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ë°©í‰ìƒêµìœ¡ì› 민화êµìœ¡ê°•사과정 졸업전

ë¯¼í™”ì˜ ì•žê¸¸ ë°í˜€ì¤„ 등불

– 글 강미숙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ë™ë°©ë¬¸í™”대학ì›ëŒ€í•™êµ í‰ìƒêµìœ¡ì›(ì´í•˜ ë™ë°©í‰ìƒêµìœ¡ì›) 민화êµìœ¡ê°•사과정 1기 수료ìƒë“¤ì´ 오는 9ì›” 2ì¼ë¶€í„° 9ì›” 8ì¼ê¹Œì§€ 서울 ì¸ì‚¬ë™ 갤러리Hì—서 ì¡¸ì—…ì „ì„ ê°œìµœí•œë‹¤.
서울 성ë¶êµ¬ì— 있는 ë™ë°©í‰ìƒêµìœ¡ì›ì˜ 민화êµìœ¡ê°•ì‚¬ê³¼ì •ì€ ì„œì˜ˆê°€ë¡œë„ í™œë™í•˜ëŠ” 남ì˜ë¡ 작가가 ì±…ìž„êµìˆ˜ë¥¼ ë§¡ì•„ ìž‘ë…„ì— ê°œì„¤ë다. 민화와 ì—°ê´€ëœ ì˜ˆìˆ ë¶„ì•¼ì˜ ê¶Œìœ„ 있는 전문가가 ì´ë¡ ê³¼ 실기를 1ë…„ êµìœ¡ê³¼ì •(매학기 16주)으로 êµìœ¡í•˜ë©°, 실기 세부과목으로는 ì´ì˜ìˆ™ êµìˆ˜ì˜ 전통민화, 노호남 êµìˆ˜ì˜ 실용민화, ì†¡ë¬¸ì„ êµìˆ˜ì˜ 공필화, ìµœìˆœí™ êµìˆ˜ì˜ ì „ê°ì´ 있다. 타 êµìœ¡ê¸°ê´€ì˜ ì§€ë„ìžê³¼ì •ê³¼ 달리 민화를 다양한 조형언어로 가르치는 ì ì´ 차별화ë다. 수강ìƒì€ ì´ ê³¼ì •ì„ ìˆ˜ë£Œí•˜ê³  민화지ë„사 1급 ìžê²©ê²€ì •ì‹œí—˜ì— í•©ê²©í•˜ë©´, 한국ì§ì—…ëŠ¥ë ¥ê°œë°œì› ì¸ì¦ ìžê²©ì¦ì„ 받아 민화êµìœ¡ê°•사로 활ë™í•  수 있다.
남ì˜ë¡ ì±…ìž„êµìˆ˜ëŠ” 현대민화 ê³¼ëª©ë„ ì¶”ê°€ë¡œ 개설할 예정ì´ë¼ë©° “지ë„êµìˆ˜ë“¤ì˜ ì—´ì •ì— íž˜ìž…ì–´ 1기 수료ìƒë“¤ì´ êµìœ¡ê³¼ì •ì„ ë¬´ì‚¬ížˆ 마ì³ì„œ 고마운 마ìŒì´ í½ë‹ˆë‹¤. 졸업 후 ê°ìžì˜ ìžë¦¬ì—서 민화 ì§€ë„ìžë¡œì„œ ë‚®ì€ ìžì„¸ë¡œ 민화 êµìœ¡ì— 힘ì¨ì£¼ê¸¸ ë°”ëžë‹ˆë‹¤â€ë¼ê³  소ê°ì„ 전했다.
ì´ë²ˆ 졸업전ì—는 권선준, ê¹€ì˜ì˜¥, 김혜경, 남정호, 박혜경, ì´ëª…ì„ , ì´ì˜í¬, ì´ì •í¬ 8ëª…ì˜ ìž‘ê°€ê°€ 참여해, 1ë…„ê°„ 수업한 ë‚´ìš©ì„ í† ëŒ€ë¡œ ê° 4ì ì”© ì´ 32ì ì˜ ìž‘í’ˆì„ ë°œí‘œí•œë‹¤.

