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ë­‡ìžŽì„ ê·¸ë¦¬ëŠ” ì ë²•, ì‚°ê³¼ 바위를 그리는 준법

ë‚˜ë­‡ìžŽì„ ê·¸ë¦¬ëŠ” ì ë²• ì‚°ê³¼ 바위를 그리는 준법

지난 호ì—서는 나무줄기와 가지를 그려보았다. ì´ì œ ë‚˜ë¬´ì— ìƒê¸°ë¥¼ ë”하는 ë‚˜ë­‡ìžŽì„ ê·¸ë ¤ë³¼ 차례. 솔잎과 ê°™ì€ ì¹¨ì—½ìˆ˜ì˜ ìžŽì„ ê·¸ë¦¬ëŠ” 송엽ì ê³¼ 오ë™ë‚˜ë¬´, 버드나무처럼 활엽수를 그리는 ì ë²•ì„ ëª¨ë‘ ì‚´íŽ´ë³´ë ¤ê³  한다. ë˜ ë°”ìœ„ì™€ 산세, ì§€í˜•ì„ í‘œí˜„í•˜ëŠ” ì¤€ë²•ì˜ ì‚¬ìš©ì— ëŒ€í•´ì„œë„ ì§šì–´ë³´ìž.

1.침엽수 잎 그리기
차륜법

▲차륜법

사군ìžì™€ 십장ìƒì˜ í•˜ë‚˜ì¸ ì†Œë‚˜ë¬´ëŠ” ë™ì–‘í™”ì—서 빠질 수 없는 소재였다. 특히 우리나ë¼ì²˜ëŸ¼ 소나무가 ë§Žì€ ìˆ²ì„ ì§€ë‹Œ 환경ì—서는 ë”ìš± 친밀할 ìˆ˜ë°–ì— ì—†ëŠ” 수종ì´ë‹¤. ì¹¨ì—½ìˆ˜ì˜ ìžŽì€ ë°”ëŠ˜ì²˜ëŸ¼ 뾰족한 선으로 ê·¸ë¦¬ëŠ”ë° ì´ë¥¼ 송엽ì ë²•ì´ë¼ê³  한다.
ì°¨ë¥œë²•ì€ ë§ê·¸ëŒ€ë¡œ 수레바퀴를 그린다고 ìƒê°í•˜ê³  중심ì—서부터 차례로 ì„ ì„ ê·¸ë ¤ë‚˜ê°„ë‹¤. ì†”ë°©ìš¸ë„ ê°™ì€ ìˆœì„œë¡œ 그린다. ë°˜ì°¨ë¥œë²•ì€ ìœ„ìª½ì´ ë™ê·¸ëž€ ë°˜ì›ì²˜ëŸ¼ ì°¨ë¥œë²•ì˜ ë°˜ë§Œ 그려 ìžŽì„ í‘œí˜„í•œë‹¤.
ë‚œì¹¨ë²•ì€ ë°”ëŠ˜ì´ í©ì–´ì ¸ìžˆë‹¤ëŠ” 뜻으로 ì¤‘ì‹¬ì„ ê³ ì •ì‹œí‚¤ì§€ 않고 ìžìœ ë¶„방하게 그리는 방법ì´ë‹¤. ì‘용법으로 ë¶“ëì„ ê°ˆë¼ì§€ê²Œ 해서 그린 ë‚œì¹¨ë²•ì„ íŒŒí•„ë‚œì¹¨ë²•ì´ë¼ê³  한다. ì ì€ íšìœ¼ë¡œë„ í’성해 ë³´ì´ëŠ” 효과가 있다.
톱니법ì´ë¼ê³ ë„ 하는 ê±°ì¹˜ë²•ì€ ìžŽì„ í†±ë‚ ì²˜ëŸ¼ 그리는 ë°©ì‹ì´ë‹¤. ìž¥ê±°ì¹˜ë²•ì€ í†±ë‚ ì„ ìœ„ë¡œê°€ê²Œ 그리고 ë‹¨ê±°ì¹˜ë²•ì€ í†±ë‚ ì„ ì§§ê²Œ 그리는 ë°©ì‹ì„ ë§í•œë‹¤. 마치 ì ì²˜ëŸ¼ ë”ìš± 짧게 그리는 ê±°ì¹˜ë²•ì€ ì ê±°ì¹˜ë²•ì´ë¼ê³  한다.

