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ˆìŒ ê°€ë“ í’성히 채워줄 박물관·미술관 ê°€ì„ íŠ¹ë³„å±•




깊어가는 ê°€ì„, ì „êµ­ 주요 박물관과 ë¯¸ìˆ ê´€ì„ ì¤‘ì‹¬ìœ¼ë¡œ í¥ë¯¸ë¡œìš´ 기íšì „시가 ì—°ì´ì–´ì§€ê³  있다.
민화 작가가 참여한 테마전시를 비롯해 ì´ê±´í¬ 컬렉션 순회전, æ•…ì´ë§Œìµ 작가 재조명전 등 민화ì¸ë“¤ì—게 ì°½ìž‘ì˜ ëª¨í‹°í”„ë¥¼ 안겨줄 행사가 í’성하다. ì²œê³ ë§ˆë¹„ì˜ ê³„ì ˆ, ì˜ê°ì„ 살찌울 ì „ì‹œë“¤ì„ ì†Œê°œí•œë‹¤.


소마미술관 작가 재조명전

ì´ë§Œìµ – ë³„ì„ ê·¸ë¦¬ëŠ” 마ìŒ

ì†Œë§ˆë¯¸ìˆ ê´€ì´ æ•…ì´ë§Œìµ ìž‘ê°€ì˜ 10주기를 ë§žì´í•´ 작가 재조명전 <ì´ë§Œìµ-ë³„ì„ ê·¸ë¦¬ëŠ” 마ìŒ>ì„ ê°œìµœí•œë‹¤.
보기 드문 초기작까지 대거 공개ë˜ëŠ” ì´ë²ˆ 전시를 통해 ìž‘ê°€ì˜ ê³ ë‡Œì–´ë¦° 시간과 우리네 문학과 í’ê²½ì„ ì—´ë ¬ížˆ ì‚¬ëž‘í–ˆë˜ ì„œì •ì  ë©´ëª¨ê¹Œì§€ ë‘루 ì—¿ë³¼ 수 ìžˆì„ ê²ƒì´ë‹¤.


글·사진 문지혜 기ìž

<시ì¸(윤ë™ì£¼ 예찬)>(1991, 왼쪽)ì´ ì „ì‹œëœ 2ë¶€ 전시장 ì „ê²½. 시와 ë¬¸í•™ì„ ì‚¬ëž‘í–ˆë˜ ì´ë§Œìµ 작가는 í‰ì†Œ 외운 시만 100ì—¬íŽ¸ì— ë‹¬í•  ì •ë„로 문학ì ì¸ ì†Œì–‘ì´ ê¹Šì—ˆë‹¤. ìƒì „ì— ìœ¤ë™ì£¼ 시ì¸ì˜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ì˜ ì²« 구절 â€˜ë³„ì„ ë…¸ëž˜í•˜ëŠ” 마ìŒìœ¼ë¡œ 모든 죽어가는 ê²ƒë“¤ì„ ì‚¬ëž‘í•´ì•¼ì§€â€™ ë¶€ë¶„ì„ ìžì£¼ ë˜ìƒˆê²¼ë‹¤ê³  한다. 전시장 뒤편으로 십장ìƒë„를 모티브로 ì‚¼ì€ <새날>(2000)ì´ ë³´ì¸ë‹¤.



ê·¸ë¦¼ì´ ìžê¸°ë‹¤ì›Œì§„다는 ê²ƒì€ ì–´ë µë‹¤. 왜ëƒí•˜ë©´ ìžê¸°ëŠ” ë˜ì–´ì ¸ ì™„ì„±ëœ ì±„ë¡œ 있는 ê²ƒì´ ì•„ë‹ˆë©° 유ë™í•˜ê¸° 때문ì´ë‹¤. ë˜ ê·¸ë¦¼ê³¼ ë”불어 ìžê¸°ë„ 변모ëœë‹¤. 작가는 ê·¸ ìˆœê°„ìˆœê°„ì— ì„±ì‹¤í•˜ì—¬ì•¼ 하며 솔ì§í•´ì ¸ì•¼ 한다. 화가는 철저한 ìžê¸° ë¶€ì •ì˜ ê³ ë¹„ë¥¼ 넘겨야 하며 언제고 닥치면 ë˜ ë„˜ì–´ë³´ê² ë‹¤ëŠ” ê°ì˜¤ê°€ 서야만 í•  것ì´ë‹¤.
– 《ì´ë§Œìµ ì—세ì´:그립다·보고싶다·갖고 싶다》 (1999)



한국 전통ì—서 ‘가장 ìžê¸°ë‹¤ìš´â€™ 미ê°ì„ 발견한 ì´ë§Œìµ(æŽæ»¿ç›Š, 1938-2012) 작가. íŒí™”를 ì—°ìƒì¼€ 하는 뚜렷한 ì„ ê³¼ 색ê°ìœ¼ë¡œ ë…ë³´ì  ë¯¸ê°ì„ 구축한 ê·¸ì˜ ìž‘í’ˆì€ ì „í†µ 콘í…츠를 현대ì ìœ¼ë¡œ 승화시켰다는 ì ì—서 민화 작가들ì—ê²Œë„ ì‹œì‚¬í•˜ëŠ” 바가 í¬ë‹¤. æ•…ì´ë§Œìµ ìž‘ê°€ì˜ 10주기를 ë§žì•„ 국민체육진í¥ê³µë‹¨(ì´ì‚¬ìž¥ 조현재) ì†Œë§ˆë¯¸ìˆ ê´€ì´ 2023ë…„ 2ì›” 5ì¼(ì¼)까지 작가 재조명전 <ì´ë§Œìµ-ë³„ì„ ê·¸ë¦¬ëŠ” 마ìŒ>ì„ ê°œìµœí–ˆë‹¤. 특히 ì´ë²ˆ 전시는 ì´ë§Œìµ ìž‘ê°€ì˜ íŠ¸ë ˆì´ë“œ 마í¬ë¡œ 잘 알려진 êµµì€ ì„ ê³¼ 화사한 색ê°ì˜ ìž‘í’ˆì€ ë¬¼ë¡ , ê·¸ì˜ ì´ˆê¸°ìž‘ê¹Œì§€ 아울러 ê°ìƒí•  수 있다는 ì ì—서 주목할 만하다. 임지연 소마미술관 íë ˆì´í„°ëŠ” “전시를 기íší•˜ë©° ì´ë§Œìµ ìž‘ê°€ì˜ ë…ìžì  í™”í’ì´ ë‚˜ì˜¤ê¸°ê¹Œì§€ì˜ â€˜ê³¼ì •â€™ì— ì¤‘ì ì„ ë‘었다. ì´ˆê¸°ìž‘ì˜ ë¹„ì¤‘ì´ 50%ì— ë‹¬í•˜ë©° 작품 전량 ëª¨ë‘ ìœ ì¡±ë“¤ì´ ì œê³µí•œ 것â€ì´ë¼ê³  ë§í–ˆë‹¤.


(위) <유화취ì ë„>(좌), <ì£¼ëª½ì˜ í•˜ëŠ˜>(ìš°)ê°€ ì „ì‹œëœ 2ë¶€ 전시장 ì „ê²½. ì´ë§Œìµ 작가는 설화ì—서 í•œêµ­ì  ë¯¸ê°ì˜ ì›ë¥˜ë¥¼ 찾았고, ì´ë¥¼ 그림으로 표현했다.
(아래) ì´ë§Œìµì˜ ìƒì• ë¥¼ 다룬 1ë¶€ì—서는 ê·¸ì˜ ë“œë¡œìž‰ ìž‘í’ˆë„ ë³¼ 수 있다.


