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ìš•í•œêµ­ë¬¸í™”ì› ì•ˆì„±ë¯¼ 특별전 – 전통과 í˜„ëŒ€ì˜ ë¯¼í™”, 경계ì—서 대화하다

지난 3ì›” 11ì¼ ë‰´ìš•í•œêµ­ë¬¸í™”ì›ì´ 개최한 안성민 ìž‘ê°€ì˜ íŠ¹ë³„ì „ì€
ì—­ë™ì ì´ê³  강렬한 ìƒ‰ì±„ì˜ íšŒí™” ìž‘í’ˆì„ í†µí•´ ë™ì‹œëŒ€ë¯¸ìˆ ì˜ 모티브가 ëœ ë¯¼í™”ë¥¼ 조명하는 ìžë¦¬ì˜€ë‹¤.

– 글 김해연 사진, ì˜ìƒ 뉴욕한국문화ì›


뉴욕한국문화ì›(ì›ìž¥ 조윤ì¦)ì´ ì§€ë‚œ 3ì›” 11ì¼ 2020ë…„ë„ ì•„ì‹œì•„ìœ„í¬ íŠ¹ë³„ì „ìœ¼ë¡œ 안성민 ìž‘ê°€ì˜ ë¥¼ 개최했다. ì´ë²ˆ 전시는 전통과 현대, ë™ì–‘ê³¼ 서양ì´ë¼ëŠ” ì‹œê³µê°„ì„ ì•„ìš°ë¥´ëŠ” ìž‘í’ˆë“¤ì„ í•œ ìžë¦¬ì—서 ë³¼ 수 있ë„ë¡ ë‰´ìš•ì—서 매년 3ì›”ì— ì—´ë¦¬ëŠ” 대규모 ë™ì–‘ 미술 í–‰ì‚¬ì¸ ì•„ì‹œì•„ìœ„í¬ì— ë§žì¶° 기íšë다. ì´ ê¸°ê°„ì— í˜„ëŒ€ë¯¸ìˆ ì˜ ì¤‘ì‹¬ì§€ì¸ ë‰´ìš•ì€ ì „ 세계ì—서 방문하는 미술계 전문ì¸ë“¤ë¡œ ë¶ë¹ˆë‹¤. 전통ì ì¸ 민화 ìž‘í’ˆì€ í•œêµ­ 고미술 전문 ê°¤ëŸ¬ë¦¬ì¸ ê°•ì»¬ë ‰ì…˜(KANG COLLECTION)ì—서 대여했는ë°, ë‰´ìš•ì— ê¸°ë°˜ì„ ë‘” ê¸°ê´€ë“¤ì´ ì„œë¡œ 협력해 í•œêµ­ì˜ ì „í†µê³¼ 현대를 ë™ì‹œì— 보여줄 수 있는 전시를 마련했다는 ì ì—서 ì˜ë¯¸ 있는 전시가 ì•„ë‹ê¹Œ ìƒê°í•œë‹¤.
ì „ì‹œìž¥ì— ë“¤ì–´ì„œë©´ í•œêµ­ì˜ ì „í†µë¬¸í™”ë¥¼ 현대ì ìœ¼ë¡œ 재해ì„한 ìž‘í’ˆë“¤ì´ ë‹¤ì–‘í•œ ë°©ì‹ìœ¼ë¡œ 구성ë˜ì–´ 있다. 조명과 벽면 ë°”íƒ•ìƒ‰ì„ í™œìš©í•˜ê³ , 갤러리 ë°–ì— ìžˆëŠ” 전통 ì‚¬ëž‘ë°©ì— ìž‘í’ˆì„ ë°°ì¹˜í•˜ëŠ” 등 관람ê°ì´ 다ê°ì ìœ¼ë¡œ ê·¸ë¦¼ì„ ê°ìƒí•  수 있ë„ë¡ ì˜ë„한 ë¶€ë¶„ì´ ë‹ë³´ì¸ë‹¤. 