2.활엽수 잎 그리기

ìžŽì´ ë„“ì–´ ì—¬ë¦„ì— ì‹œì›í•œ ê·¸ëŠ˜ì„ ë§Œë“¤ì–´ì£¼ëŠ” 활엽수는 늘 푸른 ìƒë¡í™œì—½ìˆ˜ì™€ 단í’ì´ ë“œëŠ” 낙엽활엽수로 나뉜다.
보통 위쪽ì´ë‚˜ 중심부분ì—는 ìžŽì„ í¬ê³  진하게 그리고, 아래나 외곽부분ì—는 작고 í리게 ì ì„ ì°ê±°ë‚˜ ì„ ì„ ê¸‹ëŠ”ë‹¤. í•„ìš”ì— ë”°ë¼ ìžŽë§¥ì„ ì¶”ê°€ë¡œ 그려 넣어 ì‚¬ì‹¤ì„±ì„ ë”한다. ì±„ìƒ‰ì— ë”°ë¥¸ 구분으로는 먹으로 한 ë²ˆì— ìœ¤ê³½ê³¼ ë©´ì ì˜ 채색까지 하는 ì ì—½ë²•(點葉法)ê³¼ ìœ¤ê³½ì„ ì„ ê·¸ë¦¬ê³  ë‚´ë¶€ì— ë”°ë¡œ ì±„ìƒ‰ì„ í•˜ëŠ” 협엽법(夾葉法)으로 나눈다.
나무마다 ê°ì–‘ê°ìƒ‰ì˜ ë‚˜ë­‡ìžŽì„ ê°€ì§€ê³  있다. ë”°ë¼ì„œ í™œì—½ìˆ˜ì˜ ìžŽì„ ê·¸ë¦¬ëŠ” ë°©ë²•ë„ ë”ìš± 다양하다. 대표ì ìœ¼ë¡œ 사용하는 ê²ƒì´ ì ë²•(點法)ì¸ë°, 그중 몇 가지를 나열해보면 다ìŒê³¼ 같다.
한ìžì˜ ë¼ì¼ ê°œ(介)ìž ëª¨ì–‘ìœ¼ë¡œ 그린 ê°œìžì , 차륜법과 유사한 êµ­í™”ì , 반차륜법과 비슷한 수조ì , 오ë™ìžŽì„ 그리고 ìžŽë§¥ì„ ê·¸ë ¤ë„£ëŠ” 오ë™ì , ë¶“ì„ ëˆ•í˜€ ì°ì–´ 무성한 ì—¬ë¦„ìžŽì„ ë‚˜íƒ€ë‚´ëŠ” 대혼ì ê³¼ 그보다 조금 ìž‘ì€ ì†Œí˜¼ì , 후추알갱ì´ì²˜ëŸ¼ 둥근 ì ì„ 조밀하게 ì°ëŠ” 호초ì , 나무 줄기나 ë°”ìœ„ì— ì°ì–´ ì´ë¼ë¥¼ 표현하고 í™”ë©´ì— ë³€í™”ë¥¼ 주는 íƒœì  ë“± 서른 가지가 넘는 다양한 ì ë²•ì´ ì „í•´ì§„ë‹¤.

