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Œë¬¼ì˜ ê·¼ì› ë§Œë³‘æ»¿ç” ì—¬ì„¯ 번째 ì´ì•¼ê¸°. ë§Œë³‘ë³‘í’ 8í­

ë§Œë³‘ë³‘í’ 8í­
ë§Œë³‘ë³‘í’ 8í­

ì´ë²ˆ 호ì—서 다룰 주제는 ë§Œë³‘ë³‘í’ 8í­ì´ë‹¤. ë§Œë³‘ë³‘í’ 8í­ì€ 지난해 ‘서울 옥션’ì—서 전시ë˜ì—ˆë˜ 작품ì´ë‹¤. 작품 ì´ë¦„ì€ â€˜ê¶ì¤‘모란ë„’ë¼ê³  ì“°ì—¬ 있었다. í™”í­ë“¤ì´ 꽤 커서 ê°ê° 80ãŽëŠ” 넘는 것으로 기억ëœë‹¤. 언뜻 ë³´ë©´ í™”ì¡°ë„ ê°™ì§€ë§Œ, ë§Œë³‘ì„ ì•Œê³  나면 ‘만병병í’’ì´ì§€ ‘화조ë„병í’â€™ì´ ì•„ë‹ˆë‹¤. ë”구나 ‘모란ë„â€™ë„ ì•„ë‹ˆë‹¤. 만병ì—서 ë§Œë¬¼ì´ í™”ìƒí•˜ë¯€ë¡œ ë§Œë³‘ì´ ì£¼ì²´ä¸»é«”ë‹¤. ì´ë ‡ë“¯ í™”ìƒì˜ ê°œë…ì„ ëª¨ë¥´ë©´ ì–´ë–¤ ìž¥ë¥´ë„ ê¹Šì´ ì—°êµ¬í•  수 없다.

ë§Œë³‘ì´ ì£¼ì²´ì¸ ë§Œë³‘ë³‘í’ 8í­

ë§Œë³‘ë³‘í’ 8í­ì€ 만병ì—서 ë§Œë¬¼ì´ í™”ìƒí•˜ë¯€ë¡œ ë§Œë³‘ì´ ì£¼ì²´ä¸»é«”ë‹¤. 만병ì—서는 갖가지 í˜•íƒœì˜ ë§Œë³‘ì´ í™”ìƒí•  수 있기 ë•Œë¬¸ì— ì¤‘ì²©ëœ í˜•íƒœë¡œ 나타났다. ê°™ì€ ëª¨ì–‘ì˜ ê·¸ë¦‡ì´ ì•„ë‹ˆê³  í° ì‚¬ë°œì— ìž‘ì€ ë³‘ê³¼ ìž‘ì€ í•­ì•„ë¦¬ê°€ í™”ìƒí•˜ê±°ë‚˜ í° ì‚¬ë°œì—서 í° í•­ì•„ë¦¬ 하나가 í™”ìƒí•œë‹¤. 실제 ë„ìžê¸° ì‚¬ê° ë³‘ì—서 ë³‘ì´ í™”ìƒí•˜ê±°ë‚˜, í° ë³‘ì—서 ìž‘ì€ ë³‘ì´ í™”ìƒí•˜ëŠ” 모양으로 ë„ìžê¸°ë¥¼ 만든 예가 ë§Žì€ë° ì „ê³µìžë“¤ì€ ëª¨ë‘ í˜¸ë¦¬ë³‘ì´ë¼ 잘못 ë§í•œë‹¤. í™”ìƒì˜ ê°œë…ì„ ëª¨ë¥´ë©´ ì–´ë–¤ ìž¥ë¥´ë„ ê¹Šì´ ì—°êµ¬í•  수 없다. ë„ìžê¸°ê°€ ê²¹ê²¹ì´ ì¤‘ì²©ëœ ê²ƒì„ ë¯¼í™” ì´ì™¸ì— 본 ì ì´ 있는가. 그리고 ë¯¼í™”ì— ì¤‘ì²©ëœ ë„ìžê¸°ì˜ ì¡°í˜•ì— ì˜ë¬¸ì„ 가진 ì ì´ 있었나. ì–´ëŠ ëˆ„ê°€ 설명한 ê²ƒì„ ì½ì€ ì ì´ 있는가. ‘화ìƒâ€™ì˜ ì˜ë¯¸ë¥¼ 모르면 ë„ìžê¸°ì˜ ë³¸ì§ˆì— ë‹¤ê°€ê°€ê¸°ë„ ì–´ë µê³  ë„ìžê¸°ì—서 ë„ìžê¸°ê°€ ì—°ì´ì–´ 나오는 í˜•íƒœì˜ ë„ìžê¸°ë¥¼ ì´í•´í•  수 없다. 그래서 ë§Œë³‘ì˜ í‘œë©´ì—는 무량한 ë¬¼ì„ ìƒì§•하는 무량보주를 ì •êµí•˜ê²Œ 그려 넣거나, ë˜ ë¬¼ì„ ìƒì§•하는 육ê°ìˆ˜ë¬¸ì„ 그려 넣는다. 