한국ì ì¸ 것ì—서 ì°¾ì€ â€˜ë‚˜ë‹¤ì›€â€™

ì´ë§Œìµ 작가는 경기중 3학년ì´ë˜ 1953ë…„, 대한민국미술전람회ì—서 입선한 ‘미술신ë™â€™ì´ì—ˆë‹¤. 당시 중학ìƒì´ êµ­ì „ì„ ìˆ˜ìƒí•œ ì‚¬ì‹¤ì´ ë…¼ëž€ì´ ë˜ëŠ” ë°”ëžŒì— ê³µëª¨ì „ ê·œì •ì— â€˜ëŒ€í•™ 3학년 ì´ìƒ 출품가능’ì´ëž€ ì¡°í•­ì´ ë§Œë“¤ì–´ì§€ê¸°ë„ í–ˆë‹¤. ì´í›„ 서울대 미대 íšŒí™”ê³¼ì— ì§„í•™í•œ 그는 3í•™ë…„ì´ ë˜ìžë§ˆìž 보란 듯 êµ­ì„ ì—서 세차례 ì—°ì† íŠ¹ì„ ì„ ìˆ˜ìƒí–ˆì§€ë§Œ ‘나다운’ ê·¸ë¦¼ì— ëŒ€í•œ ê°ˆì¦ì€ 가시질 않았다. 급기야 ë°±ì¼ ëœ ì•„ë“¤ê³¼ 아내를 í•œêµ­ì— ë‚¨ê²¨ë‘” 채 프랑스 ìœ í•™ì„ íƒí–ˆê³ , 역설ì ìœ¼ë¡œ 외국ì—서 í•œêµ­ì  ì•„ë¦„ë‹¤ì›€ì— ëˆˆëœ¨ê²Œ ëœë‹¤. 그간 í•™êµì—서 ë°°ì› ë˜ ëª¨ë“  ê¸°ë²•ì„ ëœì–´ë‚´ê³ , 가장 ì›ì´ˆì ì¸ ì„ ê³¼ 색만으로 새로운 ì°¨ì›ì˜ 세계를 ì´ë£©í•œ 것ì´ë‹¤.
전시 1ë¶€ì—서는 1950년대 ì „ìŸì„ 전후로 ì œë„ê¶Œ 미술계 안ì—서 그린 초창기 유화 작품ì„, 2ë¶€ì—서는 ì´ë§Œìµ ìž‘ê°€ì˜ ë…ì°½ì  í™”í’ì´ ìž˜ 드러난 1960-1980년대 ìž‘í’ˆì„ ê°ìƒí•  수 있다. ì•„ì¹´ì´ë¸Œì‹¤ì—서는 드로잉, 사진, ë„서를 비롯해 1988ë…„ 서울올림픽 미술ê°ë…ì„ ì—­ìž„í–ˆë˜ ê·¸ì˜ ì œìž‘ë¬¼ì„ ì‚´íŽ´ë³¼ 수 있다. 전시 ë„슨트 오디오는 ì•„ì¹´ì´ë¸Œì‹¤ì— ì „ì‹œëœ ê·¸ì˜ ì €ì„œ 《ì´ë§Œìµ ì—세ì´:그립다·보고싶다·갖고 싶다》를 바탕으로 제작ë다.

<ì´ë§Œìµ-ë³„ì„ ê·¸ë¦¬ëŠ” 마ìŒ>
9ì›” 2ì¼(금)~2023ë…„ 2ì›” 5ì¼(ì¼)
소마미술관 1관
관람료 ì„±ì¸ 3,000ì›, 청소년 2,000ì›, ì–´ë¦°ì´ 1,000ì›




ì›ì£¼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한·중 ìˆ˜êµ 30주년 ê¸°ë… íŠ¹ë³„ì „

ë™ ì•„ì‹œì•„ ë¯¼í™”ì˜ ë¿Œë¦¬-중국 ë…„í™”

새해가 ë˜ë©´ ë³µì„ ê¸°ì›í•˜ë©° 대문ì´ë‚˜ 집안 ê³³ê³³ì— ê·¸ë¦¼ì„ ë¶™ì¸ë‹¤. 다양한 ìƒì§•ì— ì„œë¯¼ë“¤ì˜ ê¿ˆê³¼ 소ë§ì„ ì˜¤ë¡¯ì´ ë‹´ì•„ 그린다. 대중과 친숙한 ë¯¼ì¤‘ì˜ ì˜ˆìˆ , ‘민화’다. 중국ì—ë„ ê·¸ëŸ° 민화가 있다. â€˜ë…„í™”å¹´ç•µâ€™ë¼ ë¶ˆë¦¬ëŠ” ì¤‘êµ­ì˜ ë¯¼ì¤‘íšŒí™”ëŠ”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ê·¸ 종류와 ë‚´ìš© ë˜í•œ 다양하다. ê³ íŒí™”ë°•ë¬¼ê´€ì€ ë™ ì•„ì‹œì•„ ë¯¼í™”ì˜ ë¿Œë¦¬ë¼ ë¶ˆë¦¬ëŠ” 중국 ë…„í™”, 그중ì—ì„œë„ ì‰¬ì´ ë§Œë‚˜ë³¼ 수 ì—†ì—ˆë˜ ìž‘í’ˆ 70ì ì„ 선별해 12ì›” 31ì¼(토)까지 íŠ¹ë³„ì „ì„ ì„ ë³´ì¸ë‹¤.

글 ê¹€ì†¡í¬ ê¸°ìž ì‚¬ì§„ ê³ íŒí™”박물관 제공



(좌) <초충ë„ë…„í™”(오곡í’등)>, <화조ë„> 6곡 ë³‘í’ ì¤‘ 부분, ì²­ 초기, í…ì§„ 양류청, ëŒ€ì—¼ì¦ í™”ì 
– 배추를 중심으로 무와 메뚜기, 사마귀 등 벌레와 나비, 거미줄 ë“±ì´ í‘œí˜„ëœ ì´ˆì¶©ë„로 세계ì—서 가장 아름다운 초충ë„년화로 ì†ê¼½ížˆëŠ” ë°ë‹¤ 잘 알려지지 ì•Šì•˜ë˜ ìž‘í’ˆì´ì—ˆë‹¤ëŠ” ì ì—서 í° ì˜ë¯¸ê°€ 있다.
(ìš°) <화조ë„ë…„í™”>, <화조ë„> 6곡 ë³‘í’ ì¤‘ 부분, ì²­ 초기, í…ì§„ 양류청, ëŒ€ì—¼ì¦ í™”ì 
– í™”ë°˜ì— ê°€ê¾¼ 꽃나무를 중심으로 새와 나비가 날아드는 ëª¨ìŠµì´ ê³ ìš°ë©´ì„œë„ ì •ë‹µë‹¤. ì´ ë˜í•œ 오곡í’등과 ê°™ì´ íŒì¸í•„í™” 기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조화로운 색ê°ì´ 놀ëžë„ë¡ ë›°ì–´ë‚˜ë©° 굉장히 ë†’ì€ ìˆ˜ì¤€ì˜ íŒí™” 화조ë„년화로 í‰ê°€ë°›ê³  있다.



