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민화집 Ⅰ

êµ­ë‚´ ìœ ìˆ˜ì˜ ë®¤ì§€ì—„, 컬렉터가 선정한 명작


가회민화박물관 ◠소ìƒíŒ”ê²½ë„, 구운몽ë„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십장ìƒë„, 요지연ë„
국립민ì†ë°•물관 ◠화훼문방ë„, 화조고사ë„
국립중앙박물관 ◠까치와 호랑ì´, 화조ë„
김세종 ◠호죽ë„, ìš©
서울공예박물관 â— ìžìˆ˜ 기명절지ë„, ë°±ìž ì²­ìœ  호랑ì´ê·¸ë¦¼ 접시



ì „êµ­ 박물관 ë° ì»¬ë ‰í„°ë“¤ì´ ì—„ì„ í•œ 민화 작품으로 창간 8ì£¼ë…„ì„ ë§žì´í•œ 월간민화ì—게 ì¶•í•˜ì˜ ë§ˆìŒì„ 전해왔다.
4월과 5ì›”,ë‘ ë‹¬ì— ê±¸ì³ ê¸¸ìƒê³¼ í’ìš”, ì‚¬ëž‘ì´ ê°€ë“한 ëª…ìž‘ì„ ì´ 22ì  ì†Œê°œí•  예정ì´ë‹¤.

정리 월간민화 편집팀


가회민화박물관

<소ìƒíŒ”ê²½ë„> 8í­ ì¤‘ 부분, 19세기, 지본채색, ê° 70.5×30.5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ë„>, 20세기, 지본채색, 84×30㎠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 관장


소ìƒíŒ”ê²½ë„ê°€ 우리나ë¼ì— ì²˜ìŒ ë“¤ì–´ì˜¨ ê²ƒì€ ê³ ë ¤ 시대로, 왕실ì—서 그림과 ì‹œì˜ ì†Œìž¬ë¡œ ë§Žì´ ë‹¤ë£¨ì–´ì¡Œë‹¤. 홀수 í­ì—는 안개 ë‚€ 산사ì—서 들려오는 ì €ë… ì†Œë¦¬ 산시청람山市晴åµì„, ì§ìˆ˜ í­ì—는 ê°•ì•ˆì— ë‚´ë¦¬ëŠ” ì €ë… í•˜ëŠ˜ì˜ ëˆˆ ê°•ì²œëª¨ì„¤æ±Ÿå¤©æš®é›ªì„ ë‚˜íƒ€ë‚¸ë‹¤. 사실성보다는 í’ê²½ì´ ì§€ë‹ˆëŠ” ì´ìƒì  ìƒì§•ì„±ì„ í‘œí˜„í•œ 그림ì´ë‹¤. <구운몽ë„>는 소설 구운몽ì—서 성진 ìŠ¤ë‹˜ì´ íŒ”ì„ ë…€ë¥¼ 만나는 ‘ì„êµ ìž¥ë©´â€™ì„ ë³´ì—¬ì¤€ë‹¤. 필법ì´ë‚˜ 구ë„ê°€ 빈틈없으며, 특히 강한 ì±„ìƒ‰ì˜ ìƒ‰ì¡°ê°€ ë„드ë¼ì§„ 작품ì´ë‹¤.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십장ìƒë„>, 19세기 후반, 종ì´ì— 채색, 107×417ãŽ,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소장



<요지연ë„>, 19세기 후반, 종ì´ì— 채색, 158×435ãŽ,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소장


배대호 /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학예팀장


ë†’ì€ ì‚° 사ì´ë¡œ ë¶‰ì€ í•´ê°€ ë–  있고 하늘ì—는 êµ¬ë¦„ì´ ê°€ë“하다. 나무 아래 ì˜¤ì†”ê¸¸ì„ ë”°ë¼ ë¶ˆë¡œì´ˆê°€ ê°€ë“ í”¼ì—ˆê³  ê·¸ 사ì´ë¡œ ì‚¬ìŠ´ë“¤ì´ ë…¸ë‹Œë‹¤. 바위 사ì´ë¡œ í­í¬ê°€ 떨어져 바다로 í르고 ê±°ë¶ì€ 서기를 내뿜는다.
누구나 꿈꾸지만 ì•„ë¬´ë„ ê°ˆ 수 없는 ì˜ì›í•œ 세계를 화려한 색채로 세련ë˜ê²Œ 표현한 <십장ìƒë„>다. <요지연ë„> 10í­ ë³‘í’ì—는 무병과 ìž¥ìˆ˜ì˜ ì—¼ì›ì„ ë‹´ì€ ì´ì•¼ê¸°ê°€ 장대하게 펼ì³ì ¸ 있다. 우측 중앙 연회장ì—는 서왕모와 ì£¼ë¬´ì™•ì´ ì•‰ì•„ 있고, ìŒì•…ì— ë§žì¶° 선녀와 ë´‰í™©ì´ ì¶¤ì„ ì¶”ê³  있다. 여러 ì‹ ì„ ì´ ì—°íšŒì— ì°¸ì„하기 위해 모여드는 ëª¨ìŠµì´ ì°¸ìœ¼ë¡œ í¥ê²¹ë‹¤.