육ê°í˜• 무늬를 ì´ì œëŠ” 귀갑문龜甲文ì´ë¼ 부르면 안 ëœë‹¤. 즉 ë§Œë³‘ì˜ í‘œë©´ì„ ê°–ê°€ì§€ ì˜ê¸°ë¬¸ìœ¼ë¡œ ê°€ë“ ì±„ìš´ ê²ƒì€ ëª¨ë“  ê·¸ë¦‡ì´ í˜„ì‹¤ì—서 ì“°ì´ëŠ” ê·¸ë¦‡ì´ ì•„ë‹Œ 비현실ì ì¸ 세계, 즉 ì˜í™”ëœ ì„¸ê³„ì˜ ì¡´ìž¬ë¡œ ìƒê°í–ˆê¸° 때문ì´ë‹¤. 만병 안ì—는 가시ì ì¸ ë¬¼ì´ ê°€ë“ ì°¨ 있으므로 만병 표면ì—는 반드시 ë¬¼ì„ ìƒì§•하는 ì˜ê¸°ë¬¸ë“¤ì„ 치밀하게 그려 ë„£ì—ˆë˜ ê²ƒì´ë‹¤. 무량보주를 사엽화문四葉花文ì´ë¼ 부르거나, 모르니까 그저 지나치거나, 육ê°ìˆ˜ë¬¸å…­è§’æ°´æ–‡ì„ ê·€ê°‘ë¬¸ì´ë¼ 부르거나, ì˜ê¸°ë¬¸ì„ êµ¬ë¦„ë¬´ëŠ¬ë¼ ë¶€ë¥´ê±°ë‚˜ í–ˆì„ ë•ŒëŠ” 여러 ì˜ê¸°ë¬¸ì´ ë³´ì´ì§€ 않아 ë§Œë³‘ì„ ì˜ì›ížˆ 파악할 수 없다. ì–´ë–¤ 그릇 ìž…ì—는 실제로는 불가능한 ì˜ê¸°ë¬¸ì„ 넓게 ë‘어서(ë„ 1-1, 1-2, 1-7) ì˜ê¸°ê½ƒë“¤ì´ 마ìŒê» 솟아오르게 했다. 만병 í‘œë©´ì— â€˜å£½â€™ ‘ç¦â€™ ‘富’ ‘貴’ 등 문ìžë¥¼ 그려 넣어 만병ì—서 í™”ìƒí•¨ì„ ì•”ì‹œí•˜ëŠ”ë° ëª¨ë‘ê°€ í˜„ì„¸ì  ìš•ë§ì„ 나타내고 있다고 ìƒê°í•˜ì§€ë§Œ, 매우 형ì´ìƒí•™ì  ì˜ë¯¸ë¡œì„œ ë„êµì‹ ì•™ì˜ ê¶ê·¹ì  목표를 나타내고 있다.
ë§Œë³‘ì˜ í˜•íƒœëŠ” ê¶ì¤‘ì˜ ì œê¸°ç¥­å™¨ë¥¼ ë‹®ì€ ê²ƒì´ ë§Žê³ , 화사한 색조와 격조 있는 그림으로 ë³´ì•„ ì •ë„æ­£é“를 밟아서 그린 í™”ì›ì˜ 그림ì´ë¼ ìƒê°í•œë‹¤. 다만 ë‚™ê´€ì´ ì—†ìœ¼ë©´ 무조건 민화ë¼ê³  부르는 ê²ƒì€ ê²½ê³„í•  ì¼ì´ë‹¤. 그러나 ê¶ì¤‘ì—서 사용하기ì—는 부족한 ì ì´ 있어, ì•„ë§ˆë„ í™”ì›ì´ 못 ë˜ì—ˆê±°ë‚˜ í™”ì›ì—서 ì€í‡´í•œ 화가가 중ì¸ê³„ê¸‰ì„ ìœ„í•˜ì—¬ ê·¸ë ¸ìŒ ì§í•˜ë‹¤.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ë§Œë³‘ë³‘í’ ì†ì— 나타난 만병

ì œ1í­ì€ í‘œë©´ì— ë¬´ëŸ‰ë³´ì£¼ë¥¼ 그려 ë„£ì€ ë„“ì€ ê·¸ë¦‡ì— í•­ì•„ë¦¬ì™€ ë³‘ì´ ë“¤ì–´ê°„ ìƒíƒœì´ë‹¤. 무량보주를 그려 ë„£ì€ í•­ì•„ë¦¬ì—서 둥글고 노란 ì—´ë§¤ì˜ ë‚˜ë¬´ê°€ í™”ìƒí•˜ê³  있어 현실ì—서 보는 나무나 ê½ƒì€ ì•„ë‹ˆë‹¤.