ì›ì£¼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관장 한선학)ì´ 9ì›” 23ì¼(금)부터 12ì›” 31ì¼(토)까지 한·중 ìˆ˜êµ 30주년 ê¸°ë… íŠ¹ë³„ì „ìœ¼ë¡œ <ë™ ì•„ì‹œì•„ ë¯¼í™”ì˜ ë¿Œë¦¬-중국 ë…„í™”>ì „ì„ ëŒ€ëŒ€ì ìœ¼ë¡œ ì„ ë³´ì¸ë‹¤. 특히 ì´ë²ˆ 전시는 한선학 ê´€ìž¥ì´ ìµœê·¼ 5ë…„ì—¬ ë™ì•ˆ 수집한 新유물로 í…ì§„ 양류청, 소주 ë„화오 등 중국 유명 ë…„í™” 산지를 ë§ë¼í•˜ê³  다양한 문신, 고사, í¬ê³¡, 미ì¸, 화조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른다는 ì ì´ í° ë¯¸ë•
ì´ë‹¤.
주요한 작품으로 가장 먼저 ê¼½ì„ ìˆ˜ 있는 ê²ƒì€ ë‹¨ì—° í…ì§„ 양류청ì—서 ì´ ì´ˆê¸°ì— ì œìž‘ëœ <화조ë„> 6곡 병í’ì´ë‹¤. ì´ ì¤‘ 2ì ì€ ì•„ì§ ì„¸ê³„ì— ì•Œë ¤ì§€ì§€ ì•Šì€ ì´ˆì¶©ë„ 1í­ê³¼ í™”ì¡°ë„ 1í­ì´ í¬í•¨ë˜ì–´ 있다는 ì ì— 주목할 만하다. 특히 최초로 공개ë˜ëŠ” <오곡í’등> 초충화훼ë„는 조형ì ì¸ 아름다움ì—서부터 ì‹œì„ ì„ ì‚¬ë¡œìž¡ëŠ”ë‹¤(ë„1). 1ë¯¸í„°ì— ê°€ê¹Œìš´ 대형 í™”ë©´ì— ëª©íŒìœ¼ë¡œ í…Œë‘리를 ì°ì€ 후 ìƒ‰ê¹”ì„ ë°”ë¥¸ íŒì¸í•„회版å°ç­†ç¹ª ê¸°ë²•ì„ í™œìš©í•œ 작품으로 ì¤‘êµ­ì˜ ìœ ëª… í™”ì ì¸ â€˜ëŒ€ì—¼ì¦æˆ´å»‰å¢žâ€™ í™”ì ç•µåº—ì—서 제작ë˜ì—ˆë‹¤.
ë³‘í’ ì¤‘ ë˜ ë‹¤ë¥¸ ìž‘í’ˆì¸ <화조ë„>는 제목ì´ë‚˜ 발행화ì ì˜ 표기가 따로 없으나 íŒí™”ì˜ ë¯¸ê°ì´ë‚˜ ìƒ‰ê° ë“±ì„ ë”°ì ¸ ë³´ì•˜ì„ ë•Œ ëŒ€ì—¼ì¦ í™”ì ì˜ 작품으로 추정ë˜ê³  있다(ë„2). ì´ ë˜í•œ íŒì¸í•„회版å°ç­†ç¹ª ê¸°ë²•ì´ ë‹ë³´ì´ëŠ” 작품으로 다색 íŒí™”ì˜ ìƒ‰ê°ì´ 조화로워 ê¹Šì€ ì¸ìƒì„ ë‚¨ê¸°ê¸°ì— ì¶©ë¶„í•˜ë‹¤.


(좌) <문ìžë„ë…„í™” ‘수’>, ì²­ 중기, 소주 ë„화오
– ì¤‘êµ­ì˜ â€˜ìˆ˜â€™ 문ìžë„ 중 가장 오래ë˜ê³  아름다운 ë²„ì „ì˜ ìž‘í’ˆìœ¼ë¡œ ì¼ë³¸ì—ë§Œ 한 ì  ì†Œê°œë˜ê³  있는 í¬ê·€ë³¸ì´ë‹¤.
(ìš°) <당랑(사마귀) 삼ë™ë„>, ì²­ 중기, 소주 ë„화오
– 세 어린ì´ê°€ 사마귀와 놀고 있는 ìž¥ë©´ì„ ì„œì–‘ì˜ ì›ê·¼ë²•ê³¼ ë™íŒí™” ê¸°ë²•ì„ ì ì ˆí•˜ê²Œ 접목하여 완성한 작품ì´ë‹¤



ì´ ë°–ì—ë„ ë‹¤ì–‘í•œ ê¸°ë²•ì˜ ìž‘í’ˆì„ ë‹¤ìˆ˜ 만나볼 수 있다. ì„œì–‘ì˜ ë™íŒí™”ê¸°ë²•ì´ ê°€ë¯¸ëœ ì²­ 중기 소주 ë„하오ì—서 ìƒì‚°ëœ 세계ì ì¸ íŒí™”ì¸ <‘수’ 문ìžë„> 작품과 유명 í¬ê³¡ì¸ 호접배 ë…„í™”, ë‹´ëž‘(사마귀) 삼ë™ë„ ë“±ì´ ì£¼ìš”í•œ 작품으로 ì†ê¼½ížˆë©° 미ì¸ë„ 년화와 ë™ìžë„ ë…„í™” 등 다양한 ìž‘í’ˆë“¤ì„ ë§Œë‚˜ë³¼ 수 있다(ë„3), (ë„4). 목íŒë…„화를 대신하여 서양ì—서 ì „ëž˜ëœ ìƒˆë¡œìš´ ì¸ì‡„ë°©ë²•ì¸ ì„íŒë…„화가 ë„ìž…ë˜ë©´ì„œ 만들어진 ê³ ì‚¬ë…„í™”ì¸ â€˜ì‚¼êµ­ì§€ 장íŒíŒŒâ€™ ì„íŒë…„화와 ‘십ì¼ë©´ê´€ì„¸ìŒë³´ì‚´â€™ ì„íŒí™” 작품 ë˜í•œ ì‰¬ì´ ë§Œë‚˜ë³¼ 수 없는 í¬ê·€í•œ 작품들로 놓ì³ì„  안 ë  ê´€ëžŒ í¬ì¸íŠ¸ë‹¤.
한선학 ê´€ìž¥ì€ â€œë™ ì•„ì‹œì•„ ë¯¼í™”ì˜ ë¿Œë¦¬ì¸ ì¤‘êµ­ 년화를 관람하면서 고유한 ì•„ë¦„ë‹¤ì›€ì„ ì˜¤ë¡¯ì´ ëŠê»´ë³´ëŠ” ê²ƒì€ ë¬¼ë¡ ì´ê³  중국 문화를 ì´í•´í•¨ìœ¼ë¡œì¨ 우리 ë¯¼í™”ì˜ ìƒˆë¡œìš´ 미래를 개척해볼 수 있는 귀한 ë§ˆì¤‘ë¬¼ì´ ë  ìˆ˜ 있기를 바란다â€ê³  전했다.

<ë™ ì•„ì‹œì•„ ë¯¼í™”ì˜ ë¿Œë¦¬-중국 ë…„í™”>
9ì›” 23ì¼(금)~12ì›” 31ì¼(토)
ì›ì£¼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국립광주박물관, 경남ë„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ì´ê±´í¬ 컬렉션 지역순회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ë°•ë³´ê· )ê°€ 지난 9ì›” 26ì¼(ì›”) êµ­ë¯¼ì˜ ë¬¸í™”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과 êµ­ë¦½í˜„ëŒ€ë¯¸ìˆ ê´€ì˜ ì§€ì—­ 연계ë§ì„ 활용해 2024년까지 ‘故ì´ê±´í¬ 컬렉션 ì§€ì—­ìˆœíšŒì „â€™ì„ ê°œìµœí•œë‹¤ê³  ë°í˜”다. 올해ì—는 국립광주박물관과 ê´‘ì£¼ì‹œë¦½ë¯¸ìˆ ê´€ì„ ì‹œìž‘ìœ¼ë¡œ 경남ë„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ì—서 ì´ê±´í¬ 컬렉션 íŠ¹ë³„ì „ì„ ê°œìµœí•  예정ì´ë‹¤.

글 문지혜 ê¸°ìž ì‚¬ì§„ 국립광주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제공



ì •ì„ , <ì¸ì™•제색ë„>, ì¡°ì„  1751ë…„, 98.2×138.2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남ë„ê°€ êµµì§í•œ 특별전으로 2022ë…„ ê°€ì„ì˜ ëŒ€ë¯¸ë¥¼ 장ì‹í•œë‹¤. 시대와 장르를 ë§ë¼í•œ ìœ ìˆ˜ì˜ ëª…ìž‘ìœ¼ë¡œ í° í™”ì œë¥¼ ëª¨ì•˜ë˜ â€˜æ•…ì´ê±´í¬(æŽå¥ç†™, 1942-2020) ì»¬ë ‰ì…˜â€™ì˜ ì§€ì—­ ìˆœíšŒì „ì´ ê´‘ì£¼ ì§€ì—­ì„ ì‹œìž‘ìœ¼ë¡œ 경남, 부산ì—서 ì—°ì´ì–´ 개최ëœë‹¤.
ê·¸ 첫 번째 전시로 지난 10ì›” 광주시립미술관ì—서 열린 <ì´ê±´í¬ 컬렉션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 : ì‚¬ëžŒì˜ í–¥ê¸°, 예술로 남다>ì—서는 í•œêµ­ê·¼í˜„ëŒ€ë¯¸ìˆ ì˜ í름과 가치를 조명하는 ë° ì¤‘ì ì„ 둔다. 한국 ë¯¸ìˆ ê³„ì— ì„œì–‘í™”ê°€ ë„ìž…ë˜ê¸° 시작한 시ì ë¶€í„° 20세기 í›„ë°˜ì— ì´ë¥´ê¸°ê¹Œì§€ 시대ì , 역사ì ìœ¼ë¡œ 변화ë˜ì–´ê°€ëŠ” 한국 ê·¼í˜„ëŒ€ë¯¸ìˆ ì˜ ë§¥ë½ì„ í›‘ì„ ìˆ˜ 있다. 전시ì—서는 국립현대미술관(50ì ), 대구미술관(7ì ), 전남ë„립미술관(6ì ), 광주시립미술관(30ì )ì´ ì†Œìž¥í•œ ì´ì¤‘ì„­, 박수근, 김환기 등 45ëª…ì˜ ìž‘ê°€ 93ì ì˜ ìž‘í’ˆì„ ì„ ë³´ì¸ë‹¤.