활엽수 잎 그리기

3.ì•”ì„ ê·¸ë¦¬ê¸°

ì•”ì„ì„ ê·¸ë¦¬ëŠ” ë²•ì„ ìˆœì„œëŒ€ë¡œ 살펴보ìž. ìš°ì„  ìœ¤ê³½ì„ ìž¡ëŠ”ë‹¤. 옛ë§ì— ì„유삼면(石有三é¢)ì´ë¼ëŠ” ë§ì´ 있는ë°, ë°”ìœ„ì— ìœ—ë©´, ì •ë©´, ì¸¡ë©´ì´ ê°ê° 다른 ë©´ì´ ìžˆìŒì„ ì´ë¥´ëŠ” ë§ì´ë‹¤. 보통 ì•”ì„ì„ ê·¸ë¦´ 때는 3ê°œ í˜¹ì€ ëª‡ ê°œì˜ ë©´ìœ¼ë¡œ 나누어 그린다. ìž…ì²´ê°ê³¼ ì–‘ê°(부피ê°), 질ê°, 명암 ë“±ì„ í‘œí˜„í•˜ê¸° 위해 ì¤€ë²•ì„ ì‹¤ì‹œí•˜ê³  태ì ì„ ì°ê³  ì„ ì—¼ì„ í•œë‹¤.
그리는 ë°©ì‹ì€ 먹 한가지로 ë†ë‹´ì— 변화를 주어 그리는 ë°©ì‹, 먹과 ìƒ‰ì„ ë³€ìš©í•´ì„œ 그리는 ë°©ì‹, 먹과 ìƒ‰ì„ í˜¼ìš©í•´ì„œ 그리는 ë°©ì‹, 색만으로 그리는 ë°©ì‹ì´ 있다.
바위는 하나를 따로 그리거나 ì—¬ëŸ¿ì´ ë¬´ë¦¬ì§€ì–´ 있는 ëª¨ìŠµì„ ê·¸ë¦¬ê²Œ ë˜ëŠ”ë° ëŒ€ê°„ì†Œë²•ì€ í° ëŒì— ìž‘ì€ ëŒì´ 몇 ê°œ ì„žì¸ êµ¬ë„를 ë§í•˜ê³ , ì†Œê°„ëŒ€ë²•ì€ ìž‘ì€ ëŒ ì‚¬ì´ì— í° ëŒì´ 섞어 그리는 ë°©ë²•ì„ ëœ»í•œë‹¤.
질ê°ê³¼ ì–‘ê°, ìž…ì²´ê°ì´ 복잡한 바위를 표현하기 위해 í™”ê°€ë“¤ì€ ê³ ì‹¬ì— ê³ ì‹¬ì„ ê±°ë“­í•˜ì—¬ 다양한 í™”ë²•ì„ ì‹œë„해왔다. 앞서 ë§í•œ ì ë²•ë„ ë‚˜ë­‡ìžŽë¿ë§Œ ì•„ë‹ˆë¼ ëŒì„ 그릴 ë•Œë„ ì‚¬ìš©ë˜ì—ˆë‹¤. ë¨¹ì„ ì‚¬ìš©í•˜ëŠ” ë°©ë²•ì¸ ìš©ë¬µë²•, ë¶“ì„ ì‚¬ìš©í•˜ëŠ” ë°©ë²•ì¸ ìš©í•„ë²•, ìƒ‰ì„ ìž…ížˆëŠ” 염법 ë“±ì´ ìžˆë‹¤. ì´ë²ˆ 호ì—서는 가장 중요한 화법으로 준법(皴法)ì„ ë¨¼ì € 살펴보ìž.

ì•”ì„ ê·¸ë¦¬ê¸°

ì¤€ë²•ì˜ íŠ¹ì§•ê³¼ 활용

ì•”ì„ì˜ ì¤€ë²•ì€ ë°”ìœ„ ì™¸ê³½ì„ ì„ ê·¸ë¦¬ê³  골(곡)ì— ì„ ì„ ê¸‹ëŠ” ê²ƒì„ ë§í•œë‹¤. 준법마다 창시한 화가나 í™”íŒŒì˜ ê°œì„±ê³¼ íŠ¹ì§•ì´ ë¬»ì–´ë‚œë‹¤. ê° íŠ¹ì§•ì„ ìž˜ ì´í•´í•´ì„œ ì ìž¬ì ì†Œì— ì´ìš©í•˜ë„ë¡ í•œë‹¤.