(ë„ 1-1) 노란 열매는 둥글고 하얀 ì ì„ 무수히 ì°ì–´ ‘무량한 씨앗=보주’가 ê°€ë“ ì°¨ 있ìŒì„ 나타낸다. ê·¸ëŸ°ë° ì¤‘ê°„ì— ë‘ ê°œì˜ ëª¨ëž€ ëª¨ì–‘ì˜ ì˜ê¸°ê½ƒì´ 나무와 관련 ì—†ì´ ê°‘ìžê¸° ë¼ì–´ë“¤ì—ˆë‹¤. ì˜†ì˜ í° ë³‘ì—는 간단한 ì´ˆí™”ë¬¸ì´ ê·¸ë ¤ì ¸ 있고 ìž…ì€ íŠ¹ì´í•œ ì˜ê¸°ë¬¸ìœ¼ë¡œ 넓게 ì—´ë ¤ 있다. 거기ì—는 ê½ƒìžŽì´ ë¶•ê¸‹ë¶•ê¸‹í•œ ìž‘ì€ ê½ƒì´ í”¼ì–´ë‚˜ë©° í•­ì•„ë¦¬ì˜ í° ë‚˜ë¬´ì˜ ì•„ëž«ë¶€ë¶„ê³¼ 중간 위까지 ë»—ì³ ìžˆì–´ì„œ ë‘ ë‚˜ë¬´ê°€ 잘 어우러져 있다. ê±°ë“­ ë§í•˜ê±°ë‹ˆì™€ 만병ì—서 í™”ìƒí•˜ëŠ” 나무나 ê½ƒì€ í˜„ì‹¤ì— ì—†ëŠ” 것ì´ë©° 설혹 비슷하다고 í•´ë„ í˜„ì‹¤ì˜ ê²ƒê³¼ëŠ” ì°¨ì›ì´ 다른 것ì´ë‹¤. 지금까지 ë§Œë³‘ì„ ë‹¤ë£¨ì–´ 오면서 파악한 ë¶„ì´ ê³„ì‹œê² ì§€ë§Œ, 만병ì—서 í™”ìƒí•˜ëŠ” 나무와 꽃ì—서는 ëª¨ë‘ â€˜ì”¨ì•—=보주’가 í™”ìƒí•˜ì—¬ ê²°êµ­ 보주가 우주 ê³µê°„ì— ê°€ë“ ì°¨ 있는 ê²ƒì„ ìƒì§•한다.
ì œ2í­ì€ 삼ê°ëŒ€ê°€ 있는 항아리로 ê¶ì¤‘ 제사 때 쓰는 제기祭器다.(ë„ 1-2) 역시 í‘œë©´ì„ ë¬´ëŸ‰ë³´ì£¼ë¡œ 표현해서 ë§Œë³‘ìž„ì„ ì•”ì‹œí•œë‹¤. ìž…ì—서 넓게 í¼ì§€ëŠ” ì˜ê¸°ë¬¸ìœ¼ë¡œ 꽃과 열매가 í™”ìƒí•˜ëŠ” ê²ƒì„ ë‚˜íƒ€ë‚¸ë‹¤. ê·¸ëŸ°ë° êµµì€ ë‚˜ë­‡ê°€ì§€ëŠ” 하나ì¸ë° 붕긋붕긋한 ì˜ê¸°ê½ƒê³¼ 복숭아가 함께 피거나 열리고 있ìŒì„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ëª¨ë‘ ëª¨ëž€ì´ë¼ê³  알고 있는 ê½ƒì´ ëª¨ëž€ì´ ì•„ë‹ˆë¼ëŠ” ê²ƒì„ ì¦ëª…í•´ 왔다. 만병ì—서는 í˜„ì‹¤ì˜ ëª¨ëž€ì´ í•„ 수 없다. 마찬가지로 만병ì—서는 복숭아가 열매 ë§ºì„ ìˆ˜ 없다, 그러면 í° ë³µìˆ­ì•„ì˜ ì •ì²´ëŠ” 무엇ì¼ê¹Œ? ì´ í° ë³µìˆ­ì•„ë“¤ì„ ìžì„¸ížˆ ë³´ë©´ ë¶‰ì€ ë°˜ì  ê°™ì€ ê²ƒë“¤ì´ ìžˆëŠ”ë° ë°˜ì ì´ 아니고 무량보주ì´ë‹¤. ì´ë ‡ê²Œ í° ì›ì´ ì¤‘ì•™ì— ìžˆê³  ì£¼ë³€ì— ìž‘ì€ ë³´ì£¼ê°€ 둘려지고 있는 ê²ƒì€ ë°±ìžì—ì„œë„ í”히 ë³¼ 수 있다. 즉 복숭아 형태는 í—ˆìƒì´ê³  ì•ˆì— ê°€ë“ ì°¬ ë³´ì£¼ë“¤ì´ ì‹¤ìƒì¸ ì…ˆì´ë‹¤. ë³µìˆ­ì•„ì˜ ë¬¸ì œëŠ” í° ì£¼ì œì´ë¯€ë¡œ ë‹¤ìŒ ê¸°íšŒì— ë‹¤ë£¨ë ¤ê³  한다. 즉 만병ì—서 무량한 보주가 ìŸì•„ì ¸ 나오는 ê²ƒì„ ë‚˜íƒ€ë‚¸ 것ì´ë‹¤.