특히 책거리를 소재로 한 ì˜ ë°˜ëŒ€íŽ¸ 벽면ì—는 전통 책거리가 전시ë˜ì–´, 마치 100ì—¬ ë…„ì´ë¼ëŠ” ì‹œê°„ì„ ê°€ë¡œì§ˆëŸ¬ 서로 대화를 나누는 듯한 ì¸ìƒì„ 주는 ê²ƒì´ í¥ë¯¸ë¡­ë‹¤. ì´ëŸ¬í•œ 배치는 관람ìžê°€ ìž‘í’ˆì„ ì„œë¡œ 비êµí•˜ë©° ë³¼ 수 있어 시ê°ì ìœ¼ë¡œ 매우 효과ì ì´ë‹¤.
안성민 ìž‘ê°€ì˜ ìž‘í’ˆì€ ë§¤ìš° ë…ì°½ì ì´ë‹¤. 한국과 미국ì´ë¼ëŠ” 서로 다른 문화권ì—ì„œì˜ í•™ìŠµê³¼ ê²½í—˜ì„ í† ëŒ€ë¡œ í•œêµ­ì˜ ì „í†µ íšŒí™”ì¸ ë¯¼í™”ë¥¼ 재해ì„하여 ìžì‹ ë§Œì˜ 작품 세계를 펼ì³ëƒˆë‹¤. 산수화, 책거리, ëª¨ëž€ë„ ë“± 민화ì—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기존 ì–‘ì‹ì— 색다르게 ê°€ë¯¸ëœ ëª¨í‹°ë¸Œì™€ 표현법ì—서 ê·¸ 경계를 ë„˜ì–´ì„œê³ ìž í•˜ëŠ” ìž‘ê°€ì˜ ë„ì „ ì •ì‹ ì´ ì—¿ë³´ì¸ë‹¤. 예를 들면, 전시장 입구ì—서 정면으로 ë³´ì´ëŠ” ìž‘í’ˆì„ í†µí•´ ë™ì„œì–‘ì˜ ê²½ê³„ë¥¼ 허물고 다문화가 공존하는 세계를 지향하는 ì˜ì‹ì´ ë°˜ì˜ë˜ì–´ 있ìŒì„ 알 수 있다. ë˜í•œ 작가는 전통 ë¯¼í™”ì˜ ê°•ë ¬í•œ 색채를 ìž¬í˜„í•˜ë©´ì„œë„ ìƒˆë¡œìš´ ë°©ì‹ìœ¼ë¡œ 조합하여 ì—­ë™ì ìœ¼ë¡œ 풀어낸다. ì„œì–‘ì˜ ì°»ìž”ê³¼ ë™ì–‘ì˜ êµ­ìˆ˜ë¥¼ 혼합한 모티브는 화면 안ì—서 ë™ì–‘ê³¼ 서양ì´ë¼ëŠ” ë¬¸í™”ì˜ êµ¬ë¶„ì„ ëª¨í˜¸í•˜ê²Œ 만들며, 찻잔ì—서는 국수와 날카로운 산봉우리가 마치 ì—너지가 뿜어져 나오는 ë“¯ì´ ë¶„ì¶œë˜ì–´ 나온다. ë¼ëŠ” ìž‘í’ˆì˜ ìˆ˜ë‚©ìž¥ì—서는 수묵으로 그려진 ì‚°ì´ ë‚˜ì™€ ì ì  비대해지면서 화면 ë°– 관람ê°ì˜ 공간으로 나온다. 전통 민화가 2ì°¨ì›ì ì¸ í‰ë©´ì— 머물러 있다면, 안 ìž‘ê°€ì˜ ìž‘í’ˆì€ ê¹Šì€ ê³µê°„ê°ê³¼ ë™ì ì¸ 표현법으로 í™”ë©´ì´ ê´€ëžŒê°ì—게 다가오는 것처럼 착시 현ìƒì„ ì¼ìœ¼í‚¤ë©´ì„œ 작품과 ê´€ëžŒê° ì‚¬ì´ì˜ 거리ê°ì„ ì¢ížŒë‹¤.