1 박수근, <세 ì—¬ì¸>, 1961, 21×46.7ãŽ, 패ë„ì— ìœ ì±„,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2 천경ìž, <만선>, 1971, 121×105ãŽ, 종ì´ì— 채색(ì„채, 분채, ì•„êµ), 전남ë„립미술관 소장
3 ì´ì¸ì„±, 노란 ì˜·ì„ ìž…ì€ ì—¬ì¸ìƒ, 1934, 73.5×58.5cm, 종ì´ì— 채색, 대구미술관 소장



êµ­ë¦½ê´‘ì£¼ë°•ë¬¼ê´€ì€ ì§€ë‚œ 4ì›” 국립중앙박물관과 êµ­ë¦½í˜„ëŒ€ë¯¸ìˆ ê´€ì´ ê³µë™ê°œìµœí•œ <ì–´ëŠ ìˆ˜ì§‘ê°€ì˜ ì´ˆëŒ€> 첫 번째 지역 íŠ¹ë³„ì „ì„ ê°œìµœí•œë‹¤.
당시 ì„ ë³´ì˜€ë˜ ë¬¸í™”ìž¬ë“¤ì„ í† ëŒ€ë¡œ 국립광주박물관ì—서 정리 ì¤‘ì¸ ì´ê±´í¬ ê¸°ì¦ ê³ ë ¤ì²­ìžë¥¼ í¬í•¨, 한국 39ê±´ 62ì ì˜ 새로운 전시품까지 ì´ 170ê±´ 271ì ì„ ì„ ë³´ì¸ë‹¤. 광주시립미술관ì—서 열리는 전시와 겹치지 않ë„ë¡ ê·¼í˜„ëŒ€ ë¯¸ìˆ í’ˆì€ ë¹¼ê³  조선전기 í™”ì› ì´ìƒì¢Œì˜ <ì´ìƒì¢Œë¶ˆí™”첩æŽä¸Šä½ä½›ç•«å¸–>(보물)ì„ ë¹„ë¡¯í•˜ì—¬ ê¹€í™ë„ì˜ <답ìƒì¶œì‹œë„è¸éœœå‡ºå¸‚圖>, í™ì„¸ì„­ì˜ <화조ë„> 등 고미술 명작 위주로 íŠ¹ë³„ì „ì„ êµ¬ì„±í–ˆë‹¤. 서울ì—서 열린 전시ì—서 ë§Žì€ ê´€ëžŒê°ë“¤ì˜ ì‚¬ëž‘ì„ ë°›ì•˜ë˜ ì •ì„ ì˜ <ì¸ì™•제색ë„>(êµ­ë³´)와 ê¹€í™ë„ì˜ ë§ˆì§€ë§‰ ê¸°ë…„ìž‘ì¸ <추성부ë„ç§‹è²è³¦åœ–>(보물) ë˜í•œ 광주ì—서 만나볼 수 있다.
경남ë„립미술관ì—서는 지난 10ì›” 28ì¼(금)부터 ë‚´ë…„ 1ì›” 25ì¼(수)까지, 부산시립미술관ì—서는 11ì›” 11ì¼(금)부터 1ì›” 29ì¼(ì¼)까지 ì´ê±´í¬ 컬렉션 íŠ¹ë³„ì „ì„ ê°œìµœí•œë‹¤.
한편, 지난해 4ì›” æ•…ì´ê±´í¬ 회장 유족 ì¸¡ì€ ë¬¸í™”ìž¬ì™€ 명작 등 수집품 2ë§Œ 3,000ì—¬ì ì„ êµ­ê°€ì— ê¸°ì¦í–ˆë‹¤. ê¸°ì¦ 1ì£¼ë…„ì„ ê¸°ë…í•´ 지난 4월부터 4개월 ê°„ 국립중앙박물관ì—서 ì—´ì—ˆë˜ íŠ¹ë³„ì „ <ì–´ëŠ ìˆ˜ì§‘ê°€ì˜ ì´ˆëŒ€>ì—는 ê´€ëžŒê° 34ë§Œì—¬ëª…ì´ ë‹¤ë…€ê°”ë‹¤.
2023ë…„ì—는 대전광역시를 비롯한 7ê°œ 지역(대구시립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전남ë„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경기ë„립미술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ì—서, 2024ë…„ì—는 제주를 비롯한 3ê°œ 지역(ì „ë¶ë„립미술관, 제주ë„립미술관, 충남ë„립미술관)ì—서 ì´ê±´í¬ 컬렉션 ìˆœíšŒì „ì´ ê°œìµœë  ì˜ˆì •ì´ë‹¤.

광주시립미술관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 : ì‚¬ëžŒì˜ í–¥ê¸°, 예술로 남다>
10ì›” 4ì¼(í™”)~11ì›” 27ì¼(ì¼)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제3, 4, 5, 6 전시실

국립광주박물관 <ì–´ëŠ ìˆ˜ì§‘ê°€ì˜ ì´ˆëŒ€>
10ì›”5ì¼(수) ~ 2023ë…„ 1ì›” 29ì¼(ì¼)
국립광주박물관 1층 기íšì „시실

경남ë„립미술관 <ì´ê±´í¬ 컬렉션 특별전 : ì˜ì›í•œ 유산>
10ì›” 28ì¼(금)~2023ë…„ 1ì›” 25ì¼(수)
경남ë„립미술관 3층 4, 5전시실

부산시립미술관 ì´ê±´í¬ 컬렉션 전시
11ì›” 11ì¼(금)~2023ë…„ 1ì›” 29ì¼(ì¼)
부산시립미술관




국립춘천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미물지ìƒå¾®ç‰©ä¹‹ç”Ÿ,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

작지만, ê·¸ 가치는 ê²°ì½” 작지 ì•Šì€ ì‹ ë¹„ì˜ ì„¸ê³„. êµ­ë¦½ì¶˜ì²œë°•ë¬¼ê´€ì´ ê°œê´€ 20ì£¼ë…„ì„ ê¸°ë…í•´ 풀벌레 ê·¸ë¦¼ì„ í…Œë§ˆë¡œ 특별전 <미물지ìƒå¾®ç‰©ä¹‹ç”Ÿ,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ì„ ì—°ë‹¤. 특히 ì´ë²ˆ 전시ì—서는 민화 작가 혜진과 ê³µë™ ìž‘ì—…í•œ ê·¸ë¦¼ì„ ì„ ë³´ì¸ë‹¤ëŠ” ì ì—서 í¥ë¯¸ë¥¼ ë”한다.