ì œ3í­ì€ ë‚®ì€ ì˜ê¸°ë¬¸ìœ¼ë¡œ ì´ë£¨ì–´ì§„ íƒìž ìœ„ì— ë¬´ëŸ‰ë³´ì£¼ë¥¼ 그려 ë„£ì€ ëŒ€ë°œå¤§é‰¢ì´ ë†“ì—¬ 있고, ê·¸ ì•ˆì— ë‹¤ì‹œ ë†’ì€ ì„¸ 다리가 있는 육ê°ìˆ˜ë¬¸ì„ 그려 ë„£ì€ í•­ì•„ë¦¬, 즉 제기祭器가 놓여 있으며 ìž…ì€ ëŒ€ë‹¨ížˆ 넓다.(ë„ 1-3) 다리 부분ì—는 수복강녕壽ç¦åº·å¯§ 등 글ìžë¥¼ 진사로 ë„ìž¥ì„ ì°ì€ 듯하다. 그릇ì—서 ê·¸ë¦‡ì´ í™”ìƒí•˜ëŠ”, 현실ì—서는 ë³¼ 수 없는 ê´‘ê²½ì´ë‹¤. ì´ë•Œì—는 ê·¸ë¦‡ì´ ë§Œë³‘ì´ ëœë‹¤. 만병ì—서 ë˜ ë‹¤ë¥¸ ë§Œë³‘ì´ í™”ìƒí•œë‹¤. 만병ì—서 모란 ê°™ì€ ê½ƒì´ í”¼ì–´ 있으나 ëª¨ëž€ì´ ì•„ë‹ˆë¼ëŠ” ê²ƒì€ ì´ë¯¸ 충분히 ì¦ëª…했다. ë¶„í™ìƒ‰ ì˜ê¸°ê½ƒê³¼ 빨간 ì˜ê¸°ê½ƒì´ 섞여 있으며 맨 위ì—는 ìžìœ ë¶„방한 í˜•íƒœì˜ ì˜ê¸°ê½ƒì´ 피어 있는ë°, ì´ ëª¨ë“  ì˜ê¸°ê½ƒìœ¼ë¡œë¶€í„° 구ìƒì  잎ì´ë¼ëŠ” ì˜ê¸°ë¬¸ì´ ê°ê° 사방으로 발산하고 있다.

옛 ì„ ì¸ë“¤ì˜ ê³ ì°¨ì›ì ì¸ ìƒì§• 세계

ì œ4í­ì€ 만병 대발 ì•ˆì— ë³‘ê³¼ 항아리ë¼ëŠ” ë§Œë³‘ì„ í™”ìƒì‹œí‚¤ê³ , ê°ê° 다른 ì˜ê¸°ê½ƒì„ 피운다.(ë„ 1-4) 병ì—서는 ìžŽë“¤ì´ ë¾°ì¡±í•œ ì˜ê¸°ê½ƒë“¤ì´, 항아리 만병ì—서는 ì œ3í­ê³¼ ê°™ì€ ì˜ê¸°ê½ƒì´ 핀다. 다른 ì ì€ ê²€ì€ ë‚˜ë¹„ê°€ ë‘˜ì´ ë‚ ê³  있다는 것ì´ë‹¤. ì´ ë‚˜ë¹„ëŠ” 무엇ì´ë©° 왜 꽃 ì£¼ë³€ì— ë‚ ê³  있는가? 만병ì—서 ë§Œë³‘ë“¤ì´ í™”ìƒí•˜ê³ , 만병ì—서 ì˜ê¸°ê½ƒì´ í™”ìƒí•˜ê³ , ì˜ê¸°ê½ƒì—서 ë§Œë¬¼ì´ í™”ìƒí•˜ëŠ” ê²ƒì„ ìƒì§•한다. 앞으로 ìˆ˜ë§Žì€ ë§Œë³‘ì„ ë¶„ì„í•´ ë³´ë©´ 차차 알게 ë  ê²ƒì´ë‹¤.