국립민ì†ë°•물관

<화훼문방ë„>, 20세기 ì´ˆ, 면본채색, 140×431.8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화조고사ë„> 6í­ ì¤‘ 부분, 20세기 ì´ˆ, 지본채색, 147×268.4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김윤정 / 국립민ì†ë°•물관 파주 유물과학과 학예연구관


<화훼문방ë„>ì˜ í™€ìˆ˜í­ì—는 보병寶ç”ì— ê½‚ì€ ëª¨ëž€ê³¼ 연꽃ì„, ì§ìˆ˜í­ì—는 서수ì˜ëª¨ç‘žç¸éˆæ¯›ì™€ 장수, ë‹¤ì‚°ì„ ì˜ë¯¸í•˜ëŠ” 복숭아, ì„류 ë“±ì„ ê·¸ë ¤ 넣었다. 세필로 ê·¸ë ¤ë„£ì€ ê¸°ë¬¼ì˜ í‘œí˜„ì´ë‚˜ í‰ë©´ì ì¸ êµ¬ì„±ì€ í˜„ëŒ€ì ì¸ 조형미를 보여준다. <화조고사ë„>는 í™”ë©´ì„ 2단으로 구성하여 화조와 고사故事를 í•©ì³ë†“ì€ ìž‘í’ˆì´ë‹¤. 강태공, ìƒì‚°ì‚¬í˜¸å•†å±±å››çš“, ë„연명 등 중국 고사 ì†ì˜ ì¸ë¬¼ì´ì•¼ê¸°ì™€ 행화촌æèбæ‘, 오류촌五柳æ‘, 한산사寒山寺 ë“±ì˜ ì „ì„¤ì ì¸ ìž¥ì†Œë“¤ì´ ë“±ìž¥í•œë‹¤. 구불구불 개성ì ì¸ 필치는 ë°˜ ê³ íì˜ ìž‘í’ˆì„ ì—°ìƒì¼€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신재현申在鉉, <까치와 í˜¸ëž‘ì´ è™Žéµ²åœ–>, ì¡°ì„  19세기-20세기 ì´ˆ, 종ì´ì— 색, 89.0×55.7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1ë…„ ì´ê±´í¬ 기ì¦)






김창ìµé‡‘昌益(20세기 중반 활ë™), <화조ë„>, 20세기, 종ì´ì— 색, 139.9×67.8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í™”ì¡°ë„ ë’·ë©´ ì œ1-2í­


ì´ìž¬í˜¸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까치와 호랑ì´>는 ë¦¬ì›€ë¯¸ìˆ ê´€ì´ ì†Œìž¥í•œ í˜¸ìž‘ë„ ì¤‘ ì‹ ìž¬í˜„ì˜ ë‚™ê´€ì´ ìžˆëŠ” 것과 매우 닮아 ê·¸ì˜ ìž‘í’ˆìœ¼ë¡œ 추정ëœë‹¤. 제작연ë„와 작가를 ì§ìž‘í•  수 있는 í¬ê·€í•œ 호작ë„로, 붓으로 그렸지만 목íŒí™”를 떠올리게 한다. 소나무, 매미, 불로초를 그려 불로장ìƒä¸è€é•·ç”Ÿì— 대한 ì—¼ì›ë„ 담았다. “바람 소리는 천리 ë°–ì— ë“¤ë¦¬ê³ , í¬íš¨í•˜ëŠ” 소리는 바위를 깨뜨리네[風è²èžæ–¼åƒé‡Œ, å¼è’¼å´–而石裂].â€ë¼ëŠ” ê¸€ì´ í˜¸ê¸°ë¡­ë‹¤. 그림 오른쪽 í•˜ë‹¨ì— â€˜ë³‘ìž íŒ”ì›” ì´ì‹­ì¼â€™ì´ë¼ 표기ë는ë°, ì´ í•´ëŠ” 1876ë…„ì¼ ê°€ëŠ¥ì„±ì´ ìžˆë‹¤. <화조ë„>는 1950ë…„ëŒ€ì— ê°•ì›ë„ 강릉 지역ì—서 활ë™í•œ 취소翠巢 김창ìµì˜ 작품으로 전해진다. ë³‘í’ ë’·ë©´ì—는 í—ˆëª©è¨±ç©†ì´ ì‚¼ì²™ë¶€ì‚¬ë¡œ 재ì§í•  때 í•´ì¼ì„ 잠재우기 위해 세운 <척주ë™í•´ë¹„é™Ÿå·žæ±æµ·ç¢‘>ì˜ ì „ì„œì²´ ë¹„ë¬¸ì„ ì˜®ê²¨ ì¼ë‹¤.