글 문지혜 ê¸°ìž ìžë£Œ 국립춘천박물관 제공



ì´ê²½ìй, <í˜¸ì ‘ë„ 10í­ ë³‘í’>, 20세기 ì´ˆ, ë¹„ë‹¨ì— ì±„ìƒ‰, 아모레í¼ì‹œí”½ 미술관 소장



‘보ì´ì§€ 않는 í‹°ëŒ í•˜ë‚˜ì—ë„ ì˜¨ 우주가 담겼다 《화엄경》’고 할진대, 하물며 ìƒëª…ì„ ì§€ë‹Œ ê³¤ì¶©ì˜ ì„¸ê³„ëŠ” 어떠하랴. 옛 ì‚¬ëžŒë“¤ì€ í’€ë²Œë ˆë¥¼ 통해 세ìƒì‚´ì´ë¥¼ 보았고, ê·¸ 깨달ìŒì„ 그림으로 ë‚˜ëˆ„ê³ ìž í–ˆë‹¤. ì´ ê°™ì€ ì„ ì¡°ë“¤ì˜ í˜œì•ˆì— ì£¼ëª©, êµ­ë¦½ì¶˜ì²œë°•ë¬¼ê´€ì´ ê°œê´€ 20주년 특별전 <미물지ìƒå¾®ç‰©ä¹‹ç”Ÿ,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ì„ ê°œìµœí•œë‹¤. 김울림 국립춘천박물관 ê´€ìž¥ì€ â€œì˜›ì‚¬ëžŒë“¤ì€ í’€ë²Œë ˆë¥¼ ìžì„¸ížˆ 관찰하여 세ìƒì˜ ì´ì¹˜ë¥¼ ê¹¨ë‹«ê³ ìž í•˜ì˜€ìœ¼ë©° ì´ë¥¼ 그림으로 그려 êµí›ˆì´ë‚˜ 소ë§ì„ ë‹´ê³ ìž í•˜ì˜€ë‹¤. 옛 ì‚¬ëžŒë“¤ì´ ë°”ë¼ë³¸ 풀벌레와 ê·¸ë“¤ì´ ì‚¬ëŠ” 세ìƒì„ 소개하여 ì´ë¥¼ ‘공존’ì´ë¼ëŠ” 가치 ì†ì—서 마주하는 기회가 ë˜ê¸¸ 바란다â€ê³  전했다.
ì´ë²ˆ 전시는 날개를 지닌 나비, 매미와 ê°™ì´ ìš°ëŠ” 벌레를 그린 작품으로 êµ¬ì„±ëœ 1ë¶€ <날고飛, 울다鳴>, 사마귀나 쇠똥구리 등 기어가는 벌레와 고슴ë„치 ê·¸ë¦¼ì„ ì„ ë³´ì´ëŠ” 2ë¶€ <ë›°ê³ èº, 기다蠉>, 화보 ì† ì‚¬ìƒå¯«ç”Ÿì˜ í”ì ì„ 통해 옛 í™”ê°€ë“¤ì˜ ì‹œì„ ê³¼ í™”ë²•ì„ ì¡°ëª…í•œ 3ë¶€ <풀벌레를 관찰하는 시선과 화법>으로 ì „ê°œë˜ë©° 정선·심사정 ë“±ì´ ê·¸ë¦° 초충ë„를 í¬í•¨í•´ 79ì ì˜ ìž‘í’ˆì„ ì„ ë³´ì¼ ì˜ˆì •ì´ë‹¤. ê°œì¸ì†Œìž¥ìž, 아모레í¼ì‹œí”½ë¯¸ìˆ ê´€, 명주사 ê³ íŒí™”박물관, 국립중앙ë„서관 등 주요 박물관·미술관 소장 문화재 ê°€ìš´ë° ì—„ì„ ëœ ìž‘í’ˆìœ¼ë¡œ 구성했다.


(좌) ì „ 신사임당, <ì´ˆì¶©ë„ í™”ì²©>부분, ì¡°ì„ , 종ì´ì— 채색, 강릉오죽헌시립박술관 소장
(ìš°) 혜진, 미물지ìƒ, 2022, í•œì§€ì— ì±„ìƒ‰, 120×79ãŽ


현대 민화 작가와 함께 한 특별전

ì´ë²ˆ 전시ì—서 특히 ëˆˆì— ë„는 ëŒ€ëª©ì€ í˜œì§„ 민화 ìž‘ê°€ì™€ì˜ ì½œë¼ë³´ 작업ì´ë‹¤. 혜진 ìž‘ê°€ì˜ ìž‘í’ˆìœ¼ë¡œ 박물관 특별전 타ì´í‹€ë²½ì„ 전시했으며 MBC 드ë¼ë§ˆ <옷소매 ë¶‰ì€ ëë™>ì— ë‚˜ì™”ë˜ ìž‘í’ˆì„ ë¹„ë¡¯í•´ ì´ 7ì ì˜ 민화 ìž‘í’ˆì„ ì„ ë³´ì¼ ì˜ˆì •ì´ë‹¤. 혜진 작가는 ì¶œí’ˆìž‘ì— ëŒ€í•´ “옛 ê·¸ë¦¼ì„ ëª¨í‹°ë¸Œë¡œ ê³ ì–‘ì´ê°€ 보는 풀벌레를 ë°”ë¼ë³´ëŠ” 시ì , 풀벌레가 주ì¸ê³µì¸ 그림 등 다양하게 확장하여 작업했다.
그림ì—서는 ê¸°ë¥´ë˜ ê³ ì–‘ì´, 무지개 다리를 건넌 ê³ ì–‘ì´, ê¸¸ëƒ¥ì´ ë“± 다양한 ê³ ì–‘ì´ê°€ 등장하는ë°, ‘고양ì´â€™ì— ìƒëª…ì´ ìˆœí™˜í•˜ëŠ” ì´ì•¼ê¸°ë¥¼ 담았다â€ê³  설명했다. 특별전과 연계해 ì¸ë¬¸Â·ì˜ˆìˆ  강좌, ì²´í—˜ 프로그램 ë“±ë„ ì§„í–‰í•œë‹¤. 풀벌레가 전하는 ì´ì•¼ê¸°ì— ê·€ 기울ì´ë‹¤ë³´ë©´ 잊고 있ë˜, ë˜ ë‹¤ë¥¸ ì„¸ê³„ì˜ ì•„ë¦„ë‹¤ì›€ì— ëˆˆëœ¨ê²Œ ë  ê²ƒì´ë‹¤.


특별전 연계 프로그램 <미물지ìƒå¾®ç‰©ä¹‹ç”Ÿì— 우주가 있다>


<미물지ìƒå¾®ç‰©ä¹‹ç”Ÿ,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
10ì›” 25ì¼(í™”)~2023.1.25(수)
국립춘천박물관 기íšì „시실




본태박물관 개관 10주년 ê¸°ë… íŠ¹ë³„ì „ì‹œ

ì‚¶ì„ ì•„ë¦„ë‹µê²Œ, ìƒí™œì„ í’요롭게

ë³¸ëž˜ì˜ í˜•íƒœ, ë³¸ëž˜ì˜ ì•„ë¦„ë‹¤ì›€ì´ë¼ëŠ” ì˜ë¯¸ë¥¼ 지닌 ë³¸íƒœë°•ë¬¼ê´€ì´ 10ì£¼ë…„ì„ ê¸°ë…하며 특별한 전시를 개최했다. 민화가 지닌 여러 가지 길ìƒì˜ ì˜ë¯¸ë¥¼ 테마로 삼아 ë³‘í’ ëŒ€ìž‘å¤§ä½œì„ ëŒ€ëŒ€ì ìœ¼ë¡œ ì„ ë³´ì¸ë‹¤. 다채로운 민화를 통해 우리 ê·¸ë¦¼ì˜ â€˜ë³¸íƒœæœ¬æ…‹â€™ë¥¼ 발견할 수 있기를.

