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야 김현ìžì˜ 채색화 문양실기 – ‘국화꽃 문양’ 그리기

옛 문ì¸ë“¤ì€ 국화를 사랑했다. 국화는 ì¸ê³ ì™€ ì ˆê°œì˜ ìƒì§•ì„ ë„˜ì–´ êµ°ìžì˜ ìží™”ìƒì„ ìƒì§•하는 꽃ì´ì—ˆë‹¤. ë˜í•œ ê³ ì–‘ì´, 나비, 참새 등과 함께 그려지며 장수를 ì˜ë¯¸í•˜ëŠ” 꽃ì´ê¸°ë„ 했다. 여러모로 ì‚¶ì„ ìƒê°ê²Œ 하는 꽃, 아름다운 국화를 그려보ë„ë¡ í•˜ìž.


민화ì—서 ì¦ê²¨ 그려진 국화는 고답高è¸ì˜ 경지ì—서 지조를 지키는 ì€ìžì— 비유ë˜ì—ˆë‹¤. 오ìƒê³ ì ˆå‚²éœœå­¤ç¯€ì˜ ì˜ë¯¸ 그대로 늦서리가 내릴 때 ê½ƒì„ í”¼ìš°ë©° ì€ì€í•œ 향기를 발산하기 때문ì´ë‹¤. 그래서 국화는 한화寒花, ìƒì˜éœœè‹±ìœ¼ë¡œë„ 불린다. ëª¨ë‘ ì¶”ìœ„ë¥¼ ì´ê²¨ë‚´ê³  ê½ƒì„ í”¼ìš°ëŠ” ì„±ì§ˆì„ ë†’ì´ ì‚° ì´ë¦„들ì´ë‹¤. 문ì¸ë“¤ì€ 국화를 ì•„ë¼ë©° ì§‘ ì£¼ë³€ì— ì‹¬ê³  날마다 ê°ìƒí•˜ì—¬ ì •ì‹ ì„ ë§‘ê²Œ 했다. 국화와 함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ì¸ë¬¼ì´ ì¤‘êµ­ì˜ ì „ì› ì‹œì¸ ë„연명陶淵明으로, 그는 í‰ì†Œ 소나무, 대나무와 함께 국화를 심고 날마다 찾아가 보곤 í•´ 오솔길 ì…‹ì´ ìƒê²¼ë‹¤ëŠ” ì´ì•¼ê¸°ê°€ 전해진다. 그가 ê´€ì§ì„ 버리고 ê³ í–¥ì´ ì‹œê³¨ì—서 ìŠì—ˆë‹¤ëŠ” ëŒ€í‘œì  ì‹œ <귀거래사歸去來辭>ì—는 그가 ë™ìª½ 울타리 ë°‘ì˜ êµ­í™”ë¥¼ ë”°ë©° í•œê°€ë¡œì´ ë‚¨ì‚°ì„ ë°”ë¼ë³´ëŠ” ë‚´ìš©ì´ ë“±ìž¥í•œë‹¤.

세 갈래 ê¸¸ì€ ìž¡ì´ˆê°€ 무성하지만
소나무와 국화는 남아있다.
– ë„연명, <귀거래사>

ì„ ë¹„ì˜ ì§€ì¡°ë‚˜ 절개 ë¿ ì•„ë‹ˆë¼ ìž¥ìˆ˜ì˜ ê¸°ì› ë˜í•œ êµ­í™” ê·¸ë¦¼ì˜ ì¤‘ìš”í•œ ìš©ë„ì´ë©° 가치였다. 실제로 국화는 약재로 ì‚¬ìš©ë  ë§Œí¼ íš¨ê³¼ ì¢‹ì€ ì•½ìš©ì‹ë¬¼ì´ë©° 불로장ìƒê³¼ ê´€ë ¨ëœ ì´ì•¼ê¸°ì— 국화가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â€œì¤‘êµ­ì˜ ë‚¨ì–‘ 역현ì—는 ë‹¨ë§›ì´ ë‚˜ëŠ” ê³„ê³¡ë¬¼ì´ ìžˆë‹¤. 물ì—서 ë‹¨ë§›ì´ ë‚˜ëŠ” ê¹Œë‹­ì€ ê³„ê³¡ì˜ ìƒë¥˜ì— ê°êµ­ç”˜èŠì´ ìžë¼ê³  있기 때문ì´ë‹¤. êµ­í™” ê½ƒìžŽì´ ê³„ê³¡ë¬¼ë¡œ ë–¨ì–´ì§€ëŠ”ë° ì‹œê°„ì´ ì§€ë‚˜ë©´ì„œ ë¬¼ë§›ì´ ë³€í•œ 것ì´ë‹¤. ì´ ê³¨ì§œê¸°ì— ì‚¬ëŠ” ì‚¬ëžŒë“¤ì€ ìš°ë¬¼ì„ íŒŒì§€ 않고 ê³„ê³¡ë¬¼ì„ ë§ˆì…¨ëŠ”ë° ëŠ™ì§€ 않고 오래 사는 ì´ê°€ 많았다. 나ì´ê°€ ë§Žì€ ì‚¬ëžŒì€ ë°±ì‚¬ì‹­ì˜¤ì„¸ìš”, ì•„ëž˜ì¸ ì‚¬ëžŒë„ íŒ”êµ¬ì‹­ìœ¼ë¡œ 그보다 먼저 세ìƒì„ 뜨는 ì´ê°€ 없었으니 ëª¨ë‘ ì´ êµ­í™”ì˜ íž˜ì„ ì–»ì–´ì„œì´ë‹¤.â€
– 중국 진나ë¼ì˜ ê°ˆí™, 《í¬ë°•ìžæŠ±æœ´å­ã€‹

ì´ì™€ ê°™ì´ êµ­í™” ê·¸ë¦¼ì€ ë‹¤ì–‘í•œ ì˜ë¯¸ë¥¼ 바탕으로 ë§Žì€ ì´ë“¤ì˜ 기호와 ì·¨í–¥ì„ ë§Œì¡±ì‹œì¼œ 오래ë„ë¡ ì‚¬ëž‘ë°›ì•˜ë‹¤.



글·그림 김현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