피마준(披麻皴)ì‚¼ë² ì˜ ê»ì§ˆì„ 뜻하는 í”¼ë§ˆì¤€ì€ ë¬¼ê³¼ ë¨¹ì„ ì¡°ê¸ˆ ì ì…” 마른 붓으로 거칠게 그려내는 준법ì´ë‹¤. í™ì´ ë§Žì€ ì‚°ì˜ í‘œë©´ì„ ê·¸ë¦´ 때 사용하며 ë² ì˜ ì˜¬ì„ í’€ì–´ ë†“ì€ ë“¯ 수í‰ìœ¼ë¡œ 길게 ì„ ì„ ê·¸ë ¤ë‚¸ë‹¤. 길ì´ì— ë”°ë¼ ìž¥í”¼ë§ˆì¤€ê³¼ 단피마준으로 나눈다.
난마준(亂麻皴) í”¼ë§ˆì¤€ì„ ì‘용한 것으로 í•„ì„ ì´ í•œ ë°©í–¥ì´ ì•„ë‹ˆë¼ ì„œë¡œ êµì°¨ë˜ê²Œ 그린다.
부벽준(斧劈皴)산수화ì—서 ë„ë¼ë¡œ ì°ì–´ë‚¸ 듯한 ìžêµ­ì„ 남겨 표현하는 방법ì´ë‹¤. ë°”ìœ„ì˜ ëª¨ì„œë¦¬ë‚˜ 그야ë§ë¡œ 깎아지른 듯 험악한 ì‚°ì„¸ì˜ ìž…ì²´ê°ê³¼ 질ê°ì„ 살리기 위해 쓴다. ë¶“ì„ ë¹„ìŠ¤ë“¬ížˆ 뉘였다가 재빨리 들면서 ëŒì–´ë‹¹ê¸´ë‹¤. 민화ì—서는 대표ì ìœ¼ë¡œ ì¼ì›”오봉ë„ì—서 ë³¼ 수 있는 준법ì´ë‹¤. í¬ê¸°ì— ë”°ë¼ ëŒ€ë¶€ë²½ì¤€ê³¼ 소부벽준으로 나눈다.
절대준(折帶皴)가로로 긴 ì„ ì„ ìˆ˜ì§ìœ¼ë¡œ 꺾어 그린다. 마치 ‘ㄱ’, ‘ㄴ’, ‘ㄷ’처럼 ë³´ì´ëŠ” ì´ ì¤€ë²•ì€ ë°”ìœ„ì‚°ê³¼ ë¬¼ê°€ì˜ ì–¸ë• ê°€ìž¥ìžë¦¬ë¥¼ 그릴 때 쓴다.
미ì ì¤€(米点皴)ë¶ì†¡ì˜ 화가 미불과 아들 미우ì¸ì´ 창시한 준법으로, 산수화í’ì¸ ë¯¸ë²•ì‚°ìˆ˜(米法山水)ì˜ íŠ¹ì§•ìœ¼ë¡œ 꼽히는 기법ì´ë‹¤. 미ì ì€ ì ì„ 여러 번 ì°ì–´ 부드러운 ìœ¤ê³½ì˜ ì‚°ìˆ˜ë¥¼ 표현할 때 사용한다. í¬ê¸°ì— ë”°ë¼ ëŒ€ë¯¸ì ê³¼ 소미ì ìœ¼ë¡œ 나눈다. ì´ë°–ì—ë„ ì—°ìžŽì¤„ê¸°ì²˜ëŸ¼ 부드러운 긴 ê³¡ì„ ì¸ í•˜ì—½ì¤€, 빗방울과 ê°™ì€ ìš°ì ì¤€, ë°§ì¤„ì´ í—í´ì–´ ì§„ 듯한 해색준(해삭준), 험악한 ì§€í˜•ì„ í¬í˜„하는 귀면준, 구름 ê°™ì€ ì•”ì„ê³¼ 산세를 표현하는 ìš´ë‘준, ì •ì„ ì´ ë…ì°½ì ìœ¼ë¡œ 개발한 겸재준 등 ìˆ˜ë§Žì€ ì¤€ë²•ì´ ì „í•´ì§€ê³  있다.

준법
ì¤€ë²•ì˜ íŠ¹ì§•ê³¼ 활용

바위와 나무를 ë”하면 ì‚°ì´ ëœë‹¤. 앞서 ë§í•œ ê¸°ë²•ë“¤ì€ ë‚˜ë­‡ìžŽ, 바위ì—ë§Œ 국한ë˜ëŠ” ê²ƒì´ ì•„ë‹ˆê³  산수와 ì§€í˜•í‘œí˜„ì— ì‘용할 수 있다. ì†ì— ìµì„ 수 있ë„ë¡ ì¶©ë¶„ížˆ 연습하여 기본기를 쌓ë„ë¡ í•œë‹¤. ì ì°¨ 작가 스스로 변용하여 능수능란하게 그릴 수 있는 ì‹¤ë ¥ì´ ë  ê²ƒì´ë‹¤.

 

글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