글 ê¹€ì†¡í¬ ê¸°ìž ì‚¬ì§„ 본태박물관 제공






ë³¸íƒœë°•ë¬¼ê´€ì´ 10ì›” 14ì¼(금)부터 12ì›” 31ì¼(토)까지 개관 10주년 기íšì „ <ì‚¶ì„ ì•„ë¦„ë‹µê²Œ, ìƒí™œì„ í’요롭게> 전시를 ì„ ë³´ì¸ë‹¤. ì´ë²ˆ 전시ì—서는 민화 ë³‘í’ 34ì ê³¼ 1ì ì˜ í™”ì²©ì„ ë§Œë‚˜ë³¼ 수 있다. 민화가 지닌 여러 길ìƒì„ 테마로 전시가 구성ëœë‹¤ëŠ” ì ì´ í° ë¯¸ë•ì´ë‹¤.
첫째는 번ì˜ê³¼ 출세다. 여기서는 <책거리>, <금계ë„>, <곽분양행ë½ë„>, <ë°±ë™ìžë„>를 통해 후ì†ë“¤ì´ 출세하여 잘 ë˜ê¸¸ ë°”ë¼ëŠ” ì„ ì¡°ë“¤ì˜ ë§ˆìŒì„ 들여다볼 수 있다. 다ìŒìœ¼ë¡œ 규범과 êµí›ˆì— 주안ì ì„ ë‘” 테마가 ì´ì–´ì§„다. <문ìžë„>, <구운몽ë„>, <고사ì¸ë¬¼ë„>, <삼국지연ì˜ë„>ê°€ 주요 작품으로 전시ë˜ëŠ”ë° ìž‘í’ˆ ë©´ë©´ì—서 당시 ì‚¬ëžŒë“¤ì´ ì£¼ìš”í•˜ê²Œ ìƒê°í•˜ë˜ ë•목과 êµí›ˆ ë“±ì„ ì˜¤ë¡¯ì´ ë°œê²¬í•  수 있다. 민화ì—서 빠질 수 없는 ìƒì§•ì´ë¼ë©´ 바로 ì´ê²ƒì¼ 테다. 바로 ê±´ê°•ê³¼ 장수. <십장ìƒë„>, <ì²­ë¡ì‚°ìˆ˜ë„>, <요지연ë„> 등 스케ì¼ì´ í° ìž‘í’ˆì´ ì´ì–´ì§€ëŠ”ë° ì½”ë¡œë‚˜19로 ì¸í•´ ê±´ê°•ì— ëŒ€í•œ ì—¼ì›ì´ ë”ìš± ê°„ì ˆí–ˆë˜ ìš”ì¦˜ì´ê¸°ì— ë”ìš± ë§ˆìŒ ê¹Šì´ ì™€ë‹¿ëŠ”ë‹¤. 꽃 ì¤‘ì˜ ì™• <모란ë„>ê°€ 주요 작품으로 전시ë˜ëŠ” ê³³ì—서는 부귀와 ì˜í™”를 <화조ë„>와 <호렵ë„>ê°€ 주ì¸ê³µìœ¼ë¡œ 펼ì³ì§„ ê³³ì—서는 í‰ì•ˆê³¼ ì•ˆë…•ì„ ì—¼ì›í•´ë³¼ 수 있겠다. ê¶ì¤‘장ì‹í™”ì˜ ì§„ìˆ˜ë¥¼ ì—¿ë³¼ 수 있는 <ì¼ì›”오봉ë„>와 <ì±…ê°€ë„> ë˜í•œ 놓칠 수 없는 작품ì¸ë° ê·¸ 옛날 ì™•ì‹¤ì˜ ê¶Œìœ„ì™€ ìœ„ì—„ì´ ê³ ìŠ¤ëž€ížˆ ëŠê»´ì§€ëŠ” 듯 기세가 대단하다.





ì´ì²˜ëŸ¼ 민화ì—는 ì‚¬ëžŒë“¤ì´ ì†Œë§í•˜ê³  기ì›í•˜ëŠ” ì¼ë°˜ì ì¸ 꿈과 ë°”ëžŒì´ ë‹´ê²¨ìžˆë‹¤. 건강하고 장수하길 ë°”ë¼ëŠ” 마ìŒ, 출세하길 ë°”ë¼ëŠ” 마ìŒ, 부귀ì˜í™”를 누리길 ë°”ë¼ëŠ” ë§ˆìŒ ë“± ë¯¼í™”ì— ë‹´ê¸´ ì´ì•¼ê¸°ëŠ” 모ë‘ê°€ ê³µê°í•  수 있는 가장 ì¼ë°˜ì ì¸ 소ë§ì´ë©° 지금 ì´ ì‹œëŒ€ë¥¼ 살아가는 우리ì—ê²Œë„ ì—¬ì „ížˆ 유효하다. 전시 관계ìžëŠ” “지금 우리와 ê°™ì€ ë§ˆìŒì„ 소ë§í•˜ë˜ ì„ ì¡°ë“¤ì˜ ê·¸ë¦¼ì„ í†µí•´ 현재와 ì´ì–´ì§„ ì „í†µì˜ ì˜ë¯¸ë¥¼ ë˜ëŒì•„ë³´ê³  ê·¸ ì•„ë¦„ë‹¤ì›€ì„ í™•ì¸í•˜ëŠ” ì‹œê°„ì´ ë˜ê¸¸ 바란다â€ê³  전했다.

<ì‚¶ì„ ì•„ë¦„ë‹µê²Œ, ìƒí™œì„ í’요롭게>
10ì›” 14ì¼(금)~12ì›” 31ì¼(토)
본태박물관 ì œ5전시관 기íšì „시실




한국민화뮤지엄 <ë¯¼í™”ì˜ ë¹„ìƒ>展 Chapter.3

민화, ì¡°ì„ ì˜ íŒì•„트

‘민화는 ìžê³ ë¡œ ì´ëž˜ì•¼ 한다!’는 ê³ ì •ê´€ë…ì„ ìš©ê°í•˜ê²Œ 탈피하고 í˜„ëŒ€ë¯¼í™”ì˜ ë²”ì£¼ë¥¼ 다ê°ë„로 확장해 나가는 움ì§ìž„ì´ í™œë°œí•´ì§€ê³  있다. ì´ëŸ¬í•œ 목ì ìœ¼ë¡œ í•œêµ­ë¯¼í™”ë®¤ì§€ì—„ì´ ê¸°íší•œ 시리즈 전시 <ë¯¼í™”ì˜ ë¹„ìƒ>å±•ì´ ì–´ëŠìƒˆ 세 번째를 ë§žì´í–ˆë‹¤. ì´ë²ˆì—” íŒì•„트와 ë¯¼í™”ì˜ ë§Œë‚¨ì´ë‹¤.

글 ê¹€ì†¡í¬ ê¸°ìž ì‚¬ì§„ 한국민화뮤지엄 제공



<화조ë„> 8í­, 지본채색, ê° 90×30ãŽ
중심 ë„ìƒìœ¼ë¡œ 그려진 새나 꽃나무는 ëª¨ë‘ ê²€ì€ ìœ¤ê³½ì„ ê³¼ ë„ì‹í™”ëœ í‘œí˜„, í‰ë©´ì„± 등ì—서 íŒì•„트 작가 리히í…슈타ì¸(Roy Lichtenstein)ì˜ ë§Œí™”ë¥¼ 차용한 ìž¥ë©´ì„ ì—°ìƒì‹œí‚¨ë‹¤. íŒì•„트ì—서 당시 ë„리 보급ë˜ì—ˆë˜ TV ì† ìƒ‰ì±„ë¥¼ 강조했다면 ì´ ìž‘í’ˆì—서는 ì‹œì„ ì„ ì‚¬ë¡œìž¡ëŠ” 진채와 ìƒ‰ì˜ ëŒ€ë¹„ê°ì´ ë‹ë³´ì¸ë‹¤.


한국민화뮤지엄(관장 오ì„환, 오슬기)ì´ ë‹¤ê°€ì˜¤ëŠ” 11ì›” 2ì¼(수)부터 11ì›” 7ì¼(ì›”)까지 서울 한국미술관ì—서 <ë¯¼í™”ì˜ ë¹„ìƒ>å±•ì„ ê°œìµœí•œë‹¤. ì´ë²ˆ 전시는 오슬기 ê´€ìž¥ì˜ ê¸°íšìœ¼ë¡œ 2019ë…„ì— ì²˜ìŒìœ¼ë¡œ ì‹œìž‘ëœ ì‹œë¦¬ì¦ˆ 기íšì „, ê·¸ 세 번째로 ‘민화, ì¡°ì„ ì˜ íŒì•„트’ë¼ëŠ” 주제로 참신한 작품세계를 ì„ ë³´ì´ë©´ì„œ 신선한 환기를 선사할 예정ì´ë‹¤. 전시ì—서는 한국민화뮤지엄과 조선민화박물관 소장품 중 íŒì•„트ì ì¸ í‘œí˜„ì´ ê´€ì°°ë˜ëŠ” 유물과 전시를 위해 ì„ ì •ëœ 29ì¸ì˜ 현대민화 ìž‘ê°€ë“¤ì˜ ìž‘í’ˆë“¤ì„ ë§Œë‚˜ë³¼ 수 있다.