김세종

<호죽ë„虎竹圖>, 17세기, 지본채색, 112×72ãŽ, ê°œì¸ ì†Œìž¥






<ìš©>, 18세기, 지본채색, 106.5×63.5ãŽ, ê°œì¸ ì†Œìž¥





김세종 / í‰ì°½ì•„트 대표


호랑ì´ì™€ 대나무가 그려진 <호죽ë„>는 조선통신사 ì¼í–‰ìœ¼ë¡œ 참여한 í™”ì›ì´ ì¼ë³¸ì—서 그린 그림으로 전해진다. 최근 귀향한 귀한 작품ì´ë‹¤. ê³ ì „ì ì¸ í™”í’ ì†ì—ì„œë„ ì—­ë™ì ì¸ 기운과 친근한 í‘œì •ì´ ë‹ë³´ì´ëŠ”ë°, ì¡°ì„  후기 í˜¸ëž‘ì´ íšŒí™”ì˜ ê·¼ê°„ì„ ì§ìž‘ì¼€ 한다. <ìš©> 역시 보기 드문 걸작ì´ë‹¤. ìš© ë‘ìƒì€ 무섭긴 커녕 아름다운 색ìƒìœ¼ë¡œ 아기ìžê¸°í•˜ê²Œ 그려졌으며 ë°°ê²½ì¸ êµ¬ë¦„ 문양으로 ê·¸ 미ê°ì´ ë”ìš± ê°•ì¡°ëœë‹¤. ì´ ìž‘í’ˆë„ ì¼ë³¸ ë¯¸ìˆ ìž¡ì§€ì— ë§Žì´ ì†Œê°œëœ ìž‘í’ˆì´ë‹¤. 10여년 ì „ì— ì¼ë³¸ ë„ì¿„ì—서 구입해 가져온 소중한 우리 문화 유산ì´ë‹¤.

서울공예박물관

김윤보 밑그림, ìžìˆ˜ 미ìƒ, <ìžìˆ˜ 기명절지ë„>, 1930년대 ê²½, ë¹„ë‹¨ì— ìžìˆ˜, 185×145ãŽ






버나드 리치(Bernard Leach), <ë°±ìž ì²­ìœ  호랑ì´ê·¸ë¦¼ 접시>, 1966, ë°±ìžì— 청유, ë†’ì´ 6ãŽ, 너비 22ãŽ



제작ìžì˜ 서명과 제작연ë„ê°€ í‘œê¸°ëœ ìœ ë¬¼ ë³´ê´€ìƒìž 안쪽과 접시 ì™¸ì €ë¶€ì˜ ëª¨ìŠµ


고미경 /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연구사


<ìžìˆ˜ 기명절지ë„> 4í­ ë³‘í’ì€ í‰ì–‘ 화단ì—서 활ë™í–ˆë˜ ê¹€ìœ¤ë³´ì˜ ê·¸ë¦¼ì„ ì €ë³¸ìœ¼ë¡œ 만든 ìžìˆ˜ 병í’ì´ë‹¤. 4í­ ìœ„ìª½ì— â€˜æµ¿ä¸Š 金一齊 寫(íŒ¨ìƒ ê¹€ì¼ì œ 사)’ë¼ëŠ” 명문과 ì¸ìž¥ì´ 확ì¸ëœë‹¤. ê° í™”í­ì—는 다양한 ì¢…ë¥˜ì˜ ë¶„ìž¬ç›†æ ½ì™€ í™”ë³‘ì´ í™”ëŒ€èŠ±è‡º ìœ„ì— ë†“ì—¬ 있다. <ë°±ìž ì²­ìœ  호랑ì´ê·¸ë¦¼ 접시>ì—는 ì¡°ì„  ë¯¸ìˆ í’ˆì— ë“±ìž¥í•˜ëŠ” ì¼ì›”오봉 ë„ìƒê³¼ 호랑ì´ê°€ ë¬˜ì‚¬ëœ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유물 ë³´ê´€ ìƒìž 뚜껑 ì•ˆìª½ì— â€˜ë²„ë‚˜ë“œ 리치Bernard Howell Leach, 1887-1979â€™ì˜ ì„œëª…ê³¼ ì œìž‘ì—°ë„ â€˜1966â€™ì´ ì í˜€ 있어 제작ìžì™€ 제작연ë„를 확ì¸í•  수 있다. 버나드 리치는 ë™ì„œì–‘ ë„ìž ë¬¸í™”ë¥¼ 융합하려 한 저명한 ë„예가ì´ë‹¤. 야나기 무네요시, 아사카와 형제 등과 êµë¥˜í•˜ë©´ì„œ ì¼ë³¸, 한국, ì¤‘êµ­ì„ ë°©ë¬¸í–ˆë‹¤. ì ‘ì‹œì˜ ë¬¸ì–‘ì€ ë²„ë‚˜ë“œ 리치ì—게 ê°ì¸ëœ ì¡°ì„ ì˜ ì´ë¯¸ì§€ë¡œ 여겨진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