전통 책거리 병í’ì˜ ë§žì€íŽ¸ì— ì „ì‹œëœ ëŠ” 작가가 전통 ë¯¼í™”ì¸ ì±…ê±°ë¦¬ë¥¼ 현대ì ì´ê³  ì² í•™ì ìœ¼ë¡œ 재해ì„한 작품ì´ë‹¤. 병í’ì€ í™”ë©´ì„ ì§€ê·¸ìž¬ê·¸ë¡œ 세워부분서 그림 ì† ëª¨í‹°ë¸Œê°€ ê°ìƒìžì—게 ê°€ê¹ê±°ë‚˜ 멀게 ëŠê»´ì§€ë„ë¡ í•˜ëŠ” ìž…ì²´ì ì¸ 형ì‹ì´ë‹¤. ì¼ë°˜ì ìœ¼ë¡œ 전통 책거리는 병í’으로 제작ë˜ì—ˆìœ¼ë‚˜, ì´ ìž‘í’ˆì€ ë³‘í’ì´ ì•„ë‹Œ 캔버스와 ê°™ì€ íŽ¸í‰í•œ íŒ ìœ„ë¡œ ìž¥í™©ì„ í–ˆë‹¤. 작가는 병í’ê³¼ 전혀 다른 형ì‹ì„ ì„ íƒí•˜ê³ , 형광 안료와 조명 등 현대 ê¸°ìˆ ì„ í™œìš©í•´ ìž…ì²´ê°ì„ 구현하였다. ë˜í•œ ìž‘í’ˆì˜ êµ¬ë„ì—는 전통 ë¯¼í™”ì˜ ì—­ì›ê·¼ë²•ì„ ì‚¬ìš©í•˜ê³  있으나, ì„œì–‘ì‹ ì›ê·¼ë²•ë„ ì ìš©í•˜ì—¬ 새로운 공간 í‘œí˜„ì„ ì°½ì¶œí•´ë‚´ê³  있다. ìž‘ê°€ì˜ ë˜ ë‹¤ë¥¸ 책거리 ìž‘í’ˆì¸ ì€ ê°¤ëŸ¬ë¦¬ ë°–ì— ìžˆëŠ” 전통 ì‚¬ëž‘ë°©ì— ì „ì‹œë다. ê°€ 전통 책거리 병í’ê³¼ 마주 ë³´ë©° 대화하고 있다면, 화면 ì¤‘ì•™ì— ì„œì–‘ì‹ ì˜ìžë¥¼ 그려 ë„£ì€ ì´ ìž‘í’ˆì€ ì „í†µ 공간과 대화하는 ëŠë‚Œì´ë‹¤.
í•„ìžê°€ ì „ì‹œìž¥ì„ ë°©ë¬¸í–ˆì„ ë•Œ 코로나바ì´ëŸ¬ìŠ¤ì˜ ì—¬íŒŒë¡œ 전시가 ì¼ë°˜ 관람ê°ì—게 공개ë˜ì§€ 않았ìŒì—ë„ ë¶ˆêµ¬í•˜ê³ , 미국 ë‚´ êµ´ì§€ì˜ ë¯¸ìˆ ê´€ 관계ìžë“¤ì´ 별ë„로 예약하고 관람할 ì •ë„로 í˜„ì§€ì˜ ê´€ì‹¬ì´ ë†’ë‹¤ëŠ” ì‚¬ì‹¤ì„ í™•ì¸í•  수 있었다. ì•„ì‰½ê²Œë„ ì „ì‹œëŠ” 현재 ì¼ì‹œ ì¤‘ë‹¨ëœ ìƒíƒœì´ì§€ë§Œ, ë‰´ìš•í•œêµ­ë¬¸í™”ì› ì›¹ì‚¬ì´íŠ¸ë¥¼ 통해 ìž‘í’ˆë“¤ì„ ë§Œë‚˜ë³¼ 수 있다.


김해연 | ì»¬ëŸ¼ë¹„ì•„ëŒ€í•™êµ ë¯¸ìˆ ì‚¬í•™ê³¼ 박사과정

ê³ ë ¤ëŒ€í•™êµ ì˜ì–´ì˜ë¬¸í•™ê³¼ë¥¼ 졸업하고 현재 컬럼비아대학êµì—서
ì¼ë³¸ë¯¸ìˆ ì‚¬ë¥¼ 전공하고 있다.
ë‰´ìš•ì˜ í€¸ì¦ˆ 미술관과 구ê²í•˜ìž„미술관, í¬ë¦¬ìŠ¤í‹° 옥션 등ì—서 ì¸í„´ìœ¼ë¡œ 근무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