<화조ë„> 2í­, 지본ì¸ì‡„, ê° 79×34ãŽ
ê²€ì€ ìœ¤ê³½ì„ ê³¼ ë„ì‹í™”ëœ í‘œí˜„, í‰ë©´ì„±ì€ ë™ì¼í•˜ê²Œ 나타난다. 특히 ì´ ìž‘í’ˆì˜ ê²½ìš° ì¸ì‡„ ë°©ì‹ìœ¼ë¡œ 제작해 íŒì•„트ì—서 ìžì£¼ 사용한 표현방ì‹ì¸ ê¸°ê³„ì  ë°˜ë³µì„±ì„ ì—°ìƒì‹œí‚¨ë‹¤.



<안ë™ë¬¸ìžì±…거리ë„> 8í­m, 지본채색, ê° 70×35ãŽ
ê²€ì€ ìœ¤ê³½ì„ , í‰ë©´ì ì¸ 표현, 강렬한 ìƒ‰ì˜ ëŒ€ë¹„ 등ì—서 íŒì•„트ì ì¸ íŠ¹ì§•ì„ ë³´ì¸ë‹¤. 특히 문ìžì— ë„ìƒì„ 배치시키는 장면ì´ë‚˜ í•˜ë‹¨ì˜ ì±…ê³¼ ê¸°ë¬¼ì´ ì‹¤ìž¬ê° ì—†ì´ ë‹¤ì‹œì ìœ¼ë¡œ 중첩ë¼ìžˆëŠ” 표현ì—서 íŒì•„íŠ¸ì˜ ì½œë¼ì£¼ì™€ 시ê°ì  ìœ ì‚¬ì„±ì´ ê´€ì°°ëœë‹¤.



오슬기 ê´€ìž¥ì€ ì „ì‹œì— ë“¤ì–´ê°€ê¸° ì „ “개별 작품ì—서 관찰ë˜ëŠ” 시ê°ì  유사성과 ë”불어 ê·¸ 시작ì ì—서 수반ë˜ì—ˆë˜ 사회, ê²½ì œì  ë³€í™”, 예술 향유 ê³„ì¸µì˜ ì €ë³€í™”, ìž‘í’ˆì— í™œìš©í•œ ëª¨í‹°ë¸Œì˜ ì›ì²œ 등ì—서 민화와 íŒì•„트는 서로 닮아있다â€ë©° ê·€ë”했다. íŒì•„트가 1950~60년대 미국과 ì˜êµ­ì„ 중심으로 소수 엘리트가 ë…ì°¨ì§€í•˜ë˜ ìœ ë¯¸ì£¼ì˜ ì˜ˆìˆ ì— ëŒ€í•œ 반작용으로 대중문화를 ì ê·¹ì ìœ¼ë¡œ 활용하면서 예술과 ì‚¶ì˜ ê²½ê³„ë¥¼ 와해시키고 í¬ìŠ¤íŠ¸ëª¨ë”ë‹ˆì¦˜ì˜ ì‹œëŒ€ë¥¼ 열었다면, 민화는 ì¡°ì„  후기 새롭게 ë¶€ìƒí•œ 여항ì¸ì´ë‚˜ 부유한 ìƒì¸ê³„ê¸‰ì„ ê¸°ë°˜ìœ¼ë¡œ 과거 ìƒë¥˜ì¸µì˜ 전유물로 ì—¬ê²¨ì§€ë˜ íšŒí™”ê°€ 저변화ë˜ëŠ” 과정ì—서 탄ìƒë다는 ì ì— 주목할 수 있다. 민화ì—서 시ê°ì ì¸ ë©´ìœ¼ë¡œë„ íŒì•„트와 유사한 í‘œí˜„ì„ ê´€ì°°í•  수 있다. ì¼ë¡€ë¡œ ë„ì‹í™”ëœ ìœ¤ê³½ì„ , í‰ë©´ì ì´ê³  ì •í˜•í™”ëœ ë„ìƒ í‘œí˜„ ë°©ì‹ì€ 신문 삽화나 만화를 활용한 íŒì•„트, ì±…ê±°ë¦¬ì˜ ë‹¤ì‹œì , ì—­ì›ê·¼ë²•ì—서는 íŒì•„íŠ¸ì˜ ì½œë¼ì£¼ ìž‘í’ˆì„ ë– ì˜¬ë¦¬ê²Œ 한다.
전시 관계ìžëŠ” “íŒì•„트ë¼ëŠ” ê°œë…으로 ì •ì˜ë˜ì§€ëŠ” 않았지만 íŒì•„트와 유사한 í‘œí˜„ì´ ì„œêµ¬ 사조가 소개ë˜ê¸° ì „ ì´ë¯¸ ë¯¼í™”ì— ë‚´ìž¬ë˜ì—ˆë˜ 것â€ì´ë¼ê³  전하며 “ì´ì „ 1회, 2회 전시ì—서 살펴본 ë¯¼í™”ì˜ í˜„ì‹¤ì£¼ì˜, 표현주ì˜ì™€ 유사한 í‘œí˜„ì´ ë¯¼í™”ì— ì´ë¯¸ 나타나 있다는 ì‚¬ì‹¤ì˜ ì—°ìž¥ì„ ì— ìžˆë‹¤â€ê³  강조했다. <ë¯¼í™”ì˜ ë¹„ìƒ>å±•ì€ 11ì›” 10ì¼(목)부터 12ì›” 25ì¼(ì¼)까지 ì˜ì›ê´€ê´‘센터ì—서 앵콜 전시할 예정ì´ë‹¤.

<ë¯¼í™”ì˜ ë¹„ìƒ>展
11ì›” 2ì¼(수)~11ì›” 7ì¼(ì›”)
한국미술관

<ë¯¼í™”ì˜ ë¹„ìƒ> 展 앵콜전
11ì›” 10ì¼(목)~12ì›” 25ì¼(ì¼)
ì˜ì›”관광센터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 ìƒì„¤ì „시

대한제국 첫 ê¶ì¤‘ 연회

조선시대 ê¶ì¤‘ì—서 열린 í–‰ì‚¬ë“¤ì„ ê¸°ë¡í•œ ê·¸ë¦¼ë“¤ì€ ì‹œê¸°ì— ë”°ë¼ ì œìž‘ 주체나 ì˜ë„ê°€ 달ë¼ì§€ê¸°ë„ 했는ë°, 때때로 ì´ëŸ¬í•œ 그림ì—는 정치ì ì¸ ì˜ë„ê°€ ë°˜ì˜ë˜ê¸°ë„ 했다. ëŒ€í•œì œêµ­ì˜ ì²« 번째 ê¶ì¤‘ 연회를 그린 <ì‹ ì¶•ì§„ì°¬ë„>는 황실 위ìƒì„ ê°•í™”í•˜ë ¤ë˜ ê³ ì¢… í™©ì œì˜ ì˜ì§€ê°€ 담겨 있다.