ì œ5í­ì€ 무량보주를 ì „ë©´ì— ê·¸ë ¤ 넣고 귀복수貴富壽를 ì› ì•ˆì— ì¨ë„£ì€ í° í•­ì•„ë¦¬ì—서 ì˜ê¸°ê½ƒì´ 화려하게 피어나고 있으며 ì´ ì—­ì‹œ ê²€ì€ ë‘ ë§ˆë¦¬ 나비가 ì£¼ë³€ì„ ë‚ ê³  있다.(ë„ 1-5) ì œ6í­ì€ ì˜ê¸°ë¬¸ìœ¼ë¡œ êµ¬ì„±ëœ ë‚®ì€ íƒìž 위, 무량보주가 그려진 ëŒ€ë°œå¤§é‰¢ì„ ì±„ìš´ í° í•­ì•„ë¦¬ì— ì˜ê¸°ê½ƒ, ì˜ê¸°ë¬¸ì´ 그려져 있다(ë„ 1-6). ì´ ë§Œë³‘ 역시 ì˜ê¸°ê½ƒì´ ë‘ ê°€ì§€ë¡œ 피어나고 나비 한 마리가 ë‚ ê³  있다. í˜„ì‹¤ì˜ ë‚˜ë¹„ê°€ 아니고 ì˜í™”ëœ ë‚˜ë¹„ë‹¤. ì œ7í­ ì—­ì‹œ 만병ì—서 ë§Œë³‘ì´ í™”ìƒí•˜ëŠ”ë° ìž…ì—서 강력한 ì§§ì€ ì˜ê¸°ë¬¸ì´ 발산하고 있다.(ë„ 1-7) 8í­ ë³‘í’ì˜ ì˜ê¸°ê½ƒì€ 대개 비슷한 모습ì´ë‹¤. ì œ8í­ë„ 대ë™ì†Œì´í•˜ë‹¤.(ë„ 1-8)
8í­ ë³‘í’ì€ íŠ¹ížˆ ë§Œë³‘ì„ ë§¤ìš° ì •êµí•˜ê²Œ 그렸으며 ì±„ìƒ‰ë„ ë‹´ì±„æ·¡å½©ì—¬ì„œ ê¸°í’ˆì´ ìžˆìœ¼ë©° 아름답다. ì‚¬ëžŒë“¤ì´ ë§Œë³‘ì˜ ì˜ë¯¸ë¥¼ 몰ëžê¸° ë•Œë¬¸ì— ë³´ì´ì§€ 않았으며, 화사한 모란꽃과 나비를 ë³´ê³  í˜„ì‹¤ì˜ ê´‘ê²½ì„ ë– ì˜¬ë ¸ë˜ ê²ƒì´ë‹¤. ì‚¬ëžŒë“¤ì€ ì´ëŸ° ê·¸ë¦¼ì— ì´ë ‡ê²Œê¹Œì§€ ì˜ë¯¸ì‹¬ìž¥í•œ ë‚´ìš©ì„ ë‹´ê³  있ëŠëƒê³  반문할지 모른다. 그러나 ì˜›ì‚¬ëžŒë“¤ì€ ê³ ì°¨ì›ì˜ ìƒì§• 세계 ì†ì—서 살았는ë°, ì§€ê¸ˆì˜ ìš°ë¦¬ì‚¬íšŒê°€ ìžë³¸ì£¼ì˜í™”, ì‚°ì—…í™”, 공업화 등 갑작스러운 물질지ìƒì£¼ì˜ì˜ 변화 ì†ì—서 잊어버린 것ë¿ì´ë‹¤.

