽ´ë³´ë©´ 100개가 넘는 ê²½ìš°ë„ ìžˆê³ , 100개가 넘지 않는 ê²½ìš°ë„ ìžˆë‹¤. 그럼ì—ë„ 100ì´ë¼ëŠ” 숫ìžë¥¼ 사용한 ê²ƒì€ 100ì´ ì™„ì „í•œ 수ë¼ê³  ìƒê°í•œ ì‚¬ëžŒë“¤ì˜ ì¸ì‹ì´ ë°˜ì˜ëœ 것ì´ë‹¤. 100(ë°±)ì„ ìš°ë¦¬ë§ë¡œ ì½ìœ¼ë©´ ‘온’ì´ë¼ê³  하는ë°, ì´ëŠ” ‘온 세ìƒâ€™, ‘온 국민’ 등 ‘전부ì˜â€™ ë¼ëŠ” ëœ»ì„ ì§€ë…”ë‹¤. 다시 ë§í•´ 100ê°œì˜ ìˆ˜å£½ìžì™€ ë³µç¦ìžëŠ” 세ìƒì˜ 모든 수복壽ç¦ì¸ 것ì´ë‹¤.
ì´ë²ˆì— 소개할 ë°±ìˆ˜ë°±ë³µë„ ì´ˆë³¸ì€ ì˜¨ì „í•˜ì§€ 못하다. ì´ ì´ˆë³¸ì€ ê°œì¸ì´ 소장하고 있으며, 현재 사진ìžë£Œë¡œë§Œ 남아있기 ë•Œë¬¸ì— ìœ ë¬¼ì— ëŒ€í•œ ìžì„¸í•œ 정보는 확ì¸í•  수 없다. 게다가 유물 ì „ì²´ê°€ 다 나온 ì‚¬ì§„ì´ ì•„ë‹ˆê¸° ë•Œë¬¸ì— ì‹¤ì œ 초본 ì†ì— 그려진 글ìžì˜ 수를 확실하게 알 수 없다. 다만 ì‚¬ì§„ì„ í†µí•´ 몇 가지 íŠ¹ì§•ì„ ì°¾ì„ ìˆ˜ ìžˆì„ ë¿ì´ë‹¤.
첫 번째 íŠ¹ì§•ì€ ì´ˆë³¸ì´ í•œì§€ì— ê·¸ë ¤ì¡Œë‹¤ëŠ” ì ì´ë‹¤. 초본ì—서 훼ì†ëœ ë¶€ë¶„ì„ ì‚´íŽ´ë³´ë©´, 한지ì—서 ë³¼ 수 있는 ìž¥ì„¬ìœ ì˜ í”ì ì„ 찾아볼 수 있다. ë”°ë¼ì„œ ì´ ì´ˆë³¸ì´ í•œì§€ì— ê·¸ë ¤ì§„ ì´ˆë³¸ìž„ì„ ì•Œ 수 있다. ë‘ ë²ˆì§¸ íŠ¹ì§•ì€ ì´ˆë³¸ì´ ì„ ë¬˜ë¡œ 그려져 있다는 ì ì´ë‹¤. ì´ ì´ˆë³¸ì„ ìžì„¸ížˆ 살펴보면 아주 가는 선으로 ë°±ìˆ˜ë°±ë³µë„ ì† ê¸€ìžì˜ ì™¸ê³½ì„ ì„ ê·¸ë ¤ ë†“ì€ ê²ƒì„ ì•Œ 수 있다. 한편 현재 남아있는 백수백복ë„를 살펴보면 êµµì€ í•„ì„ ìœ¼ë¡œ 그려진 것처럼 ë³´ì´ì§€ë§Œ, 실제로 ìœ ë¬¼ì„ ê°€ê¹Œì´ì—서 살펴보면 가는 선으로 ìœ¤ê³½ì„ ê·¸ë¦° 후 ê·¸ 사ì´ë¥¼ 먹으로 채워 넣어 그린 ê²ƒì„ ì•Œ 수 있다. ë”°ë¼ì„œ ì´ ì´ˆë³¸ì€ ë°±ìˆ˜ë°±ë³µë„ì˜ ë³µìž¡í•œ ì„ ì„ ì‰½ê²Œ 그릴 수 있ë„ë¡ ì™¸ê³½ì„ ì„ ê·¸ë¦° ì´ˆë³¸ìž„ì„ ì•Œ 수 있다. 세 번째 íŠ¹ì§•ì€ ì´ˆë³¸ ì† ê¸€ìžê°€ 12ìž ì´ìƒì´ë¼ëŠ” ì ì´ë‹¤. ì´ëŠ” 한 í­ë‹¹ ê¸€ìž ìˆ˜ê°€ 12ìž ì´í•˜ì¼ 경우, ì´ ì´ˆë³¸ì„ ì‚¬ìš©í•´ 그린 ê·¸ë¦¼ì¼ ê°€ëŠ¥ì„±ì´ ì ë‹¤ëŠ” ê²ƒì„ ì˜ë¯¸í•œë‹¤. ë”°ë¼ì„œ ì´ ì´ˆë³¸ì„ ë°”íƒ•ìœ¼ë¡œ 그린 ìœ ë¬¼ì„ ì°¾ì•„ë‚´ëŠ” ë° ì–´ëŠ ì •ë„ ë„ì›€ì´ ë˜ëŠ” ì •ë³´ë¼ í•  수 있다.