ì´ëª…ì„ , <ì¼ì›”오봉ë„>

새로운 시ê°ìœ¼ë¡œ ë¯¼í™”ì˜ ëŒ€ì¤‘í™”ì— ì•žìž¥ì„œë‹¤

1기 ìˆ˜ë£Œìƒ ì¤‘ì—는 ì´ë¯¸ 전통과 창작 분야ì—서 실력파로 알려진 민화 ìž‘ê°€ë“¤ì´ ëˆˆì— ëˆë‹¤. ê·¸ë“¤ì€ ì‹¤ìš©ë¯¼í™”, 공필화, ì „ê°ê¹Œì§€ 고루 섭렵하여 ê·¸ë¦¼ì— ëŒ€í•œ 시야를 넓히고, ë¯¼í™”ì˜ ëŒ€ì¤‘í™”ì— ì•žìž¥ì„¤ 수 있는 ì—­ëŸ‰ì„ ê°–ì¶”ê³ ìž ë™ë°©í‰ìƒêµìœ¡ì›ì„ 찾아왔다고 한다.
<호렵ë„>를 완성한 ê¹€ì˜ì˜¥ 작가는 “창작민화를 주로 작업하다가 전통민화를 좀 ë” ì²´ê³„ì ìœ¼ë¡œ 배워 미술 ì‹¬ë¦¬ì¹˜ë£Œì— í™œìš©í•˜ë ¤ê³  민화êµìœ¡ê°•ì‚¬ê³¼ì •ì„ ê³µë¶€í•˜ê²Œ ë습니다â€ë¼ê³  ë§í–ˆìœ¼ë©°, ê¸ˆê°•ì‚°ì´ í‘œí˜„ëœ ë¶€ì±„ë¥¼ 출품한 김혜경 작가는 “민화란 ì¼ë°˜ì¸ë“¤ì´ 소ë§ì„ ë‹´ì•„ ìƒí™œê³µê°„ì„ ìž¥ì‹í•œ 실용미술입니다. ì²­ì†Œë…„ë“¤ì´ ë¯¼í™”ë¥¼ 통해 ê¿ˆì„ ê°€ê¿€ 수 있ë„ë¡ ìƒí™œ ì† ë¯¸ìˆ ì„ ê°€ë¥´ì¹˜ê³  ì‹¶ì–´ìš”â€ë¼ê³  í¬ë¶€ë¥¼ ë°í˜”다.
특히 ì¤‘êµ­ì˜ ì „í†µíšŒí™”ì¸ ê³µí•„í™”å·¥ç­†ç•µëŠ” 가는 붓으로 대ìƒë¬¼ì„ ì •êµí•˜ê²Œ 그리는 기법과 비단 ìœ„ì— ìˆ˜ì‹­ 차례 반복ë˜ëŠ” ì„ ì—¼æ¸²æŸ“ì„ í†µí•´ ìž‘í’ˆì´ ì™„ì„±ëœë‹¤. ì´ë ‡ê²Œ 얻는 그러ë°ì´ì…˜ 효과는 ë¯¼í™”ì˜ ë°”ë¦¼ 기법과 밀접하다. ë˜í•œ ì¡°ì„  시대 ë„화서 í™”ì›ë“¤ì€ 공필화 ê³„í†µì˜ ê·¸ë¦¼ì„ ê·¸ë ¸ë‹¤ê³  알려졌다.
전통민화 <십장ìƒë„>와 함께 공필화 <모란ë„>를 ì„ ë³´ì¸ ë°•í˜œê²½ 작가는 수업으로 경험한 ê²ƒì„ ë§Žì€ ì‚¬ëžŒê³¼ 나누고 싶다며 ì „ì‹œì— ëŒ€í•œ 기대ê°ì„ 보였다.
“전통민화를 공부하며 한계를 ëŠë‚„ 때가 ìžˆì—ˆëŠ”ë° ë¯¼í™”ì™€ ê³µí•„í™”ì˜ ìž‘ë²• ì°¨ì´, 현대ì—서 요구ë˜ëŠ” ë¯¼í™”ì˜ ì‹¤ìš©ì„±ì„ ì•Œê²Œ ë˜ë©´ì„œ 사고를 확장하게 ëì–´ìš”. ì´ê³³ì—서 ë°°ìš´ 다양한 í™”ë²•ì´ ì•žìœ¼ë¡œì˜ ìž‘í’ˆ 활ë™ì—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â€
ë™ë°©í‰ìƒêµìœ¡ì›ì—서 민화êµìœ¡ê°•ì‚¬ê³¼ì •ì„ ë§ˆì¹˜ë©° 전환ì ì„ 만든 작가들. ê·¸ë“¤ì˜ ìƒˆë¡œìš´ ê°€ëŠ¥ì„±ì´ í™˜í•œ ë“±ë¶ˆì´ ë˜ì–´ ë¯¼í™”ì˜ ì•žê¸¸ì— ë“ ë“ í•œ ë™ë°˜ìžê°€ ë˜ì–´ì£¼ë¦¬ë¼.

 

<ë™ë°©í‰ìƒêµìœ¡ì› 민화êµìœ¡ê°•사과정 졸업전>
9ì›” 2ì¼(수) ~ 9ì›” 8ì¼(í™”)
ê°œë§‰ì‹ 9ì›” 2ì¼(수) 오후 5시
갤러리H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