글 ìš°ì¸ìž¬ ê¸°ìž ì‚¬ì§„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ì‹ ì¶•ì§„ì°¬ë„辛丑進饌圖>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 500ë…„ì´ ë„˜ëŠ” 세월 ë™ì•ˆ 열린 여러 ê¶ì¤‘ 행사들 중 ì¼ë¶€ëŠ” 기ë¡í™”로 전해지고 있다. 16-17세기ì—는 행사 담당ìžë“¤ì˜ ê²°ì†ì„ ë‹¤ì§€ê³ ìž ê·¸ë¦¼ì„ ì œìž‘í•´ 나누어 가졌고, 18세기 ì˜ì¡°ëŒ€ë¶€í„°ëŠ” ì œìž‘ëœ ê·¸ë¦¼ì„ ì™•ì‹¤ì— ë°”ì³¤ë‹¤. ì´í›„ 18세기 후반 ì •ì¡°ëŒ€ì— ë“¤ì–´ì„œëŠ” 왕실ì—서 행사 ìž¥ë©´ì„ ë³‘í’으로 제작해 관련ìžë“¤ì—게 나누어 주는 ì¼ë„ 있었다. ì´ì²˜ëŸ¼ 왕실 기ë¡í™”는 제작 ì‹œê¸°ì— ë”°ë¼ ì œìž‘ 주체와 ì˜ë„ê°€ 달ë¼ì§€ê³¤ 했는ë°, ê³ ì¢…ì´ ëŒ€í•œì œêµ­ì„ ì„ í¬í•œ ì´í›„ 처ìŒìœ¼ë¡œ 열린 황실 연회를 그린 <ì‹ ì¶•ì§„ì°¬ë„辛丑進饌圖>ì—서는 고종 황제와 황태ìž(순종)ì˜ í™©ì‹¤ 위ìƒì„ ê°•í™”í•˜ê³ ìž í–ˆë˜ ì˜ë„를 ì½ì„ 수 있다.
오는 12ì›” 25ì¼(ì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ìƒì„¤ì „시관 2층 ì„œí™”ì‹¤ì— ì „ì‹œë˜ëŠ” <ì‹ ì¶•ì§„ì°¬ë„>는 1901ë…„(ì‹ ì¶•ë…„) ìŒë ¥ 5ì›”ì— ì—´ë¦° ëŒ€í•œì œêµ­ì˜ ì²« 번째 ê¶ì¤‘ 연회를 남긴 기ë¡í™”ë¼ëŠ” ì ì— 주목할 필요가 있다. í™©ì‹¤ì˜ ì–´ë¥¸ì¸ íš¨ì •ì™•í›„ì˜ 71세를 경축하는 ì´ í–‰ì‚¬ëŠ” 경운ê¶(í˜„ìž¬ì˜ ë•수ê¶)ì—서 개최ë˜ì—ˆë‹¤. 여러 ë‚ ì— ê±¸ì³ ì—´ë¦° 연회 중ì—ì„œë„ íŠ¹ë³„ížˆ 다섯 í–‰ì‚¬ì˜ ìž¥ë©´ì„ 10í­ ë³‘í’ì— ì˜®ê²¨ 담았으며, í™©ì œì˜ ë‚˜ë¼ì¸ ëŒ€í•œì œêµ­ì˜ ìœ„ìƒì— 맞는 기물과 ë³µì‹ì„ 확ì¸í•  수 있는 ë§Œí¼ ì¤‘ìš”í•œ 사료로 여겨지는 작품ì´ë‹¤.

<대한제국 첫 ê¶ì¤‘ 연회>
9ì›” 6ì¼(í™”)~12ì›” 25ì¼(ì¼)
국립중앙박물관 ìƒì„¤ì „시관 2층 서화실 â…¡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오스트리아 ìˆ˜êµ 130주년 ê¸°ë… íŠ¹ë³„ì „

í•©ìŠ¤ë¶€ë¥´í¬ 600ë…„, ë§¤í˜¹ì˜ ê±¸ìž‘ë“¤

600ì—¬ ë…„ê°„ ìœ ëŸ½ì„ ì§€ë°°í–ˆë˜ í•©ìŠ¤ë¶€ë¥´í¬ ê°€ë¬¸ì€ ìˆ˜ë§Žì€ ì˜ˆìˆ ìž‘í’ˆì„ ìˆ˜ì§‘í•˜ëŠ” ê²ƒì€ ë¬¼ë¡  문화예술 ë¶„ì•¼ì˜ í›„ì›ì—ë„ ì ê·¹ì ì´ì—ˆë‹¤. ê·¸ë“¤ì´ ë³´ì—¬ì¤€ ì˜ˆìˆ ì— ëŒ€í•œ 지극한 ì‚¬ëž‘ì€ í˜„ìž¬ 서양 ë¯¸ìˆ ì˜ ê·¼ê°„ì„ í˜•ì„±í•  ì •ë„로 커다란 ì˜í–¥ì„ ë¼ì³¤ë‹¤.

글 ìš°ì¸ìž¬ ê¸°ìž ì‚¬ì§„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ì‹ ì¶•ì§„ì°¬ë„辛丑進饌圖>



í•©ìŠ¤ë¶€ë¥´í¬ ì™•ê°€ê°€ 600ì—¬ ë…„ ë™ì•ˆ 수집한 ì»¬ë ‰ì…˜ì´ í•œêµ­ê³¼ ì˜¤ìŠ¤íŠ¸ë¦¬ì•„ì˜ ìˆ˜êµ 130ì£¼ë…„ì„ ê¸°ë…하여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ì— ì°¾ì•„ì˜¨ë‹¤. 오스트리아 ë¹ˆì„ ì¤‘ì‹¬ìœ¼ë¡œ 가톨릭 신앙과 수ë„ì›ì„ 기반으로 막대한 부를 ì¶•ì í–ˆë˜ í•©ìŠ¤ë¶€ë¥´í¬ ê°€ë¬¸ì€ 645ë…„ì´ë¼ëŠ” ì—­ì‚¬ìƒ ê°€ìž¥ 오랜 ê¸°ê°„ì— ê±¸ì³ ìœ ëŸ½ì„ ì§€ë°°í–ˆë‹¤. 기나긴 통치기간 ë™ì•ˆ 오트스리아와 ìœ ëŸ½ì˜ ìˆ˜ë§Žì€ ì˜ˆìˆ ìž‘í’ˆì„ ìˆ˜ì§‘í•˜ëŠ” ê²ƒì€ ë¬¼ë¡  화가와 ìŒì•…ê°€ 등 문화예술 분야를 후ì›í•˜ëŠ” ì¼ì— ì ê·¹ ë‚˜ì„œê¸°ë„ í–ˆë‹¤.
10ì›” 25ì¼(í™”)부터 2023ë…„ 3ì›” 1ì¼(수)까지 국립중앙박물관 기íšì „시실ì—서 열리는 <í•©ìŠ¤ë¶€ë¥´í¬ 600ë…„, ë§¤í˜¹ì˜ ê±¸ìž‘ë“¤> 특별전ì—서는 피터르 파울 루벤스, ë””ì—ê³  벨ë¼ìŠ¤ì¼€ìŠ¤, ì–€ ë¸Œë¤¼í— 1세 등 서양미술사를 대표하는 명화와 공예품 등 96ì ì˜ ìž‘í’ˆë“¤ì„ ì„ ë³´ì¸ë‹¤. ê·¸ 중ì—는 í•©ìŠ¤ë¶€ë¥´í¬ ì™•ê°€ ì‚¬ëžŒë“¤ì´ ì‹¤ì œë¡œ ì°©ìš©í–ˆë˜ ê°‘ì˜· 4ì ë„ 전시ë˜ë©°, ì´ë¥¼ 통해 ë‹¹ëŒ€ì˜ ì—­ë™ì ì¸ 시대ìƒê³¼ ë¶„ìœ„ê¸°ë„ ëŠê»´ë³¼ 수 있다. 특히 1892ë…„ ê³ ì¢…ì´ ì˜¤ìŠ¤íŠ¸ë¦¬ì•„ì˜ ìš”ì œí”„ 1세ì—게 선물한 ì¡°ì„ ì˜ ê°‘ì˜·ê³¼ 투구가 130여년 ë§Œì— ê³ í–¥ìœ¼ë¡œ ëŒì•„와 ì–‘êµ­ê°„ 수êµì˜ ì˜ë¯¸ë¥¼ ë˜ìƒˆê¸¸ 예정ì´ë‹¤. ì´ë²ˆ íŠ¹ë³„ì „ì€ í•©ìŠ¤ë¶€ë¥´í¬ ì™•ê°€ê°€ 16~19세기까지 수집한 르네ìƒìŠ¤ì™€ ë°”ë¡œí¬ ë¯¸ìˆ  ìž‘í’ˆì„ í†µí•´ 유럽과 ì˜¤ìŠ¤íŠ¸ë¦¬ì•„ì˜ ì—­ì‚¬ì™€ 문화를 ì‚´í•„ 수 있는 ì¢‹ì€ ê¸°íšŒê°€ ë  ê²ƒì´ë‹¤.

<í•©ìŠ¤ë¶€ë¥´í¬ 600ë…„, ë§¤í˜¹ì˜ ê±¸ìž‘ë“¤>
2022ë…„ 10ì›” 25ì¼(í™”) ~ 2023ë…„ 3ì›” 1ì¼(수)
국립중앙박물관 기íšì „시실
관람료 ì„±ì¸ 17,500ì›, 청소년 15,000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