만병 병í’ì˜ ì±„ìƒ‰ë¶„ì„

ë³‘í’ ê°€ìš´ë° ë‹¤ì„¯ 번째 병í’ë§Œ 그려서 채색분ì„í•´ 보기로 한다. 아주 잘ìƒê¸´ 항아리 ì „ë©´ì—는 ì§ì„ ìœ¼ë¡œ ëœ ë¬´ëŸ‰ë³´ì£¼ê°€ 그려져 있는ë°, ìžì„¸ížˆ 보니 무량보주 가운뎃ì ìœ¼ë¡œ 나타낸 보주 주변ì—는 매우 ìž‘ì€ ë¬´ëŸ‰ë³´ì£¼ê°€ 그려져 있다.(ë„ 2-1) ë§í•˜ìžë©´ ìš©ì´ ë³´ì£¼ì˜ ì§‘ì ì¸ 것처럼, ë§Œë³‘ë„ ë³´ì£¼ì˜ ì§‘ì ìœ¼ë¡œ 표현하려 한 것 같다. ê·¸ëŸ°ë° ìžì„¸ížˆ ë³´ë©´ 긴 육ê°ìˆ˜ 무늬를 4ê°œ í•©ì³ì„œ ì¡°í˜•ì„ ë§Œë“  것 ê°™ê¸°ë„ í•˜ì—¬ 절묘하다. 그리고 í° ë³´ì£¼ ì•ˆì— å¯Œè²´å£½ë¼ëŠ” 형ì´ìƒí•™ì  ì˜ë¯¸ë¥¼ ë¤ ê¸€ìžê°€ í™”ìƒí•˜ê³  있다.
바로 ì´ ë§Œë³‘ì—서 ì˜ê¸°ê½ƒì´ 피고 ì˜ê¸°ê½ƒì—서 ë§Œë¬¼ì´ í™”ìƒí•œë‹¤(ë„ 2-2). 그려보면 ëª¨ëž€ì´ ì•„ë‹ˆë‹¤. ìžŽë„ ì˜ê¸°ë¬¸ì„ ì¶”ìƒì ìœ¼ë¡œ 나타내지 않고, 구ìƒì ìœ¼ë¡œ 나타냈으므로 ì‚¬ëžŒë“¤ì€ í˜„ì‹¤ì—서 보는 꽃과 잎으로 보기 쉽다. ì˜ê¸°ê½ƒì—서 집중ì ìœ¼ë¡œ 잎 모양 ì˜ê¸°ë¬¸ì´ 발산하며, 잎ì—서 다시 ìžŽì´ ìƒê¸°ê³  ê·¸ 잎ì—서 다시 ìžŽì´ ìƒê¸°ëŠ” ê²ƒì€ ì´ˆë¡ê³¼ ì—°ë‘와 노랑으로 구별하여 채색했는ë°, ê·¸ê²ƒì€ ì˜ê¸°ë¬¸ì˜ ì „ê°œì›ë¦¬ë¡œ ì´ë£¨ì–´ì§„ 것으로 ì‹¤ì œì˜ ìžŽì—서는 불가능한 것ì´ë‹ˆ ìžŽì´ ì•„ë‹ˆê³  ì˜ê¸°ë¬¸ì´ë¼ëŠ” ì¦ì¢Œì´ë‹¤. 게다가 어떻게 꽃ì—서 ìžŽë“¤ì´ ìƒê²¨ë‚˜ëŠ”ê°€!
ë˜ í•˜ë‚˜ì˜ ë§Œë³‘ ë³‘í’ í•œ í­ì„ ë¶„ì„í•´ 보려고 한다.(ë„ 3-1) ì´ì¤‘ì˜ ëŒ€ ìœ„ì— ë§Œë³‘ì´ ë†“ì—¬ìžˆë‹¤. 만병 가운ë°ì—는 í° ë³´ì£¼ê°€ ìžˆëŠ”ë° ì•ˆì— ë¶€ì •í˜•ì¸ ì—¬ëŸ¬ í˜•íƒœë“¤ì´ ë¬´ì§ˆì„œí•˜ê²Œ ê°€ë“ ì°¨ìžˆë‹¤. 즉 ìš°ì£¼ì˜ ëŒ€ìƒëª…ë ¥ì„ ì••ì¶•í•˜ì—¬ 나타낸 보주다! ê·¸ 보주로부터 ì˜ê¸°ë¬¸ì´ 발산하며 나머지 공간 안ì—는 갖가지 ìƒ‰ì˜ ìž‘ì€ ì ìœ¼ë¡œ 보주를 ê°€ë“ ì±„ì› ë‹¤. 놀ë¼ìš´ ê²ƒì€ ê·¸ 만병으로부터 양쪽으로 강력한 ì œ3ì˜ê¸°ì‹¹ì´ 거대하게 발산하는 ì¡°í˜•ì„ ë‚˜íƒ€ëƒˆë‹¤ëŠ” ì ì´ë‹¤. í•„ìžê°€ 발견한 만물ìƒì„±ì˜ ê·¼ì›ì¸ ì œ3ì˜ê¸°ì‹¹ì„ 어떻게 옛 장ì¸ë“¤ì€ 정확히 ì¸ì‹í•˜ì—¬ ì´ì²˜ëŸ¼ 대담하게 표현했단 ë§ì¸ê°€! ë§Œë³‘ë„ ë³´ì£¼ë„ ì œ3ì˜ê¸°ì‹¹ 등 만물ìƒì„±ì˜ ê·¼ì›ì¸ë° ì´ë ‡ê²Œ ë§Œë³‘ì„ ì¤‘ì‹¬ìœ¼ë¡œ 집중시켜서 마침내 ì˜í™”ëœ ì—°ê½ƒê³¼ ì—°ìžŽì„ í™”ìƒì‹œí‚¨ë‹¤.