ë„2 백수백복ë„, 지본수묵, 93×27ãŽÃ—12,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위당韋堂 김문제金文濟가 그린 백수백복�

ì´ë²ˆ ì‹œê°„ì— ì†Œê°œí•œ 초본과 유사한 í˜•íƒœì˜ ìœ ë¬¼ì´ ê°€íšŒë¯¼í™”ë°•ë¬¼ê´€ì— ì†Œìž¥ë˜ì–´ 있다.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백수백복ë„는 ì´ 12í­ì˜ 그림으로, 12í­ ì¤‘ 1í­ì—는 ê° í­ë‹¹ 12ê°œì˜ ê¸€ìžê°€ 그려져 있다. 마지막 1í­ì—는 8ê°œì˜ ê¸€ìžê°€ 그려져 있고, ‘åšå¤é˜é¼Ž 篆隷之韻 韋堂金文濟峕年七å’ì´ë¼ëŠ” 화제가 쓰여있으며, 화제 아래ì—는 ë‚™ê´€ì´ ë‘ ê°œ ì°í˜€ìžˆë‹¤.
ì´ ë°±ìˆ˜ë°±ë³µë„를 그린 위당韋堂 김문제(金文濟, 1846~ 1931)는 ì¡°ì„  ë§ê¸°ì˜ 문신으로, 1874ë…„(고종 11) ì¦ê´‘ë¬¸ê³¼ì— ë³‘ê³¼ë¡œ 급제한 후 예문관검열, 세ìžì‹œê°•ì›ì„¤ì„œä¸–å­ä¾è¬›é™¢èªªæ›¸Â·ì˜ì •부사ì¸, ì´ì¡°ì°¸ì˜Â·ì¢Œì°¸ì°¬ 등 여러 ë²¼ìŠ¬ì„ ì§€ëƒˆë‹¤. 그는 ì¼ë³¸ ì •ë¶€ì— í˜‘ì¡°í•˜ë¼ëŠ” ì••ë°•ì—ë„ ë¶ˆêµ¬í•˜ê³ , ë까지 청렴한 ìƒí™œë¡œ ì¼ê´€í•˜ì˜€ë‹¤. 그러나 김문제는 ê·¸ì˜ ì²­ë ´í•¨ë³´ë‹¤ëŠ” 서예 분야ì—서 ë”ìš± 유명한ë°, 추사 김정í¬ì˜ 종ì†ìœ¼ë¡œ 김정í¬ì˜ 서체를 ì´ì–´ë°›ì•„ 백수백복ë„를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ì´ë‹¤.
그렇다면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백수백복ë„는 ì§„ì§œ 김문제가 그린 그림ì¼ê¹Œ? 유ê°ìŠ¤ëŸ½ê²Œë„ ê¹€ë¬¸ì œê°€ ì§ì ‘ 그린 ê·¸ë¦¼ì¼ ê°€ëŠ¥ì„±ì€ ë‚®ë‹¤. ë‹¤ìŒ ì‹œê°„ì—는 ê·¸ ì´ìœ ì— 대해 알아보고, ê¹€ë¬¸ì œì˜ ë°±ìˆ˜ë°±ë³µë„ì— ëŒ€í•´ 좀 ë” ì•Œì•„ë³´ëŠ” ì‹œê°„ì„ ê°€ì§€ê³ ìž í•œë‹¤.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