(ë„ 3-2) 그러면 왜 그렇게 ê³ ì°¨ì›ì˜ ì¡°í˜•ë“¤ì„ ì§‘ì¤‘ì‹œì¼œ ì˜í™”ëœ ê½ƒì„ í™”ìƒì‹œí‚¤ëŠ”ê°€!(ë„ 3-3) ì´ë¯¸ 설명했지만, 연잎ì—ì„œë„ ë¬´ëŸ‰í•œ 보주가 ìƒê¸´ë‹¤. 그리고 새 한 마리가 ë‚ ê³  있다. 새 하나로 ë§Œë¬¼ì„ ìƒì§•한다. ì´ ê·¸ë¦¼ì—서 기가 막힌 ì¡°í˜•ì€ ì—°ìžŽì„ í¬ê²Œ 변형시켜서 만든 ê°ì§„ 놀ë¼ìš´ 조형ì´ë‹¤. 즉 í˜„ì‹¤ì˜ ì—°ìžŽì´ ì•„ë‹ˆë¼ëŠ” ë§ì´ë‹¤.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만병ì—서 회ìƒí•˜ëŠ” 책거리

ìš©ì—서 만병으로 ì´í–‰í•˜ì—¬ 가는 ê³¼ì •ì„ ë³´ì—¬ì£¼ëŠ” 민화 한 ì , í”히 ë§í•˜ê¸°ë¥¼ 책거리ë¼ê³  하는 ê·¸ë¦¼ì„ ì‚´íŽ´ë³´ìž. 그러나 엄밀히 ë§í•˜ë©´ <책거리와 만병>ì´ë¼ 불러야 한다. ê·¸ ê¹Œë‹­ì„ ì„¤ëª…í•˜ê² ë‹¤.(ë„ 4-1) 어쩌면 만병 그림ì´ë¼ê³  ë§í•´ì•¼ í• ì§€ë„ ëª¨ë¥¸ë‹¤. ë°‘ë¶€ë¶„ì— ë§Œë³‘ì´ ì…‹ì´ë‚˜ 있으며 나머지는 만병ì—서 í™”ìƒí•˜ëŠ” 것ì´ê¸° 때문ì´ë‹¤. ìš°ì„ , ìš©ì˜ ìž…ì—서 í™”ìƒí•˜ëŠ” ì˜í™”ëœ ê½ƒë‚˜ë¬´ë¥¼ ë³´ìž.(ë„ 4-2) ìš©ì—서 ì˜ê¸°ê½ƒì´ í™”ìƒí•˜ëŠ” ê²ƒì„ ê·¸ë¦¬ëŠ” ê²ƒì€ ë§¤ìš° 어렵다. 그래서 ìš©ì˜ í˜•íƒœë¥¼ ì§§ê³  굵게 ê³¼ê°ížˆ 변형시킬 ìˆ˜ë°–ì— ì—†ë‹¤. ìž…ì„ í¬ê²Œ 벌리니까 ì½”ì˜ ìœ„ì¹˜ì™€ ëª¨ìŠµì´ ìµì‚´ìŠ¤ëŸ½ë‹¤. ëª¸ì´ ë¶‰ì€ìƒ‰ì¸ ì˜ê¸°ë¬¸ì€ ìš©ì„ í™”ìƒì‹œí‚¤ëŠ” 가장 중요한 ì˜ê¸°ë¬¸ìœ¼ë¡œ 고구려 벽화ì—서부터 보아온 ì˜ê¸°ë¬¸ì´ë‹¤. 그리고 얼굴ì—는 ë‘ ê³³ì— ìš©ì´ ë³´ì£¼ì˜ ì§‘ì ìž„ì„ ì•”ì‹œí•˜ëŠ” 무량보주를 표시했다. ìš©ì˜ ë¨¸ë¦¬ ë’¤ì—는 ì˜ê¸°ë¬¸ì´ 발산하는 보주가 있다. 몸ì—는 ì œ1ì˜ê¸°ì‹¹ì„ 표현하여 역시 만물ìƒì„±ì˜ ê·¼ì›ìž„ì„ ê°•ì¡°í–ˆë‹¤. ê·¸ëŸ°ë° ìš©ì˜ ì•žê³¼ ë°‘ ë¶€ë¶„ì˜ í¬ë„나무는 무엇ì¼ê¹Œ. í¬ë„나무가 아니다. 무량한 보주다. ìš©ì˜ ë³¸ì§ˆì¸ ë³´ì£¼ë¥¼ í¬ë„ë‚˜ë¬´ì˜ í˜•íƒœë¥¼ 빌려서 표현한 것ì´ë‹¤. 그렇게 ìš©ì˜ ëª¸ì— ì˜¨ê°– ë³´ì£¼ë“¤ì„ ë¶€ì—¬í•˜ì—¬ ìƒëª…ìƒì„±ì˜ ê·¼ì›ì˜ ì„±ê²©ì„ ê°•í™”í•´ 놓고, 마침내 ë§Œë¬¼ì„ í™”ìƒì‹œí‚¤ëŠ” ì˜ê¸°ê½ƒì„ 다시 í™”ìƒì‹œí‚¨ë‹¤. íƒìžì—ë„ ë¬´ëŸ‰ë³´ì£¼ë¥¼ 표현했다.
ê·¸ëŸ°ë° ìš©ì˜ ë°”ë¡œ 옆 ë’¤ìª½ì— íƒ€ì›ì²´ì˜ 항아리가 있으며 마치 보주처럼 구ë©ë§Œ 냈다. 만병ì´ë‹¤! 그리고 ìš©ì—서처럼 ‘í¬ë„=보주나무’를 중첩시켰다. 즉 만병ì—서는 ì•„ë¬´ê²ƒë„ ë‚˜ì˜¤ì§€ 않고 있으나 ìƒëžµí–ˆì„ ë¿ì´ë‹¤. ì´ ìš©ê³¼ ë§Œë³‘ì„ ê²¹ì¹˜ê²Œ 하여 배치하고 ‘í¬ë„=보주나무’를 함께 표현한 것ì€, 용과 ë§Œë³‘ì´ ê°™ë‹¤ëŠ” 강력한 메시지를 보여준다. ìž, ìš©ì˜ ìž…ì—서 ì˜ê¸°ê½ƒ 나무를 í™”ìƒí•˜ê²Œ 하는 ê²ƒì€ ì–´ë ¤ìš´ ì¼ì´ë¯€ë¡œ ê·¸ ì—­í• ì„ ë§Œë³‘ì—게 넘겨준다는 메시지가 들리지 않는가. ìš©ì´ ë§Œë³‘ì´ë¼ë‹ˆ 놀ë¼ìš¸ ë¿ì´ë‹¤. ìš©ì—서 보주로 다시 보주ì—서 만병으로 ì´í–‰í•˜ì—¬, ì´ì œë¶€í„° 만병ì—서 무엇ì´ë“ ì§€ í™”ìƒí•˜ëŠ” ê·¸ë¦¼ì´ ìˆ˜ì—†ì´ ê·¸ë ¤ì§„ë‹¤. 책거리와 함께 우리가 알고 ìžˆë˜ í™”ë³‘ì€ í™”ë³‘ì´ ì•„ë‹ˆê³  ë§Œë³‘ìž„ì„ ì•Œê²Œ ë˜ì—ˆë‹¤. 그러면 왜 책거리ì—는 ê°™ì€ ë¹„ì¤‘ì„ ê°–ëŠ” ë§Œë³‘ì´ ìžˆëŠ” 것ì¼ê¹Œ. ê·¸ëŸ°ë° ìžì„¸ížˆ 보니 ë°”ìœ„ê°™ì´ ëŒê¸°ê°€ 있고 우람한 ë§Œë³‘ì´ ìš©ê³¼ 함께 어울리면서 ë¶“, ë‘루마리, ë§Œë³‘ì˜ ê°€ì§€, 서책 등 책거리가 바로 그로테스í¬í•œ í° ë§Œë³‘ì—서 í™”ìƒí•˜ì§€ 않는가!(ë„ 4-3) 만병ì—서 여래나 ë½ìŠˆë¯¸ ê°™ì€ ì‹ ì ç¥žçš„ 존재가 í™”ìƒí•˜ê±°ëŠ˜, 진리를 ì ì€ 성스러운 ì„œì±…ë„ ë¬¼ë¡  í™”ìƒí•  수 있지 않ì€ê°€. 그러므로 ì´ ê·¸ë¦¼ì€ ë§Œë³‘ë³‘í’ì´ë¼ëŠ” 한 마디로 모든 문제가 풀린다.

 

글 : ê°•ìš°ë°©(ì¼í–¥í•œêµ­ë¯¸ìˆ ì‚¬ì—°êµ¬ì› ì›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